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610B1 -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 Google Patents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610B1
KR101670610B1 KR1020150132109A KR20150132109A KR101670610B1 KR 101670610 B1 KR101670610 B1 KR 101670610B1 KR 1020150132109 A KR1020150132109 A KR 1020150132109A KR 20150132109 A KR20150132109 A KR 20150132109A KR 101670610 B1 KR101670610 B1 KR 10167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dule
boil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균
장정재
도선호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to KR102015013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거에 보일러를 가동시킨 패턴을 학습하여 현재의 보일러 가동을 위한 스케쥴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며,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운전모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IoT platform server for room temperature control by user pattern analysis}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거에 보일러를 가동시킨 패턴을 학습하여 현재의 보일러 가동을 위한 스케쥴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며,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운전모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나 그외 펠릿연료 등을 연소시켜 온수나 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실내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보일러의 경우에도 원격에서 보일러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예약된 스케쥴에 따라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190437호 '학습기능을 통한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밸브 개도 량 자동 제어방법'은 각방 난방 시스템에 학습기능을 부가시켜 배관 길이나 외부 환경 여건 등에 따라 자동 운전을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526097호 '예측제어에 의한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절약형 실온제어시스템'은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아파트, 콘도미니엄, 호텔객실, 기숙사와 같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된 집합건물의 건물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489772호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보일러비용 자동관리시스템'은 스마트폰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과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서버는 입력된 금액에 맞게 소비자의 보일러를 가동시킨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들은 과거의 사용자 패턴에 근거하여 현재의 보일러 가동을 위한 스케쥴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최대한 근접한 자동운전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인터넷 등 무선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등을 가능하게는 하지만, 사물인터넷을 통해 보일러와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운전모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90437호 한국등록특허 제526097호 한국등록특허 제14897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보일러를 가동시킨 패턴을 학습하여 현재의 보일러 가동을 위한 스케쥴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며,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운전모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보일러를 가동시킨 기록을 수집하는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과; 상기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학습 모듈과; 상기 학습 모듈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 패턴에 따라 상기 보일러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케쥴을 생성하는 스케쥴링 모듈과; 상기 스케쥴링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스케쥴을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직접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스케쥴링 모듈에서 생성된 스케쥴에 따라 상기 보일러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직접 제어명령을 우선 순위로 하여 상기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스케쥴에 따른 상기 보일러의 제어시 또는 상기 직접 제어명령에 따른 운전모드 변경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은 상기 보일러의 가동시간, 시간대별 가동 횟수, 계절별 가동 횟수, 기상청으로부터의 실외 온도, 실내 온도, 기상 시간, 출근 시간, 퇴근 시간, 취침 시간 및 설정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상기 학습 모듈은 상기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패턴을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모듈은 과거의 보일러 설정온도에 가중치를 두어 상기 사용자의 패턴을 판독하되, 전년도 동일 주간의 이전 주와, 상기 동일 주간 및 상기 동일 주간의 이후 1주 동안의 설정온도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반영하여 합산한 후 평균을 낸 전년도 평균값과, 금년도 이전 주간 동안 설정한 설정온도를 합산한 후 평균을 낸 금년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전년도 평균값 및 금년도 평균값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패턴을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학습 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패턴에 따라 자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1 운전모드; 및 상기 보일러를 제어하는 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2 운전모드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3 운전모드와; 상기 사용자의 예약에 의해 예약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4 운전모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운전모드에 의해 자동 제어가 진행 중 상기 제2 운전모드 내지 제4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전환시, 상기 전환 시점 이후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자동 운전 스케쥴을 취소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1 운전모드로 복귀하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복귀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상기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스케쥴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받으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G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보일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거에 보일러를 사용한 패턴을 학습하여 현재 보일러 제어를 위한 스케쥴을 작성하고, 나아가 작성된 스케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보일러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적합한 다양한 운전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직접 제어나 예약 제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으로 운전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가 적용된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의 운전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100)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통해 보일러(B)의 룸 컨트롤러(도 2의 RC)에 연결되어 사용자 패턴을 수집하고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수집된 사용자 패턴을 학습함으로써 작성한 보일러(B) 가동용 스케쥴을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S)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S)를 이용하여 스케쥴을 확인 및 수정한다.
