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115B1 - Cabinet - Google Patents
Cabin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8115B1 KR101668115B1 KR1020100011805A KR20100011805A KR101668115B1 KR 101668115 B1 KR101668115 B1 KR 101668115B1 KR 1020100011805 A KR1020100011805 A KR 1020100011805A KR 20100011805 A KR20100011805 A KR 20100011805A KR 101668115 B1 KR101668115 B1 KR 1016681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wer
- rail
- inclined portion
- pulley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5—Synchronisation of cooperating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the rail movement of different drawer slid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other guiding mechanisms, e.g. scissor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피수납물 등이 수납고 내의 천장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피수납물을 간편한 기구 또한 용이한 조작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납고는,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서랍(132)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베이스 캐비넷(130)]이며, 서랍 내에 배치되고,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150)와, 적재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승강 기구는, 수납고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레일(160)과, 레일에 안내되는 풀리를 갖고, 레일은, 서랍을 인출하는 방향의 힘을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경사부(162)와, 경사부에 연속하고, 경사부보다 깊이측에 설치된 깊이측 수평부(164)를 갖고, 서랍을 수납하였을 때에 풀리가 위치하는 깊이측 시점(P1)으로부터 깊이측 수평부와 경사부의 교점인 상승 기점(P2)까지의 길이가, 적재 부재의 깊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bin that can prevent a container or the like from colliding with a ceiling surface or the like in a storage bin, .
A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compartment (base cabinet 130) capable of slidably accommodating a drawer 132 capable of storing a subject to be stored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 loading member 150, And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load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ing mechanism includes a rail 160 disposed on a wall surface in the storage box, and a pulley guided by the rail. An inclined portion 162 that converts the force into a force for raising the loading member and a depth side horizontal portion 164 which is continuous to the inclined portion and which is provided at a deeper side tha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length from the depth side view point P1 to the rising point P2, which is an intersection of the depth side horizontal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load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랍을 구비한 수납고, 특히 서랍에 수납한 피수납물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피수납물을 취출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in which can prevent damage to a storage bin provided with a drawer, in particular, objects stored in a drawer, and to make it easy to take out objects to be stored.
키친에서 사용되는 조리 기구에는, 볼이나 소쿠리, 긴 형상을 갖는 주걱류(레이들), 조리용 젓가락, 랩, 조미료 등의 소품류, 부엌칼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 조리 기구 등의 피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키친 위에 매달림 찬장을 설치하거나, 키친 아래에 문이나 서랍을 갖는 수납고를 설치하였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cooking utensils used in kitchens, such as balls and draperies, ladles having long shapes, chopsticks for cooking, small articles such as wraps and seasonings, and kitchen knives. In order to store articles such as these cooking utensils, a hanging cupboard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on the kitchen, or a storage box having a door or a drawer is provided under the kitchen.
상기 중에서도, 서랍을 갖는 수납고는, 서랍에 피수납물을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복수의 서랍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병행하여 설치함으로써 높은 공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구 이외에도, 공기, 접시, 컵 등의 식기류, 냄비, 후라이팬 등의 큰 조리 기구, 소금, 후추 등의 조미료, 식품, 조미료 등의 병조림 또는 통조림 용기 등, 크고 작은 여러 가지 피수납물을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Among the above, the drawer having a drawer can easily store the object to be drawn in the drawer from above, and a high space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drawers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u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oking utensil, various kinds of cooking utensils such as dishes, such as air, dishes and cups, large cooking utensils such as pots and frying pans, seasonings such as salt and pepper, bottles such as food, seasonings, The stored object can be easily stored from above.
