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937B1 -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937B1
KR101669937B1 KR1020140127586A KR20140127586A KR101669937B1 KR 101669937 B1 KR101669937 B1 KR 101669937B1 KR 1020140127586 A KR1020140127586 A KR 1020140127586A KR 20140127586 A KR20140127586 A KR 20140127586A KR 101669937 B1 KR101669937 B1 KR 10166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building
evaluation
heat conduction
heat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807A (ko
Inventor
이정철
김동구
신지욱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9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번의 입력을 통해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준 주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전에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항목들이 최소화되어 입력 시간이 줄어들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에너지목표절감율에 따른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계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설계 가이드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설계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설계변수의 변경 또는 추가 입력이 가능하므로, 에너지목표절감율에 따른 초기 설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Method of certification assessment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홈 인증이나 에너지 효율등급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평가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동주택 등 건물의 에너지 절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그린홈과 같은 친환경주택성능평가와 에너지효율등급 등의 다양한 인증 기준들이 생겨나고 있다. 건물의 설계자나 관리자 등은 상기 건물의 설계 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인증 기준들을 획득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만족 여부를 사전에 평가, 추정해보고, 상기 인증 기준들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해보기 위해서는 각 인증 기준마다 평가 프로세스를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평가 기준이 되는 표준 주택에 대한 정보들을 각 인증 기준마다 다르게 설정된 평가 프로세스마다 매번 새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합리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658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평가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은, 모집단을 분석하여 표준주택을 선정하고, 상기 표준주택의 평형별 건축부재에 대한 정보들을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인증기준들에 대한 평가프로그램을 통해 반복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상기 인증기준별 상기 건축부재의 열관류율을 변수로 하는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주택 정보와 사용자가 원하는 에너지 목표 절감율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평가주택 정보와 상기 에너지 목표 절감율에 따라 상기 인증기준별 상기 평가주택에 사용되는 건축부재의 열관류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열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난방부하 추세식으로부터 상기 평가주택의 상기 인증기준별 난방부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계산된 상기 평가주택의 난방부하와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주택의 난방부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절감율을 계산하고, 상기 에너지 절감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번의 입력을 통해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준 주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전에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항목들이 최소화되어 입력 시간이 줄어들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에너지목표절감율에 따른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계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설계 가이드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설계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설계변수의 변경 또는 추가 입력이 가능하므로, 에너지목표절감율에 따른 초기 설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너지 절감율 비교를 위한 표준 주택(base model)을 설정하고, 상기 표준 주택에 대한 정보를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S1)
상기 표준 주택을 설정하는 방법은, 국내 아파트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모집단을 분석하여 선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국내 아파트들 중에서 출현 빈도수가 높은 평형대를 설정하고, 각 평형대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들의 면적 구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국내 아파트 타입은 유사 평형대에 사용되는 유사 건축부재의 면적에 유사성이 있으므로, 이를 통계 처리하여 평형별 건축부재들의 각 면적을 평균화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전용면적이 59, 84, 101, 130 m2의 아파트들을 표준 주택으로 선정하고, 외벽, 정면벽, 후면벽, 측벽, 창호, 문, 코아벽, 현관문, 욕실 현관, 확장부, 거실 등 단열 성능에 영향을 주는 건축부재들의 면적을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표1>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1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인증기준들에 대한 평가프로그램을 통해 반복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상기 인증기준별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한다.(S2)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인증기준들은, 친환경 주택성능 기준이라고 하는 그린홈(Green Home), 건물 에너지효율 등급 및 에너지성능지표(EP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그린홈 인증 기준과 상기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은, 표준 주택 대비 에너지 절감율을 평가하는 것으로, 상기 그린홈 인증 기준은 표준 주택 대비 에너지 절감율에 따라 점수로 평가되고, 상기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은 표준 주택 대비 에너지 절감율에 따라 등급으로 평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 기준의 평가를 위한 표준 주택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때문에, 인증 기준의 평가시마다 상기 표준 주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먼저, 상기 복수의 인증기준들 중에서 상기 그린 홈 평가를 위한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그린홈 평가프로그램에 필요한 입력 변수들과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해 가능한 모든 수의 에너지 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 케이스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케이스들로부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을 도출한다. (S10)(S11)(S12) 상기 그린홈 평가프로그램에 필요한 입력 변수들은, 지역, 바닥면적, 세대 위치, 층고, 부위별 열관류율 및 난방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지역은, 중부, 남부 및 제주 지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바닥면적은 평형대를 의미하며, 상기 세대 위치는 최측, 중측, 하측, 최중, 중중 및 하중을 포함하는 6개의 타입으로 구분된다. 상기 부위별 열관류율은, 각 지역별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 케이스들로부터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도출된다.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은 상기 표준주택의 전용면적과 상기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변수로 하는 선형화된 수학식이다.
