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900B1 - Integral Connector and Coupling kit - Google Patents
Integral Connector and Coupling k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9900B1 KR101669900B1 KR1020150009638A KR20150009638A KR101669900B1 KR 101669900 B1 KR101669900 B1 KR 101669900B1 KR 1020150009638 A KR1020150009638 A KR 1020150009638A KR 20150009638 A KR20150009638 A KR 20150009638A KR 101669900 B1 KR101669900 B1 KR 101669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transceiver
- release
- hook
- inn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시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 래치 해제부를 수용하며, 트랜시버가 수용된 케이스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 및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후크의 결합을 해제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내측 하우징과 래치 해제부는 연동하여 이동하며, 외측 하우징이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후크 및 래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과 SFP를 직접 연결할 수 있어 제조비의 절감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ceiv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selectively coupled to a transceiver; a latch release portion releasing engagement of the latch; An inner housing for receiving the latch release portion and including a hook coupled to the case in which the transceiver is housed, and an outer housing for receiving the inner housing therein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s, wherein the inner housing and the latch release portion cooperate And the hook and the latch are disengaged when the outer housing is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an optical fiber-based transmission system and an SFP,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결합 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a coupling kit.
RRH(Remote Radio Head)는, LTE(Long Term Evolution) 보급 확대와 함께 기지국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용량을 늘리면서도 기지국 투자비는 줄일 수 있어 기지국 표준 장비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The RRH (Remote Radio Head) is rapidly becoming a base station standard equipment because it can reduce the investment cost of the base station while increasing the data capacity to be processed by the base station along with the spread of LTE (Long Term Evolution).
또한, 상기 RRH의 내부에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가 구비되는데, 상기 SFP는 네트워크 장치들을 파이버 채널이나,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은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직렬 전기 신호들을 직렬 광학신호들로 변환하며, 그 반대로도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The SFP is an interface used for attaching network devices to a fiber-based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fiber channel or a Gigabit Ethernet. The SFP is a serial-to- Converts signals to serial optical signals, and vice versa.
한편, 종래에는, 상기 SFP를 RRH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하고 외부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RRH의 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SFP와 포트를 인도어 패치 코드(Indoor Patch Cord)로 연결하여, SFP와 외부기기를 연결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SFP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ovided in the RRH,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 port of an RRH through a cable, and the SFP and a port are connected to an Indoor Patch Cord Connect the SFP to an external device.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SFP와 포트를 연결하는 인도어 패치 코드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문제된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dian patch cord connecting the SFP and the port serves as a factor for raising the pric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례는 SFP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FP.
나아가, 상기 SFP에 대한 2중 체결 구조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한 번에 해제가능한 일체형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l type connector which can be released at one time only by pulling the double fasten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FP.
또한, 외부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방수형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 type connector applicable to an external environment.
한편,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결합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desirable to provide a coupling kit having the connector.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트랜시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 상기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 상기 래치 해제부를 수용하며, 트랜시버가 수용된 케이스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후크의 결합을 해제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래치 해제부는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외측 하우징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selectively coupled to a transceiver; A latch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atch; An inner housing receiving the latch release portion and including a hook coupled to a case housing the transceiver; And an outer housing for receiving the inner housing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 wherein the inner housing and the latch release portion are mov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outer housing is pressed in the releasing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The engagement of the hook and the latch may be released.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케이블의 일단에 위치하며, 트랜시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 및 상기 래치와 결합되는 래치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래치를 상기 트랜시버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a cable,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ransceiver; And a latch release portion coupled with the latch, the latch release portion releasing the latch from engagement with the transceiver when the latch release portion is urged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상기 래치는, 상기 트랜시버의 포트에 연결되는 커넥팅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랜시버의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가 상기 연장부를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The latch comprising: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 connecting port connected to a port of the transceiver; And a fasten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and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transceiver. When the latch releasing portion presses the extending portion in the releasing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moved from the fastening groove The fastening can be released.
내측에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트랜시버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hook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ase accommodating the transceiver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housing.