그러나 복수의 서랍을 수직 방향으로 병렬하여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허리보다도 낮은 위치(이하, 하방이라고 칭함)에 설치된 서랍에 수납된 피수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고, 몸을 구부린 자세를 취해야만 한다. 키친에서 시간에 쫓기면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피수납물을 취출할 때마다 이러한 동작을 행하는 것은 번거롭고,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drawers are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take out the articles stored in a drawer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ist of the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ownward direction), the user bends the waist, You have to take a position. It is troublesome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every time the user collects the articles to be collected while the user is working while being chased by the kitchen,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working efficiency.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은 허리에 가해지는 부하가 크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건강한 사람일 경우에는 그다지 부담이 되지 않지만, 신체 능력이 저하되어 있고,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고령자 등일 경우, 이러한 동작은 큰 부담이 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has a large load applied to the waist.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is a healthy person, it is not so burdensome. However, i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whose physical a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behavior is not free, such an operation becomes a heavy burden.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캐비넷 본체의 하부에 전후 방향 출입 가능한 서랍을 구비한 플로어 캐비넷이며, 상기 서랍이 상하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플로어 캐비넷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loor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body with a drawer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cabinet body, and a shelf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draw- have.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로어 캐비넷에 의하면, 서랍에는 상하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랍은 하위(하방)에 있어도 수납 선반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수납 선반에 수납되는 물품을 상위(상방)에서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floor cabine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shelf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the drawer can raise the shelf even when the drawer is downward (downward) Making it easy to access.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로어 캐비넷에 의하면, 수납 선반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후단부가 서랍의 내측 측면에 피봇되고, 그 전단부가 수납 선반의 외측 벽면에 피봇 부착됨으로써 서랍과 수납 선반을 연결하는 링크편의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 연장 설치부 선단과 서랍 사이에 연장 설치된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수납 선반을 상방으로 압박하는 밸런서 기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수납 선반을 수동으로도 상승 조작을 가볍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floor cabin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rear end is pivot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the front end thereof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helf, thereby connecting the drawer and the storage shelf Since the balancer mechanism for urging the storage shelf upward is provided by the tension spring extended between the leading end of the extended installation portion extended to the rear of the link piece and the drawer, the storage shelf can be manually lifted manually .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로어 캐비넷은, 수납 선반을 상승시킨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서랍을 캐비넷 본체로부터 인출한 후, 수동으로 수납 선반을 상방으로 끌어올려야만 한다. 이러한 서랍을 캐비넷으로부터 인출하는 조작과, 수납 선반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조작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선반이 캐비넷으로부터 끝까지 나오기 전에 끌어올리는 등, 사용자의 조작 여하에 따라, 수납 선반 또는 피수납물과 캐비넷 본체 내의 천장면 등의 충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floor cabin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raise the storage rack, the drawer must be drawn out from the cabinet body, and then the storage rack must be pulled up manually. Since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such a drawer from the cabinet and the operation of pulling up the storage shelf upward are pulled up before the storage shelf comes out from the cabinet to the end, the storage shelf or the cont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llision of a ceiling scene or the like in the cabinet main body may occur.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령자 등일 경우, 사용자에게 이들 조작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가혹하며, 또한 수납 선반을 끌어올리는 동작은 몸을 구부리는 동작 이상으로 부담이 크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an elderly person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perform these operations, and the operation of pulling up the storage shelf is more troublesome than the operation of bending the body.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밸런서 기구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수납 선반의 상승 조작을 압박하고 있지만, 지레의 원리에 의해 압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인장 스프링의 설치 위치는 아니다.Further, the balancer mechanism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presse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torage rack by the tension spring, but it is no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nsion spring that can effectively apply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피수납물 등이 수납고 내의 천장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몸에 가해지는 부하의 저감 및 편리성의 향상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foregoing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compartment which can prevent a collided object or the like from colliding with a ceiling scene or the like in a storage compartment, and can reduce load applied to the body and improve convenience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서랍 내에 배치되고,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적재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승강 기구는 수납고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레일과, 레일에 안내되는 풀리를 갖고, 레일은 서랍을 인출하는 방향의 힘을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경사부와, 경사부에 연속하고 경사부보다 깊이측에 설치된 수평부를 갖고, 서랍을 수납했을 때에 풀리가 위치하는 깊이측 시점(始點)으로부터 수평부와 경사부의 교점인 상승 기점까지의 길이가 적재 부재의 깊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compartment capable of slidably accommodating a drawer capable of storing a subject to be stored therein, comprising: a stacking member disposed in the drawer and capable of stacking the stacked object; And the lifting mechanism has a rail disposed on a wall surface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pulley guided by the rail, and the rail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pulled out by a force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loading member And a horizontal portion which is continuous to the inclined portion and which is provided on a deeper side than the inclined portion and which is located at a depth from a start point of the depth side where the pulley is located when the drawer is housed, And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loading member.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적재 부재는 그 전체가 수납고로부터 인출된 후 상승하기 때문에, 적재 부재 또는 피수납물이 수납고 내에서 상승하여, 수납고 내의 천장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랍을 인출하는 조작과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조작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서랍을 인출하는 간단한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entire stacking member is pulled out from the storage box and then rai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acking member or the object to be lifted from rising in the storage box and colliding with a ceiling scene or the like in the storage box. Further, since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and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loading member are integrated, the user can raise the loading member only by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상기 적재 부재의 깊이는, 서랍의 앞판 전방면으로부터 적재 부재의 배면측의 후단부까지의 길이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 또는 피수납물이 수납고 내로부터 끝까지 인출되기 전에 상승되어, 수납고 내의 천장면 또는 상위의 서랍의 외측의 저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depth of the stacking member may be the length from the front plat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to the rear end of the back side of the stacking member. As a result, the stacking member or the object to be picked up can be raised before it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to the end, so that it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drawer or the like.
상기 풀리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의 후방에 연장 설치된 부분에 피봇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적재 부재는 풀리와 일체가 되어 레일에 안내되기 때문에, 경사부에 따라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풀리는 레일의 상측 또한 깊이측 근방에 배치된 상부 풀리와, 레일의 하측 또한 전방측 근방에 배치된 하부 풀리로 이루어지면 좋다. 이렇게 풀리를 배치함으로써, 2개의 풀리를 동시에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풀리에 간격을 둘 수 있기 때문에 아암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pulley is pivotally attached to a portion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ad member is guided to the rail integrally with the pulley, so that it can rise along the inclined portion. Further, the pulley may comprise an upper pulle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and in the vicinity of the depth side, and a lower pulley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near the front side of the rail. By disposing the pulleys as described above, the two pulleys can be guided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pulleys can be maintained, so that the arm can be kept horizontal.
