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747B1 -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747B1
KR101668747B1 KR1020150021508A KR20150021508A KR101668747B1 KR 101668747 B1 KR101668747 B1 KR 101668747B1 KR 1020150021508 A KR1020150021508 A KR 1020150021508A KR 20150021508 A KR20150021508 A KR 20150021508A KR 101668747 B1 KR101668747 B1 KR 10166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gesture
information
state
aut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267A (ko
Inventor
최윤철
김민우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7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저작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손의 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3차원 객체를 제어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저작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사용자의 양손의 움직임을 통하여 3차원 객체를 조작하거나 3차원 애니메이션을 저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손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ng 3D animation contents}
본 발명은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저작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3D 애니메이션을 저작하거나 사용자가 가상의 3차원 공간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3차원의 가상 공간에서 객체의 움직임과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팬입력을 통한 객체의 동작을 입력하는 스케치 기반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위 방식은 2차원 입력 정보를 3차원 공간 정보로 매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에 물리 객체의 움직임을 비디오로 촬영한 후 3차원 애니메이션 형태로 전환하는 비디오 기반 애니메이션 저작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물리 객체를 전처리하여 3차원 객체를 생성하는 전처리 단계에서 다량의 연산이 필요하고, 또한 영상에서 객체를 트래킹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951 (2011.05.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손의 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3차원 객체를 제어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저작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사용자의 양손의 움직임을 통하여 3차원 객체를 조작하거나 3차원 애니메이션을 저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손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는,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인 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및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저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하는 3차원 컨텐츠 저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손 정보를 일정한 간격의 시간 별로 획득하는 손 정보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발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발광장치가 발광하는 적외선이 상기 사용자의 손에 반사되어 오는 광을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고, 각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광에 따른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손 정보 획득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을 식별하는 양손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의 각 손가락을 식별하는 손가락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의 각 손 또는 각 손가락의 위치 정보, 손바닥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손 정보 획득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시간에 따라 트래킹하고, 상기 트래킹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상기 손 정보를 일정한 간격의 시간 별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 인식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하는 손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어느 하나의 손인 제1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부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상기 제1손이 아닌 나머지 손인 제2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부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는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손 동작 패턴들과 비교하여 상기 손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손 동작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제스쳐를 선택하여,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는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손 동작 패턴들과 비교하여 상기 손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손 동작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제스쳐를 선택하여,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컨텐츠 저작부는,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저작 상태를 설정하는 저작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저작 상태에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작 상태는 편집 상태와 녹화 상태를 포함하는 제1 저작 상태와, 타임라인 설정 상태, 조작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저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작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상기 조작 상태 또는 상기 타임라인 설정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녹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상기 조작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1손이 주먹을 쥔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회전 제스쳐와, 상기 제1손이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회전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상기 편집 상태 또는 상기 녹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2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작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2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른 추가 제스쳐, 삭제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추가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추가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삭제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이 수평면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에 따른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 저작 상태가 상기 타임라인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의 타임라인 상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른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의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녹화하는 시점을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에 따른 선택 제스쳐, 위치 이동 제스쳐, 크기 변환 제스쳐, 제3 회전 제스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 저작 상태가 상기 조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선택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위치 이동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3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제스쳐, 위치 이동 제스쳐, 크기 변환 제스쳐, 제3 회전 제스쳐는 각각 상기 제2손의 움직임 중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2개의 손가락인 제1 손가락, 제2 손가락, 상기 제2손의 손바닥 중 어느 하나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선택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위치 이동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3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손바닥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저작 상태는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녹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는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 효과를 설정하는 움직임 효과 설정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의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움직임 효과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 정보 중 아웃라이어를 제거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은,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인 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감지 단계; 상기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저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하는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 인식 단계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동작 감지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하는 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어느 하나의 손인 제1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상기 제1손이 아닌 나머지 손인 제2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는,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저작 상태를 설정하는 저작 상태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저작 상태에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에 의하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사용자의 양손의 움직임을 통하여 3차원 객체를 조작하거나 3차원 애니메이션을 저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손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이 간단한 설치만으로도 3차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초보자도 제스처만으로 쉽고 빠르게 3차원 애니메이션을 저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감지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스쳐 인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의 제1손과 제2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스쳐 인식부와 3차원 컨텐츠 저작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저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스쳐 중 제1 및 제2 회전 제스쳐와 그에 따른 저작 상태 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저작 생태 중 타임라인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생성부의 녹화 시점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스쳐 중 위치 이동 제스쳐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스쳐 중 제3 회전 제스쳐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는 동작 감지부(100), 제스쳐 인식부(200),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는 동작 감지부(100), 전처리부(150), 제스쳐 인식부(200),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는 화면 표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인 손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손 정보는 사용자의 손의 특정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손의 특정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손 정보는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3차원 공간 산에서 위치하는 좌표 정보와, 사용자의 손의 손바닥이 향하는 방향으로 손바닥의 법선 방향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00)는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위와 같은 손 정보를 획득한다.
