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936B1 -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936B1
KR101671936B1 KR1020140031241A KR20140031241A KR101671936B1 KR 101671936 B1 KR101671936 B1 KR 101671936B1 KR 1020140031241 A KR1020140031241 A KR 1020140031241A KR 20140031241 A KR20140031241 A KR 20140031241A KR 101671936 B1 KR101671936 B1 KR 10167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an
projection
projec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256A (ko
Inventor
양정하
Original Assignee
(주)이지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위드 filed Critical (주)이지위드
Priority to KR102014003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936B1/ko
Priority to US14/348,571 priority patent/US20160037143A1/en
Priority to PCT/KR2014/002369 priority patent/WO2015141877A1/ko
Publication of KR2015010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영상 프로젝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은, 상기 영상 프로젝터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스캔 영역에 화소 식별을 위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투사면의 영역과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대응되는 화소를 매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투사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화소 영역을 채우는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jecting multi-surface images}
본 발명은 영상이 투사될 다면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다면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에 고정된 그림이나 배경 등을 영상을 대체하는 경향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공연을 위한 무대의 배경을 영상을 투사하여 구현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공연의 배경을 위해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단일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것은 큰 어려움이 없으나,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7-0002322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3-019419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다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로젝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은, 상기 영상 프로젝터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스캔 영역에 화소 식별을 위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투사면의 영역과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대응되는 화소를 매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투사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화소 영역을 채우는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캔 영역이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의 전체 화소와 동일하게 분할되도록 하는 스캔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상기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캔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색상 차이에 기초하는 에지 감지 및 폐도형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영상 프로젝터,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스캔 영역에 화소 식별을 위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캔 이미지가 투사되는 동안 상기 스캔 영역을 촬영하여 해당하는 촬영 영상을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된 투사면의 영역과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대응하는 화소를 매칭하며, 상기 투사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화소 영역을 채우는 영상이 상기 영상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 프로젝터는 상기 스캔 영역이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의 전체 화소와 동일하게 분할되도록 하는 스캔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프로젝터는 상기 스캔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고, 상기 스캔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색상 차이에 기초하는 에지 감지 및 폐도형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투사면의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프로젝터의 화소를 매칭하여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투사면에 원하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장치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에서 화소 매칭을 위한 가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에서 화소 매칭을 위한 세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이 투사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투사면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투사면은 복수이고 3차원 또는 2차원의 투사면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장치는 영상 프로젝터(10), 카메라(20) 그리고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영상 프로젝터(10)는 컨트롤러(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영상을 투사하는 통상의 프로젝터일 수 있다. 카메라(20)는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컨트롤러(30)로 전달한다. 컨트롤러(30)는 카메라(20) 및 영상 프로젝터(10)에 각각 연결되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며 영상 프로젝터(10)에 의해 투사될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프로젝터(1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30)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한 투사면 식별, 영상 생성 및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스캔 영역(SA)의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40)을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된 영상에서의 색상 차이에 기초하는 에지 감지 및 폐도형 식별에 기초하여 투사면(40)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투사면(40)을 식별하는 것은 종래에 알려진 영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anny Edge Detection 알고리즘, 폐도형 감지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투사면의 에지 검출 및 폐도형 검출에 기초하여 투사면(40)을 식별할 수 있다. 도면에 투사면(4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단한 형태로 나타나 있으나 투사면의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영상 프로젝터(10)와 카메라(20)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40)의 영역과 영상 프로젝터(10)의 화면 상의 대응되는 화소를 매칭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프로젝터(10)로 복수의 투사면(40)을 포함하는 스캔 영역(SA)에 화소 식별을 위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캔 영역(SA)의 전체에 걸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가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는 전체 스캔 영역(SA)을 가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화이트 및 블랙의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는 가로 방향으로 절반으로 분할하여 좌측에 화이트, 우측에 블랙이 표시되도록 하는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고, 그리고 나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직전 투사에서 화이트로 표시되었던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절반으로 분할하여 좌측에 화이트, 우측에 블랙이 표시되도록 하며 직전에 직전 투사에서 블랙으로 표시되었던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절반으로 분할하여 좌측에 화이트, 우측에 블랙이 표시되도록 하는 스캔 이미지를 투사한다. 즉, 도 3의 (a)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도 3의 (b)와 같이 각 영역을 다시 2개로 분할하여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고 그리고 나서 다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도 3의 (c)와 같이 직전 단계의 각 영역을 다시 2개로 분할하여 8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한다. 이와 같은 직전 투사 단계의 영역을 그 다음 단계에서 2개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n번째 스캔 이미지가 투사된 상태에서는 전체 스캔 영역이 가로 방향으로 2n개로 균등하게 분할되며 화이트 및 블랙이 교대로 나타난다.