상기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후크 해제부를 포함하는 외측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를 상기 결합홈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n outer housing housing the inner housing and including a hook releasing portion located on an inner side thereof, wherein when the hook releasing portion is pressed in the releasing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the hook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As shown in Fig.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내측 하우징과 연동하며, 상기 외측 하우징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 해제부는 상기 후크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내측 하우징을 이동시키고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커넥팅부의 커넥팅 포트와 상기 트랜시버의 포트 간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The latch releasing portion interlocks with the inner housing, and when the outer housing is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the hook releasing portion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hook to move the inner hou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port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port of the transceiver can be released.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부면에 돌기를 구비하는 하측 베이스;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하는 해제구, 및 상기 커넥팅부가 통과하는 포트 삽입구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및 상기 하측 베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측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tch release portion includes: a lower base having a projection on an upper surface; A main body including a release port having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jection, and a port insertion por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passes; And an upper base coupled with the lower base to maintain th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grooves.
상기 래치는 트랜시버의 포트에 연결되는 커넥팅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해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해제구의 끝단은 상방으로 절곡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절곡면과 상기 해제구의 절곡면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Wherein the latch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 connecting port connected to a port of the transceiver and the latch release portion includes a release port that is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xtension is inserted therein and wherein an end of the extension and an end of the release port are upwardly And the bent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bent surface of the releasing mouth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래치 해제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넥팅부를 상기 래치 해제부에 대해서 유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latch release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is capable of movably supporting the conn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atch release portion.
상기 트랜시버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일 수 있다.The transceiver may be a 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SFP).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cable.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 키트는, 중공을 포함하며, 외주면 상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래치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와, 내측에 상기 커넥팅부가 구비된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어댑터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래치를 상기 트랜시버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upling kit including: an adapter including a hollow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connector coupled to the transceiver through the adapter and the hollow of the adapter, the connecto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coupled with the transceiver through the hollow of the adapter; And an inner housing including a latch having a latching portion inside and a cable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latch and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of the adapter, The latch can be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transceiver when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본 발명을 통해,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과 SFP를 직접 연결할 수 있어 제조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an optical fiber-based transmission system and an SFP,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SFP에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하는 것이 용이하여 유지 보수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Further,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asten or unfasten the SFP, thereby contributing to reduction in maintenanc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팅부와 래치 해제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상태에서 해제상태까지의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transceiv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transceive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and a latch releasing por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housing and an outer housing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states from a coupled state to an unlocked state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팅부와 래치 해제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transceiver,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and a latch releasing por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housing and an outer housing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케넥팅부(100), 래치 해제부(200), 내측 하우징(300), 외측 하우징(400), 베이스(500), 체결 너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커넥팅부(100)는, 케이블(10)의 일단에 위치하며 트랜시버(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10)은, 일례로서 광케이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블(10)을 통해 연결되는 양 기기 간의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부재로도 구비될 수 있다. 