표 2는, 그린홈 중부지역 단위세대 난방부하 추세식(Zc), 그린홈 남부지역 단위세대 난방부하 추세식(Zs), 그린홈 제주지역 단위세대 난방부하 추세식(Zj)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2
여기서, A,B,C는 상수이고, X1 : 전용면적 (㎡), X2 : 거실의 외벽 중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3 : 거실의 외벽 중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4 : 창 중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5 : 창 중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6 : 문의 열관류율이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은, 지역 및 단위 세대의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된다.(S13) 상기 단위 세대의 유형은 측세대, 최상층 및 최하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단위 세대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각 지역별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다. 표 3은 중부지역 측세대, 최상층 세대, 최하층 세대 보정계수이다. 표 4는 남부지역 측세대, 최상층 세대, 최하층 세대 보정계수이다. 표 5는 제주지역의 측세대, 최상층 세대, 최하층 세대 보정계수이다.
<표 3>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3
<표 4>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4
<표 5>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5
여기서, D,E,F는 상수이고, X1 : 면적(㎡), X2 : 측벽의 열관류율, X3 : 지붕의 열관류율, X4 : 바닥의 열관류율이다.
상기와 같이, 지역별 측세대, 최상층 세대 및 최하층 세대의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Z')은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Z)에 상기 보정계수(Y1~Y3)를 곱하여 보정된다.
한편, 상기 건물 에너지 효율 등급 평가를 위한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에너지효율등급 평가프로그램에 필요한 입력변수들과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해 가능한 모든 수의 에너지 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 케이스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케이스들로부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한다.(S20)(S21)(S22)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평가프로그램에 필요한 입력 변수들은, 지역, 바닥면적, 세대향, 층고, 천장고, 부위별 열관류율 및 난방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지역은, 중부, 남부 및 제주 지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바닥면적은 평형대, 즉 전용면적을 의미하며, 상기 세대향은 북, 북동, 동, 동남, 남, 남서, 서, 서북 등 8개의 타입으로 구분된다. 상기 부위별 열관류율은, 각 지역별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평가프로그램은 공동주택 에너지 효율 등급 평가를 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 공단의 주택성능 평가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은, 지역별 세대향에 따라 다르게 도출된다.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은 상기 표준주택의 전용면적과 상기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변수로 하여 선형화된 식이다.
표 6은 중부지역의 세대향별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이다. 표 7은 남부지역의 세대향별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이다. 표 8은 제주지역의 세대향별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이다.
<표 6>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6
<표 7>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7
<표 8>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8
여기서, G~N은 상수이고, X1 : 전용면적 (㎡), X2 : 거실의 외벽 중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3 : 거실의 외벽 중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4 : 창 중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5 : 창 중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X6 : 문의 열관류율이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은, 지역 및 단위 세대의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된다.(S23) 상기 단위 세대의 유형은 측세대, 최상층 및 최하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단위 세대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각 지역별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다.
표 9는 중부지역 측세대, 최상층 세대, 최하층 세대 보정계수이다. 표 10은 남부지역 측세대, 최상층 세대, 최하층 세대 보정계수이다. 표 11은 제주지역의 측세대, 최상층 세대, 최하층 세대 보정계수이다.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의 보정계수는,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의 보정계수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표 9>
Figure 112014090778033-pat00009
<표 10>
Figure 112014090778033-pat00010
<표 11>
Figure 112014090778033-pat00011
상기와 같이, 지역별 측세대, 최상층 세대 및 최하층 세대의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은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에 상기 보정계수(Y1~Y3)를 곱하여 보정된다.
한편, 상기 그린홈과 상기 건물에너지효율등급에서는 주로 건물의 부위별 단열성능을 위주로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건설사에서 적용하는 다양한 에너지 절약 아이템에 대한 에너지 절약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각 아이템의 변경 또는 조합에 따른 다양한 에너지 추세식을 도출한다. 상기 에너지 추세식은, 지역별 난방, 냉방, 전력 부하 및 에너지 소비를 평가할 수 있는 추세식들이다. 상기 아이템은, 상기 그린홈과 상기 건물에너지효율등급에서 평가하지 않는 아이템들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난방기기 적용사항, 냉방기기 적용사항,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적용사항, 조명 제어, 난방, 환기, 대기전력 차단장치, 태양광, 태양열 및 지열 등의 아이템들을 선택 입력하여 에너지 성능들을 시뮬레이션하여, 시뮬레이션 데이터로부터 지역별 난방, 냉방, 전력 부하 및 에너지 소비를 평가할 수 있는 추세식을 도출한다. (S31)(S32)
표 12는 중부지역 에너지 추세식을 나타내고, 표 13은 남부지역의 에너지 추세식을 나타내며, 표 14는 제주지역 에너지 추세식을 나타낸다.