도 4를 참조하면, 세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로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전체 스캔 영역(SA)을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블랙 및 화이트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4의 (a)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도 4의 (b)와 같이 각 영역을 다시 2개로 분할하여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고 다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도 4의 (c)와 같이 직전 단계의 각 영역을 다시 2개로 분할하여 8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한다. 이와 같은 직전 투사 단계의 영역을 그 다음 단계에서 2개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n번째 스캔 이미지가 투사된 상태에서는 전체 스캔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2n개로 균등하게 분할되며 화이트 및 블랙이 교대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스캔 이미지가 스캔 영역에 투사되는 동안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계속 촬영한다.
이때, 가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 및 세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는 최종 분할된 영역의 개수가 영상 프로젝터(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화소 개수와 일치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프로젝터(10)의 가로 방향 화소 개수가 1024(=210)이고 세로 방향 화소 개수가 2048(=211)인 경우, 가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는 총 10회가 차례로 수행되고 세로 방향의 스캔 이미지 투사는 총 11회가 차례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특정 방향의 화소 개수가 2의 배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 화소를 넘은 회수까지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며 초과된 부분은 해당 영역을 벗어나도록 투사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개수가 760인 경우, 10회까지 투사를 하며 마지막 10회에서는 760을 벗어나는 부분은 해당 영역을 벗어나도록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캔 이미지가 투사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 정보는 스캔 영역의 각 영역(영상 프로젝터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의 색상이 시간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방식으로 스캔 이미지가 투사되는 경우, 스캔 영역의 가장 상단 및 가장 좌측의 영역은 계속 화이트 상태가 되며 스캔 영역의 가장 하단 및 가장 우측의 영역은 계속 블랙 상태가 되고 각 영역의 색의 변화를 모두 알 수 있다. 즉, 영상 프로젝터(10)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의 스캔 이미지의 색상의 변화를 모두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식별된 투사면(40)의 각 영역과 영상 프로젝터(10)의 화면 상의 대응되는 화소를 매칭할 수 있게 된다.
매칭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기초로 영상 프로젝터(10)의 어떤 화소 집단이 각 투사면(40)의 영역에 대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영상 프로젝터(10)의 각 화소 집단에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투사를 함으로써 각 투사면(10)에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투사면에 해당하는 영역에 투사될 각 영상은 하나의 전체 영상에서 해당 영역을 추출하여 얻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투사면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별도의 영상을 조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매칭 방법은 종래에 알려진 방법 중 하나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영상을 영상 프로젝터(10)를 통해서 투사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투사면(40)에 별도의 영상이 투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공연을 위한 무대 장치에 적용될 경우 공연 중 배경의 변화를 위해 투사면이 변경되는 경우에, 위에서 설명한 투사면 식별 및 화소 매칭, 그리고 영상 매칭 과정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영상 투사를 통해서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영상 프로젝터
20: 카메라
30: 컨트롤러
40: 투사면

Claims (8)

  1. 영상 프로젝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프로젝터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스캔 영역에 화소 식별을 위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투사면의 영역과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대응되는 화소를 매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투사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화소 영역을 채우는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색상 차이에 기초하는 에지 감지 및 폐도형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을 식별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캔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의 투사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개별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영상 프로젝터,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스캔 영역에 화소 식별을 위한 스캔 이미지를 투사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캔 이미지가 투사되는 동안 상기 스캔 영역을 촬영하여 해당하는 촬영 영상을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식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된 투사면의 영역과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대응하는 화소를 매칭하며, 상기 투사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프로젝터의 화면 상의 화소 영역을 채우는 영상이 상기 영상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색상 차이에 기초하는 에지 감지 및 폐도형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영상 프로젝터는 상기 스캔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고, 상기 스캔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차례로 분할하는 스캔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사하는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31241A 2014-03-17 2014-03-17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KR10167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241A KR101671936B1 (ko) 2014-03-17 2014-03-17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US14/348,571 US20160037143A1 (en) 2014-03-17 2014-03-20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jecting multi-surface images