트랜시버(20)는, 일례로서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10)에 의해 연결되어 양방향 또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기기로도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커넥팅부(100)는, 케이블(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10)의 타단은 파이버 채널이나,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은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10)은, 트랜시버(20)와 상기 전송 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케넥팅부(100)는, 트랜시버(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2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래치(120)의 결합이 해제될 필요가 있으므로 커넥팅부(10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커넥팅부(10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포트(110) 및 래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커넥팅 포트(110)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20)의 포트(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케이블(10)을 통해 연결된 전송 시스템 등과 트랜시버(20) 사이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커넥팅 포트(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래치(120)는, 트랜시버(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래치(12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1) 및 체결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연장부(121)는, 커넥팅 포트(110)로부터 연장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연장부(121)는, 커넥팅 포트(110)의 상면으로부터 후측 상방(도 5 참조)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1)의 후측 끝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파지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파지부(123)는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되며 파지부(123)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파지부(123)는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The
체결 돌기(122)는, 연장부(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홈(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홈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돌기(122)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1)의 측방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의 포트(24)에 접촉되면 체결 돌기(122)가 트랜시버(2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 포트(110)와 트랜시버(20)의 포트(24) 사이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12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체결 돌기(122)를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해제하여야만 커넥팅 포트(110)와 트랜시버(20)의 포트(24)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래치(120)의 파지부(123)에는 래치 해제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The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를 트랜시버(20)로부터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파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래치 해제부(200)가 트랜시버(20)로부터의 해제방향(후측(도 3 참조))으로 가압되는 경우,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를 트랜시버(20)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래치 해제부(200)가 후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래치 해제부(200)는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후측으로 당기고 상기 파지부(123)는 후측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체결 돌기(12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래치(120)와 트랜시버(2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래치 해제부(200)가 래치(120)의 연장부(121)를 트랜시버(20)로부터의 해제방향(후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래치(120)의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The
래치 해제부(200)는, 상부면에 돌기(232)를 구비하는 하측 베이스(230), 돌기(232)를 수용하는 홈(212)을 구비하는 해제구(211)와 커넥팅부(100)과 통과하는 포트 삽입구(215)를 포함하는 메인바디(210), 및 하측 베이스(230)와 결합하여 돌기(232)가 홈(2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측 베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래치 해제부(20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10), 상측 베이스(220), 하측 베이스(230), 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메인 바디(210)는, 일례로서 래치(120)와 결합되는 해제구(211)와, 커넥팅 포트(110)가 삽입되는 포트 삽입구(2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해제구(211)는, 하측 베이스(230)의 상부면에 돌출 구비되는 돌기(232)를 수용하는 홈(212)과,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파지하는 파지부 결속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파지부 결속부(213)에는 결속홈(214)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홈(214)에 래치(120)의 파지부(123)가 삽입된 상태로 파지부 결속부(213)와 파지부(12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 결속부(213)의 끝단과 파지부(123)의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파지부 결속부(213)와 파지부(123)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의 끝단과 해제구(211)의 끝단은 상방으로 절곡 구비되며, 연장부(121)의 절곡면과 해제구(211)의 절곡면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한편, 파지부 결속부(213)는, 포트 삽입구(215)의 상부면에 안착할 수 있다.The
포트 삽입구(215)의 상부면 상에는 파지부 결속부(21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돌기(216)와 이동 제한부(217)가 구비될 수 있다. A
이동 제한 돌기(2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갈래로 나누어져 연장되는 파지부 결속부(213)의 사이에 구비되어 파지부 결속부(213)가 측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제한부(2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갈래로 나누어져 연장되는 파지부 결속부(216)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측방은 물론 상하방향으로의 유동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해제구(211)의 홈(212)이 하측 베이스(230)의 돌기(232)를 수용하여 후측 내지 전방측으로의 움직임도 제한될 수 있다. 즉, 해제구(211)는, 하측 베이스(230)의 돌기(232)에 홈(212)이 결속되고, 이동 제한 돌기(216)가 두 갈래로 나뉘어진 파지부 결속부(21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 결속부(213)가 이동 제한부(217)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제구(211)는, 하측 베이스(230)에 대한 상대적인 유동이 모든 방향에서 제한될 수 있다. 5, the
상측 베이스(220)는, 사이에 메인 바디(210)를 수용한 상태로 하측 베이스(23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측 베이스(220)의 체결 편(221)에 하측 베이스(230)의 체결 후크(231)가 체결되어 상측 베이스(220)와 하측 베이스(2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베이스(220)가 하측 베이스(230)에 결합됨으로써 메인 바디(210)의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해제구(211)의 홈(212)이 하측 베이스(230)의 돌기(232)를 수용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하측 베이스(230)는, 메인 바디(2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베이스(230)는, 상측 베이스(220)와 결합되어 메인 바디(210)를 구속할 수 있다.The
탄성부재(240)는, 일례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10)와 하측 베이스(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바디(210)는, 하측 베이스(230)에 대해 측방으로 소정 간격의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40)가, 커넥팅부(100)를 래치 해제부(200)에 대해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커넥팅부(100)는, 소정 간격 범위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므로 트랜시버(20)의 위치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x, y, z축 방향으로 공차를 허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내측 하우징(300)은 내측에 케이블(10)을 수용하며 외측면(301)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트랜시버(20)를 수용하는 케이스(21)의 어댑터(22)의 결합홈(23)에 결합되는 후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는 어댑터(22)의 결합홈(2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300)은, 후술할 외측 하우징(400)의 중공(403)의 형상에 대응하는 지지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20)를 통해 외측 하우징(400)의 내측면(401)이 내측 하우징(3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내측 하우징(300)과 외측 하우징(400) 사이에 물이나 이물 등이 유동하는 것을 막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내측 하우징(300)은, 체결 너트(600)가 결합되는 너트 결합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하우징(300)의 후측은 후술할 베이스(500)의 중공(501)에 수용되고, 내측 하우징(300)의 전방측은 외측 하우징(400)의 중공(403)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너트(600)가 너트 결합부(330)에 결합되어 베이스(500)가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The
