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584B1 - 벅스테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벅스테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584B1
KR101670584B1 KR1020150046332A KR20150046332A KR101670584B1 KR 101670584 B1 KR101670584 B1 KR 101670584B1 KR 1020150046332 A KR1020150046332 A KR 1020150046332A KR 20150046332 A KR20150046332 A KR 20150046332A KR 101670584 B1 KR101670584 B1 KR 10167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stay
segment
segments
adjac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060A (ko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5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20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securing water-tube sets
    • F22B37/208Backsta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4Supporting, suspending, or sett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ing
    • F22B37/244Supporting, suspending, or sett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ing for water-tube steam generators suspended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타이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이러한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조립체에 의해 벅스테이가 수평방향으로 이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수평 벅스테이의 밴딩강성이 증가되고,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벅스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벅스테이 시스템{Buckstay system}
본 발명은 벅스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 벅스테이가 노벽의 수평방향으로 이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벅스테이의 회전은 구속하되, 밴딩 강성은 증가될 수 있는 벅스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측벽을 형성하는 튜브와 다각형 구조와 사각형 섹션을 형성하는 통상의 평면 측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일러 시스템이 작동온도에 도달하면, 측벽은 수직 및 수평으로 팽창하게 된다. 또한, 노 내부의 압력 변화, 로변(fireside)과 주위의 압력차 등에 의해 노벽의 튜브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추가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압력차 등의 노벽의 튜브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보일러 노벽에는 보일러를 둘러싸는 부재 배열에 의해 외부에서 통상적으로 지지된다. 즉, 이러한 부재는 보일러 벽체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압력 변화등에 기인한 노벽의 수평방향으로의 노벽의 변형을 제한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벅스테이(buckstay)란 보일러에 가해지는 연소 가스압력, 진동 등의 외력에 저항하여 보일러를 정상위치에 지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노벽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종래, 보일러의 노벽에 노벽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평 벅스테이는 노벽에 체결하기 위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용접부와 핀 연결부를 구비함에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평 벅스테이는 적어도 일부 지점에서 벽체와 벅스테이 간에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였으나, 수평 벅스테이가 1개만 설치됨에 따라 이러한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연결부의 밴딩 강성이 취약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연결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연결부의 파손에 의해 안정성이 감소하고, 벅스테이의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0-00622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타이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이러한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조립체에 의해 벅스테이가 수평방향으로 이중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수평 벅스테이의 밴딩강성이 증가되고,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벅스테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은 노벽의 각 측벽에서 튜브의 외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튜브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타이바; 상기 노벽의 각 코너에서 인접한 측벽을 향해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타이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조립체; 및 상기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는 각각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면의 길이 보다 작고, 각각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타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타측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는 상기 타이바에 제1 결합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2 벅스테이 조립체의 각각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는 상기 제1 벅스테이 조립체의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제2 결합유닛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는 4개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형성되고, 제2 벅스테이 조립체는 상기 4개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하도록 4개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과 제1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인접한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과 제2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연결유닛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채널로 형성되고, 제2 연결유닛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채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연결유닛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장공과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연결유닛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장공과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결합유닛은 상기 타이바의 내측면과 튜브 사이에 상기 노벽의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러 플레이트; 상기 타이바의 외측면에서 타이바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탠드오프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탠드오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결합유닛의 클립부는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에 높이방향으로 2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면의 플랜지부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는 상호 접촉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2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면의 플랜지부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타이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이러한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조립체에 의해, 벅스테이가 수평방향으로 이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밴딩강성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벅스테이의 밴딩강성이 증가됨에 따라 벅스테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타이바를 제1 결합유닛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하고, 제2 벅스테이 조립체와 제1 벅스테이 조립체를 제2 결합유닛에 의해 쉽게 결합함에 따라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조공정 시간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인접한 측벽에 설치되는 제1, 2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인접한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2 벅스테이 세그멘트가 각각 제1 연결유닛과 제2 연결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노 내부의 가스압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밴딩강성이 증가된 벅스테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벅스테이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제2 벅스테이 조립체가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B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B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C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C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벅스테이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2에서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제2 벅스테이 조립체가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B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B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C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C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동일한 부재에서 "내측"이란 노벽의 튜브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노벽의 튜브에 먼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조립체(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조립체(1)는 복수개의 타이바(100),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 및 제2 벅스테이 조립체(300)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타이바(100)가 노벽(10)의 각 측벽(11)에서 튜브(20)의 외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튜브(20)를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타이바(100)는 노벽(10)의 높이방향을 노벽(10)의 각 측벽(11)에서 튜브(20)의 외측에 높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타이바(100)는 금속재질의 가로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가 노벽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각 단의 타이바(100)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는 노벽(10)의 각 코너에서 인접한 측벽(11)을 향해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는 4개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로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는 일측면(212)과 타측면(211)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를 각 코너에 설치된 상태로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가 구성된다.