제스쳐 인식부(200)는 상기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스쳐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즉 제스쳐 인식부(200)는 사용자의 손의 다양한 동작에 따른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손 정보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사용자의 손 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일 상기 손 정보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사용자의 손 동작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사용자의 손 동작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동작 감지부(100)는 상기 손 정보는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함에 따른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스쳐 인식부(20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하는 동작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사용자의 손 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만일 미리 정해진 패턴의 사용자의 손 동작으로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움직이는 손 동작이 있고, 위와 같은 손 동작에 대하여 '객체의 위치 이동 제스쳐'라는 의미가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경우, 제스쳐 인식부(200)는 상기 획득한 손 정보가 미리 정해진 패턴의 사용자의 손 동작인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움직이는 손 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하는 경우 상기 손 동작에 대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의미인 '객체의 위치 이동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저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한다.
여기서 상기 저작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가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편집 상태 또는 녹화 상태가 될 수 있다.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는 상기 저작 상태에 따라 동작 감지부(100)에서 획득된 손 정보와 제스쳐 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3차원 공간을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으로 매핑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에 따른 손 정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 특정한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특정한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된 손 정보와 3차원 에니메이션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컨텐츠 공간에 관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는 사용자의 손이 존재하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이 위치하는 좌표에 따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 특정한 기호를 이용하여 위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이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3차원 공간이 3차원 컨텐츠 공간에 매핑된 3차원 컨텐츠 공간에 관한 영상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처리부(150)는 상기 손 정보 중 아웃라이어를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손 정보는 동작 감지부(100)의 오류에 따라 실제 사용자의 손 동작과는 상이한 정보로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쳐 인식부(200)에 입력되기 이전 전처리부(150)를 통해 위와 같이 오류에 따라 잘못 획득된 손 정보인 아웃라이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처리부(150)는 일정한 수의 데이터 중에서 아웃라이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다양한 기존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처리부(150)는 미디언 필터링을 이용하여 동작 감지부(100)에서 획득된 손 정보 중 아웃라이어를 제거할 수도 있다.
화면 표시부(400)는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에서 생성한 3차원 컨텐츠 공간에 관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 표시부(400)는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가 편집 또는 녹화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와 3차원 컨텐츠 공간을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부(400)는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가 저작한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400)를 통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 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사용자가 저작하는 3차원 컨텐츠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편집 및 녹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작 감지부(100), 제스쳐 인식부(200),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의 세부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감지부(10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동작 감지부(100)는 센서부(110), 손 정보 획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한다.
손 정보 획득부(120)는 상기 손 정보를 일정한 간격의 시간 별로 획득한다.
여기서 센서부(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발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발광장치가 발광하는 적외선이 상기 사용자의 손에 반사되어 오는 광을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고, 각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광에 따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손 정보 획득부(120)는 위와 같이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들에 대하여 시차맵을 획득하고, 상기 시차맵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한 손 정보는 손의 형상 또는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 정보 획득부(120)는 시간 별로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간히 흐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손 정보 획득부(120)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시간에 따라 트래킹하고, 상기 트래킹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상기 손 정보를 일정한 간격의 시간 별로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일정한 간격은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10초 또는 1/20초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을 식별하는 양손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의 각 손가락을 식별하는 손가락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의 각 손 또는 각 손가락의 위치 정보, 손바닥의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손 정보는 사용자의 손(H)의 엄지(F1), 검지(F2), 중지(F3), 약지(F4), 새끼손가락(F5)을 각 식별하는 상기 손가락 식별정보와, 상기 각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손가락의 위치 정보는 각 손가락의 특정 부위를 기준으로 측정 또는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손가락의 끝 부위를 기준으로 각 손가락의 위치 정보가 측정 또는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 정보는 사용자의 손(H)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의 손(H)의 위치 정보는 도 4와 같이 손바닥의 중앙 부위 지점(P1)을 기준으로 측정 또는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 정보는 사용자의 손(H)의 손바닥의 방향 정보(P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바닥의 방향 정보(P2)는 손바닥 면과 수직인 법선 방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제스쳐 인식부(2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스쳐 인식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제스쳐 인식부(200)는 손 정보 저장부(210),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를 포함한다.
