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523B1 -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523B1
KR101666523B1 KR1020140167496A KR20140167496A KR101666523B1 KR 101666523 B1 KR101666523 B1 KR 101666523B1 KR 1020140167496 A KR1020140167496 A KR 1020140167496A KR 20140167496 A KR20140167496 A KR 20140167496A KR 101666523 B1 KR101666523 B1 KR 10166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polyvinyl alcohol
fiber
fi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330A (ko
Inventor
정철헌
한기영
서용석
박종문
Original Assignee
깨끗한나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깨끗한나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깨끗한나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5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06M13/148Polyalcohols, e.g. glycerol or gluc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킨 수분해성 섬유 시트로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 로 포함하며, 상기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WATER-DISINTEGRATABLE FIBER SHEET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습윤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수분해성이 우수한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엉덩이 등의 피부를 닦기 위해, 또는 화장실 주변의 청소를 위해서 섬유 시트가 사용된다. 이 섬유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화장실에 그대로 떠내려 버릴 수 있도록 수분해성인 것이 좋다. 그러나, 화장실 등에 떠내려 버렸을 경우, 수분해성이 좋은 것이 아니라면 정화조에서 분산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또한, 화장실 등의 배수구를 막히게 해 버릴 위험성도 있다. 일반적으로, 청정제 등으로 적신 상태로 포장되는 섬유 시트는 청정제 등이 함침한 상태로 와이핑 작업에 견딜 만큼의 충분한 강도가 필요하고, 또한 화장실에 떠내려 버렸을 때에는 물에 분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분해성이 좋고, 또한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한 수분해성 섬유 시트가 개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3-292924호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에 붕산 수용액을 함침시킨 수분해성 청소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6-198778호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부직포에 붕산이온 및 중탄산이온을 함유시킨 수분해성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붕산이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하여 교차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섬유와 섬유를 결합시킴으로써 섬유 시트가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섬유 시트를 만드는 경우, 대량의 결합제, 즉 폴리비닐알코올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소위 잡화 제품은 그 제품의 이송 또는 보관 중에 차 속이나 창고 속에 놓아 두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했을 경우, 폐쇄된 공간 내에서는 온도가 바깥 기온보다 상승하게 된다. 또한, 가정 내에서의 보관에 관해서도 한여름이라도 되면 40℃의 환경하에 제품이 놓여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미리 적신 상태로 포장하여 제품으로서 시장에 출하하는 경우, 고온 하에 놓아 두면 수분해성과 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그러한 고온하의 환경에서도 수분해성 섬유 시트로서의 수분해성 및 강도를 잃지 않는 일, 즉 내열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각 공보에 개시된 수분해성 청소 물품 및 수분해성 부직포에 있어서, 그 물품의 내열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고가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습윤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수분해성이 우수한 섬유 시트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습윤 강도 및 수분해성이 우수한 섬유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킨 수분해성 섬유 시트로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 로 포함하며, 상기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를 혼합하여 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섬유 시트를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함침액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냉수 중에서도 쉽게 분산되며, 습윤 강도 또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킨 수분해성 섬유 시트로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 로 포함하며, 상기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냉수에서도 쉽게 분산되며, 습윤 강도 또한 우수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1 중량% 내지 3 중량% 및 제지용 펄프 섬유 97 중량% 내지 99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 시트를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함침액에 함침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습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분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는 섬유 시트의 습윤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는 합성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7 중량% 내지 86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12 중량% 내지 28 중량%의 황산 나트륨(sodium sulfate)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섬유에 함유되는 물의 함량은 상기 합성섬유의 함수율 또는 수분율(moisture regain)을 의미하며, 상기 합성 섬유는 고체 기재(solid base)이다.