상기 깊이측 시점은 수평부 상에 위치하면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는 인출 개시로부터 상승 개시까지는 수평 이동을 하기 때문에, 적재 부재 또는 피수납물이 수납고 내를 이동할 때에 수납고의 천장면이나 상단 서랍의 저면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pth-side viewpoint may be loc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As a result, the loading member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start of the drawing to the start of the elevation, so that when the loading member or the object to be stored moves within the storage box, it can be prevented from touching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orage box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draw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서랍 내에 배치되고,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적재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승강 기구는 수납고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레일과, 레일에 안내되는 풀리를 갖고, 레일은 서랍을 인출하는 방향의 힘을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경사부와, 경사부에 연속하고 경사부보다 깊이측에 설치된 수평부를 갖고, 수납고로부터 서랍을 최대한 인출하였을 때에 풀리가 위치하는 전방측 시점으로부터 수평부와 경사부의 교점인 상승 기점까지의 길이가, 서랍을 최대한 인출하였을 때의 서랍의 돌출량으로부터 적재 부재의 깊이를 뺀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slidably accommodating a drawer capable of storing a stored object, comprising: a stacking member disposed in the drawer and capable of stacking the stacked object; The elevator mechanism includes a rail disposed on a wall surface in a storage compartment and a pulley guided by the rail. The rail has a force in a direc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from a force And a horizontal portion which is continuous to the inclined portion and which is provided on a deeper side than the inclined portion.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to the maximum, the front side view at which the pulley is locate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epth of the loading member from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to the maximum It is gong.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출된 서랍을 수납고로 복귀시킬 때, 적재 부재는 끝까지 하강한 후 수납고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적재 부재 또는 피수납물의 배면이 수납고 앞판의 전방면 또는 상위의 서랍 앞판의 전방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awn drawer is returned to the housing, the loading member is lowered to the end and then enters the storage bin, so that the rear face of the loading member or the object to be stored is the front face of the front face plate of the storage box, And the like.
상기 서랍의 돌출량은, 수납시에 있어서의 상기 서랍 앞판의 전방면으로부터, 상기 서랍을 최대한 인출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서랍 앞판 전방면까지의 길이로 해도 좋다. 또한, 적재 부재의 깊이는, 당해 서랍 앞판의 전방면으로부터 적재 부재의 배면까지의 길이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 혹은 피수납물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배면이, 수납고 앞판 전방면 또는 상위의 서랍 앞판의 전방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amount of the drawer may be the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front plate at the time of storag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front plate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to the maximum. The depth of the stacking member may be the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front pla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acking memb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rear surface of one or both of the stacking member and the object to be collid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front plat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drawer plate.
상기 풀리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의 후방에 연장 설치된 부분에 피봇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적재 부재는 풀리와 일체가 되어 레일에 안내되기 때문에,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풀리는 레일의 상측 또한 깊이측 근방에 배치된 상부 풀리와, 레일의 하측 또한 전방측 근방에 배치된 하부 풀리로 이루어지면 좋다. 이렇게 풀리를 배치한 것에 의해, 2개의 풀리를 동시에 상하에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풀리에 간격을 둘 수 있기 때문에 아암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pulley is pivotally attached to a portion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ad member is guided to the rail integrally with the pulley, so that the pulley can be lowered along the inclined portion. Further, the pulley may comprise an upper pulle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and in the vicinity of the depth side, and a lower pulley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near the front side of the rail. By disposing the pulleys in this way, the two pulleys can be guided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pulleys can be set, so that the arm can be kept horizontal.
서랍은, 적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적재 부재는,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하며, 승강 기구는, 지지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 부재를 상승 또는 강하시켜도 좋다.The drawer further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loading member. The loading member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The elevating mechanism may elevate or lower the loading member by moving the support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재 부재를 임의로 교환하거나, 서랍에 큰 피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적재 부재를 빼두는 등, 범용성이 있는 수납고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loading member arbitrarily, or to remove the loading member in order to store a large object to be stored in the drawer.
서랍은, 지지 부재와 인접하는 기둥 부재와, 지지 부재와 기둥 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스프링은, 상단부를 기둥 부재에, 하단부를 지지 부재에 연결하고, 승강 기구는, 지지 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스프링의 복원력을 부가하여, 적재 부재를 상승시켜도 좋다.The drawer further includes a pillar member adjacent to the support member, and a spring connect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pillar member. The spring connects the upper end portion to the pillar member and the lower end portion to the support member,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ay be added to the force of upward movement, and the load member may be rais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경사부에 의한 적재 부재의 상승을 스프링의 복원력이 압박함으로써, 서랍을 인출하는 동작에 드는 적재 부재의 상승에 수반하는 부하를 경감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pushes up the stacking member by the inclined portion, the load accompanying the rise of the stacking member in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can be reduced and the burden on the user can be alleviated.