<표 12>
Figure 112014090778033-pat00012
<표 13>
Figure 112014090778033-pat00013
<표 14>
Figure 112014090778033-pat00014
여기서, P,Q,R,S,T,U는 상수이고, X1 : 바닥면적 (㎡), X2 : 세대향, X3 : 직접외벽 열관류율, X4 : 간접외벽 열관류율, X5 : 측벽 열관류율, X6 : 지붕 열관류율, X7 : 바닥 열관류율, X8 : 단열형태 (내단열1, 외단열2), X9 : 현관문 열관류율, X10 : 창면적비, X11 : 창호 열관류율, X12 : 창호 차폐계수, X13: 창호 기밀성능, X14: 방풍실 설치 유무이다.
상기와 같이 각 인증기준별 난방부하 추세식과 에너지 추세식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건물에 대한 인증기준 적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증기준들로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주택 정보와 사용자가 원하는 에너지 목표 절감율을 입력한다.(S3)(S4)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평가주택 정보는, 프로젝트명, 지역, 난방방식, 동구성, 층당세대수, 층수, 세대타입, 면적, 세대수, 세대향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트명은 사업명이나 평가주택의 명칭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역은, 중부, 남부, 제주지역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난방방식은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을 포함하고, 상기 동구성은, 탑상형과 판상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비교적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평가주택 정보와 상기 에너지 목표 절감율을 입력하면, 상기 평가주택에 사용되는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들을 계산하여 표시한다. (S7)
상기 평가주택에 적용되는 건축부재들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평가주택 정보에 따라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아내어 표시한다. 즉,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평가주택과 유사한 평형대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들이 선택되어 표시된다.
상기 평가주택에 적용되는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에너지 목표 절감율에 따라 계산되어 표시된다. 상기 열관류율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단열 가이드 라인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열관류율을 확인하여 단열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들이 계산되면, 그에 따라 각 건축부재들의 재료와 두께도 계산되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 재료 및 두께를 확인한 후, 상기 건축부재들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S6)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부위별 단열재, 창호, 문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각 건축부재의 재료 및 두께를 선택 또는 직접 입력 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에너지 목표 절감율을 입력하게 되면, 조건에 맞는 각 건축부재의 단열 성능인 열관류율을 계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식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계 목표를 세우거나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건축부재들의 정보를 변경하면, 변경된 건축부재들에 대한 열관류율이 다시 계산되어 표시된다.(S7)
상기와 같이 열관류율들이 계산되면, 상기 열관류율들을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 추세식과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 추세식에 대입하여, 상기 그린홈 난방부하와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난방부하를 각각 계산하여 함께 표시한다. (S9)
상기에서 계산된 상기 평가주택의 그린홈 난방부하와 상기 표준주택의 난방부하를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율을 계산한다. 상기 에너지 절감율에 따라 상기 그린홈 인증 기준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절감율에 따라 상기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기준에 대한 등급을 평가하여 표시한다.(S10)
따라서, 사용자가 비교적 간단한 평가주택의 정보를 한번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인증기준들에 만족 여부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보다 향상도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그린홈과 상기 건물에너지효율등급에서 평가하지 않는 아이템들을 추가하여 에너지 분석을 할 수 있다. (S8)
상기 아이템들은 난방기기 적용사항, 냉방기기 적용사항,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적용사항, 조명 제어, 난방, 환기, 대기전력 차단장치, 태양광, 태양열 및 지열 등을 포함하고 리스트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상에서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들은 단가 우선순위로 정렬하거나 가치 우선순위로 정렬하거나 비용대비 고효율 순위로 정렬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S11)(S12)
상기 아이템들이 선택되면, 상기 아이템들에 관련된 열관류율들이 계산되고, 상기 에너지 추세식들로부터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여 표시한다. (S13)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국내 아파트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상기 모집단을 분석하여 출현 빈도수가 높은 평형대를 설정하고, 각 평형대에서 사용되고 단열 성능에 영향을 주는 건축부재들의 종류, 상기 건축부재들의 면적 구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에너지 성능에 대한 반복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상기 반복 시뮬레이션으로 얻어진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건축부재의 열관류율을 변수로 선형화된 복수의 인증기준별 난방부하 추세식을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주택 정보와 사용자가 원하는 에너지 목표 절감율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평가주택 정보에 따라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평가주택에 적용되는 건축부재들을 찾아내어 표시하고, 상기 입력된 에너지 목표 절감율에 따라 상기 평가주택에 적용되는 건축부재의 열관류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열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기준별 난방부하 추세식들로부터 상기 평가주택의 상기 인증기준별 난방부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계산된 상기 평가주택의 난방부하와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주택의 난방부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절감율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인증 기준들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주택에 적용되는 건축부재의 열관류율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상기 평가주택에 적용되는 건축부재들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부재들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건축부재들의 열관류율을 다시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증 기준들은, 그린홈(Green Home), 건물 에너지 효율 등급 및 에너지성능지표(EPI)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주택 정보는, 지역, 난방방식, 동구성, 총 세대수, 층수, 층당 세대수, 세대 유형, 면적 및 세대향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부하 추세식은, 지역 및 단위 세대의 유형에 따라 상기 인증기준별 미리 