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313B1 -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313B1
KR101666313B1 KR1020150090782A KR20150090782A KR101666313B1 KR 101666313 B1 KR101666313 B1 KR 101666313B1 KR 1020150090782 A KR1020150090782 A KR 1020150090782A KR 20150090782 A KR20150090782 A KR 20150090782A KR 101666313 B1 KR101666313 B1 KR 10166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atabase
terminal
recording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묵
태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to KR102015009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7/3028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속도를 향상시켜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UMS type Terminal, Database Renewal System thereof,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Medium to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가 이동식 디스크로써 컴퓨터와 연결되는데 사용되는 방식에는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TP; Media Transfer Protocol) 방식과 유에스비 대용량 단말기(UMS; Universal serial bus Mass Storage) 방식이 사용된다.
MTP 방식은 국제 이미징 산업 협회(I3A; International Imaging Industry Association)가 고안한 사진 전송 프로토콜(PTP; Picture Transfer Protocol)을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디지털 카메라 외에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이동형 미디어 장치 또는 휴대형 비디오 플레이어 등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확장한 것이다. MTP 방식은 USB로 구현되며, MTP 방식의 장치에 접속하는 호스트를 MTP 개시자(MTP Initiator)라고 하고, MTP 방식의 장치는 MTP 응답자(MTP Responder)라 한다.
한편, UMS 방식은 USB에 관련된 인플리멘터스 포럼(Implementers Forum)이 규정한 컴퓨팅 통신 프로토콜로서, USB로 연결되는 장치에 대하여 하드디스크 수준의 섹터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프로토콜이다. UMS 방식에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은 FAT, FAT32, NTFS 등이 사용되는데 이는 호스트 컴퓨터가 직접 지정하고 관리한다. UMS 방식은 디지털 카메라나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장치들에 복잡한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닌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 역할만 수행함으로써, UMS 방식의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읽기와 쓰기기능이 MTP 방식에 비하여 쉽다.
MTP 방식과 UMS 방식을 구분하는 방법은 단말기를 USB 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했을 때, 예를 들어 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 탐색기에 '단말기 모델명/Phone'같이 휴대용 장치 형식으로 나타나면 MTP 방식이고, 'E:'와 같이 드라이브 형식으로 나타나면 UMS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MTP 방식 또는 UMS 방식의 단말기는 인쇄하기 전의 문서형식의 파일, 음원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과 같은 미디어 파일을 비롯한 각종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
MP3플레이어나 PMP(Portable media player)와 같은 UMS 방식의 단말기는 그 단말기 내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된 파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UMS 방싱의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효율적으로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UMS 방식의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되어 단말기 내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에 의해 삭제, 수정, 복사 등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UMS 방식의 특성상 상기 단말기는 단순 데이터 저장소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컴퓨터에 의한 파일들의 변경 사항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UMS 방식의 단말기와 컴퓨터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UMS 방식의 단말기는 그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전체를 스캔하여 파일들의 변경 사항을 검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UMS 방식의 단말기는 컴퓨터와 접속 해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해 단말기 내에 저장된 파일 전체에 대하여 스캔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UMS 방식의 단말기를 사용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기의 용량이 증가하거나 상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파일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파일들을 스캐닝하는 대기시간이 더욱 길어지며, 이는 곧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기까지의 시간이 더욱 오래걸리게 되는 바, 사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대기시간, 단말기의 응답성 또는 사용성을 향상시킨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유엠에스(UMS; Universal Mass Storage) 방식으로 컴퓨터와 연결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기록부,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갱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파일의 생성, 삭제, 저장, 변경, 복사, 또는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컴퓨터의 연결시에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파일은 텍스트형식의 파일, 레지스트리 형식의 파일 또는 이진 형식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가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서 상기 파일의 변경에 대한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기록부,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갱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파일의 생성, 삭제, 저장, 변경, 복사, 또는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파일은 텍스트 형식의 파일, 레지스트리 형식의 파일 또는 이진 형식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가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파일 전체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스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부가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가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검출부가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부가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정보에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는 검출부(110), 기록부(120), 갱신부(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가 컴퓨터(1)와 연결된 경우,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가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기록부(120)에 