KR101672087B1 -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텍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텍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087B1 KR101672087B1 KR1020140025958A KR20140025958A KR101672087B1 KR 101672087 B1 KR101672087 B1 KR 101672087B1 KR 1020140025958 A KR1020140025958 A KR 1020140025958A KR 20140025958 A KR20140025958 A KR 20140025958A KR 101672087 B1 KR101672087 B1 KR 101672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s
- fuel
- unit cell
- vertical
- chan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PRLSGONYQIRFK-UHFFFAOYSA-N hydron Chemical compound [H+] GPRLSGONYQIR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oxygen i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텍은 단위셀과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교대로 적층되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면에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 채널 및/또는 타면에 연료가 흐르는 다수의 연료 채널이 존재하며, 상기 채널들은 단위셀의 적층 영역에서, 연료 또는 공기의 유입용 관통로와 연결된 길이가 상이한 제1 수직 채널들과
연료 또는 공기의 유출용 관통로와 연결된 길이가 상이한 제2 수직 채널들과, 상기 제1 수직 채널들과 제2 수직 채널들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 채널들로 연결되며, 상호 연결되는 수직채널들의 두 길이의 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단위 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단위 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지지 플레이트 평면도이다.
도 5는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채널 플레이트 평면도이다.
도 6은 지지 플레이트와 채널플레이트가 겹쳐진 바이폴라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지지 플레이트 저면도이다.
도 8은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채널 플레이트 저면도이다.
도 9는 지지 플레이트와 채널플레이트가 겹쳐진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선분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선분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서 선분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스텍 적층을 위한 하부 엔드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스텍 적층을 위한 상부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스텍 적층을 위한 하부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단위셀 테두리 적층영역에 밀봉재가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밀봉재 위에 단위셀을 적층하고, 단위셀 비적층 영역과 단위셀 테두리 적층영역에 밀봉재가 전극 높이까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4개의 단위 셀이 하나의 바이폴라플레이트에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4 개의 단위 셀이 하나의 바이폴라플레이트에 배치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3. 음극층(Anode)
4. 전해질 지지체(Electrolyte)
5. 양극층(Cathode)
7. 음극층 가스 분산층(Gas diffusion layer for the anode)
8. 양극층 가스 분산층(Gas diffusion layer for the cathode)
11. 지지 플레이트(Support plate with vertical channels)
12.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Front (anode) face of the support plate)
13.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Rear (cathode) face of the support plate)
15. 음극용 채널 플레이트(Channel plate for anode side)
16. 양극용 채널 플레이트(Channel plate for cathode side)
17.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 assembly)
18. 바이폴라 플레이트 전면(Front (anode) face of bipolar plate)
19. 바이폴라 플레이트 배면(Rear (cathode) face of the bipolar plate)
21. 연료 공급용 관통로(Common tunnel for fuel in)
22. 연료 배출용 관통로(Common tunnel for fuel out)
23. 공기 공급용 관통로(Common tunnel for air in)
24. 공기 배출용 관통로(Common tunnel for air out)
31. 연료 공급용 수직채널 (Vertical channels for fuel entering)
32. 연료 배출용 수직채널(Vertical channels for fuel leaving)
33. 연료 도입용 수직채널 오프닝(Vertical channel openings for fuel entering in the anode channel plate)
34. 연료 배출용 수직채널 오프닝(Vertical channel openings for fuel leaving in the anode channel plate)
35. 수평 연료 채널 오프닝(Horizontal channels that connect a vertical channel of fuel entering with that of fuel leaving)
37. 연료 도입 터널(Tunnels of fuel entering beneath the anode channel plate)
38. 연료 배출 터널(Tunnels of fuel leaving beneath the anode channel plate)
41. 공기 도입용 수직채널(Vertical channels for air entering)
42. 공기 배출용 수직채널(Vertical channels for fuel leaving)
43. 공기 도입용 수직 채널 오프닝(Vertical channel openings for air entering in the cathode channel plate)
44. 공기 배출용 수직 채널 오프닝(Vertical channel openings for air leaving in the cathode channel plate)
45. 수평 공기 채널 오프닝(Horizontal channels that connect a vertical
channel of air entering with that of air leaving)
47. 공기 도입 터널(Tunnels of air entering beneath the cathode channel plate)
48. 공기 배출 터널(Tunnels of air entering beneath the cathode channel plate)
52. 단위셀 에지(Edge of the cell)
61. 밀봉재(Sealant around the edge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62. 밀봉재(Sealant around the edges of the unit cell, cathode current collector and corridors)