PCT/KR2014/002369 WO2015141877A1 (ko) 2014-03-17 2014-03-20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241A KR101671936B1 (ko) 2014-03-17 2014-03-17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256A KR20150108256A (ko) 2015-09-25
KR101671936B1 true KR101671936B1 (ko) 2016-11-03

Family

ID=5414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241A KR101671936B1 (ko) 2014-03-17 2014-03-17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37143A1 (ko)
KR (1) KR101671936B1 (ko)
WO (1) WO2015141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058B2 (en) * 2016-01-06 2020-06-09 Orcam Technologies Ltd. Weara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images to identify contextual situations
CN109104542B (zh) * 2018-09-14 2024-05-14 广州凡象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覆膜机工位排版优化指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044A (ja) * 2010-05-14 2011-12-01 Canon Inc 画像投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4476B2 (en) * 2002-11-25 2005-08-02 Microvision, Inc. Resonant beam scanner with raster pinch compensation
US6750442B2 (en) * 2002-03-06 2004-06-15 Xerox Corporation Use of spectral sensors for automatic media identification and improved scanner correction
US7924349B2 (en) * 2002-05-15 2011-04-12 Microvision,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with linear scan lines
US7001023B2 (en) * 2003-08-06 2006-02-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projectors to arbitrarily shaped surfaces with discrete optical sensors mounted at the surfaces
KR20070002322A (ko) 2005-06-30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1225063B1 (ko) * 2006-04-04 2013-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사되는 영상을 은닉적으로 보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7905606B2 (en) * 2006-07-11 2011-03-1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difying an image prior to projection
US8803814B2 (en) 2009-03-13 2014-08-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Surface scanning with a capacitive touch screen
JP6102088B2 (ja) * 2011-09-01 2017-03-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投影方法、画像投影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044A (ja) * 2010-05-14 2011-12-01 Canon Inc 画像投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1877A1 (ko) 2015-09-24
US20160037143A1 (en) 2016-02-04
KR20150108256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82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lignment and projection mapping
CN107430324B (zh) 具有不可见光通道的数字光投影仪
EP30189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or calibration
CA2847999C (en) Invisible or low perceptibility of image alignment in dual projection systems
EP358845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913188B (zh) 从减少的测试图案集合生成更新的摄像头-投影仪对应关系的设备和方法
EP2685312A1 (en)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rojection
KR102401168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라미터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932547B1 (ko) 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영상 정합 방법
KR20160047846A (ko) 영상 정합 방법
JP2020508479A (ja) 撮影装置により撮影されたイメージに基づく投影領域自動補正方法及びこのためのシステム
US201801973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multiple cameras
US201701116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mages for 3d reconstruction and method and system for 3d reconstruction
US11022435B2 (en) Pattern projection depth value 3D scanning device and method
CN103475887A (zh) 一种摄像机视觉系统中图像同步方法及装置
JP2016181068A (ja) 学習サンプル撮影装置
US20140168375A1 (en) Image conversion device, camera, video system, image conver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US95004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n object employing machine vision
KR101671936B1 (ko)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EP3934244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apping of projector pixels to camera pixels and/or object positions using alternating patterns
KR101457888B1 (ko) 기준점 보정을 이용한 3차원 영상 생성방법
US201500026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through installation of external camera
KR101539038B1 (ko) 복수의 깊이 카메라로부터 취득한 깊이 맵의 홀 필링 방법
JP6306494B2 (ja) 形状推定装置、形状推定方法および形状推定プログラム
US20180108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high-quality tex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