스프링은,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서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상정되는 피수납물의 중량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spring may be constructed so that a single or a plurality of springs can be detachably attached. As a result, the force for raising the loading member can be adjusted, and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loaded can be suitably suppor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drawer.
적재 부재는, 천장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서랍 내에 산재하기 쉬운 조리용 젓가락 등의 소형 조리 기구를 적재 부재에 정리하여 두고, 적재 부재 이외의 서랍 내의 공간에는 냄비 등의 대형 조리 기구를 수납하여 두는 등, 서랍 내의 정리정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stacking member may be a box shape in which a ceiling surface is opened. According to this, a small cooking apparatus such as a chopstick for cooking which is easily scattered in the drawer is arranged in a loading member, and a large cooking apparatus such as a pot is stored in a space inside the drawer other than the loading member. Lt; / RTI >
적재 부재는, 서랍 앞판의 배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적재 부재는 서랍 내의 가장 전방에 설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 내의 피수납물의 효율적인 취출이 가능해져,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oading memb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front plate. According to this, the load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frontmost position in the drawer.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take out the articles to be stored in the loading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적재 부재를 2개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피수납물이나 서랍 내의 상황에 따라 복수의 적재 부재를 구분지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wo or more loading member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is, a plurality of stacking members can be used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the object to be drawn and the drawer, and the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피수납물 등이 수납고 내의 천장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피수납물을 간편한 기구 또한 용이한 조작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ded objects or the like from colliding with a ceiling scene in a storage box, and to provide a storage bin that can raise a container to be collected with a simple mechanism with easy operation.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시스템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서랍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레일과 풀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적재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기둥 부재와 스프링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미끄럼 이동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기둥 부재와 미끄럼 이동 부재의 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미끄럼 이동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승강 기구에 의한 적재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은 승강 기구의 각 부위를 설명하는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kitchen including a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aw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ail and a pulley.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ing member;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llar member and a sprin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liding member;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a column member and a sliding member;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9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loading member by the lifting mechanism.
10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respective portions of the lifting mechanism.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외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materials, other specific numerical values, and the like shown in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ase where it i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shown.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시스템 키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100)[이하, 키친(100)이라고 칭함]은, 키친의 전체 상면을 덮는 천장판(110)[워크 톱이라고도 칭함]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천장판(110)은 합성 수지 소재(인공 대리석)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테인리스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kitchen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 system kitchen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tchen 100) has a ceiling board 110 (also referred to as a work top) that covers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kitche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천장판(110)의 상면에는, 세트로 설치된 풍로(112), 조리 공간(114), 일체로 형성된 싱크(116)가 설치된다. 천장판(110)의 하부에는, 풍로(112)가 설치되어 있는 풍로 캐비넷(120)과, 조리 공간(114)을 구비하는 베이스 캐비넷(130), 싱크(116)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 캐비넷(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캐비넷은 수납 고로서 기능하여, 캐비넷 내의 빈 공간에는, 풍로(112)로의 배선이나, 싱크(116) 및 수전으로의 급배수관 등이 수용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천장판(110)은 시스템 키친(100) 전체에 걸쳐 연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장판(110) 하에는, 천장판(110) 상의 풍로(112)나 싱크(116)와 같은 각 구성에 대응한 캐비넷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스템 키친(100)의 구성을 달리하였을 때에도, 캐비넷 단위로 서랍이나 앞판 등의 부품을 준비하면 되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시스템 키친의 구성이란, 예를 들어 조리 공간(114)이나 싱크(116)의 폭 등이다.In this way, although the