71. 하부 엔드 플레이드(Bottom end plate in the stack)
72. 하부 엔드 플레이트 저면(Real face of the bottom end plate)
73. 하부 엔드 플레이트 평면(Front face of the bottom end plate)
75. 상부 엔드 플레이트(Top end plate in the stack)
76. 상부 엔드 플레이트 평면(Front face of the top end plate)
77. 4개의 단위셀용 바이폴라플레이트(Bipolar plate for arraying 4 cells)
Claims (18)
- 단위셀과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교대로 적층된 연료전지용 스텍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테두리의 단위셀 비적층 영역과 중심부의 단위셀 적층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단위셀 비적층 영역에 테두리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연료 유입용 관통홀, 연료 배출용 관통홀, 공기 유입용 관통홀, 및 공기 배출용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에는 일면에 공기가 흐르는 다수의 공기 채널과 및/또는 타면에 연료가 흐르는 다수의 연료 채널이 있으며,
상기 채널들은 단위셀 적층 영역에서,
연료 또는 공기의 유입용 관통로와 연결된 길이가 상이한 제1 수직 채널들과
연료 또는 공기의 유출용 관통로와 연결된 길이가 상이한 제2 수직 채널들과,
상기 제1 수직 채널들과 제2 수직 채널들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 채널들로 연결되며, 상기 수평채널에 의해서 연결된 수직채널들은 제1 수직채널과 제2 수직 채널의 길이의 합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공기 채널 또는 연료 채널들은 관통홀에서 단위셀 적층 영역까지지는 터널형 채널이며, 단위셀 적층 영역까지는 홈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스텍.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적층 영역의 절반에는 제1 수직채널들이 있으며, 다른 절반에는 제1 수직채널과 동일한 수의 제2 수직채널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스텍.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채널들은 등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스텍.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 적층 영역에서 수직채널들은 외곽측에 위치할수록 길이가 길고, 중심부에 위치할 수록 짧으며, 최외곽의 제1 수직채널은 가장 중심부의 제2 수직 채널과 연결되며, 최외곽의 제2 수직 채널은 가장 중심부의 제1 수직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스텍.
- 제1항에 있어서, 제1 수직채널과 제2 수직채널을 연결하는 수평 채널은 2개의 수평채널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스텍.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채널들은 동일한 단면적의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스텍.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채널 홈의 깊이는 수직 채널의 홈의 깊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스텍.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단위셀 비적층 영역과 단위셀 테두리 적층영역은 밀봉재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스텍.
- 연료전지 스텍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테두리의 단위셀 비적층 영역과 중심부의 단위셀 적층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단위셀 비적층 영역에 테두리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연료 유입용 관통홀, 연료 배출용 관통홀, 공기 유입용 관통홀 및 공기 배출용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일면에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연료 유입용 관통홀에서부터 단위셀 적층 영역을 지나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연료 배출용 관통홀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료 채널과,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타면에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공기 유입용 관통홀에서부터 단위셀 적층 영역을 지나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공기 배출용 관통홀을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채널을 가지며,
상기 채널들은 단위셀 적층 영역에,
연료 또는 공기의 유입용 관통로와 연결되며 길이가 상이한 제1 수직 채널들과
연료 또는 공기의 유출용 관통로와 연결되고 길이가 상이한 제2 수직 채널들과,
상기 제1 수직 채널들과 제2 수직 채널들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채널에 의해서 연결된 수직채널들은 각각의 제1 수직채널과 제2 수직 채널의 길이의 합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공기 채널 또는 연료 채널들은 관통홀에서 단위셀 적층 영역까지는 터널형 채널이며, 단위셀 적층영역에서는 홈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적층 영역의 절반에는 외곽측에 위치할수록 길이가 길고, 중심부에 위치할 수록 짧은 다수의 제1 수직채널들이 등간격으로 존재하고, 상기 단위셀 적층 영역의 나머지 절반에는 외곽측에 위치할수록 길이가 길고, 중심부에 위치할 수록 짧은 다수의 제2 수직채널들이 등간격으로 존재하고,
최외곽의 제1 수직채널과 중심부의 제2 수직 채널이 차례로 수평채널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 적층 영역에서 제1 수직채널과 제2 수직채널을 연결하는 수평 채널은 2개의 수평채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 적층 영역에서 수직 채널들은 단면적이 동일하며, 상기 수평 채널들의 단면적은 수직채널들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에 상응하는 관통홀들과 수직 채널들에 상응하는 홈들이 있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관통홀에 상응하는 관통홀들과 단위셀 적층 영역의 공기흐름용 수직채널들과 수평 채널들에 상응하는 개구가 있는 공기흐름용 채널 플레이트와, 및
상기 관통홀에 상응하는 관통홀들과 단위셀 적층 영역의 연료흐름용 수직채널들과 수평 채널들에 상응하는 개구가 있는 연료흐름용 채널 플레이트가 적층된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플레이트. - 테두리의 단위셀 비적층 영역과 중심부의 다수의 단위셀 적층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단위셀 비적층 영역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료 유입용 관통홀과 상기 연료 유입용 관통홀로부터 단위셀 적층영역의 연료 흐름 채널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료 유입용 터널, 연료 배출용 관통홀과 단위셀 적층 영역의 연료 흐름 채널에서 상기 연료 배출용 관통홀까지 연결되는 다수의 연료 배출용 터널, 공기 유입용 관통홀과 상기 공기 유입용 관통홀로부터 단위셀 적층영역의 공기 흐름 채널로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 유입용 터널 및 공기 배출용 관통홀과 단위셀 적층 영역의 연료 흐름 채널에서 상기 공기 배출용 관통홀까지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 배출용 터널이 있으며,