외측 하우징(400)은, 내측 하우징(300)을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면(401)에 위치하는 후크 해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해제부(410)는, 트랜시버(20)로부터의 해제방향(후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후크(310)를 결합홈(23)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후크 해제부(41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310)의 경사면을 가압하여 후크(310)가 결합홈(23)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후크 해제부(410)는, 외측 하우징(400)의 내측면(401)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400)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중공(403)에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다.The
베이스(500)는, 내측에 케이블(10)을 수용하고 중공(501)을 통해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내측 하우징(300)을 보호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500 can accommodate the
체결 너트(600)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너트 결합부(330)에 결합되어 베이스(500)가 내측 하우징(300)을 수용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체결 너트(600)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체결 너트(600)는, 케이블(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610)는, 케이블(10)의 외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블(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실링 부재(700)는, 내측 하우징(300)과 케이블(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부재(700)는, 일례로서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측 하우징(300)과 케이블(10) 사이에 구비되어 밀폐를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부재(700)에 의해 방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The sealing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부재(710), 제2 실링부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7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300)과 외측 하우징(400)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 하우징(300)과 외측 하우징(400) 사이의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7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2)와 케이스(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실링부재(720)는, 어댑터(22)와 케이스(21) 사이의 방수,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상태에서 해제상태까지의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7 to 9 are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states from a coupled state to an unlocked state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20)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의 포트(24)를 향하는 상태에서 결합방향(전방(도 7 참조))으로 가압되면 트랜시버(20)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의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를 단순히 트랜시버(20)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커넥터를 트랜시버(20)에 결합시킬 수 있다.First, Fig. 7 shows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이때, 커넥터의 각 구성에서 발생되는 변화를 추가로 설명하면, 커넥팅 포트(110)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연장구비되는 연장부(121)의 측방에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122)가 트랜시버(20)의 체결홈(미도시)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히,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연장부(121)의 측방에 형성된 체결 돌기(122)가 경사 구비되는 체결턱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면 체결 돌기(122)가 상기 체결턱을 넘어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커넥팅 포트(110)가 트랜시버(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턱을 타고 넘어 체결홈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한편, 내측 하우징(300)의 외측면(301)에 구비된 후크(310)는 전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트랜시버(20)가 수용된 케이스(21)에 형성된 어댑터(22)의 결합홈(23)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히, 내측 하우징(300)이 전방(도 7 참조)으로 가압되면 후크(310)는 어댑터(22)의 결합홈(23) 후방에 구비되는 턱을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때, 내측 하우징(300)이 전방으로 추가적으로 가압되면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는 상기 턱을 넘어 결합홈(23)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The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단순히 커넥터를 트랜시버(20)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2중 결속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2중 결속구조란, 커넥팅부(110)의 체결 돌기(122)와 트랜시버(20)의 체결홈 사이의 결합과,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와 어댑터(22)의 결합홈(23) 사이의 결합을 의미한다.Taken together,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double-fastening structure by simply pressing the connector toward the
한편,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트랜시버(20)와 결합된 상태에서 단순히 외측 하우징(400)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커넥터와 트랜시버(20)의 결합을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외측 하우징(400)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2중 결속구조, 즉 커넥팅부(110)의 체결 돌기(122)와 트랜시버(20)의 체결홈 사이의 결합과 내측 하우징(300)의 후크(310)와 어댑터(22)의 결합홈(23) 사이의 결합이 모두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coupling of the connector and the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가 트랜시버(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측 하우징(400)을 후방으로 가압한다(도 7의 A 참조). 이때, 외측 하우징(400)은, 후방으로 베이스(500)와의 이격공간(D) 만큼 이동하게 된다(도 8 참조). 이 과정에서, 외측 하우징(400)의 내측면(401)에 돌출 형성된 후크 해제부(410)는, 내측 하우징(300)의 외측면(301)에 형성된 후크(310)를 가압하여 후크(310)와 어댑터(22)의 결합홈(23)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보다 상세히, 일자형으로 후방을 향해 돌출된 후크 해제부(410)가 후크(310)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므로 후크(310)는 내측 하우징(300)의 외측면(3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결합홈(23)에 삽입되고 있던 후크(310)가 이탈되어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한편, 후크(310)와 결합홈(23)의 결합이 해제되면 내측 하우징(300)도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측 하우징(400)을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가압하면 내측 하우징(300)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8의 B 참조). 이는, 내측 하우징(300)이 베이스(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500)가 외측 하우징(40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외측 하우징(400)에 의해 베이스(500) 및 내측 하우징(30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내측 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된 래치 해제부(200)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측 하우징(300)과 래치 해제부(200) 사이의 연동은 별도의 결합구조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나, 래치 해제부(20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240)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내측 하우징(300)과 래치 해제부(200) 사이의 연동 구성은 앞선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When the