손 정보 저장부(21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동작 감지부(100)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손 정보 저장부(210)는 3초 동안 상기 동작 감지부(100)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는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어느 하나의 손인 제1손에 대하여, 손 정보 저장부(210)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한다.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상기 제1손이 아닌 나머지 손인 제2손에 대하여, 손 정보 저장부(210)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의 제1손과 제2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제1손(H1)과 제2손(H2)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에서는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왼손을 제1손(H1)으로, 오른손을 제2손(H2)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간이 특정 작업을 하기 전에 왼손으로 먼저 행동을 취하게 되는 왼손 우선 현상(Y. Guiard, 'Asymmetric division of labor in human skilled bimanual action : The kinematic chain as a model,' Journal of motor behavior , vol. 19, no. 4, pp. 486-517, 1987.)을 반영하여 3차원 컨텐츠 저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 오른손을 제1손으로, 왼손을 제2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는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손 동작 패턴들과 비교하여 상기 손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손 동작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제스쳐를 선택하여,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제스쳐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는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손 정보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손 동작 패턴들과 각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상기 손 정보가 미리 정해진 특정 손 동작 패턴과 대응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특정 손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로 인식할 수 있다. 즉 각 손 동작 패턴 별로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가 정의되고, 손 정보가 특정 손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의미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동작 감지부(100)는 상기 손 정보는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함에 따른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 정보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획득하고, 손 정보 저장부(210)는 상기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 정보를 일정한 시간 동안 저장하고,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는 손 정보 저장부(210)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 즉 상기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특정 손 동작 패턴과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만일 미리 정해진 손동작 패턴으로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움직이는 손 동작 패턴이 있고, 위와 같은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객체의 위치 이동 제스쳐'라는 의미가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경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는 상기 획득한 손 정보가 위와 같은 오른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움직이는 손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하는 경우 상기 손 동작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의미인 '객체의 위치 이동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 정보를 손 동작 패턴과 비교하는 것은, 각 손 동작 패턴들과 상기 손 정보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최소가 되는 손 동작 패턴을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손 동작 패턴으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는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손 동작 패턴들과 비교하여 상기 손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손 동작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제스쳐를 선택하여,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가 제1손에 대하여 수행한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손에 대하여 동작을 수행하여 제2손에 대한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스쳐 인식부(200)와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의 세부 블록도이다.
3차원 컨텐츠 저작부(300)는 도 7과 같이 저작 상태 설정부(310), 컨텐츠 생성부(320)를 포함한다.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저작 상태를 설정한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설정된 저작 상태에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에서 인식된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제1손에 따른 제스쳐와 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컨첸츠를 저작하기 위한 저작 상태를 설정하고, 컨텐츠 생성부(320)는 제2손에 따른 제스쳐와 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될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편집하고 편집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에 따라 녹화를 수행하여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저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과 같이 상기 저작 상태는 편집 상태와 녹화 상태를 포함하는 제1 저작 상태와, 타임라인 설정 상태, 조작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저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작 상태는 휴식(IDLE)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저작 상태는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저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편집 상태는 컨텐츠 생성부(320)가 제2손에 따른 제스쳐와 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 또는 3차원 컨텐츠를 편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편집 상태에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에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객체를 조작하여 시간에 따라 객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녹화 상태는 위와 같이 편집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들이 3차원 컨텐츠의 타임라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녹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녹화는 별도로 설정된 녹화 시점 즉 가상의 카메라 시점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컨텐츠 생성부(320)는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경로와 함께, 녹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시점은 특정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3차원 컨텐츠 공간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녹화 상태는 위와 같이 설정된 녹화 시점에 따라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동작을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휴식(IDLE) 상태는 사용자의 손에 따른 제스쳐나 손 정보에 의하여 편집이나 녹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2 저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임라인 설정 상태는 제2손에 따른 제스쳐와 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관리하는 타임라인을 설정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3차원 컨텐츠는 특정 시간에 특정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가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각 3차원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프레임들에 대한 시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타임라인이다.