상기 단위셀 적층 영역에서 일면에는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연료 유입용 관통홀에서부터 단위셀 적층 영역을 지나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연료 배출용 관통홀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료 흐름채널이 있으며,
상기 단위셀 적층 영역에서 타면에는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공기 유입용 관통홀에서부터 단위셀 적층 영역을 지나 단위셀 비적층 영역의 공기 배출용 관통홀을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채널이 있으며,
상기 채널들은 단위셀 적층 영역에,
연료 또는 공기의 유입용 관통로와 연결되며 길이가 상이한 제1 수직 채널들과
연료 또는 공기의 유출용 관통로와 연결되고 길이가 상이한 제2 수직 채널들과,
상기 제1 수직 채널들과 제2 수직 채널들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채널에 의해서 연결된 수직채널들은 각각의 제1 수직채널과 제2 수직 채널의 길이의 합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 제17항에 있어서, 하나의 관통로가 2 이상의 단위셀의 채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5958A KR101672087B1 (ko) | 2014-03-05 | 2014-03-05 |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텍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5958A KR101672087B1 (ko) | 2014-03-05 | 2014-03-05 |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텍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664A KR20150104664A (ko) | 2015-09-16 |
KR101672087B1 true KR101672087B1 (ko) | 2016-11-04 |
Family
ID=5424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59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2087B1 (ko) | 2014-03-05 | 2014-03-05 |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텍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08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88983B (zh) * | 2022-07-27 | 2025-06-17 | 华中科技大学 |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双极板连接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46132A1 (en) * | 2004-08-26 | 2006-03-02 | Goebel Steven G | Fluid flow path for stamped bipolar plat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6667A (ko) * | 2002-07-13 | 2004-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스택의 연료공급구조 |
KR20040099899A (ko) * | 2003-05-20 | 2004-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스택의 연료공급구조 |
US8288051B2 (en) * | 2007-01-25 | 2012-10-16 |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 Solid oxide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
-
2014
- 2014-03-05 KR KR1020140025958A patent/KR10167208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46132A1 (en) * | 2004-08-26 | 2006-03-02 | Goebel Steven G | Fluid flow path for stamped bipolar pl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664A (ko) | 2015-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86890B2 (ja) | 内部改質型管形固体酸化物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その製作方法 | |
CN101335358B (zh) | 燃料电池 | |
US10826083B2 (en) | Fuel cell assemblies with improved reactant flow | |
KR101053227B1 (ko) | 평관형 구조체를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스택 | |
KR101806620B1 (ko) | 연료전지 스택 | |
CA2886646A1 (en) | Design of bipolar plates for use in conduction-cooled electrochemical cells | |
JP2008066264A (ja) | 燃料電池スタック用金属セパレータの積層性向上構造 | |
JP2008192368A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US20150024299A1 (en) | Unit cell for solid-oxide fuel cell and solid-oxide fuel cell using same | |
CN102117922A (zh) | 平板式燃料电池模块及其流场板 | |
WO2015049864A1 (ja) | セパレータおよび燃料電池 | |
KR20130016140A (ko) | 튜브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및 그 제작 방법 | |
US20060024560A1 (en) | Separator and cell using the same for use i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
WO2019148711A1 (zh) | 燃料电池及其电池单元和电堆结构体 | |
KR101672087B1 (ko) |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스텍 제조방법 | |
JP5638427B2 (ja) | 燃料電池 | |
JP5249177B2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JP2007220356A (ja) |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 | |
KR101346727B1 (ko) | 튜브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및 그 제작 방법 | |
JP2022125885A (ja) |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 |
JP6898188B2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JP5665900B2 (ja)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JP5713151B2 (ja) | 燃料電池 | |
JP6981392B2 (ja) | 燃料電池用のセパレータ | |
CN119208648A (zh) | 双极板及燃料电池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