상기 합성 섬유 중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67 중량% 미만이면, 섬유 시트의 습윤 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86 중량% 초과이면, 섬유 시트가 딱딱하게 되어 소프트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저하되고, 수분해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상기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18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12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이 1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습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4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습윤 강도가 저하되며, 수분해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 에탄올과 글리세린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불용화시켜 섬유간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함침액 중 글리세린은 피부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우수한 보습성과 수분보유성을 가지며, 안전성, 안정성 및 가격 등의 면에서 가장 범용성이 높은 보습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7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가 발현되어 섬유 시트의 사용시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함침액의 부피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0ml 내지 1000ml, 바람직하게는 300ml 내지 700ml,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ml 내지 600ml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킨 상태, 즉 축축한 상태에서도, 섬유 시트의 강도는 알코올에 의한 폴리비닐알코올의 염석에 의해 그대로 유지된다. 즉 섬유 간의 접합 강도 저하가 방지된다. 그리고 알코올이 물에 용해됨에 따라, 염석되어 있던 폴리비닐알코올도 용해되어 수분해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 사용되는 제지용 펄프 섬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제지용 펄프 섬유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활엽수 펄프 섬유, 침엽수 펄프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엽수 펄프 섬유는 활엽수 크래프트 펄프일 수 있고, 상기 침엽수 펄프 섬유는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 좋은 섬유가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란 수분해성과 같은 의미로서, 다량의 물과 접촉함에 따라 세분화되는 성질을 일컫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평량이 20g/m2 내지 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량이 20g/m2 미만이면, 와이핑 작업용 시트로서 섬유 시트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반면에 평량이 100g/m2 초과이면, 섬유 시트로서의 유연성이 결여되고, 이러한 경우에 섬유 시트를 형성하면, 폴리비닐알코올이 다량으로 사용되어 수분해성이 결여되게 된다. 인체를 닦는 용도나 청소용으로서 와이핑 작업에 사용되는 섬유 시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평량이 30g/m2 내지 50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통상의 기온보다 높은 온도, 예컨대 40℃ 분위기 하에서 보관 시에도 수분해성 및 습윤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수온이 낮은 물 속, 예컨대 10℃의 물 속에서도 수분해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계면활성제, 살균제, 보존제, 탈취제, 보습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 시트에 함침시킬 알코올을 함유하는 함침액에 상기 물질을 추가로 함유시켜 섬유 시트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엉덩이 닦기 등의 인체 피부에 사용하는 웨트 티슈로서, 변기 주위의 청소용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미리 축축하게 하여 제품으로 포장되는 경우에는, 섬유 시트가 건조되지 않도록 밀봉 포장하여 판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건조 상태로 판매될 수도 있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 시트가 건조된 상태로 판매되어, 사용할 때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함침액에 함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를 혼합하여 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섬유 시트를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함침액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제지용 펄프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혼합하여 시트의 원료를 제조하고, 초지기(抄紙機, 둥근 망)를 사용하여 습식 초지법에 의해 상기 혼합 원료로부터 섬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섬유 시트는 압착과 건조를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섬유 시트는 섬유 시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습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분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는 합성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7 중량% 내지 86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12 중량% 내지 28 중량%의 황산 나트륨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 중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67 중량% 미만이면, 섬유 시트의 습윤 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86 중량% 초과이면, 섬유 시트가 딱딱하게 되어 소프트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저하되고, 수분해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 사용되는 제지용 펄프 섬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제지용 펄프 섬유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활엽수 펄프 섬유, 침엽수 펄프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엽수 펄프 섬유는 활엽수 크래프트 펄프일 수 있고, 상기 침엽수 펄프 섬유는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18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12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이 1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습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4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습윤 강도가 저하되며, 수분해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함침액 중 글리세린은 피부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우수한 보습성과 수분보유성을 가지며, 안전성, 안정성 및 가격 등의 면에서 가장 범용성이 높은 보습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7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가 발현되어 사용시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평량이 20g/m2 내지 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해성 섬유 시트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계면활성제, 살균제, 보존제, 탈취제, 보습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 시트에 함침시킬 알코올을 함유하는 함침액에 상기 물질을 추가로 함유시켜 섬유 시트를 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39.5 중량% 및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59.5 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상품명 Mewlon, UNITIKA LTD.사의 제품) 1 중량%를 혼합하여 시트의 원료를 제조하였다.