조작 상태는 제2손에 따른 제스쳐와 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조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조작이라 함은 객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크기를 변환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 동작을 의미한다.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는 제2손에 따른 제스쳐와 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에 대한 미리 정의된 일정한 움직임 효과를 설정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미리 정의된 제2손의 제스쳐가 입력된 경우, 객체가 미리 정해진 횟수 만큼 회전하는 움직임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저작 상태 설정부(310)가 상기 제1 저작 상태 및 제2 저작 상태를 설정하고 변경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상기 조작 상태 또는 상기 타임라인 설정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녹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상기 조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1손이 주먹을 쥔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회전 제스쳐와, 상기 제1손이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회전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상기 편집 상태 또는 상기 녹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상기 편집 상태 또는 상기 녹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2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스쳐 중 제1 및 제2 회전 제스쳐와 그에 따른 저작 상태 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 (a)를 참조하면 제1손(H1)이 주먹을 쥔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R1)을 나타내는 제1 회전 제스쳐를 취하고 있고, 이를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가 인식하면,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편집(Edit) 상태(E12) 또는 녹화(Record) 상태(E13)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 (b)를 참조하면 제1손(H1)이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R2)을 나타내는 제2 회전 제스쳐를 취하고 있고, 이를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20)가 인식하면,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타임라인(Timeline) 설정 상태(E21) 또는 조작(Manipulate) 상태(E22) 또는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E23)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저작 상태 설정부(310)는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2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과 각도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손 동작에 따라 정의 된 제스쳐에 의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에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른 추가 제스쳐, 삭제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추가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추가 제스쳐와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가 제스쳐는 사용자의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이 탭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될 수 있고, 컨텐츠 생성부(320)는 저작 상태 설정부(310)가 설정한 저작 상태가 편집 상태이고, 제2손 제스쳐 의미 파악부(230)에서 인식된 상기 제스쳐가 상기 추가 제스쳐인 경우, 손 정보 저장부(210)에서 입력받은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제2손의 검지 끝 부분에 위치하는 지점에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삭제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삭제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손 동작에 따라 정의된 제스쳐에 의하여 3차원 컨텐츠의 타임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이 수평면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에 따른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 저작 상태가 상기 타임라인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의 타임라인 상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위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가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설정된 수평면 상의 x 축에 따라 이동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타임라인 상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저작 생태 중 타임라인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도 10과 같이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에 따라 타임라인을 제어하여 각 타임라인 상의 시간에서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생성 및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타임라인을 통해 설정한 시간 동안 3차원 컨텐츠를 녹화할 수도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손 동작에 따라 정의된 제스쳐에 의하여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녹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컨텐츠는 별도로 설정된 녹화 시점 즉 가상의 카메라 시점에 따라 녹화가 이루어진다. 즉 컨텐츠 생성부(320)는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경로와 함께, 녹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시점은 특정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3차원 컨텐츠 공간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녹화 상태는 위와 같이 설정된 녹화 시점에 따라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동작을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른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의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녹화하는 시점을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편집 상태이거나 녹화 상태인 경우 모두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에 따라 녹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생성부의 녹화 시점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제1 저작 상태가 편집 상태인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제2손의 손 정보에 대하여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가 인식되면, 그에 따라 녹화 시점을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대로 회전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 (a)를 참조하면 녹화 시점(C)은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O)를 중심으로 90도 만큼 회전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는 사용자의 제2손을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Swipe 동작 패턴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에서 제2손에 대하여 위와 같은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가 인식된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도 11 (a)와 같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만큼 녹화 시점을 회전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작 상태가 녹화 상태인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제2손의 손 정보에 대하여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가 인식되면, 그에 따라 녹화 시점을 3차원 에니메이션 객체를 기준으로 또는 3차원 컨텐츠 공간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는 제2손의 검지 손가락의 끝 부분과 엄지 손가락의 끝 부분이 미리 정해진 규칙 대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와 배치되는 손 동작 패턴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230)에서 제2손에 대하여 위와 같은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가 인식된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에 대하여 입력된 이동 경로에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와 미리 정해진 각도에 상기 녹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거리와 각도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손 동작에 따라 정의된 제스쳐에 의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에 따른 선택 제스쳐, 위치 이동 제스쳐, 크기 변환 제스쳐, 제3 회전 제스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제스쳐, 위치 이동 제스쳐, 크기 변환 제스쳐, 제3 회전 제스쳐는 각각 상기 제2손의 움직임 중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2개의 손가락인 제1 손가락, 제2 손가락, 상기 제2손의 손바닥 중 어느 하나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 저작 상태가 상기 조작 상태인 경우에 다음과 같이 각 제스쳐에 따라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조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선택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선택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과 엄지 손가락 끝 부분이 일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손의 손 정보를 이용하여,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과 엄지 손가락 끝 부분 사이에 