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028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028B1
KR101672028B1 KR1020160025766A KR20160025766A KR101672028B1 KR 101672028 B1 KR101672028 B1 KR 101672028B1 KR 1020160025766 A KR1020160025766 A KR 1020160025766A KR 20160025766 A KR20160025766 A KR 20160025766A KR 101672028 B1 KR101672028 B1 KR 10167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valve
drying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근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탑
Priority to KR102016002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파쇄부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는 건조부;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부;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이동하고 상기 파쇄부와 상기 탈수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1배출밸브; 상기 탈수부와 상기 건조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2배출밸브; 상기 탈수부에서 발생한 오수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여과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와 연결된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건조부와 연결된 배기파이프를 단속하는 배기밸브; 상기 배기파이프 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에 배치된 드레인밸브; 상기 건조부에 구비되고,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구동되는 건조히터; 상기 건조부에 구비되고,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임시저장조; 상기 건조부와 상기 임시저장조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 상기 임시저장조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는 제1레벨센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분지 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상기 임시저장조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 상기 중앙이송파이프를 단속하고, 상기 제1레벨센서가 임시저장조에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산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면, 개방되는 제4배출밸브; 상기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임시저장조와 연결된 흡기파이프; 상기 흡기파이프를 단속하는 흡기밸브; 상기 중앙이송파이프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 복수의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이송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 상기 메인저장조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저장조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 및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서 동시에 상기 건조히터가 구동되는 경우 배기밸브의 개도가 위의 층이 아래 층보다 낮도록 개도를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Food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세대 주택에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청결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주방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음식물 쓰레기들은 다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로 배출되며, 매우 다양한 성분의 물질이 혼합되어 배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식생활 문화에서는 먹고 남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매우 많아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방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유기물이기 때문에 실내 온도에 의해 수분이 많이 함유된 상태에서는 부패되어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탈수장치가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장치는 개별적으로 모든 공정을 완료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부분 압착에 의한 방법이나, 원심분리방식 등에 의한 탈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각 가정에서 한 번에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매우 소량이기 때문에,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하기에는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거름장치를 싱크대에 구비하여 걸러낸 다음, 이를 비닐봉지 등에 담아 며칠 동안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두었다가 이미 부패된 상태로 한꺼번에 버리게 된다. 이러한 부패된 음식물 쓰레기는 자원화를 위하여 상당한 재원이 소모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주방의 개수대를 통해 그대로 흘러내려 보내는 유기물은 부패되면서 하천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은 많은 배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관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으로 수집할 경우 배관이 쉽게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염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둘째,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셋째, 음식물 쓰레기의 재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넷째,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및 운송에 소요되는 비용 및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다섯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이동하고 상기 파쇄부와 상기 탈수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1배출밸브;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와 상기 건조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2배출밸브; 탈수로 발생한 오수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여과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와 연결된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와 연결된 배기파이프를 단속하는 배기밸브; 상기 배기파이프 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에 배치된 드레인밸브; 상기 건조부에 구비되고,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구동되는 건조히터; 상기 건조부에 구비되고,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임시저장조; 상기 건조부와 상기 임시저장조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 상기 임시저장조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는 제1레벨센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분지 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상기 임시저장조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 상기 중앙이송파이프를 단속하고, 상기 제1레벨센서가 임시저장조에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산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면, 개방되는 제4배출밸브; 상기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임시저장조와 연결된 흡기파이프; 상기 흡기파이프를 단속하는 흡기밸브; 상기 중앙이송파이프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 복수의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이송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 상기 메인저장조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저장조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 및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서 동시에 상기 건조부가 구동되는 경우 배기밸브의 개도가 위의 층이 아래층보다 낮도록 개도를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파쇄부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와 연결된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건조부와 연결된 배기파이프를 단속하는 배기밸브를 개방; 압축공기를 임시저장조에 공급하는 콤프레서와 연결된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임시저장조와 연결된 흡기파이프를 단속하는 흡기밸브를 폐쇄; 상기 통합파이프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 또는 상기 환풍기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가 상기 콤프레서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환풍기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구동; 상기 배기파이프 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에 배치된 드레인밸브를 개방;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건조부에 배치된 건조히터를 구동; 상기 환풍기를 구동; 건조부에 구비된 수분센서가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상기 건조부와 상기 임시저장조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를 개방; 상기 임시저장조와 연결된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에서 이송; 복수의 