설정된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되고, 상기 세대의 유형은, 측세대, 최상층 및 최하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세대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주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주택의 에너지 성능과 관련된 아이템들의 적용시 에너지 성능에 대한 반복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상기 반복 시뮬레이션으로 얻어진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적용에 따른 에너지 추세식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에너지 추세식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적용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27586A 2014-09-24 2014-09-24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KR10166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586A KR101669937B1 (ko) 2014-09-24 2014-09-24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586A KR101669937B1 (ko) 2014-09-24 2014-09-24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07A KR20160035807A (ko) 2016-04-01
KR101669937B1 true KR101669937B1 (ko) 2016-10-27

Family

ID=5579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586A KR101669937B1 (ko) 2014-09-24 2014-09-24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66B1 (ko) * 2016-04-22 2016-12-08 에코리드(주) Leed 크레딧 산출 방법 및 leed 크레딧 산출 서버
KR102165639B1 (ko) * 2018-11-21 2020-10-14 현대건설(주) 도시의 에너지 공급 계획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4953A (ja) * 2012-10-02 2014-04-24 Ohbayashi Corp 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システム、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方法及び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58A (ko) * 2000-09-22 2002-03-29 정지태 표준주택모델을 이용한 맞춤형 건축시스템
WO2005118783A1 (en) 2004-05-28 2005-12-15 Human Matrix Sciences, Llc Prognostic tests for development of dermal stretch marks and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ve treatment thereof
KR20120087295A (ko) * 2010-12-30 2012-08-07 우세진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진단 및 개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4953A (ja) * 2012-10-02 2014-04-24 Ohbayashi Corp 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システム、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方法及び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창호 외 1인, "공동주택 에너지 성능 인증 평가 관련 통합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9권 제3호, 2012년 6월, pp. 412~4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07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adi et al. On the development of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energy consumption in the early stages of building design
Karaguzel et al. Coupling of whole-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multi-dimensional numerical optimization for minimizing the life cycle costs of office buildings
de Wilde et al. Management of thermal performance risks in buildings subject to climate change
Gendebien et al. Methodology to characterize a residential building stock using a bottom-up approach: a case study applied to Belgium
KR101761508B1 (ko)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Zirnhelt et al. The potential energy savings from residential passive solar design in Canada
Lee et al. 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optimization: a case study of industrial halls with varying process loads and occupancy patterns
Carlos et al. A simple methodology to predict heating load at an early design stage of dwellings
Talami et al. Early-design sensitivity of radiant cooled office buildings in the tropics for building performance
Yi et al. Microclimate change outdoor and indoor coupled simulation for passive building adaptation design
Duarte et al. Development of whole‐building energy models for detailed energy insights of a large office building with green certification rating in singapore
Korjenic et al. Impact of lifestyle on the energy demand of a single family house
Melo et al. Is thermal insulation always beneficial in hot climate
KR101669937B1 (ko) 건물에 대한 인증 평가 방법
Almarzouq et al. Effects of glazing design and infiltration rate on energy consumption and thermal comfort in residential buildings
JP6040691B2 (ja) 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システム、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方法及び省エネルギー性能評価プログラム
Munk et al. Effect of occupant behavior on peak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loads in typical and high-efficiency homes
Aksamija Impact of retrofitting energy-efficient design strategies on energy use of existing commercial buildings: Comparative study of low-impact and deep retrofit strategies
Lapinskienė et al. Impact of Internal Heat Gains on Building's Energy Performance
Kim et al. Using dynamic simulation for demonstrating the impact of energy consumption by retrofit and behavioural change
Sözer et al. Calculation of the Sensitivity Factors within the Defined Indexes in aBuilding Level
Gabbar et al. Building thermal energy modeling with loss minimization
Karaguzel et al. Integrated simulation based design optimization of office building envelopes for the minimization of life cycle costs
Simpson et al. The importance of the order of installation of retrofit measures in optimising long term energy and CO2 reductions
Blaszak et al. Prioritizing method for retrofitting Toronto’s single-family housing stock to reduce heating and cooling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