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741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741B1
KR101670741B1 KR1020090123336A KR20090123336A KR101670741B1 KR 101670741 B1 KR101670741 B1 KR 101670741B1 KR 1020090123336 A KR1020090123336 A KR 1020090123336A KR 20090123336 A KR20090123336 A KR 20090123336A KR 101670741 B1 KR101670741 B1 KR 10167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ight
housing
light emitting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606A (ko
Inventor
김현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741B1/ko
Priority to US12/964,013 priority patent/US8957594B2/en
Publication of KR2011006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7/00Apparatus for performing colour-mus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과;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광 출력 개구들 중 일부의 개구들로 광을 방출하여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에 대응하여 패턴 광을 조명하는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턴광, 조명, 음향, 스피커, 오디오, 레벨, 발광

Description

조명 장치 { Illuminator }
본 발명은 패턴 광을 조명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산업은 인류 문명과 함께 발전했을 정도로 그 역사가 길며, 인류와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근래에도 조명산업은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광원, 발광 방식, 구동 방식, 효율 개선 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주로 쓰이고 있으며,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백열전구 등의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크며, 방전등의 경우 고가격, 고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원들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 색의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 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점/선 광원에 비해 균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 면 광원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발명은 패턴 광을 조명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양태(樣態)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과;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광 출력 개구들 중 일부의 개구들로 광을 방출하여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에 대응하여 패턴 광을 조명하는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양태(樣態)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와;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양태(樣態)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에서 음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감지부와;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 또는 상기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 또는 상기 음성 감지부에서 출력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음향 레벨 또는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양태(樣態)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와;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처리된 오디오 레벨을 추출하는 오디오 레벨 추출부와;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 및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 또는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음향 레벨 또는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부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패턴 광을 조명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어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성 감지부를 구비하여, 패턴광 조명 및 구동 명령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외부의 사운드의 레벨에 따라 연동되는 패턴 광을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향 레벨(Sound level)에 따라 다양한 패턴 광을 조명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음향 레벨은 음향의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100)의 외관 형태는 나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팔 구조에 복수개의 광 출력 개구들(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 장치(100)는 음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 출력 개구들(110)로 방출되는 광을 제어하여 패턴 광을 조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b와 같이, 선택적인 광 출력 개구들(110)로만 광이 방출되어 패턴 광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패턴 광을 조명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조명 장치(100)는 음향 감지부(210)와 발광 다이오드 광원(25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음향 감지부(210)는 상기 조명 장치(100)의 외부에서 전달된 음향을 감지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광원(250)은 선택적인 광 출력 개구들(110)로 광을 방출하여 L1,L2,L3,L4,L5,L6으로 이루어진 패턴 광을 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 출력 개구들(110)은 상기 조명 장치(100)의 외관 하우징(10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210)와; 상기 음향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220)와;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60)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260)에서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0)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과;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음향 감지부(210)는 조명 장치 주변의 음향을 감지하고,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는 상기 음향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는 상기 제어부(230)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상기 메모리(260)에서 읽어 상기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로 출력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들(251,252,253,255) 중 일부를 구동시켜 광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턴 광이 상기 조명 장치에서 조명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소리에 반응하여 패턴광을 방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 주변에서 휘파람(Whistle)을 불게 되면, 이 휘파람의 음향은 조명 장치의 음향 감지부에서 음향 레벨 1로 감지되어 조명 장치에서는 해당 패턴 광을 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 튕기기(Snapping Fingers)를 수행하면 상기 음향 감지부는 음향 레벨 2로 감지하고, 손바딱 치기(Clap)에 대한 음향은 휘파람과 손가락 튕기기보다 음향 크기가 커서 상기 음향 감지부는 음향 레벨 3으로 감지한다.
또, 외치기(Shouting)는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음향 레벨 4로 감지한다.
상기 음향 레벨 2 내지 4도 각각 패턴 광이 조명된다.