변경된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은 상기 파일의 생성, 삭제, 저장, 변경, 복사 또는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는 컴퓨터와 연결된 경우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 역할만을 수행하며, 컴퓨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을 읽고 쓰고 삭제하는 등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엠에스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이 컴퓨터에 의해 변경된 경우 검출부(110)는 상기 파일들에 변경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변경 사항을 기록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검출부(110)는 일 예로서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후킹방식은 운영체제나 응용 소프트웨어와 같은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간에 발생하는 함수의 호출, 메시지 또는 이벤트 등을 중간에서 바꾸거나 가로채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 검출부(110)는 상기 명칭이 변경되는 명령이 포함되는 함수의 호출, 메시지 또는 이벤트를 상기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검출하여 기록부(120)에 변경된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가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상기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차후 파일의 변경이 완료된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가 컴퓨터(1)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가 저장하고 있는 파일 전체를 스캐닝할 필요없이 변경된 사항만을 검출하여 상기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01)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기록부(120)는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부(120)는 검출부(110)가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었다고 검출한 경우, 검출부(110)로부터 변경된 사항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록파일은 텍스트형식의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10)가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파일의 명칭이 "Music.mp3"에서 "Music001.mp3"로 변경되었다고 검출한 경우, 기록부(120)는 "Music.mp3"파일의 명칭이 "Music001.mp3"로 변경되었음을 기록한 기록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부(120)는 상기 기록파일을 상기 텍스트형식의 파일 이외에도 레지스트리(Registry) 형식의 파일 또는 이진(Binary) 형식의 파일로도 저장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파일은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파일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구체적으로, 레지스트리 파일은 단말기(100)의 정보,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파일들의 변경된 사항, 파일의 경로 또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파일의 형식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기록부(120)는 검출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변경된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기(100)의 정보 또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파일들의 경로와 같은 세부정보까지 상기 레지스트리 파일에 포함할 수 있다.
이진 파일은 사람이 판독할 수 있는 상기 텍스트형식의 파일과는 달리 이진수, 즉 0 또는 1로 이루어지는 기계어로 기록되는 파일로서, 단말기(10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판독할 수 있다.
즉, 이진 파일은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0 또는 1로 이루어지는 기계어로 기록되어 단말기(10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즉, 기록부(120)는 검출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변경된 정보를 상기 이진 파일로 생성할 수 있고, 갱신부(140)는 상기 이진 파일을 스캔하여 변경된 사항을 데이터베이스(101)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101)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부(140)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가 컴퓨터(1)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기록부(120)가 기록한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데이터베이스(101)에 반영하도록 데이터베이스(101)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경우, 갱신부(140)는 기록부(120)가 생성한 기록파일을 읽고 기록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며, 파일 명칭이 변경된 변경 사항이 데이터베이스(101)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101)를 갱신할 수 있다.
종래의 단말기는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이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되면 종래의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전체에 대하여 스캐닝을 실시하여 저장된 파일의 변경여부를 검출하고 이를 반영하도록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되는바 파일 스캐닝 시간 및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간으로 인하여 단말기 사용을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단말기와 컴퓨터 사이의 접속 해제시 마다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 전체를 스캐닝하므로 단말기의 전력을 소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최근들어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수가 점차 많아질 수 있어 상기 문제점은 더욱 심화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는 그 내부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에 저장된 파일 전체를 스캔하여 파일들의 변경사항을 검출하지 않고, 상기 변경된 사항이 기록된 기록파일을 읽고 기록파일에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데이터베이스(101)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101)를 갱신할 수 있는 바, 종래의 단말기에 비해 대기시간이 짧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1) 갱신을 위해 파일 전체를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파일만을 스캔하므로 단말기의 전력을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는 검출부(210), 기록부(220), 판단부(230) 및 갱신부(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말기(200)의 검출부(210), 기록부(220), 및 갱신부(240)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의 검출부(110), 기록부(120), 및 갱신부(14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단부(2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가 컴퓨터(1)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기록부(220)가 생성한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하여 변경된 경우, 기록부(220)가 상기 변경된 사항을 기록한 상기 기록파일을 생성하고,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후, 판단부(230)는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갱신부(240)에 신호를 전달하면 갱신부(240)는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201)를 갱신할 수 있다.
