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508B1 -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508B1
KR101666508B1 KR1020150137148A KR20150137148A KR101666508B1 KR 101666508 B1 KR101666508 B1 KR 101666508B1 KR 1020150137148 A KR1020150137148 A KR 1020150137148A KR 20150137148 A KR20150137148 A KR 20150137148A KR 101666508 B1 KR101666508 B1 KR 10166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s
sharing
shared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이순천
장미라
권순진
남희원
신용민
박성철
박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포트나인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포트나인, 김기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포트나인
Priority to KR102015013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포함된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 파일을 포함하는 메인 데이터 정보 중 하나 이상과, 레이어 공유를 위해 필요한 부가 데이터 정보를 제2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을 상기 제2 장치와 공유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2 장치에 상기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중첩되어 상기 제2 장치에서 공유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제2 장치에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제2 장치에 공유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장치들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서 공유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장치에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과 어떤 순서대로 중첩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 장치 사용자의 상황과 편의에 맞게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LAYER SHARING SYSTEM ENABLING LAYER TO BE OVERLAPPED}
본 발명은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장치에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중첩되어 제2 장치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복수의 장치들 간에, 출력되는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필요가 증가하면서, 미러링(mirroing)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러링 기술이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복수의 장치들 간에 출력되는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미러링 기술을 적용하면, 작은 화면의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보는 사용자가 큰 화면에서 영화를 보고 싶을 때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큰 화면의 TV와 미러링하여 큰 화면의 TV에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의 자료가 노트북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사람들이 작은 화면의 노트북을 보면서 회의에 참여하기 힘든데, 노트북과 큰 화면의 프로젝터를 미러링하면 프로젝터 화면을 통해 다수의 사람들이 쉽게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미러링 기술에서는 장치 간에 일대일로 화면을 공유할 수는 있었지만, 다수의 장치에서 각각 전달되는 화면이 하나의 장치에서 공유되어 표시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이와 같은 출력되는 화면을 공유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5-0032066호(발명의 명칭: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공개 일자: 공개일자 2015년 03월 25일), 공개특허 제10-2015-0026367호(발명의 명칭: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공개 일자: 공개일자 2015년 03월 11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2 장치에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제2 장치에 공유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장치들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장치에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과 어떤 순서대로 중첩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 장치 사용자의 상황과 편의에 맞게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공유할 수 있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은,
제1 장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포함된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 파일을 포함하는 메인 데이터 정보 중 하나 이상과, 레이어 공유를 위해 필요한 부가 데이터 정보를 제2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을 상기 제2 장치와 공유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2 장치에 상기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중첩되어 상기 제2 장치에서 공유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로부터 레이어의 공유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제3 장치와 레이어를 공유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들로부터 복수개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전달받은 복수개의 레이어들 중 공유할 하나 이상의 특정 레이어들만 선택하여, 상기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 위에 중첩시켜 공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로부터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으로 중첩시켜 공유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로부터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를 상기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전체 위에 중첩시키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일부 위에 중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장치(100)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와 상기 전달받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어떤 순서로 중첩시킬지를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실행되는 레이어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를 출력해주는 출력부;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부;
레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선택된 중첩 방식과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공유될 수 있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부(150, 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의 역할이 바뀔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는 레이어 공유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는,
하나의 레이어 중 특정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제2 장치에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제2 장치에 공유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장치들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서 공유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장치에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과 어떤 순서대로 중첩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 장치 사용자의 상황과 편의에 맞게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는 노트북이고, 제2 장치는 스크린인 경우, 노트북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 레이어에 포함된 문서 파일과 부가 데이터 정보를 스크린에 전달하여 공유함으로써, 노트북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가 스크린에 출력되어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인 노트북으로부터 제2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제3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 및 제4 장치로부터 레이어의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제3 장치 및 제4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2 장치에서 제3 장치 및 제4 장치로부터의 레이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경우, 어떤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를 공유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고, 제3 장치로부터의 레이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경우, 제1 장치와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으로 중첩시킬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를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전체 위에 중첩시켜 공유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일부 위에 중첩시켜 공유한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 및 제4 장치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어떤 순서대로 중첩시킬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레이어”와 “레이어의 공유”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의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레이어란,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 파일 등의 메인 데이터 정보와 메인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 재생되는데 필요한 부가 데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정보 집합의 층을 의미한다. 