이러한 패턴 광은 조명 장치에 마련된 광 출력 개구들 중 선택된 일부의 개구들로 광이 방출되면 구현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5a와 같이, 개구 '101a'에서 'a1'광이 방출되고, 개구 '101b'에서 'a2'광이 방출되며, 개구 '101c'에서 'a3'광이 방출되어 제 1 패턴 광을 조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개구 '101b'에서 'b1'광이 방출되며, 개구 '101e'에서 'b2'광이 방출되어 제 2 패턴 광을 조명할 수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레벨에 따라 광의 패턴이 상이하며, 이 광 패턴은 예를 들어, 음향 레벨 1에서는 '원' 형상의 광 패턴으로 조명되고, 음향 레벨 2에서는 '동물' 형상의 광 패턴으로 조명되며, 음향 레벨 3에서는 '꽃' 형상의 광 패턴으로 조명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음향 레벨에 따라 방출되는 광의 휘도값을 가변시켜 조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음향 레벨 1에서는 '1'의 휘도값으로 조명되고, 음향 레벨 2에서는 '2'의 휘도값으로 조명되며, 음향 레벨 3에서는 '3'의 휘도값으로 조명된다.
즉, 음향 레벨에 따라 제어부에서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로 해당 휘도값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에서는 그 휘도값으로 발광 다이오드들을 구동시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210)와; 상기 음향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220)와; 상기 음향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음향에서 음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감지부(270)와;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 또는 상기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60)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 또는 상기 음성 감지부(270)에서 출력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 모리(260)에서 상기 음향 레벨 또는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0)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과;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상기 음성 감지부(270)에서 음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30)로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메모리(260)에서 상기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 중 일부를 구동시켜 패턴 광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명령어들은 조명 장치에서 원하는 패턴 광을 조명하기 위한 명령어로, 조명 장치가 구현할 수 있는 패턴 광들 각각이 대응되는 명령어들이다.
예컨대, "제 1 내지 N 패턴 광", "꽃","동물","원 패턴" 등이다.
그리고, 상기 명령어들은 조명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은 "켜(ON)", "꺼(OFF), "무드", "적색 무드", "녹색 무드", "청색 무드" 등이다.
또, 상기 음성 감지부(270)는 음성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음성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성의 주파수로 분석하여 감지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를 추출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어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성 감지부를 구비하여, 패턴광 조명 및 구동 명령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282)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281)와; 상기 앰프(281)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8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즉, 조명 장치(100)에 외부의 오디오 장치(282)가 연결되면, 상기 앰프(281)와 스피커(280)를 통하여 가청음(S2)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장치(282)는 MP3, TV, 라디오, PMP, 휴대용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외부에서 전달된 음향(S1)을 음향 감지부(210)에서 감지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광원(250)에서 L1,L2로 이루어진 패턴 광을 조명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는 상기 스피커(280)에서 출력되는 가청음의 레벨에 따라 패턴 광이 조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조명 장치(100)는 상기 오디오 장치(282)와 연결될 수 있는 잭(Jack)이 마련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210)와; 상기 음향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220)와;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90)와;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290)에 처리된 오디오 레벨을 추출하는 오디오 레벨 추출부(295)와;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앰프(281)와; 상기 앰프(281)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80)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 및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295)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60)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 또는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295)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260)에서 상기 음향 레벨 또는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0)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과;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251,252,253,255)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 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280)에서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장치의 사운드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조명 장치는 오디오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295)에서 외부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의 레벨을 추출하고, 이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 광을 조명 장치에서 조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 또는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295)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260)에서 상기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패턴 광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24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외부의 사운드의 레벨에 따라 연동되는 패턴 광을 조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각종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부(2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이 설치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의 외관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110)에 대응되도록 광원은 링(Ring) 형상의 인쇄회로기판(3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된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310)로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플렉서블한 테이프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패턴 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조명 장치의 나팔 구조면에는 광 출력 개구들(110)이 노출되어 있고, 이 광 출력 개구들(110)이 선택적으로 광이 방출되어 나팔 구조면에 패턴 광이 형성된다.
이러한 광의 패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출력 개구들(110) 내측에서 외측으로(화살표 방향) 순차적으로 패턴 광이 조명되는 패턴 광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의 패턴 광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출력 개구들(110) 내측에 제 1 광 패턴(광이 방출되는 개구들 '113a'로 이루어진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 출력 개구들(110) 외측에 상기 제 1 광 패턴과 닮은 제 2 광 패턴(광이 방출되는 개구들 '113d'로 이루어진 패턴)이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2a의 광 출력 개구 '113c'는 광이 방출되지 않은 개구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라 광원으로 적용된 발광 다이오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들을 광원으로 적용된다.