세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임시저장조와 연통하는 중앙이송파이프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를 개방; 상기 콤프레서를 구동; 상기 유로조절밸브가 상기 콤프레서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환풍기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구동; 상기 중간저장조와 상기 메인저장조를 연결하여 부산물이 이동하는 메인이송파이프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를 폐쇄; 상기 중간저장조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저장조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바이패스파이프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에 구비된 압력센서가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의 압력을 측정;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상기 콤프레서 및 상기 강제이송부의 구동을 종료; 상기 제4배출밸브, 상기 제5배출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폐쇄; 상기 제6배출밸브를 개방;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상기 중간저장조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상기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상기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를 정역방향으로 교번하여 구동; 상기 중앙이송파이프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를 개방; 상기 바이패스파이프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를 폐쇄; 상기 교반장치를 정방향으로 구동; 복수의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와 연통하는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이송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상기 메인저장조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저장조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를 구동; 상기 흡입부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를 구동; 상기 메인이송파이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상기 메인이송파이프 내에서 이송; 및 상기 흡입부의 부하를 측정하여 상기 흡입부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부하에 도달하도록,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와 대기가 연통하도록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에 배치된 메인 공기흡입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염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둘째,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셋째,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로 운반 비용이 감소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에 효율성이 증가되어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섯째, 자동화된 관리가 가능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다수의 세대에 적용한 것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표현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서 제어부와 그 주변구성을 표현한 블럭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 시스템을 다수의 세대에 적용한 것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 시스템을 표현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 시스템에서 제어부(200)와 그 주변구성을 표현한 블럭도이다.
도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30); 파쇄부(3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이동하고 파쇄부(30)와 탈수부(40)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1배출밸브(11); 파쇄부(30)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부(40); 탈수부(40)와 건조부(60)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2배출밸브(12); 탈수로 발생한 오수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여과부(50);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 건조부(60)에 구비되고,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구동되는 건조히터(61); 건조부(60)에 구비되고,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72); 건조부(60)에서 건조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임시저장조(70);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 임시저장조(70)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는 제1레벨센서(71);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분지 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임시저장조(70)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5);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고, 제1레벨센서(71)가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산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면, 개방되는 제4배출밸브(14);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7);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고, 메인이송파이프(7)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 및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서 동시에 건조부(60)가 구동되는 경우 배기밸브(21)의 개도가 위의 층이 아래 층보다 낮도록 개도를 재설정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제1레벨센서(71)로부터 부산물을 양을 감지하여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하면 제4배출밸브(14)를 개방한다. 흡입부(91)로 인해 임시저장조(70)에 수용된 부산물은 세대별이송파이프(1) 및 메인이송파이프(7)를 지나 메인저장조(90)로 이동한다. 배기밸브(21)는 개도를 조절하여 윗층과 아래층의 배기 정도가 유사하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위층 세대와 아래 층 세대가 동시에 건조히터(61)를 구동하면 배기밸브(21)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위층 세대의 배기밸브(21)의 개도는 아래 층 세대의 배기밸브(21)의 개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세대별 수분 배출능력이 유사하여 세대간 불균형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30);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 압축공기를 임시저장조(70)에 공급하는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 통합파이프(3)에 배치되어 콤프레서(102) 또는 환풍기(101)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23);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 건조부(60)에 구비되고,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구동되는 건조히터(61); 건조부(60)에 구비되고,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72);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 부산물이 이동하는 세대별이송파이프(1);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여 부산물을 이송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73); 세대별이송파이프(1)와 연통하는 중앙이송파이프(5);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15);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결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임시저장조(70)에서 배출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중간저장조(80); 복수로 구비된 중간저장조(80)에서 배출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 메인저장조(90)와 복수의 중간저장조(80)를 연결하는 메인이송파이프(7);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 중간저장조(8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바이패스파이프(9);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 구비되어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4);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81)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83);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고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된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 부산물을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93); 콤프레서(102)가 구동되면, 통합파이프(3)에 배치되어 콤프레서(102) 또는 환풍기(101)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23)가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고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하고, 압력센서(74)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콤프레서(102) 및 세대별강제이송부의 구동을 종료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 부산물을 배출하기 위해 컴프레서를 구동할 수 있다. 컴프레서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한 압축공기는 흡기파이프(4)를 통해 임시저장조(70)로 이동한다. 따라서 임시저장조(70)에 수용된 부산물은 세대별 이송파이프로 배출된다.