제2 벅스테이 조립체(300)는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의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제2 벅스테이 조립체(300)는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벅스테이 조립체(300)도 4개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에 대응되도록 4개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 320, 330, 340)로 형성된다.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 320, 330, 340)도 일측면(312)과 타측면(311)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 320, 330, 340)를 대응되는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의 외측에 설치시킨다.
즉, 각각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 320, 330, 340)가 대응되는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의 외측에 설치되는 상태로 제2 벅스테이 조립체(300)를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는 각각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면(212)의 길이가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면(312)의 길이 보다 작고,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의 타측면(211)의 길이가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타측면(311)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 230, 240)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20, 330,340)들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40)와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 320, 330, 340)는 I-빔(I-beam) 또는 H-빔(H-bea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제2 벅스테이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노벽의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수직 벅스테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타이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이러한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조립체에 의해, 벅스테이를 분할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이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밴딩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1)에서 인접한 노벽(10)의 측벽(11)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인접한 노벽(10)의 측벽(11)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과 제1 연결유닛(600)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노벽(10)의 측벽(11)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와 인접한 노벽(10)의 측벽(11)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는 제1 연결유닛(60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인접한 노벽(10)의 측벽(11)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와 인접한 노벽(10)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30)는 제1 연결유닛(600)에 의해 연결된다. 나머지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1 연결유닛(600)에 의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유닛(600)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채널(610)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유닛(600)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에 형성되는 장공(620)과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에 형성되는 결합공(621)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시스템(1)에서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인접한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과 제2 연결유닛(700)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와 인접한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20)는 제2 연결유닛(70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20)와 인접한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3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30)도 제2 연결유닛(700)에 의해 연결된다. 나머지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연결유닛(700)에 의해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유닛(700)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채널(610)로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유닛(700)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20)에 형성되는 장공(620)과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에 형성되는 결합공(621)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인접한 측벽에 설치되는 제1, 2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인접한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2 벅스테이 세그멘트가 각각 제1 연결유닛과 제2 연결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노 내부의 가스압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밴딩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는 각각의 타이바(100)에 제1 결합유닛(400)에 의해 결합된다.
도 8에 되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벅스테이 조립체(1)의 제1 결합유닛(400)은 복수개의 필러 플레이트(410), 스탠드오프 플레이트(420), 및 클립부(43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필러 플레이트(410)가 타이바의 내측면(110)과 튜브(20) 사이에 노벽의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러 플레이트(410)는 반원형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봉형태로 형성되고, 타이바의 내측면(110)과 튜브(20)의 사이에 노벽의 수평방향으로 용접에 의해 설치된다.
스탠드오프 플레이트(420)가 타이바의 외측면(120)에서 타이바(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탠드오프 플레이트는 판형상의 금속재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클립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클립부(430)의 일단이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213)에 연결되고, 클립부(430)의 타단이 스탠드오프 플레이트(420)에 결합된다.