각 캐비넷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여러 가지 크기의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풍로 캐비넷(120)은, 상부에 풍로(112)의 그릴(112a) 및 조작 패널(112b)을 구비하고, 그 옆쪽에는 조미료 등의 소품을 수납하기 위한 작은 서랍인 스파이스 박스(122)가 배치되어 있다. 풍로 캐비넷(120)의 중앙부, 즉 그릴(112a)의 하부에는 폭이 넓은 큰 서랍(124)을 배치하여, 냄비나 볼 등의 비교적 큰 조리 기구를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풍로 캐비넷(120)의 하부의 바닥 근방에는, 서랍식의 발 밑 수납고(126)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cabinet is provided with slidable drawers of various sizes capable of storing the articles to be stored. For example, the
마찬가지로, 베이스 캐비넷(130)에는, 상부에 바닥이 얕은 서랍(131), 바닥이 깊은 큰 서랍(132) 및 발 밑 수납고(136)를 비치되고, 싱크 캐비넷(140)에는 발 밑 수납고(146)로부터 천장판(110)에 이르는 높은 앞판을 구비한 서랍(144)이 비치되어 있다.Similarly, the
다음에, 서랍의 내부 구성과 승강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캐비넷(130)에 설치되어 있는 서랍(132)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서랍도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Next, the inner structure of the drawer and the lif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Although the
도 2는 승강 기구를 구비한 서랍(132)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베이스 캐비넷(130)의 내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서랍(132)에는, 내부에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150)가 서랍(132) 앞판의 배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서랍(132)은 슬라이드 가능하게 베이스 캐비넷(130)에 수납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는, 베이스 캐비넷(130)의 벽면에 배치된 레일(160)과, 상기 레일(160)에 안내되는 풀리(168, 169)를 갖는다. 풀리(168, 169)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레일(160)에는 경사부(16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레일(160)의 경사부(162)의 깊이측에는 깊이측 수평부(164)가, 전방측에는 전방측 수평부(166)가, 경사부(162)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또한, 서랍(132)은, 적재 부재(15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는 빔(206)과 미끄럼 이동 부재(204)와 아암(1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178)에는 상기 레일(160)에 안내되는 풀리(168, 169)가 피봇 부착되어 있다.Further,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168, 169)는 레일(160)의 상측 또한 깊이측에 배치된 상부 풀리(168)와, 레일(160)의 하측 또한 전방측에 배치된 하부 풀리(169)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2개의 풀리(168, 169)로 레일(160)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아암(178)이 수평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지지 부재에 지지된 적재 부재(150)는 풀리(168, 169)와 일체가 되어 레일(160)에 안내된다.3, the
서랍(132)을 인출할 때, 레일(160)에 설치된 경사부(162)는, 서랍(132)을 인출하는 방향의 힘(F0)을 적재 부재(150)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F1)(분력)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승강 기구는, 지지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 부재(150)를 상승 또는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도 4는 적재 부재(15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적재 부재(150)는, 천장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소위 포켓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적재 부재(150)는 L자부(220)를 갖고 있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의 빔(206)에 현수됨으로써 적재 부재(150)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150)가 교환 가능해지기 때문에, 형상이나 용적, 설치하는 개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적재 부재(150)를 떼어낼 수 있으므로, 청소도 용이하여 진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또한, 적재 부재(150)는 1개의 서랍(132) 내에 2개 이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wo or
서랍(132)은, 지지 부재의 미끄럼 이동 부재(204)와 인접하는 기둥 부재(200)(도 2 참조)와, 미끄럼 이동 부재(204)와 기둥 부재(200)를 연결하는 스프링(20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하, 기둥 부재(200)와 스프링(20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The
도 5는, 기둥 부재(200)와 스프링(202)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부재(200)는 서랍(132) 앞판의 배면에 인접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 5의 좌우의 기둥 부재(200)는, 서랍(132)을 베이스 캐비넷(130)의 내부측에서 본 상태(도 2의 상태)에서의 좌우 기둥 부재(200)에 대응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s of the
기둥 부재(200)는,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볼록부(212)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는 오목부(214), 미끄럼 이동 부재(204)를 상하에 안내하는 단면 T자 형상의 상하 레일(215)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214)의 상방에는, 스프링(202)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연결 부분(20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둥 부재(200)는, 서랍(132) 앞판의 배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217)를 구비하고 있다.The
도 6은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미끄럼 이동 부재(204)는, 상술한 기둥 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서랍(132) 앞판의 배면에 인접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 6의 좌우도 도 2에서의 좌우에 대응된 것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ing
미끄럼 이동 부재(204)는, 기둥 부재(200)의 오목부(214)와 끼워 맞추는 볼록부(212), 기둥 부재(200)의 상하 레일(215)을 삽입 관통하는 상하 홈(213)을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212)는 내부가 공동이며, 스프링(202)을 수용한다. 볼록부(212)의 하방에는, 스프링(202)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연결 부분(210)이 설치되어 있다. 상하 홈(213)은 단면이 T자 형상의 홈이며, 상하 레일(215)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12)와 오목부(214)도, 상하 레일(215)과 상하 홈(213)과 마찬가지로, 조합된 채로 미끄럼 이동 부재(204)가 기둥부재(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부재(204)는, 빔(206)을 접속하는 빔 접속부(204a)를 갖는다.The sliding
스프링(202)은, 상단부가 기둥 부재(200)의 연결 부분(208)에,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연결 부분(210)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202)은 인장 스프링이며, 항상 미끄럼 이동 부재(204)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202)은, 한쪽 기둥 부재(200)에 대하여 2개가 연결되어 있지만, 1개라도 실시 가능하다. 서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상정되는 피수납물의 중량에 따라 스프링(202)의 개수나 강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7은, 기둥 부재(200)와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기둥 부재(200)와 미끄럼 이동 부재(204)는, 상술한 것 중 좌측의 것을 위에서 본 상태이다.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볼록부(212)는, 기둥 부재(200)의 오목부(214)에 화살표(216) 방향에 끼워 맞추어 짐으로써 양자는 조합된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the