이때, 본 발명은 기상청 서버(W-S)로부터 제공되는 실외 온도와 같이 날씨나 온도 등의 주변 환경은 물론, 과거에 사용자가 보일러(B)를 가동시킨 패턴을 수집하여 상술한 스케쥴을 작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과거에 보일러(B)를 사용한 패턴을 학습하여 현재 보일러(B)를 제어하기 위한 스케쥴을 작성하고, 나아가 작성된 스케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유지/수정/예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보일러(B)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적합한 다양한 운전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직접 제어나 예약 제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으로 운전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100)는 도 2와 같이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 학습 모듈(120), 스케쥴링 모듈(130), 통신 모듈(140), 제어 모듈(150) 및 푸쉬 모듈(160)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은 사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보일러(B)를 가동시킨 기록을 수집한다. 통상적으로 기록은 보일러(B)를 제어하는 룸 컨트롤러(RC)를 통해 수집되며 DB(DataBase)에 룩업 테이블 방식 등으로 저장된다.
학습 모듈(120)은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에서 수집한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 사용 패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간별, 계절별 및 주변환경(예: 실외 온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학습 모듈(120)은 그 하위의 세부 구성으로써 실내온도 학습 모듈 및 외출 학습 모듈 등을 비롯한 여러 목적을 위한 모듈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사용자 패턴이 반영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외출을 자주하는 시간대에 대한 패턴을 반복 학습에 의해 확인하고, 일정 가중치를 넘어서는 패턴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보일러(B)가 외출 설정이 되게 한다.
스케쥴링 모듈(130)은 학습 모듈(120)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 패턴에 따라 보일러(B)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케쥴을 작성한다. 바람직하게 스케쥴은 1주일이나 1개월 동안 보일러(B)를 가동시키기 위해 작성되며 각 시간대별로 세부 조정된다.
통신 모듈(140)은 작성된 스케쥴을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S)(예: 스마트 폰)에 제공하고, 반대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S)로부터 '직접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 모듈(150)은 스케쥴링 모듈(130)에서 생성된 스케쥴에 따라 보일러(B)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되, 이동통신단말기(S)로부터 송신된 직접 제어명령을 우선 순위로 하여 보일러(B)를 가동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학습에 의한 자동 운전을 원칙으로 하되 사용자 설정을 우선 순위로 제어하게 된다.
푸쉬 모듈(160)은 이동통신단말기(S)에 실시간으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스케쥴에 따른 보일러(B)의 제어시 또는 사용자의 직접 제어명령에 따른 운전모드 변경시 등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S)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은 보일러(B)의 가동시간, 시간대별 가동 횟수, 계절별 가동 횟수, 기상청 서버(W-S)에서 제공된 실외 온도, 실내 온도, 기상 시간, 출근 시간, 퇴근 시간, 취침 시간 및 설정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한다.
그리고, 학습 모듈(120)은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패턴을 판독한다. 이때, 학습 모듈(120)은 일 예로 데이터 통계에 의해 사용자 개인의 특성 및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정확한 스케쥴을 생성한다.
특히, 학습 모듈(120)은 과거의 보일러(B) 설정온도에 가중치를 두어 사용자의 패턴을 판독한다. 예컨대, 전년도 동일 주간의 이전 주(예: 2014년 9월 첫째주)와, 동일 주간(예: 2014년 9월 둘째주) 및 동일 주간의 이후 1주 동안(예: 2014년 9월 셋째주)의 설정온도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반영하여 합산한 후 평균을 낸 전년도 평균값을 산출한다.
나아가, 금년도 이전 주간(예: 2015년 9월 첫째주) 동안 설정한 설정온도를 합산한 후 평균을 낸 금년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위에서 산출한 전년도 평균값 및 금년도 평균값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일 예로 2015년 9월 둘째주의 사용자 패턴을 판독한다.
이와 같이 과거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면 사용자 선호도에 의한 실내 온도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계절별 외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의 선호도에 부응하는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 모듈(150)은 아래와 같은 제1 운전모드 내지 제4 운전모드를 포함한 다양한 보일러(B) 운전모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 운전모드에서는 학습 모듈(12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패턴에 따라 자동운전이 이루어진다.