그 후, 초지기(抄紙機, 둥근 망)를 사용하여 습식 초지법에 의해 상기 원료로부터 평량 70g/m2의 섬유 시트를 초지한 후 45±0.25%로 압착 탈수하여 습지를 제조하였다. 압착 탈수된 수초지를 110℃의 온도 하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섬유 시트를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4 중량%의 글리세린, 17.6 중량%의 에탄올 및 70 중량%의 증류수로 구성된 함침액 500ml에 함침시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의 함량을 1 중량%에서 2 중량%로 변경하고,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39.5 중량%에서 39 중량%로 변경하고,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59.5 중량%에서 59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의 함량을 1 중량%에서 3 중량%로 변경하고,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39.5 중량%에서 38.5 중량%로 변경하고,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59.5 중량%에서 58.5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글리세린의 함량을 12.4 중량%에서 8 중량%로 변경하고, 에탄올의 함량을 17.6 중량%에서 12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글리세린의 함량을 12.4 중량%에서 16.5 중량%로 변경하고, 에탄올의 함량을 17.6 중량%에서 23.5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39.5 중량%에서 40 중량%로 변경하고,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59.5 중량%에서 60 중량%로 변경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사용 아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의 함량을 1 중량%에서 4 중량%로 변경하고,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39.5 중량%에서 38 중량%로 변경하고,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의 함량을 59.5 중량%에서 58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글리세린의 함량을 12.4 중량%에서 4.1 중량%로 변경하고, 에탄올의 함량을 17.6 중량%에서 5.9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글리세린의 함량을 12.4 중량%에서 20.6 중량%로 변경하고, 에탄올의 함량을 17.6 중량%에서 29.4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수분해성 섬유 시트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섬유 시트의 수분해성, 습윤강도 및 습윤신장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 - 수분해성의 측정
500ml의 비이커에 물 20℃의 물 300ml를 넣고 마그네틱 스터러(magnetic stirrer)를 비이커 내에 위치시켰다. 마그네틱 스터러의 회전자의 회전수를 600회전/분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100mmⅹ100mm(가로ⅹ세로)가 되도록 자른 시편을 가로 세로로 1회씩 접어서 비이커 내에 투입하고 스톱워치를 작동시켰다. 회전자에 시편이 뭉쳐 있다가 완전히 풀릴 때, 스톱워치를 멈추고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5회 반복 시험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험예 2 - 습윤강도 및 습윤신장률의 측정
100mmⅹ200mm(가로ⅹ세로)가 되도록 자른 시편을 인장강도 측정기(Hounsfield사의 UTM H5KT)에 고정시키고 원단이 끊길 때까지 들어간 힘과 신장된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를 5회 반복 시험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시편 조성 및 물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1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의 혼합량은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함침액의 알코올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함침액의 알코올 함량의 변화에 따른 섬유 시트의 물성 변화값을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2는 함침액의 알코올 함량은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의 혼합량을 변화시키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의 혼합량의 변화에 따른 섬유 시트의 물성 변화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의
혼합량
(중량%)
함침액 중 에탄올
함량
(중량%)
함침액 중 글리세린 함량
(중량%)
수분해성
(초)
습윤강도
(N/15mm)
습윤
신장률
(%)
비교예 3 1 5.9 4.1 34.7 0.55 3.55
실시예 4 1 12.0 8.0 38.1 0.60 3.61
실시예 1 1 17.6 12.4 41.6 0.63 3.72
실시예 5 1 23.5 16.5 44.5 0.59 3.43
비교예 4 1 29.4 20.6 47.6 0.55 3.06
구분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의
혼합량
(중량%)
함침액 중 에탄올
함량
(중량%)
함침액 중 글리세린 함량
(중량%)
수분해성
(초)
습윤강도
(N/15mm)
습윤
신장률
(%)
비교예 1 0 17.6 12.4 35.1 0.58 3.62
실시예 1 1 17.6 12.4 41.6 0.63 3.72
실시예 2 2 17.6 12.4 42.1 0.65 3.77
실시예 3 3 17.6 12.4 42.7 0.66 3.89
비교예 2 4 17.6 12.4 49.0 0.70 4.31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함침액 내의 에탄올과 글리세린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섬유 시트의 수분해성이 향상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함침액 내의 글리세린과 에탄올의 함량이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4의 경우 습윤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의 혼합량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 중량%인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1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초과인 비교예 2의 경우보다 수분해성 및 습윤 강도 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의 물성과 관련하여, 수분해성은 44.5초 이하, 습윤 강도는 0.59N/15mm 이상 및 습윤신장률은 3.4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습윤 강도가 0.59 N/15mm 내지 0.66 N/15mm로 우수하게 유지되면서도, 수분해성이 38.1초 내지 44.5초로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해성 섬유 시트는 냉수 중에서도 수분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킨 수분해성 섬유 시트로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는 합성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7 중량% 내지 86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12 중량% 내지 28 중량%의 황산 나트륨(sodium sulfate)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은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8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12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수분해성 섬유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용 펄프 섬유는 활엽수 펄프 섬유, 침엽수 펄프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수분해성 섬유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평량이 20g/m2 내지 100g/m2인, 수분해성 섬유 시트.