이때 부가 데이터 정보에는, 메인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 재생되는 레이아웃 정보를 나타내는 레이아웃 데이터, 레이어의 메인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 재생되는 타임정보를 나타내는 타임정보 데이터, 레이어의 메인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 재생되는 페이지 정보를 나타내는 페이지정보 데이터 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부가 데이터 정보는 이렇게 레이아웃 데이터, 타임정보 데이터, 페이지정보 데이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앱(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데이터, 기기의 하드웨어 정보, 부착 센서 등의 결과 정보 및 데이터 등 메인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 재생되는데 필요한 임의의 데이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를 제2 장치(200)에 전달하여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 간에 레이어가 공유된다 함은, 제1 장치의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레이어가 제2 장치(200)의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1 장치(100)인 스마트폰에서 동영상 레이어를 제2 장치(200)인 TV에 전달하여 공유하면, 스마트폰의 출력부(화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영상은 TV의 출력부(화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는 노트북이고, 제2 장치는 스크린인 경우, 노트북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 레이어에 포함된 문서 파일과 부가 데이터 정보를 스크린에 전달하여 공유함으로써, 노트북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가 스크린에 출력되어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 레이어에 포함된 파워포인트 파일과 부가 데이터 정보를 제2 장치(200)에 전달하여,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 간에 제1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서 파일은,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오피스 프로그램 군에 포함되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나 한글과 컴퓨터사의 한컴오피스 또는 어도비(Adobe)사의 아크로뱃(Acrobat) 뿐만 아니라, 인프라웨어(Infraware)사의 폴라리스 오피스군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인 노트북으로부터 제2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제3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300)로부터 제2 장치(200)에 레이어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장치(200)의 출력부(210)에 제3 장치(300)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고, 제2 장치(200)의 사용자 제3 장치(300)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 및 제4 장치로부터 레이어의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제3 장치 및 제4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300) 및 제4 장치(400)로부터 레이어의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장치(300) 및 제4 장치(400)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200)의 출력부(210)에 나오게 되고, 제2 장치(200)의 사용자가 레이어의 공유를 수락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를 공유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200)의 출력부(210)에 나올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 따라, 제2 장치(200)의 사용자는, 제3 장치(300) 및 제4 장치(4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중 하나의 장치에서 전달된 레이어만 공유되도록 선택할 수 있고, 제3 장치(300) 및 제4 장치(400)에서 전달된 레이어가 모두 공유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고, 제3 장치로부터의 레이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경우, 제1 장치와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으로 중첩시킬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300)로부터의 레이어의 공유 요청이 제2 장치(200)에서 수락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와 제3 장치(300)에서 전달받은 레이어를 어떤 방식으로 중첩시킬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오고, 제2 장치(200)의 사용자는 제1 장치(100)와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에 대한 중첩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를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전체 위에 중첩시켜 공유한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300)로부터의 레이어 공유 요청이 제2 장치(200)에서 수락되고,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와 제3 장치(300)에서 전달받은 레이어를 같은 크기로 중첩시키기로 선택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와 공유되고 있는 레이어의 전체 위에 제3 장치(300)에서 전달된 레이어가 중첩되어, 제3 장치(300)에서 실행되고 있는 화면이 제2 장치(200) 출력부(210)에 공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일부 위에 중첩시켜 공유한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300)로부터의 레이어 공유 요청이 제2 장치(200)에서 수락되고, 제3 장치(300)에서 전달받은 레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 위에 중첩시키기로 선택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장치(300)에서 전달된 레이어의 크기가 조절된 후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일부 위에 중첩되어 제2 장치(200)의 출력부(210)에 공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의 크기 조절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드래그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 조절방식이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 및 제4 장치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어떤 순서대로 중첩시킬지를 묻는 메시지가 제2 장치의 출력부에 나오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 및 제4 장치로부터의 레이어 공유 요청이 제2 장치(200)에서 수락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제3 장치(3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제4 장치(4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순으로 중첩 시킬 수 있고, 제1 장치(1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제4 장치(3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제3 장치(300)에서 전달된 레이어 순으로 중첩 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제2 장치(200)는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어떤 순서대로 중첩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 따라, 4개 이상의 다른 장치들과의 레이어 공유를 수락한 경우, 레이어들의 중첩순서는 도 8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장치(200)를 통해 임의의 순서대로 중첩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는, 출력부(110, 210), 통신부(120, 220), 저장부(130. 230) 및 제어부(140, 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력부(150, 2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는, 스마트폰, PDA, PMP, 테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게임기, TV, 컴퓨터, 노트북, 프린터, 오디오, 구글 글래스, 및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시계 등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장치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는 레이어 공유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의 역할은 바뀔 수도 있다.