그 외 제2 운전모드에서는 보일러(B)를 제어하는 룸 컨트롤러(RC)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고, 제3 운전모드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S)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며, 제4 운전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예약에 의해 예약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 모듈(150)은 제1 운전모드에 의해 자동 제어가 진행 중 제2 운전모드 내지 제4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전환시, 전환 시점 이후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자동 운전 스케쥴을 취소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 제1 운전모드로 복귀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S)로 자동 복귀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쥴링 모듈(130)에 제공된 스케쥴에 따라 보일러(B)를 자동으로 운전 중, 우선권이 있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그에 따라 보일러(B)를 가동시키고, 다시 자동으로 복귀시에는 푸쉬 모듈(160)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제어 환경을 제공한다.
제어 모듈(150)은 통신 모듈(14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S)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이동통신단말기(S)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보일러(B)를 가동시키는 스케쥴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서버는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서도 기능하며, 사용자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에 의해 스케쥴을 호출하면 월간, 주간 단위 등으로 스케쥴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S)에 원형의 온도미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보일러(B)를 제어하고, 모드 설정 버튼이나 예약 설정 버튼 등을 이용하여 편리한 GUI 조작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모듈(150)은 이상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S)에서 GUI를 통해 전송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보일러(B)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IoT 플랫폼 기반의 서버에서 룸 컨트롤러(RC)와 같은 실내 온도 조절기에 접속하여 가동시간, 시간대별 가동 횟수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학습한다.
또한, 분석된 사용자 패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행동 예측, 설정 온도 예측 및 모드 변환 예측 등을 가능하게 하고, 예측된 데이터를 보일러(B) 가동을 위한 스케쥴에 반영한다.
예컨대, 학습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취침시간부터 기상시간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취침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일러(B)를 자동 제어하며, 이를 바탕으로 차후에는 사용자의 바이오리듬 등 신체 컨디션에 따라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기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는 일 예로 기상시간 30분 전에 목욕 모드로 전환하여 미리 목욕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출근시간 이후에는 자동으로 외출모드로 변경되게 하거나, 혹은 퇴근하여 집에 돌아오기 일정시간 이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목욕물의 온도를 높여놓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S)를 통해 온도 설정 및 모드 변환과 관련하여 스케쥴을 호출시 본 발명의 서버는 그 호출에 응답하여 스케쥴을 일괄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S)를 통해 스케쥴을 확인하고 수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우선의 원칙에 의해 본 발명은 해외여행 등 정해진 스케쥴 이외의 예외 상황 발생시에도 해당 기간 동안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보일러(B)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B) 운전 모드의 변경에 따라 푸쉬 모듈(160)에 의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일 예로 출근시간 이후 기 설정된 외출 모드에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외출 모드가 이루어졌음을 알린다.
또한, 사용자 우선 명령이 입력된 경우, 예컨대 취침 시간에는 자동으로 취침 모드로 변환되지만 만약 룸 컨트롤러(RC)나 이동통신단말기(S)를 통해 외출 모드와 같은 직접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취침 모드로의 전환이 취소된다.