제어부(200)는, 흡입부(91)의 부하를 측정하여 흡입부(91)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부하에 도달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와 대기가 연통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에 배치된 메인 공기흡입부(104)(91)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어부(200)는 흡입부(91)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흡입부(91)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부(200)는 흡입부(91)에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인식하면 메인 공기흡입부(104)(91)의 개도롤 증가시키고, 부하가 너무 적게 작용하면 개도를 감소시켜 흡입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30); 파쇄부(30)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파쇄부(30)와 연통하는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 파쇄부(30)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는 건조부(60); 건조부(60)에서 건조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임시저장조(70); 압축공기를 임시저장조(70)에 공급하는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 통합파이프(3)에 배치되어 콤프레서(102) 또는 환풍기(101)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23);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 건조부(60)에 구비되고,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구동되는 건조히터(61); 건조부(60)에 구비되고,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72);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 세대별이송파이프(1)에 배치되어 임시저장조(70)로부터 이동하는 부산물을 단속하는 제4배출밸브(14); 일측은 임시저장조(70)로부터 이송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중간저장조(80)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중간저장조(80)로부터 이송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된 바이패스파이프(9);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 구비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4);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되어 중간저장조(80)로 이동하는 부산물을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15); 중간저장조(80)와 메인저장조(90)를 연결하여 부산물이 이동하는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휘젓는 교반장치(83);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 및 건조히터(61)를 구동할 때는 유로조절밸브(23)가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고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하고,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제3배출밸브(13)를 개방하고, 제4배출밸브(14)를 개방할 때는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며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건조히터(61)를 구동할 경우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밸브(21)를 개방하고, 환풍기(101)와 건조부(60)가 연통할 수 있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30);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는 건조부(60); 건조부(60)에 구비된 건조히터(61);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 건조부(60)에 구비되어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72); 건조부(60)에서 건조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임시저장조(70);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 분지 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임시저장조(70)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5); 임시저장조(70)와 중앙이송파이프(5)를 연결하는 세대별이송파이프(1);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73);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15);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7);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81)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중간저장조(80);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83);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고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된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고, 메인이송파이프(7)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93); 교반장치(83)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산물을 중간 배출구로 배출하거나 교반장치(83)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산물을 보수구를 향해 배출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중간저장조(80)에서 부산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교반장치(83)를 역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부산물은 보수구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중간저장조(80)에 고형화되어 있는 부산물을 배출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생성된 부산물을 세대별로 구비된 임시 저장조에 저장하는 초기 저장단계(S1); 상기 초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부산물을 다세대 주택의 라인별로 구비된 중간 저장조로 이송하여 저장하는 중간 저장단계(S2); 및 상기 중간 저장조에 저장된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중간 저장조와 연결된 메인 저장조로 이송하여 저장하는 최종 저장단계(S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파쇄부(30)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를 개방; 압축공기를 임시저장조(70)에 공급하는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를 폐쇄; 통합파이프(3)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102) 또는 환풍기(101)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23)가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고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를 개방;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건조부(60)에 배치된 건조히터(61)를 구동; 환풍기(101)를 구동; 건조부(60)에 구비된 수분센서(72)가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를 개방;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73)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이송; 복수의 세대에 각각 구비된 임시저장조(70)와 연통하는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15)를 개방; 콤프레서(102)를 구동; 유로조절밸브(23)가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고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 중간저장조와 메인저장조(90)를 연결하여 부산물이 이동하는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를 폐쇄; 