출력부(110, 210)는 제1 장치(100) 또는 제2 장치(200)에서 실행되거나 다른 장치에서 전달받은 레이어 또는 제1장치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결과물(앱의 생성정보나 데이터)을 출력해주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출력부(110)인 스크린과 스피커를 통해서 실행 중이거나 다른 장치에서 전달받은 동영상 레이어를 스크린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100)가 전자 프린터인 경우, 제2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문서 레이어를 출력하여 인쇄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 220)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는 통신부를 통해 레이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 230)는 각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의 목록을 포함한 정보, 다른 장치와 공유했던 레이어의 히스토리 목록을 포함한 정보, 또는 다른 장치와 현재 공유 중인 레이어의 목록을 포함한 정보, 공유 파일 또는 데이터 정보, 앱 및 기기정보, 회원정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레이어의 정보는, 어떤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또는 게임 레이어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지, 다른 장치와 공유 됐었는지, 또는 다른 장치와 현재 공유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 240)는 통신부(130, 230)를 통해 전달받은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선택된 중첩방식과 중첩순서에 따라 출력부(110, 210)에 공유될 수 있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이미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2 장치(200)에서 제3 장치(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를 실행시켜 출력시켜줄 프로그램이 제2 장치(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제2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키게 함으로써,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와 제1 장치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가 선택된 중첩방식과 중첩 순서에 따라 출력부(240)에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 25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50, 250)는 다른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에 대한 선택, 레이어들의 중첩 방식 및 중첩 순서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 따라, 특정 개인이 제어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공유 스크린에 다른 장치로부터 레이어가 전달된 경우, 스크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갖고 있는 관리자를 통해 다른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에 대한 선택, 레이어들의 중첩 방식 및 중첩 순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과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는 장치의 사용자를 통해 스크린과 다른 장치와의 레이어 공유 여부에 대한 선택, 레이어들의 중첩 방식 및 중첩 순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50, 250)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IR센서, 카메라(카메라센서), 마이크(소리센서), 냄새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입력부(150, 250)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50, 250)로서, 제1 장치(100) 또는 제2 장치(200)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모듈 또는 장치들이 입력부(150, 250)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100: 제1 장치 110: 출력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50: 입력부
200: 제2 장치 210: 출력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240: 제어부 250: 입력부
300: 제3 장치 400: 제4 장치

Claims (11)

  1. 제1 장치(100)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포함된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 파일을 포함하는 메인 데이터 정보 중 하나 이상과, 레이어 공유를 위해 필요한 부가 데이터 정보를 제2 장치(200)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앱,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음성, 사진, 문서 및 게임을 상기 제2 장치(200)와 공유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2 장치(200)에 상기 제1 장치(100)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들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이어가 전달될 때, 전달된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중첩되어 상기 제2 장치(200)에서 공유하되,
    상기 제2 장치(200)는,
    상기 제1 장치(100)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제3 장치(300)로부터 레이어의 공유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제3 장치(300)와 레이어를 공유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1 장치(100)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장치(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들을 어떤 방식으로 중첩시켜 공유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200)는,
    상기 제1 장치(100)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들로부터 복수개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전달받은 복수개의 레이어들 중 공유할 하나 이상의 특정 레이어들만 선택하여, 상기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 위에 중첩시켜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200)는,
    상기 제1 장치(100)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된 레이어를 상기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전체 위에 중첩시키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전달된 레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의 일부 위에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200)는,
    상기 제1 장치(100)와 레이어를 공유하고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제3 장치(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장치(100)와 공유하고 있는 레이어와 상기 전달받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어떤 순서로 중첩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장치(200)는,
    실행되는 레이어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어를 출력해주는 출력부(110, 210);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부(120, 220);
    레이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30, 230); 및
    상기 통신부(120,220)를 통해 전달받은 복수개의 레이어들이 선택된 중첩 방식과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부(110, 210)에 공유될 수 있게 제어하는 제어부(140, 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100) 또는 상기 제2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부(150, 2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100)와 상기 제2 장치(200)의 역할이 바뀔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100)와 상기 제2 장치(200)는 레이어 공유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100)는,
    하나의 레이어 중 특정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10).
KR1020150137148A 2015-09-25 2015-09-25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66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48A KR101666508B1 (ko) 2015-09-25 2015-09-25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48A KR101666508B1 (ko) 2015-09-25 2015-09-25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508B1 true KR101666508B1 (ko) 2016-10-24

Family

ID=5725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148A KR101666508B1 (ko) 2015-09-25 2015-09-25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5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209A (ko) * 2013-04-26 2014-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35323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8683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컨텐츠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209A (ko) * 2013-04-26 2014-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35323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8683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컨텐츠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1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US104396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100339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US20170003927A1 (en) Screen sharing presentation system
CN110597774A (zh) 一种文件分享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及终端设备
TW201330907A (zh) 協同娛樂平臺
KR20190046072A (ko) 라이브 방송 중 음성 피드백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10176427A1 (en) Dynamic shared experience recommendations
EP33421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KR102408778B1 (ko) 인터넷 전화 기반 통화 중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056001A1 (en) INTERACTIVE VIDEOCONFERENCE SYSTEM AND METHOD
US9860487B2 (en) Video conference data generation
KR101740667B1 (ko)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공유중인 레이어를 또 다른 장치로 전달하여 공유할 수 있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666508B1 (ko) 레이어의 중첩이 가능한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20190032754A (ko) 디바이스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 좌표 간격을 이용하여 화면이 동일하게 표시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740683B1 (ko)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된 레이어가 출력부에 출력되게 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664947B1 (ko)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20220145148A (ko) 실시간 화면 결과의 공유가 가능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CN108886513B (zh) 具有经节制内容流的协作平台
KR20190032750A (ko) 디바이스 크기와 무관하게 화면이 동일하게 표시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JP659267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11601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and video within an acceptable delay tolerance
US20220368740A1 (en) Coordinating output of content during a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JP2018530944A (ja) 異種ネットワーキング環境におけるメディアレンダリングの同期化
TW201423417A (zh) 數位資料即時分享系統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