  7. (a)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 및 제지용 펄프 섬유를
    혼합하여 섬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섬유 시트를 함침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의 글리세린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함침액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는 합성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7 중량% 내지 86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12 중량% 내지 28 중량%의 황산 나트륨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섬유 시트는 섬유 시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섬유를 1 중량% 내지 3 중량%로 포함하는, 수분해성 섬유 시트의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140167496A 2014-11-27 2014-11-27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96A KR101666523B1 (ko) 2014-11-27 2014-11-27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96A KR101666523B1 (ko) 2014-11-27 2014-11-27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330A KR20160064330A (ko) 2016-06-08
KR101666523B1 true KR101666523B1 (ko) 2016-10-17

Family

ID=5619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96A KR101666523B1 (ko) 2014-11-27 2014-11-27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5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3070B2 (ja) * 2007-05-28 2011-07-27 花王株式会社 水解性物品
KR101380902B1 (ko) 2013-02-26 2014-04-02 김봉각 세안용 이지 클렌징 티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2190A1 (de) * 1985-06-21 1987-01-02 Roeh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irnseitigen verschweissen von buendeln von formkoe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nter druckanwen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3070B2 (ja) * 2007-05-28 2011-07-27 花王株式会社 水解性物品
KR101380902B1 (ko) 2013-02-26 2014-04-02 김봉각 세안용 이지 클렌징 티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330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4188B2 (en) Water-disintegratable fibrous sheet
AU718323B2 (en) Water-disintegratable fibrous sheet containing fibers having different fiber length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935384A (en) Water-disintegrable paper having moisture retaining proper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8297543B2 (en) Methods for individualizing trichomes
KR101877081B1 (ko) 정균성 티슈 제품
BRPI0619239A2 (pt) produtos de tecido previamente umidificado
EP2450487B1 (en) Biodegradable sterilization wrap
JP5969301B2 (ja) 薬液が付与された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薬液が付与された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CN108078859A (zh) 一种婴儿湿纸巾及其制备方法
KR102249682B1 (ko)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723416B2 (ja) 保湿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245216A (ja) 拭取り用シート
KR101666523B1 (ko) 수분해성 섬유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431837A (zh) 一种保湿美容纸巾及其制备方法
CN104005259A (zh) 一种具有阻燃效果的高透气水松纸原纸及其制备方法
CN107217527A (zh) 一种保湿润滑纸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100933462B1 (ko)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JP5765872B2 (ja) 拭取り用シート製品
CN109464055A (zh) 一种保湿柔软抗菌纸巾的制备方法及制备的纸巾
KR100814478B1 (ko) 코코넛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8842519A (zh) 一种绿色环保制造优质空气过滤纸的方法
KR20190036051A (ko)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CN106176424A (zh) 一种修护型沐浴露及其制备方法
AU740254B2 (en) Water-disintegratable fibrous sheet containing fibres having different fibre lengths
CN113699825A (zh) 一种不易破碎的卫生纸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