클립부(430)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213)에 높이방향으로 2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수평 방향 길이가 긴 경우에는 3개 이상의 클립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213)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벅스테이 조립체(300)의 각각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310, 320, 330, 340)는 대응되는 제1 벅스테이 조립체(200)의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210, 220, 230, 230)에 제2 결합유닛(500)에 의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면의 플랜지부(214)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313)는 상호 접촉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 결합유닛(500)은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면의 플랜지부(214)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313)를 결합시키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 벅스테이 조립체와 타이바를 제1 결합유닛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하고, 제2 벅스테이 조립체와 제1 벅스테이 조립체를 제2 결합유닛에 의해 쉽게 결합함에 따라 벅스테이 시스템의 제조공정 시간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벅스테이 시스템, 10 : 노벽,
11 : 측벽, 20 : 튜브,
100 : 타이바, 200 : 제1 벅스테이 조립체,
300 : 제2 벅스테이 조립체, 400 : 제1 결합유닛,
500 : 제2 결합유닛, 600 : 제1 연결유닛,
700 : 제2 연결유닛.

Claims (12)

  1. 노벽의 각 측벽에서 튜브의 외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튜브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타이바;
    상기 노벽의 각 코너에서 인접한 측벽을 향해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타이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조립체; 및
    상기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는 각각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면의 길이 보다 작고,
    각각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타측면의 길이가 상기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타측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벅스테이 조립체는 상기 타이바에 제1 결합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벅스테이 조립체의 각각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는 상기 제1 벅스테이 조립체의 각각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제2 결합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벅스테이 조립체는 4개의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벅스테이 조립체는 4개의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대응하도록 4개의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들과 제1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인접한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들과 제2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닛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채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채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닛은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장공과 인접한 노벽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른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장공과 인접한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른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타이바의 내측면과 튜브 사이에 상기 노벽의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러 플레이트;
    상기 타이바의 외측면에서 타이바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탠드오프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탠드오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에 높이방향으로 2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면의 플랜지부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는 상호 접촉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외측면의 플랜지부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벅스테이 세그멘트의 내측면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벅스테이 시스템.
KR1020150046332A 2015-04-01 2015-04-01 벅스테이 시스템 KR10167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32A KR101670584B1 (ko) 2015-04-01 2015-04-01 벅스테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32A KR101670584B1 (ko) 2015-04-01 2015-04-01 벅스테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60A KR20160118060A (ko) 2016-10-11
KR101670584B1 true KR101670584B1 (ko) 2016-10-28

Family

ID=5716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332A KR101670584B1 (ko) 2015-04-01 2015-04-01 벅스테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5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22B2 (ja) * 1976-03-02 1984-05-16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炉壁タイとバツクステ−の連結装置
US5762032A (en) 1996-12-23 1998-06-09 Combustion Engineering, Inc. Field adjustable boltless stirr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60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72888A (ja) 建築物の架構構造
KR101670584B1 (ko) 벅스테이 시스템
KR101925578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US8939112B2 (en) Buckstay connecting system
WO2012117615A1 (ja) ユニット建物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6396976B2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装置の製造方法
KR20110132314A (ko) 벅스테이 시스템
JP6798833B2 (ja) 建物の支持構造および建物の不同沈下の修正方法
JP2015187382A (ja) ユニット建物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WO2021045221A1 (ja) ボイラ火炉内の作業足場設置構造
JP2010042895A (ja) ラック
KR20130000676U (ko) 해양구조물용 가스터빈의 배기 덕트 지지구조
KR200385723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100650510B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JP6278644B2 (ja) 接合構造
JP6433570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12193887A (ja) ボイラ火炉の支持装置
KR20230097343A (ko) 복합패널의 건물 벽면 설치구조
KR20160080750A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JP2016125190A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縦積み工法及びその構造
JP6393117B2 (ja) 外壁構造
JP2021046713A (ja) ユニット建物
KR20120091555A (ko) 가스절연 송전선로의 고정점 지지대
JP2019108728A (ja)
CN105240866A (zh) 一种膜式刚性梁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