이 발광 다이오드들은 도 13a와 같이, 백색광(W)을 방출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들(500)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3b와 같이, 적색 발광 다이오드 칩(511),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512)과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513)이 실장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들(510)이 조명 장치의 광원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의 광원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521), 청색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522)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523)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소리에 반응하여 패턴광을 방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음향 레벨에 따라 광 패턴 및 광 휘도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이 설치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패턴 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라 패턴 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라 광원으로 적용된 발광 다이오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Claims (10)

  1.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과;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광 출력 개구들 중 일부의 개구들로 광을 방출하여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에 대응하여 패턴 광을 조명하는 발광 다이오드 광원과;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링 형상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면 및 상기 중앙 수직 축을 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에 대응되도록 링 형상의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제2면 상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면은 중앙부에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오목면과 상기 하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레벨에 기초하여 제2면 상에 복수 개의 패턴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의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와;
    상기 앰프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MP3, TV, 라디오, PMP, 휴대용 단말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 적색 발광 다이오드,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 중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와;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링 형상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면 및 상기 중앙 수직 축을 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에 대응되도록 링 형상의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제2면 상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면은 중앙부에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오목면과 상기 하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레벨에 기초하여 제2면 상에 복수 개의 패턴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에서 음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감지부와;
    상기 음향 레벨에 대응된 패턴 또는 상기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 또는 상기 음성 감지부에서 출력된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음향 레벨 또는 명령어들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링 형상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면 및 상기 중앙 수직 축을 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에 대응되도록 링(Ring) 형상의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제2면 상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면은 중앙부에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오목면과 상기 하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레벨 도는 음성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제2면 상에 복수 개의 패턴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패턴 광들 각각이 대응되는 명령어들 또는, 조명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와;
    상기 음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의 레벨을 추출하는 음향 레벨 추출부와;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처리된 오디오 레벨을 추출하는 오디오 레벨 추출부와;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 및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향 레벨에 대한 신호 또는 상기 오디오 레벨 추출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레벨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음향 레벨 또는 오디오 레벨에 대응된 패턴을 읽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턴 광이 출사되도록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링 형상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 수직 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면 및 상기 중앙 수직 축을 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하우징의 나팔 구조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 출력 개구들에 대응되도록 링(Ring) 형상의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제2면 상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면은 중앙부에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출력 개구들은 상기 오목면과 상기 하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레벨 또는 상기 오디오 레벨에 기초하여 제2면 상에 복수 개의 패턴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발광 다이오드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090123336A 2009-12-11 2009-12-11 조명 장치 KR10167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336A KR101670741B1 (ko) 2009-12-11 2009-12-11 조명 장치
US12/964,013 US8957594B2 (en) 2009-12-11 2010-12-09 Illuminator with various light emission patterns based on sound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336A KR101670741B1 (ko) 2009-12-11 2009-12-11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606A KR20110066606A (ko) 2011-06-17
