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462B1 -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462B1
KR101665462B1 KR1020140175341A KR20140175341A KR101665462B1 KR 101665462 B1 KR101665462 B1 KR 101665462B1 KR 1020140175341 A KR1020140175341 A KR 1020140175341A KR 20140175341 A KR20140175341 A KR 20140175341A KR 101665462 B1 KR101665462 B1 KR 10166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rilling equipment
stop command
controller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412A (ko
Inventor
정호영
하권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4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4/00Automatic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operations, i.e. self-operating systems which function to carry out or modify a drilling 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a human operator, e.g. computer-controlled drilling system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drilling variables or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1 비상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ESD 시스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 및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 및 상기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SHUT-DOWN OF DRILLING EQUIPMENT IN DRILLSHIP}
본 발명은 드릴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해양 플랜트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양 플랜트에는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데릭 시스템, 드로워크스(draw works), 탑드라이브, 머드펌프, 시멘트 펌프, 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의 각종 시추 관련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다.
드로워크스는 드릴 파이프의 승강, 케이싱의 삽입 등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드럼 및 모터를 포함한다. 드럼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드릴 파이프의 승강을 조절한다. 모터는 속도 조절이 가능하여 드럼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릴 파이프의 속도가 조절된다.
탑드라이브는 시추 작업에서 시추 및 파이프 체결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비이다.
드릴비트가 땅을 뚫을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드릴비트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윤활작용을 하여 드릴링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해서, 드릴 파이프 속으로는 머드를 삽입하고, 이 머드는 드릴비트를 통해 빠져 나가 케이싱과 라이저를 통하여 시추선으로 되돌아 오는데, 머드 펌프는 머드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시추작업용 머드를 이송시키는 펌핑력을 제공한다.
해양 플랜트에는 근해의 일 지점에 정박하여 시추 작업을 하는 고정식 플랫폼과 3,000m 이상의 심해에서 시추 작업이 가능한 부유식 해양 플랜트가 있다.
부유식 해양 플랜트에는 주 추진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한 동적 위치 제어(Dynamic Positioning)를 위한 추진 장치로서 복수 개의 쓰러스터(thruster)가 설치된다. 쓰러스터는 프로펠러의 작용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선저에 설치된 추진기로 보통 항해 또는 예인선 없이 자력으로 운하를 운항하거나 입출항하기 위해 사용된다. 쓰러스터는 쓰러스터에 연결된 쓰러스터 모터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릴쉽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10)에서 발생된 교류 전력은 A.C 버스로 공급되고, A.C 버스에는 제1 AC/DC 변환기(121), 제2 AC/DC 변환기(122) 및 제3 AC/DC 변환기(123)가 연결되어 있다.
제1 AC/DC 변환기(121)는 A.C 버스로부터 공급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제1 DC 버스(131)로 공급하고, DC/AC 변환기(171)는 제1 DC 버스(131)로부터 공급받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제1 쓰러스터 모터(181)로 공급한다.
제2 AC/DC 변환기(122)는 A.C 버스로부터 공급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제2 DC 버스(132)로 공급하고, DC/AC 변환기(172)는 제2 DC 버스(132)로부터 공급받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제2 쓰러스터 모터(182)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3 AC/DC 변환기(123)는 A.C 버스로부터 공급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제3 DC 버스(133)로 공급하고, 제3 DC 버스(133)에는 복수의 DC/AC 변환기들(141 내지 149)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DC/AC 변환기들(141 내지 149) 각각은 제3 DC 버스(133)로부터 공급받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복수의 드로워크스 모터들(151, 152, 153, 158, 159), 복수의 탑드라이브 모터들(154, 155), 머드 펌프 모터(156) 및 시멘트 펌프 모터(167) 중 자신에게 연결된 모터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는 비상 감지 센서(210), ESD(Emergency Shut Down) 시스템(220), 드릴링 장비 제어기(230) 및 DC/AC 변환기(240)를 포함한다.