상세하게는, 기둥 부재(200)의 하방으로부터, 상하 레일(215)과 상하 홈(213)(도 6), 오목부(214)와 볼록부(212)를 조합하면서, 기둥 부재(200)와 미끄럼 이동 부재(204)를 슬라이드시켜 끼워 맞춘다. 이때 스프링(202)은 기둥 부재(200)의 연결 부분(208)(도 5)에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202)을 볼록부(212)의 공동에 삽입하면서 조립을 행한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 부재(204)가 기둥 부재(200)의 상단부에 도달하였을 때, 스프링(202)의 하단부를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연결 부분(210)에 접속시킨다. 기둥 부재(200)의 연결 부분(208)은 오목부(214) 내에 설치되어 있지만, 도 7에서는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and
도 8은, 상기한 것 중 좌측의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미끄럼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승강 기구에 의한 적재 부재(150)의 이동과 각 부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미끄럼 이동 부재(204)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의 (b)는 미끄럼 이동 부재(204)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의 (a)는 서랍(132)이 베이스 캐비 넷(13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의 (b)는 적재 부재(150)가 상승 개시하는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의 (c)는 적재 부재(150)의 상승 도중을 도시한 도면, 도 9의 (d)는 서랍(132)이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부재(204)가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스프링(202)이 신장하고 있어, 그 탄성력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힘(F2)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부재(204)는 기둥 부재(200)의 거의 상단부까지 상승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when the sliding
여기서, 미끄럼 이동 부재(204), 적재 부재(150) 및 이에 수납된 피수납물의 중량은, 스프링(202)과, 풀리(168, 169) 및 레일(160)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의 양쪽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을 담당하는 것은 풀리(168, 169)와 레일(160)이며, 스프링(202)은 항상 중량을 경감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가령 스프링(202)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암(178) 전방측의 중량이 커져 기울기 때문에, 기둥 부재(200)와 미끄럼 이동 부재(204)의 미끄럼 이동 마찰이 높아져, 원활한 승강 동작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스프링(202)은 확실한 동작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다.The weight of the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132)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부 풀리(168)가 위치하는 위치를 깊이측 시점(P1)으로 한다. 깊이측 시점(P1)은 깊이측 수평부(164)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으로부터 인출을 개시하면 상부 풀리(168)는 레일(160)의 깊이측 수평부(164)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적재 부재(150)도 수평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a), the position where the
또한, 계속해서 인출하면, 상부 풀리(168)는 깊이측 수평부(164)를 통과한 후,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기점(P2)에 도달하게 된다. 상승 기점(P2)은 깊이측 수평부(164)와 경사부(162)의 교점이며, 서랍(132)을 인출할 때에 적재 부재(150)가 상승 개시하는 지점이다.9 (b), the
여기서, 깊이측 시점(P1)으로부터 상승 기점(P2)까지의 길이(L1)가, 적재 부재(150)의 깊이(L2)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풀리(168)가 상승 기점(P2)에 도달할 때, 적재 부재(150)는 그 전체가 이미 베이스 캐비넷(130)으로부터 인출되어 있게 된다. 적재 부재(150)의 깊이(L2)란, 서랍(132) 앞판의 전방면으로부터 적재 부재(150)의 L자부(220)의 배면측의 후단부까지의 길이이다. 이로부터, 적재 부재(150)는 베이스 캐비넷(130) 밖으로 나오고 난 후 상승하게 된다.The length L1 from the depth side view point P1 to the starting point P2 is longer than the depth L2 of the mounting
또한, 서랍(132)을 인출함으로써,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풀리(168)가 상승 기점(P2)을 초과하여 경사부(162)로 이동하면, 기둥 부재(200)는 서랍(132)과 일체가 되어 수평 이동을 계속하는 한편, 미끄럼 이동 부재(204)는 경사부(162)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다[화살표(188)로 도시한 궤도].9 (c), when the
이 상승 이동 중에는, 풀리(168, 169)와 레일(160)에 의해 변환된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F1)(도 2 참조)과, 스프링(202)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힘(F2)[도 8의 (a) 참조]의 합력에 의해, 적재 부재(150)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During this ascending movement, the force F1 (see Fig. 2) in the upward direction converted by the
인출을 더 계속하면,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부재(150)는 가동 범위의 상단부에 이른다. 이때 상부 풀리(168)는 레일(160)의 전방측 수평부(166)에 도달하여, 풀리(168, 169)와 레일(160)에 의해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F1)(도 2)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부재(150)가 기둥 부재(200)의 거의 상단부에 도달함으로써, 스프링(202)에 의해 끌어올릴려지는 힘(F2)도 약해진다. 그로 인해 적재 부재(150)는, 서랍(132)과 함께 수평 이동하게 된다.When the drawing is further continued, the
서랍(132)을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풀리(168)에 위치하는 위치를 전방측 시점(P3)으로 한다. 전방측 시점(P3)은, 전방측 수평부(166)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부 풀리(168)는, 지지 부재의 후방부의 중량을 지지하여 수평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하부 풀리(169)는 역할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전방측 수평부(166)의 전단부보다도 돌출되어, 레일(160)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서랍(132)의 인출량에 대한 제한을 적게 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도 9의 (d)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서랍(132)을 밀어 넣을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을 한다. 여기서, 전방측 시점(P3)으로부터 상승 기점(P2)까지의 길이(L3)가, 서랍(132)을 최대한 인출하였을 때의 서랍의 돌출량(L4)에서 적재 부재(150)의 깊이(L2)를 뺀 길이(L5)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150)가 수납고(152) 내에 수납되기 시작할 때에는, 이미 경사부(162)를 따라 하강이 종료되어 있게 된다. 즉, 도 9의 (b)에 도시한 적재 부재(150)의 위치가 된 후 수납된다.When the
이상에서, 적재 부재(150)는 수납고 외부(152)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고, 수납고(152) 내에서는 깊이측 수평부(164)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베이스 캐비넷(130)의 내벽이나 위의 서랍 앞판 등으로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lat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키친과 같이 서랍을 구비한 수납고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rawer having a drawer like a kitchen can be used.