KR101670741B1 true KR101670741B1 (ko) 2016-10-31

Family

ID=4414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336A KR101670741B1 (ko) 2009-12-11 2009-12-1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57594B2 (ko)
KR (1) KR101670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208A1 (en) * 2010-04-09 2013-04-18 Amoluxe Co., Ltd. Led street light
KR101279298B1 (ko) * 2011-08-02 2013-06-26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무접점 전환스위치가 장착된 욕실등 및 그 제어방법
DE102011115335A1 (de) * 2011-10-07 2013-04-11 Gert Kölchens Multifunktionale RGB-Decorleuchte, manuell/fernbedienbar
US9642221B2 (en) * 2011-11-07 2017-05-0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User interface using sounds to control a lighting system
US10276156B2 (en) * 2012-02-29 2019-04-30 Nvidia Corporation Control using temporally and/or spectrally compact audio commands
CN104159352B (zh) * 2013-05-14 2017-04-05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可声控的led照明电路以及灯具
CN103277703A (zh) * 2013-06-27 2013-09-04 苏州工业园区依利电子贸易有限公司 声控灯
US20150138765A1 (en) * 2013-11-19 2015-05-21 Paramount Inc. Popcorn machines with lighting effe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916738B2 (en) 2014-03-27 2018-03-1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pressure waves by lighting units
DE102015205251A1 (de) * 2015-03-24 2016-09-29 Tridonic Gmbh & Co Kg Anwesenheitsdetektion mittels Schall
USD817921S1 (en) * 2015-10-30 2018-05-15 Lg Electronics Inc. Speaker with lighting
KR200483088Y1 (ko) * 2015-11-04 2017-04-03 강준상 가습기능을 구비한 트위스트형 조명기구
KR102395698B1 (ko) 2015-12-18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3203080A (zh) 2016-04-22 2021-08-03 纳米格有限公司 用于连接和控制可配置照明单元的系统和方法
CN106068052A (zh) * 2016-05-26 2016-11-0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照明控制方法及照明控制设备、移动设备
CN107580103A (zh) * 2016-07-05 2018-0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9002144A1 (en) 2017-06-30 2019-01-0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IGHTING SYSTEM WITH TRAFFIC REPLACEMENT FUNCTIONALITY
GB201806194D0 (en) 2018-04-16 2018-05-30 Native Design Ltd Lighting and speaker device and annular LED assembly
US11210911B2 (en) * 2019-03-04 2021-12-28 Timothy T. Murphy Visual feedback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014A1 (en) 2003-03-06 2004-09-09 Speaker Electronic (Jiashan) Co., Ltd. Light-emitting speaker
US20090196016A1 (en) 2007-12-02 2009-08-06 Andrew Massara Audio lam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248A (en) * 1983-10-19 1986-12-16 Scott Robert J Sound activated lamp arrangement
JP2003023693A (ja) * 1999-10-04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7152996B2 (en) * 2001-04-27 2006-12-26 Altman Stage Lighting Co., Inc. Diode lighting system
US6563929B2 (en) * 2001-08-10 2003-05-13 American Hi-Fi Industrial 26, Inc. Woofer having ornamental flashing lights
US7476002B2 (en) * 2003-07-02 2009-01-13 S.C. Johnson & Son, Inc. Color changing light device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for mood enhancement
CN101133284A (zh) * 2005-03-07 2008-02-2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Led灯具
US7606379B2 (en) * 2006-03-17 2009-10-20 Mitek Corp, Inc. Omni-directional speaker lamp
TWM322512U (en) * 2007-05-21 2007-11-21 Jarrer Co Ltd LED lamp having shielding 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014A1 (en) 2003-03-06 2004-09-09 Speaker Electronic (Jiashan) Co., Ltd. Light-emitting speaker
US20090196016A1 (en) 2007-12-02 2009-08-06 Andrew Massara Audio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606A (ko) 2011-06-17
US20110140635A1 (en) 2011-06-16
US8957594B2 (en)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741B1 (ko) 조명 장치
KR20120038490A (ko) 터치 패턴 제어 인터페이스를 갖는 조명 기구
JP2007025618A (ja) 多機能照明オーディオ装置
US20110181201A1 (en) LE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n Audio System
JP712266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
JP2008193189A (ja) 照明付音声再生装置、及び照明付音声再生システム
KR100679957B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스피커 그릴
US20060178888A1 (en) Voice bulb
US20040145245A1 (en) Light control circuit of led lamp
NL1033071C1 (nl) Kerstboomverlichtingsstelsel en kerstboomlampje en afstandsbediening als deel van dit stelsel.
US6825772B2 (en) Electroluminescent dashboard control circuit
US20060044784A1 (en) Ornamental light string
KR101943583B1 (ko) 조명 스피커
KR102345027B1 (ko)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KR20080081730A (ko)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 제어방법
KR20100104254A (ko) 음원 특성을 이용한 엘이디 어레이 제어 회로
KR200260541Y1 (ko) 악기 장식품의 조명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
KR200403845Y1 (ko) 다기능 조명 오디오 장치
KR200284430Y1 (ko) 전기스탠드
KR101597132B1 (ko) 스피커 겸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1049U (ko) 발광마이크
KR20230114353A (ko) Tv 후면등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0274620Y1 (ko) 음파에 반응하는 발광장치가 부착된 마이크로폰
KR200319471Y1 (ko) 소형 공기청정기를 갖춘 조명등
WO2014129563A1 (ja) 電子楽器用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