비상 감지 센서(210)는 해양 플랜트의 곳곳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한다. 비상 감지 센서(210)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 및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ESD 시스템(220)은 비상 상황에서 해양 플랜트의 안전을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ESD 시스템(220)은 비상감지센서(210)와 연결되어, 비상감지센서(210)로부터 비상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양플랜트를 보호하도록 해양 플랜트 내의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
ESD 시스템(220)은 비상감지센서(210)로부터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240)로 전송한다. 그러면, DC/AC 변환기(240)는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2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ESD 시스템(220)은 비상 정지를 했다는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230)를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드릴링 작업 또는 머드 순환 동작 중에도 ESD 시스템에 의해 갑자기 시추 장비가 비상 정지될 수 있다. 시추작업은 서서히, 안전하게 멈추어야 하는데, ESD 시스템에 의한 갑작스런 정지는 시추 관련 작업을 하는 작업자 및 해양 플랜트에게 아주 심각한 물리적인 손상 또는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선행기술 : 일본 공개 번호 2006-117179호(2006.05.1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상황에서 시추 장비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키는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1 비상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ESD 시스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 및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 및 상기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제1 비상 감지 센서 및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상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드로워크스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드로워크스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탑드라이브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탑드라이브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시멘트 펌프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시멘트 펌프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1 비상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했음을 알리는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ESD 시스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2 비상 감지 신호 또는 상기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 및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 및 상기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비상 감지 신호를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비상감지센서; 상기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 및 상기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에 있어서, 제1 비상 감지 센서가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ESD 시스템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변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ESD 시스템이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상기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을 수신하면 알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요청 확인을 입력받아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C/AC 변환기가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은 제2 비상 감지 센서가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상기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람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상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상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드로워크스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드로워크스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탑드라이브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탑드라이브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시멘트 펌프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시멘트 펌프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링 장비 제어기에 연결된 비상 감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비상 감지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시추 장비의 정지를 막을 수 있고, 드릴링 장비 제어기에 연결된 비상 감지 센서와 ESD 시스템에 연결된 비상 감지 센서가 모두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 시추 장비를 정지시킴으로써 시추 장비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ESD 시스템이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면 드릴링 장비 제어기가 알람을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작업자로부터 정지 명령을 입력받으면 시추 장비를 정지시킴으로써, 비상 시 시추 장비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릴쉽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발전기(310), AC/DC 변환기(320), DC 버스(bus)(321), VFD(variable frequency drive) 제어부(330), DC/DC 변환기(351 내지 353), DC/AC 변환기(341 내지 349), 전력 부하(361 내지 369),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 저항부(381 내지 383) 및 센서(391)를 포함한다.
발전기(310)는 해양플랜트에서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AC 버스를 통해 AC/DC 변환기(320)로 연결된다. 발전기(310)에서 생산된 전력은 변압기에서 전력 부하들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전압으로 변경된 후, AC/DC 변환기(320)로 공급될 수 있다. 발전기(310)는 교류 발전기로서 교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AC/DC 변환기(320)는 발전기(310)에서 생산된 교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DC 버스(321)로 공급한다.
DC 버스(321)는 DC 버스(321)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직류 전력을 이용하는 전력 부하는 DC 버스(321)에 바로 연결될 수 있고, 교류 전력을 이용하는 전력 부하는 DC/AC 변환기(341 내지 349)를 통해 DC 버스(3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전력 부하들(361 내지 369)은 교류 전력을 이용하는 전력 부하들로서, DC/AC 변환기(341 내지 349)를 통해 DC 버스(321)에 연결되어 있다. DC/AC 변환기(341 내지 349)는 DC 버스(321)로부터 공급받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전력 부하(361 내지 369)로 공급한다.
전력 부하들(361 내지 369)은 드로워크스 모터, 탑드라이브 모터, 머드 펌프 모터, 시멘트 펌프 모터일 수 있다.
도 3에는 DC 버스(321)에 전력 부하로서 메인 드로워크스의 모터 3 대(361 내지 363), 탑드라이브 모터 2대 (364 내지 365), 머드펌프 모터 1 대(366), 시멘트 펌프 모터 1대(367), 보조 드로워크스 모터 2대(368 내지 369)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드로워크스 모터, 탑드라이브 모터, 머드펌프 모터 및 시멘트 펌프 모터가 DC 버스(321)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드로워크스의 모터(361 내지 363)는 메인 드로워크스를 작동시키는 모터이고, 보조 드로워크스의 모터(368 내지 369)는 보조 드로워크스를 작동시키는 모터이다. 드로워크스는 드릴 파이프 등의 시추 장비를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드로워크스의 모터는 정격으로 회전하다가 회전을 갑자기 멈추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등 제동이 자주 발생하는 운전 특성상, 드로워크스의 모터에서는 회생 전력이 발생한다.
