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56B1 -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56B1
KR101665256B1 KR1020150093175A KR20150093175A KR101665256B1 KR 101665256 B1 KR101665256 B1 KR 101665256B1 KR 1020150093175 A KR1020150093175 A KR 1020150093175A KR 20150093175 A KR20150093175 A KR 20150093175A KR 101665256 B1 KR101665256 B1 KR 10166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endance
audible frequency
frequency signal
patter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채동규
한승철
임재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0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7C9/00031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은 미리 결정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에서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ATTENDANCE CHECK METHOD AND SYSTEM USING NON-AUDIBLE FREQUENCY AND PATTERN}
본 발명은 출석체크에 관한 것으로서, 비가청 주파수에 패턴을 도입하여 자동으로 출석을 체크할 수 있는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출결 관리에 있어, 가장 전통적인 방식이 이름을 호명하는 방식이며, 최근 RF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관리 시스템이 이루어지고 있다.
출결 관리를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국내공개특허 제2001-94565호의 전자 출석체크 시스템, 국내공개특허 제2011-8895호의 전자 교육관리 시스템, 국내공개특허 제2006-122487호의 출석 관리 시스템 및 출석체크 단말기의 운용방법,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257337호의 출석체크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을 이용한 것이 아니므로, 기술의 보급 및 활용 측면에서 많은 제약을 가진다.
그 밖에도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출석체크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로는 Attendance Tracker, 출석, Attendance Roster, K12 Attendance, Attendance App, iAttendance, Safety Attendance -Evaluation 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출석정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이며, 출석관리 및 통계/점수 산출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능 위주로 된 애플리케이션들이다.
또한, 비콘을 이용한 출석체크 시스템이 있으며,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은 태그방식의 NFC(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보다 더 쉽고 편리하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콘을 이용한 출석체크 시스템은 블루투스를 키고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끄고 켜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가청 주파수에 패턴을 도입하여 자동으로 출석을 체크할 수 있는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정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의 출석 체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은 미리 결정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에서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는 해당 수업 또는 해당 강의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에 수강자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패턴과 상기 수강자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패턴과 상기 전송한 패턴을 비교하여 두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지각, 결석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은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수강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수강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일정 패턴과 해당 수업 또는 해당 강의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비교하여 두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수신 여부와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지각, 결석을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출석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부는 해당 수업 또는 해당 강의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석 결정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패턴과 수강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턴과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을 비교하여 두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추출된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출석 결정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지각, 결석을 체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치된 앱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가청 주파수에 패턴을 도입하여 자동으로 출석을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의 출석 체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가청 주파수에 패턴을 도입하기 때문에 인식할 수 있는 많은 경우의 수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를 구비한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석체크 서버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의 또는 수업에 대응하는 출석을 체크하기 위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패턴을 도입하고, 패턴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 내에 출력함으로써, 출석 체크와 관련된 앱을 설치한 단말기에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출석 체크 시스템에 전송하고, 출석 체크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수강자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초음파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는 패턴은 수업 또는 강의, 강의자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은 단말기(110)와 출석체크 서버(120)를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출석 체크를 수행하기 위한 앱(이하, '출석 체크 앱'이라 칭함)이 설치된 수강자의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일정 공간 예를 들어, 강의 공간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 예를 들어, 초음파 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앱이 자동 실행되어 수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단말기(110)로 수신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해당 강의 또는 해당 수업에 해당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패턴은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헤더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 헤더에 "1AF3B53C" 와 같은 16진수 8자리형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110)는 주파수 헤더에 포함된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강의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110)에 설치된 출석 체크 앱은 수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출석 체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는데, 단말기(110)는 수강자 정보 예를 들어, 수강자 식별 정보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단말기(110)는 응답 신호에 수강자 정보 뿐만 아니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패턴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으며, 타인에 의한 대리 출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석 체크 앱이 설치된 단말기 정보 예를 들어, 단말기 전화 번호 등을 함께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출석 체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출석 체크 앱은 수강자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수강자 정보는 수강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로서, 출석 체크 서버(120)로부터 할당 받은 ID 일 수도 있고, 수강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물론, 수강자 정보가 수강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인 경우에는 설정된 정보가 출석 체크 서버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단말기(110)는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수신부(210), 전송부(230) 및 출석 체크 앱(220)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는 도 2에 비록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강의 공간 내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부(210)는 해당 강의 또는 해당 수업에 대응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출석 체크 앱(220)에 의해 수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응답 신호를 출석 체크 서버로 전송한다.
출석 체크 앱(220)은 수강자의 출석 체크를 수행하는 앱으로, 제어부(221)와 응답신호 생성부(222)를 포함한다.
제어부(221)는 출석 체크 앱(220)을 제어하는 구성 수단으로,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신호가 비가청 주파수 신호인지 판단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출석 체크 앱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응답 신호 생성부(222)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21)가 출석 체크 앱(2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도 있다. 즉, 단말기에 구성된 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출석 체크 앱을 자동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응답 신호 생성부(222)는 수강자의 출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헤더에 포함된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신호를 전송부(230)로 제공한다.
이 때, 응답 신호 생성부(222)는 추출된 패턴 정보와 미리 저장된 강의별 또는 수업별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수강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응답 신호 생성부(222)는 응답 신호 생성 시 해당 패턴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강의별 출석 정보를 출석체크 서버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단말기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된 후 응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석 체크가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보를 알림과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출석체크 서버(120)는 출석 체크를 수행하기 위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강의 공간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스피커는 강의 공간 내에 설치된 스피커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강의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스피커일 수도 있다.