100 : 시스템 키친
110 : 천장판
112 : 풍로
112a : 그릴
112b : 조작 패널
114 : 조리 공간
116 : 싱크
120 : 풍로 캐비넷
122 : 스파이스 박스
124 : 서랍
126 : 발 밑 수납고
130 : 베이스 캐비넷
131 : 서랍
132 : 서랍
136 : 발 밑 수납고
140 : 싱크 캐비넷
144 : 서랍
146 : 발 밑 수납고
150 : 적재 부재
152 : 수납고
160 : 레일
162 : 경사부
164 : 수평부
168 : 상부 풀리
169 : 하부 풀리
P1 : 깊이측 시점
P2 : 상승 기점
P3 : 전방측 시점
178 : 아암
188 : 화살표
200 : 기둥 부재
202 : 스프링
204 : 미끄럼 이동 부재
204a : 빔 접속부
206 : 빔
208 : 연결 부분
210 : 연결 부분
212 : 볼록부
213 : 상하 홈
214 : 오목부
215 : 상하 레일
216 : 화살표
217 : 고정부
220 : L자부100: System Kitchen
110: Ceiling board
112:
112a: Grill
112b: Operation panel
114: Cooking space
116: Sink
120: Wind tunnel cabinet
122: Spice box
124: Drawer
126: Under the storage compartment
130: Base cabinet
131: Drawer
132: Drawer
136: Under the storage compartment
140: Sink cabinet
144: Drawer
146: Storage underneath
150:
152:
160: rail
162:
164:
168: Upper pulley
169: Lower pulley
P1: depth side viewpoint
P2: Starting point of rise
P3:
178:
188: Arrow
200: column member
202: spring
204: sliding member
204a:
206: beam
208: connection portion
210: connection portion
212: convex portion
213: Upper and lower groove
214:
215: Upper and lower rails
216: Arrow
217:
220: L
Claims (5)
상기 서랍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상기 적재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적재 부재를 지지하고 서랍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수납고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내되는 풀리를 갖고,
상기 풀리는 상기 지지 부재의 후방에 피봇 부착되어 있고,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을 인출하는 방향의 힘을 상기 지지 부재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고, 상기 경사부보다 깊이측에 설치된 수평부를 갖고,
상기 서랍을 수납하였을 때에 풀리가 위치하는 깊이측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의 교점인 상승 기점까지의 길이가, 상기 적재 부재의 깊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A drawer capable of slidably accommodating a drawer capable of containing a drawee therein,
A loading member disposed in the drawer and capable of loading the object to be loaded therein,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ad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which supports the stacking member and extends in a draw-out direction of the drawer,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includes a rail disposed on a wall surface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pulley guided by the rail,
The pulley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rail has an inclined portion that converts a force in a direc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into a force in a direction of raising the support member and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continuous to the inclined portion and is provided on a deeper side than the inclined portion,
Wherein a length from a depth side viewpoint where the pulley is located when the drawer is housed to a rising point that is an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longer than a depth of the stacking member.
상기 서랍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상기 적재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적재 부재를 지지하고 서랍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수납고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내되는 풀리를 갖고,
상기 풀리는 상기 지지 부재의 후방에 피봇 부착되어 있고,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을 인출하는 방향의 힘을 상기 지지 부재를 상승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고, 상기 경사부보다 깊이측에 설치된 수평부를 갖고,
상기 수납고로부터 상기 서랍을 최대한 인출하였을 때에 풀리가 위치하는 전방측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의 교점인 상승 기점까지의 길이가, 상기 서랍을 최대한 인출하였을 때의 상기 서랍의 돌출량에서 상기 적재 부재의 깊이를 뺀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A drawer capable of slidably accommodating a drawer capable of containing a drawee therein,
A loading member disposed in the drawer,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ad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which supports the stacking member and extends in a draw-out direction of the drawer,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includes a rail disposed on a wall surface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pulley guided by the rail,
The pulley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rail has an inclined portion that converts a force in a direction of pulling out the drawer into a force in a direction of raising the support member and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continuous to the inclined portion and is provided on a deeper side than the inclined portion,
Wherein a length from a front side view point where a pulley is positioned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to a rising point that is an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part and the inclined part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ojected amount of the drawer Is shorter than the length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epth of the stacking member.