유사하게 취침 모드로 변환될 시기에 목욕 모드와 같은 직접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취침 모드 대신 우선권이 있는 목욕 모드로 보일러(B)가 전환된다. 즉, 도 3과 같이 직접 제어명령 이후 일정 시간 동안의 자동모드(즉, 제1 운전모드)는 취소된다. 그 후 자동모드로 복귀하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외기 온도 등에 따라 실내 온도와 난방수 온도 등의 목표값을 설정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보일러(B)를 가동시켰음에도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단계별로 목표값을 변경 즉,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스비 절감 등 에코 모드로 보일러(B)를 가동시키기 위함이며, 에코 모드는 도 2와 같은 기타 응용 모듈을 통해 제어된다. 상기 기타 응용 모듈은 에코 모드 이외에 유아/청소년/노약자 등과 같이 특수계층을 위한 운전 모드 역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IoT 실내 온도 조절 서버
110: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
120: 학습 모듈
130: 스케쥴링 모듈
140: 통신 모듈
150: 제어 모듈
160: 푸쉬 모듈
DB: 데이터베이스
W-C: 기상청 서버
B: 보일러
RC: 룸 컨트롤러
S: 이동통신단말기(스마트폰)

Claims (6)

  1. 사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보일러(B)를 가동시킨 기록을 수집하는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과;
    상기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에서 수집한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학습 모듈(120)과;
    상기 학습 모듈(120)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 패턴에 따라 상기 보일러(B)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케쥴을 생성하는 스케쥴링 모듈(130)과;
    상기 스케쥴링 모듈(130)에서 생성된 상기 스케쥴을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S)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S)로부터 직접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140)과;
    상기 스케쥴링 모듈(130)에서 생성된 스케쥴에 따라 상기 보일러(B)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로부터 송신된 직접 제어명령을 우선 순위로 하여 상기 보일러(B)를 가동시키는 제어 모듈(150); 및
    상기 스케쥴에 따른 상기 보일러(B)의 제어시 또는 상기 직접 제어명령에 따른 운전모드 변경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쉬 모듈(160);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모듈(120)은 과거의 보일러(B) 설정온도에 가중치를 두어 상기 사용자의 패턴을 판독하되,
    전년도 동일 주간의 이전 주와, 상기 동일 주간 및 상기 동일 주간의 이후 1주 동안의 설정온도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반영하여 합산한 후 평균을 낸 전년도 평균값과, 금년도 이전 주간 동안 설정한 설정온도를 합산한 후 평균을 낸 금년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전년도 평균값 및 금년도 평균값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패턴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은 상기 보일러(B)의 가동시간, 시간대별 가동 횟수, 계절별 가동 횟수, 기상청으로부터의 실외 온도, 실내 온도, 기상 시간, 출근 시간, 퇴근 시간, 취침 시간 및 설정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상기 학습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패턴 수집 모듈(110)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패턴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학습 모듈(12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패턴에 따라 자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1 운전모드와;
    상기 보일러(B)를 제어하는 룸 컨트롤러(RC)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2 운전모드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3 운전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예약에 의해 예약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4 운전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제1 운전모드에 의해 자동 제어가 진행 중 상기 제2 운전모드 내지 제4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전환시, 상기 전환 시점 이후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자동 운전 스케쥴을 취소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1 운전모드로 복귀하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로 복귀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통신 모듈(14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상기 보일러(B)를 가동시키는 스케쥴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받으며,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S)에서 상기 G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보일러(B)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KR1020150132109A 2015-09-18 2015-09-18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KR10167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109A KR101670610B1 (ko) 2015-09-18 2015-09-18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109A KR101670610B1 (ko) 2015-09-18 2015-09-18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610B1 true KR101670610B1 (ko) 2016-10-28

Family

ID=5724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109A KR101670610B1 (ko) 2015-09-18 2015-09-18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61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361A (ko) * 2016-11-18 2018-05-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학습기반의 스마트홈 에너지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77678A (ko) * 2016-12-29 2018-07-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00566B1 (ko) * 2016-10-31 2018-09-2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난방 제어 방법 및 난방 제어 시스템
KR101909694B1 (ko) 2017-04-07 2018-10-19 코오롱글로벌 (주) 실내 맞춤형 난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31875B1 (ko) * 2017-04-26 2018-12-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지능형 난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221458A1 (ko) * 2018-05-18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221479A1 (ko) * 2018-05-18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75080A (ko) 2018-12-10 2020-06-26 주식회사 가람아이앤씨 지역난방설비를 활용한 IoT난방제어시스템
KR102183942B1 (ko) * 2019-12-17 2020-11-27 뉴브로드테크놀러지(주) 바닥난방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건물 난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88391A (ko) 2020-01-06 2021-07-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열쾌적 영역 온도-습도 차트를 활용한 온도 조절기
KR20210088388A (ko) 2020-01-06 2021-07-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이용 패턴의 학습을 기반으로 온도 설정 스케쥴링이 가능한 스마트 온도 조절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097B1 (ko) 2003-07-07 2005-11-08 바스코리아 주식회사 예측제어에 의한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절약형 실온제어시스템