반대로,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하여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부(220)가 상기 기록파일을 생성하지 않게 되는 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후, 판단부(230)는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갱신부(240)가 데이터베이스(201)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판단부(230)는 갱신부(240)가 기록파일을 스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전에 기록파일의 유무를 판단하고,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갱신부(240)가 기록파일을 스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가 판단부(230)를 포함하면 판단부(230)가 상기 기록파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에 저장된 상기 파일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200)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갱신부(240)가 데이터베이스(201)를 갱신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더욱 짧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스캐닝 시스템(3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 사용되며,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300)은 검출부(310), 기록부(320) 및 갱신부(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부(310)는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가 컴퓨터(1)와 연결된 경우,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가 저장하고 있는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기록부(320)에 변경된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은 상기 파일의 생성, 삭제, 저장, 변경, 복사 또는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검출부(310)는 일 예로서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 검출부(310)는 상기 명칭이 변경되는 명령이 포함되는 함수의 호출, 메시지 또는 이벤트를 상기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검출하여 기록부(320)에 변경된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기록부(320)는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부(320)는 검출부(310)가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었다고 검출한 경우, 검출부(210)로부터 변경된 사항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록파일은 텍스트형식의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310)가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파일의 명칭이 "Music.mp3"에서 "Music001.mp3"로 변경되었다고 검출한 경우, 기록부(320)는 "Music.mp3"파일의 명칭이 "Music001.mp3"로 변경되었음을 기록한 기록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부(320)는 상기 기록파일을 상기 텍스트형식의 파일 이외에도 레지스트리(Registry) 형식의 파일 또는 이진(Binary) 형식의 파일로도 저장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파일은 단말기(300) 또는 단말기(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파일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구체적으로, 레지스트리 파일은 단말기(300)의 정보, 단말기(300) 내에 저장된 파일들의 변경된 사항, 파일의 경로 또는 단말기(300) 내에 저장된 파일의 형식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기록부(320)는 검출부(3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변경된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기(300)의 정보 또는 단말기(300) 내에 저장된 파일들의 경로와 같은 세부정보까지 상기 레지스트리 파일에 포함할 수 있다.
이진 파일은 사람이 판독할 수 있는 상기 텍스트형식의 파일과는 달리 이진수, 즉 0 또는 1로 이루어지는 기계어로 기록되는 파일로서, 단말기(30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판독할 수 있다.
즉, 이진 파일은 단말기(300) 내에 저장된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0 또는 1로 이루어지는 기계어로 기록되어 단말기(30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즉, 기록부(320)는 검출부(3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변경된 정보를 상기 이진 파일로 생성할 수 있고, 갱신부(340)는 상기 이진 파일을 스캔하여 변경된 사항을 데이터베이스(2)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부(340)는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가 컴퓨터(1)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갱신부(340)는 기록부(320)가 기록한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데이터베이스(2)에 반영하여 재구축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경우, 갱신부(340)는 기록부(320)가 생성한 기록파일을 읽고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며, 파일 명칭이 변경된 변경 사항이 데이터베이스(2)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2)를 재구축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할 수 있다.
종래의 단말기는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이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되면 종래의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전체에 대하여 스캐닝을 실시하여 저장된 파일의 변경여부를 검출하고 이를 반영하도록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되는바 파일 스캐닝 시간 및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간으로 인하여 단말기 사용을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단말기와 컴퓨터 사이의 접속 해제시 마다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 전체를 스캐닝하므로 단말기의 전력을 소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최근들어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수가 점차 많아질 수 있어 상기 문제점은 더욱 심화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300)은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 저장된 파일 전체를 스캔하여 상기 파일들의 변경사항을 검출하지 않고, 상기 변경된 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파일을 읽고 기록파일에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데이터베이스(2)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할 수 있는 바,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에 비해 대기시간이 짧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4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400)은 검출부(410), 기록부(420), 판단부(430) 및 갱신부(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400)의 검출부(410), 기록부(420), 및 갱신부(440)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300)의 검출부(310), 기록부(320), 및 갱신부(34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단부(4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스캐닝 시스템(400)이 컴퓨터(1)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기록부(420)가 생성한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하여 변경된 경우, 기록부(420)가 상기 변경된 사항을 기록한 상기 기록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후, 판단부(430)는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갱신부(440)에 신호를 전달하면 갱신부(440)는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하여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부(420)가 상기 기록파일을 생성하지 않게 되는 바,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후, 판단부(430)는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갱신부(440)가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판단부(430)는 갱신부(440)가 기록파일을 스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전에 기록파일의 유무를 판단하고,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갱신부(440)가 기록파일을 스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을 갖는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스캐닝 시스템(400)이 판단부(430)를 포함하면 판단부(430)가 상기 기록파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파일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와 컴퓨터(1)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갱신부(440)가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하는 과정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더욱 짧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S5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S500)은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 사용되고, 검출부, 기록부 및 갱신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S500)은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 200)가 컴퓨터(1)와 접속된 경우(S510),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부(110, 210, 310, 410)가 검출한다(S520). 