한편, 래치 해제부(2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래치 해제부(200)의 해제구(211)의 파지부 결속부(213)가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후방으로 잡아 끌게 된다. 이때, 해제구(211)는 이동 제한부(217)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래치 해제부(200)가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파지부 결속부(213)는 래치(120)의 파지부(123)를 직후방에서 후방 하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따라서, 래치(120)의 파지부(123)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래치(120)의 체결 돌기(122)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트랜시버(20)의 체결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래치 해제부(200)가 후방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하면 체결 돌기(122)는 트랜시버(20)의 체결턱을 타고 넘게 되고, 이로써 커넥터와 트랜시버(20)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다(도 9).When the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살핀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2중 체결 구조를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커넥터는 설치는 물론 유지, 보수, 교체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ease the double fastening structure by pulling the outer housing as shown, thus providing the user with ease of operation. Therefore,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installation as well as maintenance, repair, and replace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커넥팅부
200 : 래치 해제부
300 : 내측 하우징
400 : 외측 하우징
500 : 베이스
600 : 체결 너트
700 : 실링 부재100: connecting part
200: latch release part
300: inner housing
400: outer housing
500: Base
600: Clamping nut
700: sealing member
Claims (12)
상기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
상기 래치 해제부를 수용하며, 트랜시버가 수용된 케이스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후크의 결합을 해제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래치 해제부는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외측 하우징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의 결합이 해제되는 커넥터.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selectively coupled to the transceiver;
A latch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atch;
An inner housing receiving the latch release portion and including a hook coupled to a case housing the transceiver; And
And an outer housing for receiving the inner housing therein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s,
Wherein the inner housing and the latch release portion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the hook and the latch are disengaged when the outer housing is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상기 래치와 결합되는 래치 해제부; 및
내측에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트랜시버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래치를 상기 트랜시버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는 커넥터.
A connecting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the cable,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ransceiver;
A latch release portion coupled with the latch; And
And an inner housing that houses the cable inside and includes a hook protruded from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an engaging groove of a case accommodating the transceiver,
And the latch release portion releases the latch from engagement with the transceiver when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상기 래치는,
상기 트랜시버의 포트에 연결되는 커넥팅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랜시버의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가 상기 연장부를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atch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 connecting port connected to a port of the transceiver; And
And a fasten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and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transceiver,
Wherein when the latch release portion presses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releasing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released from the fastening groove.
상기 내측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후크 해제부를 포함하는 외측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를 상기 결합홈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outer housing that houses the inner housing and includes a hook release located on an inner side,
And the hook releasing portion releases the hook from engagement with the engaging groove when pressed in the releasing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내측 하우징과 연동하며,
상기 외측 하우징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후크 해제부는 상기 후크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내측 하우징을 이동시키고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래치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커넥팅부의 커넥팅 포트와 상기 트랜시버의 포트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atch release portion interlocks with the inner housing,
The hook releasing portion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hook to move the inner housing and the latch releasing portion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latch so that the connecting port of the connecting portion, A connector that releases the coupling between the ports of the transceiver.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부면에 돌기를 구비하는 하측 베이스;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하는 해제구, 및 상기 커넥팅부가 통과하는 포트 삽입구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및
상기 하측 베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atch release unit includes:
A lower base having a projection on its upper surface;
A main body including a release port having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jection, and a port insertion por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passes; And
And an upper base coupled to the lower base to maintain th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래치는 트랜시버의 포트에 연결되는 커넥팅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해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해제구의 끝단은 상방으로 절곡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절곡면과 상기 해제구의 절곡면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tch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 connecting port connected to a port of the transceiver, the latch release portion including a releasable portion enga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Wherein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n end of the release port are bent upward and the bent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bent surface of the release port are positioned so as to be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래치 해제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넥팅부를 상기 래치 해제부에 대해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tch release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movably supports the conn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atch releasing portion.