탑드라이브 모터(364 내지 365)는 탑드라이브를 작동시키는 모터이다. 탑드라이브는 시추 작업에서 시추 및 파이프 체결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비로서, 탑드라이브의 모터(364 내지 365)도 정격으로 회전하다가 회전을 갑자기 멈추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등 제동이 자주 발생하여 회생 전력이 발생한다.
머드 펌프 모터(366)는 머드 펌프를 작동시키고, 시멘트 펌프 모터(367)는 시멘트 펌프를 작동시킨다.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는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1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면 DC 버스(32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저장하고,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2 시간 동안 제2 임계치 이하를 유지하면 DC 버스(321)로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DC 버스(321)가 720 V용이고 750 V 이상이 되면 트립된다고 가정하면, 제1 임계치는 740 V로 설정될 수 있다.
DC/DC 변환기(351 내지 353)는 DC 버스(321)의 전압을 측정하다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면 DC 버스(321)로부터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에 전력이 저장되도록 하고,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2 시간 동안 제2 임계치 이하를 유지하면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부터 DC 버스(321)로 전력이 흐르게 하여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부터 DC 버스(32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전력 부하(361 내지 365, 368 내지 369)에서 회생 전력이 발생하면 DC 버스(321)의 전압이 올라가고, 전력 부하(361 내지 365, 368 내지 369)의 소비전력이 갑자기 올라가면 DC 버스(321)의 전압이 떨어진다.
즉, 전력 부하(361 내지 365, 368 내지 369)에서 회생 전력이 발생하면 DC 버스(321)의 전압이 올라가고,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1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면 DC/DC 변환기(351 내지 353)가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에 전력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부하(361 내지 363)에서 발생된 회생 전력이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전력 부하(361 내지 365, 368 내지 369)의 소비전력이 갑자기 올라가면 DC 버스(321)의 전압이 내려가고,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2 시간 동안 제2 임계치 이하를 유지하면 DC/DC 변환기(351 내지 353)가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부터 DC 버스(321)로 전력이 흐르게 하여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부터 DC 버스(32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는 울트라 캐패시터, 캐패시터, 배터리 및 플라이휠(fly wheel)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가 울트라 캐패시터인 경우, 울트라 캐패시터는 반응속도가 발전기(310)보다 빨라서 전력 부하(361 내지 365, 368 내지 369)의 소비전력이 갑자기 올라갈 때, 전력 부하(361 내지 363)에 빠르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는 과도 상태 또는 정전 발생 시에도 DC 버스(321)로 전력을 공급한다. 과도 상태 또는 정전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391)가 과도 상태 또는 정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DC/DC 변환기(351 내지 353)로 전송하고 DC/DC 변환기(351 내지 353)가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로부터 DC 버스(32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센서(391)는 스위치 보드 및 DC 버스(321)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드로워크스 및 탑드라이브와 같은 드릴링 장비의 경우 갑작스럽게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과도 상태 또는 정전 발생 시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가 DC 버스(321)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드릴링 장비가 안전하게 셧다운(shutdown)할 수 있다.
저항부(381 내지 383)는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3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면 전력을 소모한다. 이때, 제3 시간은 제1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다.
전력 부하(361 내지 365, 368 내지 369)에서 회생 전력이 발생하면 DC 버스(321)의 전압이 올라가고 제1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면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가 전력을 저장한다. 그리고,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의 용량이 다 찬 경우에는 DC 버스(321)의 전압이 떨어지지 않고 계속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3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한다는 것은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의 용량이 다 찬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런데,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의 용량이 다 찬 상태에서 회생 전력이 계속 발생하면 DC 버스(321)의 전압이 계속 올라가서 DC 버스(321)가 트립될 수 있다. 따라서, DC 버스(321)의 전압이 제3 시간 동안 제1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면 DC/DC 변환기(351 내지 353)는 저항부(381 내지 383)가 전력을 소모하도록 한다.
도 3에는 3 개의 전력 저장부(371 내지 373) 및 3 개의 저항부(381 내지 383)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전력 저장부와 저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는 비상 감지 센서(410), ESD(Emergency Shut Down) 시스템(420), 드릴링 장비 제어기(430) 및 DC/AC 변환기(440)를 포함한다.