중간저장조(8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를 개방;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 구비된 압력센서(74)가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의 압력을 측정;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콤프레서(102) 및 강제이송부의 구동을 종료; 제4배출밸브(14), 제5배출밸브(15) 및 바이패스밸브(24)를 폐쇄; 제6배출밸브(16)를 개방;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81)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83)를 정역방향으로 교번하여 구동;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를 개방;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를 폐쇄; 교반장치(83)를 정방향으로 구동;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고, 메인이송파이프(7)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를 구동;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를 구동;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93)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이송; 및 흡입부(91)의 부하를 측정하여 흡입부(91)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부하에 도달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와 대기가 연통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에 배치된 메인 공기흡입부(104)(91)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초기 저장단계(S1), 중간 저장단계 (S2) 및 최종 저장단계 (S3)를 일정 시기가 될때까지 지연시키거나, 일정 시기가 되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전장품들의 구동횟수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레벨센서(71)로부터 부산물을 양을 감지하여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하면 제4배출밸브(14)를 개방한다. 흡입부(91)로 인해 임시저장조(70)에 수용된 부산물은 세대별이송파이프(1) 및 메인이송파이프(7)를 지나 메인저장조(90)로 이동한다. 배기밸브(21)는 개도를 조절하여 윗층과 아래층의 배기 정도가 유사하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위층 세대와 아래 층 세대가 동시에 건조히터(61)를 구동하면 배기밸브(21)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위층 세대의 배기밸브(21)의 개도는 아래 층 세대의 배기밸브(21)의 개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세대별 수분 배출능력이 유사하여 세대간 불균형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서 동시에 건조부(60)가 구동되는 경우 배기밸브(21)의 개도가 위의 층이 아래 층보다 낮도록 개도를 재설정; 제1레벨센서(71)가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산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분지 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임시저장조(70)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4배출밸브(14)를 개방;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를 폐쇄; 및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급수부가 파쇄부(30)에 물을 공급; 파쇄부(30)와 탈수부(40)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1배출밸브(11)를 개방하여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 탈수부(40)가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탈수부(40)와 건조부(60)를 연결하는 제2배출밸브(12)를 개방; 및 탈수로 발생한 오수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제2레벨센서(82)가 중간저장조(80)에 수용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흡입부(91)의 구동 후 중간저장조(80) 내의 부산물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로 감소되지 않으면, 비상배출도어(81)를 개방 후 교반장치(83)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파쇄부(30)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를 개방; 압축공기를 임시저장조(70)에 공급하는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를 폐쇄; 통합파이프(3)에 배치되어 콤프레서(102) 또는 환풍기(101)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23)가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고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를 개방;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건조부(60)에 구비된 건조히터(61)를 구동; 환풍기(101)를 구동; 건조부(60)에 구비된 수분센서(72)가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를 개방; 콤프레서(102)를 구동; 유로조절밸브(23)가 콤프레서(102)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고 환풍기(101)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도록 유로조절밸브(23)를 구동; 중간저장조(80)와 메인저장조(90)를 연결하여 부산물이 이동하는 통합이송파이프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를 폐쇄; 중간저장조(8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를 개방;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 구비된 압력센서(74)가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의 압력을 측정;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콤프레서(102) 및 강제이송부의 구동을 종료; 바이패스밸브(24)를 폐쇄; 제6배출밸브(16)를 개방;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를 개방;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고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된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를 개방; 중간저장조(8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바이패스파이프(9)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4)를 폐쇄;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고, 메인이송파이프(7)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를 구동;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73)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이송; 및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15)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81)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83)를 정역방향으로 교번하여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93)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이송; 흡입부(91)의 부하를 측정하여 흡입부(91)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부하에 도달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와 대기가 연통하도록 메인이송파이프(7)에 배치된 메인 공기흡입부(104)(91)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파쇄부(30)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를 개방;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를 개방;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건조부(60)에 구비된 건조히터(61)를 구동; 환풍기(101)를 구동; 건조부(60)에 구비된 수분센서(72)가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를 