위치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위치 이동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위치 이동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이 상기 선택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 상에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위치한 후 움직이는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손의 손 정보를 이용하여,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의 위치 이동에 따라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손의 엄지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이동을 멈추는 것으로 상기 이동 제스쳐의 의미를 미리 정하고, 컨텐츠 생성부(320)는 제2손의 손 정보가 이에 해당하는 경우 객체의 이동을 멈추는 조작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스쳐 중 위치 이동 제스쳐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예를 들면 컨텐츠 생성부(320)는 도 12 (a)와 같이 미리 정의된 제스쳐가 인식될 때 제2손의 검지 손가락(F2) 끝 부분에 따라 객체를 이동하고, (b)와 같이 미리 정의된 제스쳐가 인식될 때 객체의 이동을 멈추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과 엄지 손가락 끝 부분이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손의 손 정보를 이용하여, 제2손의 검지 손가락 끝 부분과 엄지 손가락 끝 부분 사이에 위치한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3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생성부(320)는 만일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3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손바닥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회전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손바닥의 방향이 일정하게 회전하는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2손의 손 정보를 이용하여, 제2손의 손바닥의 방향에 따라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스쳐 중 제3 회전 제스쳐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의 (a), (b), (c)는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의 x축 회전, z축 회전, y축 회전을 각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3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제2손(H2)의 손 정보 중 손바닥 방향(P2)이 y-z 평면 상에서 x축을 주축으로 회전하는 손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3차원 컨텐츠를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3가지의 축 회전 중 하나는 사용자의 제2손의 손바닥 방향이 아닌 손 끝 방향에 따라 객체를 회전할 수 있다. 도 13의 (c)가 그 예이다.
컨텐츠 생성부(32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손 동작에 따라 정의된 제스쳐에 의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움직임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 효과를 설정하는 움직임 효과 설정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컨텐츠 생성부(320)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의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움직임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은 동작 감지 단계(S100), 제스쳐 인식 단계(S200),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은 위에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간략히 서술한다.
동작 감지 단계(S100)는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인 손 정보를 획득한다.
제스쳐 인식 단계(S200)는 상기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를 인식한다.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S30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저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한다.
여기서 제스쳐 인식 단계(S200)는 손 정보 저장 단계(S210),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S220),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 정보 저장 단계(S21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동작 감지 단계(S100)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한다.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S220)는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어느 하나의 손인 제1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한다.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S230)는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상기 제1손이 아닌 나머지 손인 제2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한다.
여기서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S300)는 저작 상태 설정 단계(S310), 컨텐츠 생성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 상태 설정 단계(S310)는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저작 상태를 설정한다.
컨텐츠 생성 단계(S320)는 상기 설정된 저작 상태에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동작 감지부
110 : 센서부
120 : 손 정보 획득부
150 : 전처리부
200 : 제스쳐 인식부
210 : 손 정보 저장부
220 :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
230 :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
300 : 3차원 컨텐츠 저작부
310 : 저작 상태 설정부
320 : 컨텐츠 생성부

Claims (22)

  1.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인 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및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저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하는 3차원 컨텐츠 저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감지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손 정보를 일정한 간격의 시간 별로 획득하는 손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발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발광장치가 발광하는 적외선이 상기 사용자의 손에 반사되어 오는 광을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고, 각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광에 따른 상기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손 정보 획득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을 식별하는 양손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의 각 손가락을 식별하는 손가락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의 각 손 또는 각 손가락의 위치 정보, 손바닥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손 정보 획득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시간에 따라 트래킹하고, 상기 트래킹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상기 손 정보를 일정한 간격의 시간 별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인식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하는 손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어느 하나의 손인 제1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부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상기 제1손이 아닌 나머지 손인 제2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부에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는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손 동작 패턴들과 비교하여 상기 손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손 동작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제스쳐를 선택하여,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고,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는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미리 정해진 손 동작 패턴들과 비교하여 상기 손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손 동작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손 동작 패턴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제스쳐를 선택하여,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텐츠 저작부는,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저작 상태를 설정하는 저작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저작 상태에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상태는 편집 상태와 녹화 상태를 포함하는 제1 저작 상태와, 타임라인 설정 상태, 조작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저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상기 조작 상태 또는 상기 타임라인 설정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녹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상기 조작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1손이 주먹을 쥔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회전 제스쳐와, 상기 제1손이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회전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상기 편집 상태 또는 상기 녹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2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상태 