JP2010121823A (ja) * 2008-11-18 2010-06-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KR101190437B1 (ko) 2010-08-30 2012-10-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학습기능을 통한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밸브 개도 량 자동 제어방법
KR20130120868A (ko) * 2012-04-26 2013-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운전 스케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9772B1 (ko) 2013-12-31 2015-02-04 주식회사 경동원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보일러비용 자동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097B1 (ko) 2003-07-07 2005-11-08 바스코리아 주식회사 예측제어에 의한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절약형 실온제어시스템
JP2010121823A (ja) * 2008-11-18 2010-06-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KR101190437B1 (ko) 2010-08-30 2012-10-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학습기능을 통한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밸브 개도 량 자동 제어방법
KR20130120868A (ko) * 2012-04-26 2013-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운전 스케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9772B1 (ko) 2013-12-31 2015-02-04 주식회사 경동원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보일러비용 자동관리시스템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566B1 (ko) * 2016-10-31 2018-09-2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난방 제어 방법 및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80056361A (ko) * 2016-11-18 2018-05-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학습기반의 스마트홈 에너지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2227B1 (ko) * 2016-11-18 2019-04-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학습기반의 스마트홈 에너지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77678A (ko) * 2016-12-29 2018-07-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58068B1 (ko) * 2016-12-29 2019-07-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09694B1 (ko) 2017-04-07 2018-10-19 코오롱글로벌 (주) 실내 맞춤형 난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31875B1 (ko) * 2017-04-26 2018-12-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지능형 난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4936A (ko) * 2018-05-18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371741B2 (en) 2018-05-18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learned sleep modes
KR20190134937A (ko) * 2018-05-18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221458A1 (ko) * 2018-05-18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221479A1 (ko) * 2018-05-18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07366B1 (ko) * 2018-05-18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136006A (zh) * 2018-05-18 2020-12-25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及其控制方法
EP3770522A4 (en) * 2018-05-18 202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PROCESS
US11530836B2 (en) * 2018-05-18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58336B1 (ko) * 2018-05-18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75080A (ko) 2018-12-10 2020-06-26 주식회사 가람아이앤씨 지역난방설비를 활용한 IoT난방제어시스템
KR102183942B1 (ko) * 2019-12-17 2020-11-27 뉴브로드테크놀러지(주) 바닥난방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건물 난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83064B1 (ko) * 2020-01-06 2021-07-28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이용 패턴의 학습을 기반으로 온도 설정 스케쥴링이 가능한 스마트 온도 조절기
KR20210088388A (ko) 2020-01-06 2021-07-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이용 패턴의 학습을 기반으로 온도 설정 스케쥴링이 가능한 스마트 온도 조절기
KR20210088391A (ko) 2020-01-06 2021-07-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열쾌적 영역 온도-습도 차트를 활용한 온도 조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610B1 (ko) 사용자 패턴 분석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실내 온도 조절 서버
US9772115B2 (en) Intelligent thermostat control system
CN109416550B (zh) 用户控制装置和多功能家庭控制系统
US10972303B2 (en)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oukas et al. Intellig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rule sets
US20180087795A1 (en) Multi-function thermostat
JP6861373B2 (ja) 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KR102257934B1 (ko) 수요-반응 이벤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유틸리티 포털들
KR102264709B1 (ko) 리소스 보존을 위한 hvac 스케줄의 자동화된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5561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to optimiz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AU2021201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management
AU20132748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use of individual HVAC units in multi-unit chiller-based systems
KR20170073175A (ko) 스마트 보일러 컨트롤 시스템
Nacer et al. Smart Home, Smart HEMS, Smart heating: An overview of the latest products and trends
AU2011234262A1 (en) Building occupancy dependent control system
WO2012024534A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use of plug-in air conditioners and portable heaters
KR101659301B1 (ko) 난방비를 고려한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90103890A (ko)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서 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26582B1 (ko) 스마트 보일러 컨트롤 시스템
KR20220105704A (ko) 실시간 차양 장치 복합 제어를 통한 조명 및 냉난방 제어에 특화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50000602A (ko) 중앙집중관리 방식의 건물별 맞춤형 에너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160231764A1 (en) Residential-area-energy-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JP2017530638A (ja) 接続された気候システム
KR102252339B1 (ko)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Laidi et al. Commercial technologies for advanced light control in smart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 compar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