상기 적재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acking member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단부를 상기 기둥 부재에, 하단부를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부가하여, 상기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rawer includes: a column member adjacent to the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a spring connect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lumn member,
The spring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column member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raises the stacking member by adding a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o a force for moving the supporting member upw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29051A JP5199144B2 (en) | 2009-02-10 | 2009-02-10 | Storage |
JPJP-P-2009-029051 | 2009-02-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1904A KR20100091904A (en) | 2010-08-19 |
KR101668115B1 true KR101668115B1 (en) | 2016-10-20 |
Family
ID=4259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1805A KR101668115B1 (en) | 2009-02-10 | 2010-02-09 | Cabine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199144B2 (en) |
KR (1) | KR101668115B1 (en) |
CN (2) | CN201658027U (en) |
TW (1) | TWI488600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6934B1 (en) * | 2017-08-09 | 2018-06-12 | 주식회사 다산퍼스 | A desk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99144B2 (en) * | 2009-02-10 | 2013-05-15 | クリナップ株式会社 | Storage |
DE102017104336A1 (en) * | 2017-03-02 | 2018-09-06 |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 Cabinet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cabinet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
KR20190109069A (en) * | 2018-03-16 | 2019-09-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N109109758B (en) * | 2018-09-18 | 2020-07-07 | 江苏亚楠电子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vehicle-mounted tool box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09393779A (en) * | 2018-11-06 | 2019-03-01 | 福建钢泓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tainless steel kitchen cabinet drawing basket with automatic lifting knife rest |
CN111657688B (en) * | 2019-03-06 | 2021-10-26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Lifting drawer |
CN111214028B (en) * | 2020-03-02 | 2024-09-10 | 广东皮阿诺科学艺术家居股份有限公司 | Lifting drawer cabinet |
KR20210124828A (en) | 2020-04-07 | 2021-10-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cooling system and method us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thermoelectric modu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30564A (en) | 2006-06-16 | 2007-12-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loor cabinet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3738U (en) * | 1990-03-01 | 1991-11-21 | ||
JPH06245829A (en) * | 1993-02-23 | 1994-09-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Up and down device for a drawer of storage box |
US6349913B1 (en) * | 2000-10-06 | 2002-02-26 | Collins & Aikman Products Co. |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
JP4155143B2 (en) * | 2003-09-16 | 2008-09-24 | 松下電工株式会社 | Cabinet drawer |
KR100555826B1 (en) * | 2003-10-04 | 2006-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JP3113738U (en) * | 2004-11-24 | 2005-09-22 | 由江 坂野 | Lower drawer guide structure |
CN2785453Y (en) * | 2004-12-24 | 2006-06-07 | 王家荣 | Drawer capable of push and pull, up and down |
CN201055528Y (en) * | 2007-06-25 | 2008-05-07 | 陈如金 | Sterilizing cabinet |
JP5199144B2 (en) * | 2009-02-10 | 2013-05-15 | クリナップ株式会社 | Storage |
-
2009
- 2009-02-10 JP JP2009029051A patent/JP5199144B2/en active Active
-
2010
- 2010-02-08 TW TW099103846A patent/TWI488600B/en active
- 2010-02-09 KR KR1020100011805A patent/KR10166811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02-10 CN CN2010201162621U patent/CN201658027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0-02-10 CN CN201010118013.0A patent/CN10179709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30564A (en) | 2006-06-16 | 2007-12-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loor cabine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6934B1 (en) * | 2017-08-09 | 2018-06-12 | 주식회사 다산퍼스 | A desk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032755A (en) | 2010-09-16 |
JP2010183989A (en) | 2010-08-26 |
TWI488600B (en) | 2015-06-21 |
CN101797099B (en) | 2014-08-20 |
KR20100091904A (en) | 2010-08-19 |
JP5199144B2 (en) | 2013-05-15 |
CN101797099A (en) | 2010-08-11 |
CN201658027U (en) | 201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8115B1 (en) | Cabinet | |
TWI484932B (en) | Storage box | |
KR101699076B1 (en) | Cabinet | |
KR101735827B1 (en) | Cabinet | |
KR101688229B1 (en) | Cabinet | |
KR20170001040A (en) | Height adjustable storage funiture using an empty space | |
JP5448483B2 (en) | Storage | |
JP5448486B2 (en) | Storage | |
JP5448506B2 (en) | Storage | |
JP5052183B2 (en) | Kitchen storage | |
JP5448484B2 (en) | Storage | |
JP5199145B2 (en) | Storage | |
JP5253296B2 (en) | Storage | |
JP5448488B2 (en) | Storage | |
JP5448485B2 (en) | Storage | |
JP2010233851A (en) | Storage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