설정부는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1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저작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2 회전 제스쳐인 경우, 상기 제1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저작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른 추가 제스쳐, 삭제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편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추가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추가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삭제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이 수평면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에 따른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 저작 상태가 상기 타임라인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타임라인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의 타임라인 상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른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녹화 시점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의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녹화하는 시점을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에 따른 선택 제스쳐, 위치 이동 제스쳐, 크기 변환 제스쳐, 제3 회전 제스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 저작 상태가 상기 조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선택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위치 이동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3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제스쳐, 위치 이동 제스쳐, 크기 변환 제스쳐, 제3 회전 제스쳐는 각각 상기 제2손의 움직임 중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2개의 손가락인 제1 손가락, 제2 손가락, 상기 제2손의 손바닥 중 어느 하나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선택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위치 이동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이동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크기 변환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크기를 변환하고,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제3 회전 제스쳐이면, 상기 손 정보 중 상기 손바닥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작 상태는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녹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저작 상태는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제스쳐는 상기 제2손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 효과를 설정하는 움직임 효과 설정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1 저작 상태가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가 상기 움직임 효과 설정 제스쳐이면, 상기 제2손의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에서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의 움직임 효과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정보 중 아웃라이어를 제거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20.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인 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감지 단계;
    상기 획득된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저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획득된 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3차원 컨텐츠를 저작하는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감지 단계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을 3차원 공간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한 상기 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인식 단계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동작 감지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손 정보를 저장하는 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어느 하나의 손인 제1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손 중 상기 제1손이 아닌 나머지 손인 제2손에 대하여, 상기 손 정보 저장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저장된 상기 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텐츠 저작 단계는,
    상기 제1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제1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저작 상태를 설정하는 저작 상태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저작 상태에서, 상기 제2손 제스쳐 의미 판단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제2손의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3차원 애니메이션 객체를 상기 3차원 컨텐츠 공간 상에서 편집 또는 녹화하여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방법
KR1020150021508A 2015-02-12 2015-02-12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508A KR101668747B1 (ko) 2015-02-12 2015-02-12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508A KR101668747B1 (ko) 2015-02-12 2015-02-12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267A KR20160099267A (ko) 2016-08-22
KR101668747B1 true KR101668747B1 (ko) 2016-10-24

Family

ID=5685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508A KR101668747B1 (ko) 2015-02-12 2015-02-12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08B1 (ko) * 2018-12-18 2019-06-24 코어다 주식회사 제스쳐의 인식 위치에 따른 모션 인식 기기의 제어 방법, 서버, 기기 및 프로그램
WO2024085712A1 (ko) * 2022-10-20 2024-04-25 한국과학기술원 양손 인터랙션을 이용한 가상현실 3d 곡선 네트워크 제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18B1 (ko) * 2013-02-01 2014-06-10 전자부품연구원 손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964B1 (ko) 2009-11-20 2013-05-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객체 저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155045B1 (ko) * 2010-05-25 2012-06-11 주식회사 씩스클릭 애니메이션 저작 시스템 및 애니메이션 저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18B1 (ko) * 2013-02-01 2014-06-10 전자부품연구원 손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267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8602A1 (en) Throwable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110483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e-range movement tracking
US10019074B2 (en) Touchless input
US8166421B2 (en)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US94654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y tracking head of user through camera modu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910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e-range movement tracking
EP312021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274550A1 (en) Gesture mapping for display device
JP5638896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TWI705356B (zh) 虛擬實境場景下的輸入方法和裝置
CN105579929A (zh) 基于手势的人机交互
US11573627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2810015B (zh) 基于空间运动的输入方法及终端
US20160117077A1 (en) Multi-Depth-Interval Re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Geer Will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point the way?
KR2018009791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4258766A (ja) 自己画像表示を用いた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メニュー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
US9552345B2 (en) Gestural annotations
KR101668747B1 (ko) 3차원 애니메이션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45668A (ko)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카메라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KR101743888B1 (ko)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카메라의 이동경로와 이동시간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컴퓨터 구현 방법
KR101558094B1 (ko) 직관적인 핸드 모션에 기반한 멀티-모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2672374A1 (en) Detection of circular motion in a two-dimensional space
CN110402578A (zh) 图像处理装置、方法和程序
Fan Practical ad hoc tangible interactions in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