상기 트랜시버는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인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ceiver is a 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SFP).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cable.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중공을 통해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케이블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랜시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팅부;
상기 래치와 결합되는 래치 해제부; 및
내측에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기 어댑터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내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해제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래치를 상기 트랜시버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는 결합 키트.An adapter coupled to the case housing the transceiver, the adapter including a hollow and having an engagement groove on an outer surface; And
The adapter, and a connector coupled with the transceiver through the hollow of the adapter,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the cable,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latch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ransceiver;
A latch release portion coupled with the latch; And
And an inner housing that houses the cable inside and includes a hook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adapter,
And the latch release portion releases the latch from engagement with the transceiver when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transcei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9638A KR101669900B1 (en) | 2015-01-21 | 2015-01-21 | Integral Connector and Coupling k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9638A KR101669900B1 (en) | 2015-01-21 | 2015-01-21 | Integral Connector and Coupling k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9962A KR20160089962A (en) | 2016-07-29 |
KR101669900B1 true KR101669900B1 (en) | 2016-11-01 |
Family
ID=5661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9638A KR101669900B1 (en) | 2015-01-21 | 2015-01-21 | Integral Connector and Coupling k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99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59792B2 (en) * | 2017-08-08 | 2021-11-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device and plug connector |
KR102619585B1 (en) * | 2021-11-18 | 2023-12-29 | (주)베스라이트 | Waterproof connector |
CN117199917B (en) * | 2023-11-07 | 2024-01-23 | 德州奈亨机电设备有限公司 | Automatic wiring equipment for electrical engineer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091131A (en) | 2004-11-10 | 2007-12-19 |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
JP2009186817A (en) * | 2008-02-07 | 2009-08-20 | Fujikura Ltd | Optical transceiver and restraint structure thereof |
JP2009284014A (en) | 2008-05-19 | 2009-12-03 | Nec Corp | Cage for transceiver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
KR101111452B1 (en) * | 2010-02-26 | 2012-02-22 |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Optical connector plug |
-
2015
- 2015-01-21 KR KR1020150009638A patent/KR1016699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091131A (en) | 2004-11-10 | 2007-12-19 |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
JP2009186817A (en) * | 2008-02-07 | 2009-08-20 | Fujikura Ltd | Optical transceiver and restraint structure thereof |
JP2009284014A (en) | 2008-05-19 | 2009-12-03 | Nec Corp | Cage for transceiver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
KR101111452B1 (en) * | 2010-02-26 | 2012-02-22 |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Optical connector plu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9962A (en) | 2016-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92687B1 (en) | High-density fiber optic connectors | |
EP3155465B1 (en) | Pluggable connector | |
US20190319402A1 (en) | Asymmetric latches for pluggable transceivers | |
US8052335B2 (en) | Ejector apparatus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for pluggable transceivers | |
US20180076587A1 (en) | Dual connector system | |
US9354407B2 (en) | Biasing assembly for a latching mechanism | |
US20150268424A1 (en) | Connector and plug that incorporates same | |
US11165199B2 (en) | Cable connector | |
CN114730051B (en) | Optical module, communication device and PoE device | |
US9941631B1 (en) | Plug and cable with plug | |
KR101669900B1 (en) | Integral Connector and Coupling kit | |
JP2018081767A (en) | Inserting/removing mechanism for optical transceiver | |
US10079451B2 (en) | Pull tab device for a latch of a pluggable module | |
CN107580687A (en) | Wire and cable connector keeps design | |
CN211148993U (en) | Optical module shell structure | |
KR20060039809A (en) | Latching apparatus for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 |
US7837400B2 (en) | Optoelectronic transceiver assembly and release mechanism employed therein | |
US20100232757A1 (en) | Lc adapter | |
US7108523B2 (en) | Pluggable transceiver with cover resilient member | |
KR100640357B1 (en) |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 | |
US20170020013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lastic member | |
KR101669895B1 (en) | Separable Connector and Coupling kit | |
WO2021131837A1 (en) | Optical connector mechanism and optical connector | |
KR20160081469A (en) | Optical connector | |
KR20160148993A (en) | Optical and electrical hybri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