개방;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73)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세대별이송파이프(1) 내에서 이송; 세대별이송파이프(1)와 연통하는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15)를 개방;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결된 중간저장조(80)로 부산물이 이동;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81)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83)를 정역방향으로 교번하여 구동;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를 개방;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고 메인저장조(90)와 연결된 메인이송파이프(7)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16)를 개방; 중간저장조(80)에 구비된 교반장치(83)를 정방향으로 구동;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고, 메인이송파이프(7)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를 구동;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를 구동;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93)를 구동하여 부산물을 메인이송파이프(7) 내에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파쇄부(30)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급수부가 파쇄부(30)에 물을 공급; 파쇄부(30)와 탈수부(40)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1배출밸브(11)를 개방하여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탈수부(40)로 배출; 탈수부(40)가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탈수부(40)와 건조부(60)를 연결하는 제2배출밸브(12)를 개방; 탈수로 발생한 오수를 여과하여 배출;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를 개방; 배기파이프(2)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파이프(2)에 배치된 드레인밸브(25)를 개방;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서 동시에 건조부(60)가 구동되는 경우 배기밸브(21)의 개도가 위의 층이 아래 층보다 낮도록 개도를 재설정;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건조부(60)에 구비된 건조히터(61)를 구동; 환풍기(101)를 구동; 건조부(60)에 구비된 수분센서(72)가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건조부(60)와 임시저장조(70)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13)를 개방; 임시저장조(70)에 구비된 제1레벨센서(71)가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산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면, 임시저장조(70)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5)를 단속하는 제4배출밸브(14)를 개방; 건조부(60)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101)와 연결된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건조부(60)와 연결된 배기파이프(2)를 단속하는 배기밸브(21)를 폐쇄; 통합파이프(3)로부터 분지 되어 임시저장조(70)와 연결된 흡기파이프(4)를 단속하는 흡기밸브(22)를 개방; 중앙이송파이프(5)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중앙이송파이프(5)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103)(91)를 개방; 복수의 중앙이송파이프(5)와 연통하는 메인이송파이프(7)와 연결되고, 메인이송파이프(7)를 통해 이동하는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90)의 하류에 배치되어 메인저장조(90)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91)를 구동; 흡입부(91)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92)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한 후 물을 급수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염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고, 동기시 배기를 원활하게 하는 구조를 통해 수분 배출을 최대화 하여 건조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인 부산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없더라도 바로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염도를 최소화 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를 돕기 때문에 부패를 막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곧바로 퇴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자원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저장소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일거에 회수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팬 또는 컴프레서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배관구조를 채택하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감소하므로 물류비용이 최소화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세대별이송파이프
2: 배기파이프
3: 통합파이프
4: 흡기파이프
5: 중앙이송파이프
7: 메인이송파이프
9: 바이패스파이프
11: 제1배출밸브
12: 제2배출밸브
13: 제3배출밸브
14: 제4배출밸브
15: 제5배출밸브
16: 제6배출밸브
21: 배기밸브
22: 흡기밸브
23: 유로조절밸브
24: 바이패스밸브
25: 드레인밸브
30: 파쇄부
40: 탈수부
50: 여과부
60: 건조부
61: 건조히터
70: 임시저장조
71: 제1레벨센서
72: 수분센서
73: 세대별 강제이송부
74: 압력센서
80: 중간저장조
81: 비상배출도어
82: 제2레벨센서
83: 교반장치
90: 메인저장조
91: 흡입부
92: 탈취부
93: 메인 강제이송부
101: 환풍기
102: 콤프레서
103: 중앙 공기흡입부
104: 메인 공기흡입부
200: 제어부

Claims (15)

  1.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파쇄부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는 건조부;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부;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이동하고 상기 파쇄부와 상기 탈수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1배출밸브;
    상기 탈수부와 상기 건조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단속하는 제2배출밸브;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와 연결된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건조부와 연결된 배기파이프를 단속하는 배기밸브;
    상기 건조부에 구비되고,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도록 구동되는 건조히터;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임시저장조;
    상기 임시저장조에 구비되어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는 제1레벨센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분지 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상기 임시저장조와 각각 연결되는 중앙이송파이프;
    상기 중앙이송파이프를 단속하고, 상기 제1레벨센서가 임시저장조에 저장된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부산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면, 개방되는 제4배출밸브;
    상기 통합파이프로부터 분지 되어 상기 임시저장조와 연결된 흡기파이프;
    상기 흡기파이프를 단속하는 흡기밸브;
    상기 중앙이송파이프가 대기와 연통하도록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에 배치된 중앙 공기흡입부;