비상 감지 센서(410)는 해양 플랜트의 곳곳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420)으로 전송한다. 비상 감지 센서(410)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 및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ESD 시스템(420)은 비상 상황에서 해양 플랜트의 안전을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ESD 시스템(420)은 비상감지센서(410)와 연결되어, 비상감지센서(410)로부터 비상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양플랜트를 보호하도록 해양 플랜트 내의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
ESD 시스템(420)은 비상감지센서(410)로부터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시추 장비 비상 정지 요청을 드릴링 장비 제어기(430)로 전송한다. 그러면, 드릴링 장비 제어기(430)는 시추 장비 비상 정지 요청을 수신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한다. 작업자가 알람을 확인한 후, 비상 정지 요청 확인을 입력하면, 드릴링 장비 제어기(430)는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한다.
드릴링 장비 제어기(410)는 드릴링에 관련된 장비를 제어한다. 드릴링은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해저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고, 드릴링에 관련된 장비에는 드로워크스, 탑드라이브, 머드 펌프, 시멘트 펌프 등이 있다. 드로워크스는 드로워크스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탑드라이브는 탑드라이브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머드 펌프는 머드 펌프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세멘트 펌프는 시멘트 펌프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드로워크스는 드로워크스 제어기가 제어하고, 탑드라이브는 탑드라이브 제어기가 제어하고, 머드 펌프는 머드 펌트 제어기가 제어하고, 시멘트 펌프는 시멘트 펌프 제어기가 제어한다. 드로워크스 제어기, 탑드라이브 제어기, 머드 펌프 제어기, 시멘트 펌프 제어기는 드릴링 제어 시스템(DCS, drilling control system)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모터(450)는 드로워크스 모터, 탑드라이브 모터, 머드 펌프 모터, 또는 시멘트 펌프 모터일 수 있고, 드릴링 장비 제어기(430)는 드로워크스 제어기, 탑드라이브 제어기, 머드 펌프 제어기 또는 시멘트 펌프 제어기일 수 있다. 드로워크스 제어기는 드로워크스 모터를 제어하고, 탑드라이브 제어기는 탑드라이브 모터를 제어하고, 머드 펌프 제어기는 머드 펌프 모터를 제어하고, 시멘트 펌프 제어기는 시멘트 펌프 모터를 제어한다.
DC/AC 변환기(440)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430)로부터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4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감지 센서가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510). 그러면, ESD 시스템은 시추 장비 비상 정지 요청을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고(S520), 시추 장비 비상 정지 요청을 수신한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작업자에게 시추 장비 비상 정지 요청을 수신했음을 알리는 알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530). 그리고,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요청 확인을 입력받으면(S540),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한다(S550). 그러면 DC/AC 변환기가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56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는 제1 비상 감지 센서(610), ESD(Emergency Shut Down) 시스템(620), 제2 비상 감지 센서(660),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 및 DC/AC 변환기(640)를 포함한다.
제1 비상 감지 센서(610)는 해양 플랜트의 곳곳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620)으로 전송한다. 제1 비상 감지 센서(610)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 및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ESD 시스템(620)은 비상 상황에서 해양 플랜트의 안전을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ESD 시스템(620)은 제1 비상감지센서(610)와 연결되어, 제1 비상감지센서(610)로부터 비상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양플랜트를 보호하도록 해양 플랜트 내의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
ESD 시스템(620)은 제1 비상감지센서(610)로부터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고,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했음을 알리는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로 전송한다.
제2 비상 감지 센서(660)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와 연결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로 전송한다. 제2 비상 감지 센서(660)는 시추 장비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비상 감지 센서(660)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 및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는 제2 비상 감지 신호 또는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한다. 작업자가 알람을 확인한 후,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하면,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는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한다.