검출부(110, 210, 310, 410)가 상기 파일이 컴퓨터(1)의 상기 명령에 의해 변경되었다고 검출한 경우, 기록부(120, 220, 320, 420)는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검출부(110, 210, 310, 41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한다(S530).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100, 200)가 컴퓨터(1)와 접속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하여(S540) 접속이 해제된 경우, 갱신부(140, 240, 340, 440)는 기록부(120, 220, 320, 420)가 생성한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고(S550),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데이터베이스(101, 201, 2)를 재구축하여 갱신한다(S560).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기나 시스템은 단말기 내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단말기 내에 저장된 파일 전체를 스캐닝하여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성도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S500)은 파일이 컴퓨터(1)의 명령에 의하여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파일 전체를 스캐닝하지 않고, 상기 변경된 사항이 기록된 기록파일을 스캐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의 대기시간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이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컴퓨터
2, 101, 201: 데이터베이스
100, 200: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110, 210: 검출부
120, 220: 기록부
140, 240: 갱신부
300, 400: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Claims (2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유엠에스(UMS; Universal Mass Storage) 방식으로 컴퓨터와 연결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기록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갱신부;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구비하며,
    상기 갱신부는,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파일의 생성, 삭제, 저장, 변경, 복사, 또는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컴퓨터의 연결시에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파일은 텍스트형식의 파일, 레지스트리 형식의 파일 또는 이진 형식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가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서 상기 파일의 변경에 대한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기록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갱신부;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구비하며,
    상기 갱신부는,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갱신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파일의 생성, 삭제, 저장, 변경, 복사, 또는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후킹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파일은 텍스트 형식의 파일, 레지스트리 형식의 파일 또는 이진 형식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가
    상기 기록파일에 기록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파일 전체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서 상기 파일의 변경에 대한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갱신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에서 상기 파일의 변경에 대한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단말기가 컴퓨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파일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변경된 사항을 기록하여 기록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을 스캔하여 상기 변경된 사항이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갱신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와 접속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록파일을 읽어 상기 기록파일에 저장된 상기 변경된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상기 기록파일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지 않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삭제
KR1020150090782A 2015-06-25 2015-06-25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6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82A KR101666313B1 (ko) 2015-06-25 2015-06-25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82A KR101666313B1 (ko) 2015-06-25 2015-06-25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313B1 true KR101666313B1 (ko) 2016-10-13

Family

ID=5717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82A KR101666313B1 (ko) 2015-06-25 2015-06-25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013Y1 (ko) * 2004-07-08 2004-10-19 (주)잉카엔트웍스 이종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갖는 휴대용 멀티미디어장치
KR20060004210A (ko) * 2004-07-09 2006-01-12 오종택 유/무선 하드를 이용한 자동 파일 갱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79559A1 (en) * 2012-01-08 2013-07-11 Yi-Chieh Chen Control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mpatible with universal serial bus mass storage device class protocol
KR20130121937A (ko) * 2011-01-14 2013-11-06 애플 인크. 데이터 동기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013Y1 (ko) * 2004-07-08 2004-10-19 (주)잉카엔트웍스 이종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갖는 휴대용 멀티미디어장치
KR20060004210A (ko) * 2004-07-09 2006-01-12 오종택 유/무선 하드를 이용한 자동 파일 갱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1937A (ko) * 2011-01-14 2013-11-06 애플 인크. 데이터 동기화
US20130179559A1 (en) * 2012-01-08 2013-07-11 Yi-Chieh Chen Control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mpatible with universal serial bus mass storage device class protoc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5853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50032690A1 (en) Virtual synchronization with on-demand data delivery
BR112014003009B1 (pt) Método, dispositivo e meio de armazenamento
CN1992055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2007523409A (ja) コンテンツの同期/追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00217750A1 (en) Archive apparatus, conversion apparatus and conversion program
CN100530190C (zh) 用于处理信息的装置和方法
US20080228693A1 (en) Recycle Bin Function
CN109885577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1211367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7423095B (zh) 适配硬件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6484779B (zh) 文件操作方法及装置
US20070025197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CN102004653B (zh) 图像形成装置以及安装方法
US97539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file system using virtual block device
KR101666313B1 (ko) 유엠에스 방식의 단말기,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4667225B2 (ja) 制御装置およびコピー制御方法
KR101889222B1 (ko) 악성코드탐지를 수행하는 이동식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8588851B2 (en) Android mobile telephone comprising a content supply chain
US20080226264A1 (en) Recording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286448B (zh) 对象访问方法、装置、电子设备及机器可读存储介质
US20090169185A1 (en) Optical disk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 optical disk playback apparatus
US11243844B2 (en) Method for enhancing speed of incremental backup, bridge device, and storage system
CN112988072B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4445944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