    압축공기를 상기 임시저장조에 공급하는 콤프레서와 연결된 상기 통합파이프에 배치되어 상기 콤프레서 또는 상기 환풍기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건조부에 구비되고, 부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상기 수분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이면 상기 건조부와 상기 임시저장조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배출밸브; 및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서 동시에 상기 건조히터가 구동되면 아래층 세대에 구비된 상기 배기밸브보다 위층 세대에 구비된 상기 배기밸브의 개도가 더 낮도록 서로 다른 층들의 상기 배기밸브의 개도를 동시에 조절하고, 상기 건조히터를 구동할 때는 상기 유로조절밸브가 상기 콤프레서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환풍기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구동하고, 상기 제4배출밸브를 개방할 때는 상기 콤프레서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며 상기 환풍기와 연결된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구동하며, 상기 유로조절밸브가 상기 콤프레서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콤프레서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조에 저장된 부산물이 이동하는 세대별이송파이프;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여 부산물을 이송하는 세대별 강제이송부;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와 연통하는 상기 중앙이송파이프를 단속하는 제5배출밸브;
    상기 중앙이송파이프와 연결되어 세대별로 구비된 상기 임시저장조에서 배출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중간저장조; 및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세대별이송파이프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복수로 구비된 상기 중간저장조에서 배출된 부산물을 저장하는 메인저장조;
    상기 메인저장조와 상기 복수의 중간저장조를 연결하는 메인이송파이프;
    상기 메인이송파이프를 단속하는 제6배출밸브;
    상기 메인이송파이프와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비상배출도어가 배치된 보수구가 형성된 상기 중간저장조에 구비되어 부산물을 상기 중간 배출구를 향해 밀어내는 정방향 회전 및 부산물을 상기 보수구를 향해 밀어내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반장치;
    상기 메인저장조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저장조로 부산물이 이동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하류에 구비된 탈취부;
    부산물을 상기 메인이송파이프 내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이송파이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스크루를 구비하는 메인 강제이송부;
    상기 배기파이프 내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에 배치된 드레인밸브;
    상기 중간저장조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저장조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바이패스파이프; 및
    상기 바이패스파이프를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배출밸브와 상기 제5배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콤프레서가 구동되면 상기 제6배출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는 개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25766A 2016-03-03 2016-03-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101672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66A KR101672028B1 (ko) 2016-03-03 2016-03-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66A KR101672028B1 (ko) 2016-03-03 2016-03-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028B1 true KR101672028B1 (ko) 2016-11-03

Family

ID=5757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766A KR101672028B1 (ko) 2016-03-03 2016-03-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48B1 (ko) * 2017-11-30 2018-07-06 김대웅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373A (ja) * 2007-03-30 2008-10-16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厨芥処理システム
KR20080114189A (ko) * 2007-06-27 2008-12-31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효율을향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KR20110112990A (ko) * 2010-04-08 2011-10-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기 세척 구조
KR20120028881A (ko) * 2009-04-17 2012-03-23 프로테르고 인코포레이션 유기성 폐기물의 가스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373A (ja) * 2007-03-30 2008-10-16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厨芥処理システム
KR20080114189A (ko) * 2007-06-27 2008-12-31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효율을향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KR20120028881A (ko) * 2009-04-17 2012-03-23 프로테르고 인코포레이션 유기성 폐기물의 가스화 방법 및 장치
KR20110112990A (ko) * 2010-04-08 2011-10-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기 세척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48B1 (ko) * 2017-11-30 2018-07-06 김대웅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2638C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waste into energy
CN102674592B (zh) 全自动污水、污泥、粪便快速处理系统
CN108532912A (zh) 楼道餐厨垃圾处理系统
KR100241501B1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CN108314293A (zh) 低温带式干化系统
CN210474945U (zh) 一种应用于多层建筑物的餐厨垃圾处理系统
KR10167202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CN107253791B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装置
CN106418599A (zh) 一种马铃薯清洗装置
CN201793435U (zh) 车用环保节水粪便处理器
KR101180432B1 (ko) 공동 주택을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스템
CN108213047A (zh) 一种智能垃圾收集处理储存系统
KR20130016902A (ko) 자연순환방식 음식폐기물 수집 및 처리장치
CN103743215B (zh) 一种使用载球来辅助干燥的含水固体物料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214639051U (zh) 一种厨余垃圾小型就地资源化装置
KR19990068634A (ko) 고성능의유니트형플랜트화설비를이용한유기성폐기물처리시스템.
KR101129583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의 소멸화 방법
KR100503650B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417065B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处理系统
KR2015013466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111540A (ko)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KR10091237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66030Y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EP3742949A1 (en) Closed dry toile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ilet waste
CN109778966A (zh) 厨余垃圾一站式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