DC/AC 변환기(640)는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 및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거나,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DC/AC 변환기(640)는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수신하고,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가 ESD 시스템(620)으로부터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아,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하면, DC/AC 변환기(640)가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즉, 제1 비상 감지 센서와 제2 비상 감지 센서가 모두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 제1 비상 감지 센서만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 제2 비상 감지 센서만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제1 비상 감지 센서와 제2 비상 감지 센서가 모두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에는 ESD 시스템(620)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하고,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가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한다. 따라서, DC/AC 변환기(640)는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과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고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제1 비상 감지 센서만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에는 ESD 시스템(620)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하고, ESD 시스템(620)은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만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ESD 시스템(620)이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로 전송하고,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가 ESD 시스템(620)으로부터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아,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하면, DC/AC 변환기(640)가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는 ESD 시스템(620)에 의해 시추 장비가 갑작스럽게 정지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작업자에 의해 안정적으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2 비상 감지 센서만 비상 상황을 감지한 경우에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630)가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하고, DC/AC 변환기(640)는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는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시추 장비 주변에 설치되고, 제2 비상 감지 센서가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면 드릴링 장비 제어기가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은 후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640)로 전송하므로 작업자의 확인을 거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시추 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상 감지 센서가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면(S710), ESD 시스템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고(S720),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한다(S730).
한편,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비상 상황을 감지하면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고(S740),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제2 비상 감지 신호 또는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한다(S750).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S760),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고(S770), DC/AC 변환기는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78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 : 발전기
320 : AC/DC 변환기
321 : DC 버스
330 : VFD 제어부
361 : 전력 부하
371 : 전력 저장부
381 : 저항부
391 : 센서
410 : 비상 감지 센서
420 : ESD 시스템
430 : 드릴링 장비 제어기
440 : DC/AC 변환기
450 : 모터
610 : 제1 비상 감지 센서
620 : ESD 시스템
630 : 드릴링 장비 제어기
640 : DC/AC 변환기
650 : 모터
660 : 제2 비상 감지 센서

Claims (16)

  1.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1 비상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ESD 시스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 및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 및 상기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 감지 센서 및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비상 감지 센서는 연기를 감지하는 스모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드로워크스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드로워크스 모터인,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탑드라이브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탑드라이브 모터인,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는 시멘트 펌프 제어기이고, 상기 시추 장비의 모터는 시멘트 펌프 모터인,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7.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ES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1 비상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비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DC/AC 변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했음을 알리는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ESD 시스템;
    상기 드릴쉽 내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제2 비상 감지 신호를 상기 드릴링 장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비상감지센서;
    상기 제2 비상 감지 신호 또는 상기 비상 정지 명령 전송 정보를 수신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하고, 작업자로부터 비상 정지 확인을 입력받으면,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상기 DC/AC 변환기로 전송하는 드릴링 장비 제어기; 및
    상기 제1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 및 상기 제2 시추 장비 비상 정지 명령을 모두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된 시추 장비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175341A 2014-12-08 2014-12-08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KR10166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41A KR101665462B1 (ko) 2014-12-08 2014-12-08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41A KR101665462B1 (ko) 2014-12-08 2014-12-08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12A KR20160069412A (ko) 2016-06-16
KR101665462B1 true KR101665462B1 (ko) 2016-10-12

Family

ID=5635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41A KR101665462B1 (ko) 2014-12-08 2014-12-08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191A (ko) 2020-06-23 2021-12-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로워크 능동모션보상시스템이 적용된 드릴쉽의 전력운영방법
KR20220058268A (ko) 2020-10-30 2022-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지능형 전력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179A (ja) 2004-10-25 2006-05-1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船舶の電気推進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ada Oil and Gas Installations Regulations SOR/96-118. Minister of Justice(Canada), 2009년 12월 31일 개정.*
James R.Hawkins. Beaufort Sea Exploration Program Appendix D Offshore Drilling Well Control. Imperial Oil, [online], 2009년 10월, [2016년 2월 3일 검색], 인터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12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25614A (ja) 掘削船における掘削設備の補助機器の制御と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JP6297157B2 (ja) 海上プラントのハイブリッド電力供給装置及び方法
KR101665462B1 (ko) 드릴쉽에서 시추 장비의 비상 셧다운 장치 및 방법
KR20170100909A (ko) 드릴쉽에서 드릴링 장비 및 드릴링 장비 보조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59414B1 (ko) 드릴쉽에서 드릴링 장비의 보조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39901A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59415B1 (ko) 드릴쉽에서 드릴링 장비의 보조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7427B1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71470B1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 비상 대응 장치 및 방법
KR101654591B1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7432B1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KR101654590B1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9465B1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KR101671471B1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 비상 대응 장치 및 방법
KR101640782B1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39897A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39896A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23155B1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60039898A (ko) 해양플랜트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23196A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60023197A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60048727A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60023199A (ko) 해양 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의 폐열 이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