출석체크 서버(120)는 강의자에 대한 정보, 수강자에 대한 정보, 강의별 패턴 정보, 강의별 출석 정보(출석, 지각, 결석) 등을 저장/관리할 수 있으며, 강의자의 요청에 따라 수강자의 출석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출석체크 서버(120)는 강의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강의의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 예를 들어,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데, 출석체크 서버(120)로 접속한 강의자 정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강의자는 강의자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강의자용 출석 체크 앱 또는 출석 체크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출석체크 서버(120)로 출석 체크를 요청할 수 있으며, 패턴 정보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헤더에 삽입될 수 있다.
출석체크 서버(120)에 미리 저장된 강의별 패턴 정보는 강의자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고,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출석체크 서버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출석체크 서버(120)는 해당 강의의 출석 체크를 수행하기 위해 전송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신호로부터 수강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수강자들 각각에 대한 출석 체크를 수행한다.
이 때, 출석체크 서버(120)는 강의자에 의해 출석 체크 입력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주기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출석한 수강자, 지각한 수강자 그리고 결석한 수강자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출석체크 서버(120)는 출석 체크 입력이 수신된 시점, 응답 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이용하여 수강자별 정상 출석과 지각을 구분할 수 있으며, 해당 강의가 종료되는 시간까지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수강자에 대해서는 결석 처리할 수 있다.
출석체크 서버(120)는 해당 강의에 대한 해당 강의에 대한 날짜, 시작 시간,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해당 강의에 대한 요일,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은 해당 강의자에 의해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출석체크 서버(120)는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수신부(310), 신호 생성부(320), 전송부(330), 출석 결정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수신부(310)는 강의 공간 내 스피커를 통해 전송되는 해당 강의에 대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유선 통신, 무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320)는 해당 강의에 대한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강의자에 의해 요청에 의해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신호 생성부(320)는 출석 체크를 요청한 강의자 정보 또는 강의 정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패턴 정보를 주파수 헤더에 삽입함으로써,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초음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신호 생성부(320)에 의해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일정 공간 내에 설치되거나 강의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출석 체크를 요청한 컴퓨터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전송부(330)는 출석체크 서버의 제어에 의해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 주기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출석 결정부(340)는 수신부(310)로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강의에 대한 수강자별 출석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출석 결정부(340)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강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강자에 대해 정상 출석 또는 지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출석 결정부(340)는 응답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전송한 시점 또는 해당 강의의 시작 시간을 고려하여,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이 비가청 주파수의 전송 시점 또는 강의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 해당 수강자에 대해 정상 출석으로 처리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수강자에 대해서는 지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출석 결정부(340)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에 대해서는 결석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출석 결정부(340)는 응답 신호에 패턴 정보가 포함된 경우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 정보와 해당 강의에 대한 패턴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출석 체크를 수행할 수 있고, 두 패턴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응답 신호에 대해 출석 체크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저장부(35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 수단으로, 강의별 시간 정보, 강의별 패턴 정보, 강의자 정보, 수강자 정보, 수강자별 출석 정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은 출석체크를 위해 해당 강의에 대한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 내에 출력함으로써, 출석체크 앱을 설치한 단말기에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출석체크 앱을 자동 실행하여 출석체크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수강자 각각에 대한 출석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시스템은 강의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강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출석체크 앱에서 수강자의 요청에 따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출석체크 서버에서 출석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는 수강자의 입력에 따라 출석체크 앱을 실행하고, 출석체크 앱에서 수강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강의에 대한 출석 체크 기능이 수행되면 해당 강의에 대한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해당 강의에 대한 패턴 정보, 수강자 정보, 필요에 따라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석체크 서버는 일정 공간 내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패턴 정보와 수강자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패턴 정보와 강의별 미리 저장된 패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두 패턴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강자의 출석 체크를 처리한다.
이 때, 출석체크 서버는 해당 강의에 대한 시간 정보,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수신 여부와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에 대한 출석, 지각, 결석을 처리 또는 체크할 수 있다. 즉, 출석체크 서버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수신 시점이 해당 강의 시작 시간에서 일정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수강자에 대해 정상 출석으로 처리 또는 체크할 수 있고,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에 대해서는 결석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의 출석체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은 강의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강의에 대한 일정 패턴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에 전송 또는 출력한다(S410, S420).
이 때,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일정 시간 주기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는 일정 공간 내에 설치된 스피커일 수도 있고, 강의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스피커일 수도 있다.
이 때, 단계 S410은 강의자 정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강의자는 강의자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강의자용 출석 체크 앱 또는 출석 체크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출석체크 서버로 출석 체크를 요청할 수 있으며, 패턴 정보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헤더에 삽입될 수 있다.
단계 S420에 의해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일정 공간 예를 들어, 강의실에 출력된 후 강의실에 해당 강의를 수강하기 위한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응답 신호 각각에 대하여 응답 신호로부터 수강자 정보와 패턴 정보를 추출한다(S430, S440).
이 때, 단계 S440은 응답 신호에 패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수강자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으며, 응답 신호에 수강자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단말기 정보 또한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수신되는 응답 신호는 단말기에 설치된 출석 체크 앱에서 생성되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출석 체크 앱은 단말기로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자동 실행되어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추출된 패턴 정보와 해당 강의에 대한 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두 패턴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추출된 수강자 정보에 대한 출석 체크를 수행한다(S450).
즉, 단계 S450은 두 패턴 정보가 일치하고 응답 신호가 수신된 시점이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전송한 시점을 기준으로 정상 출석 시간 이내인 경우 해당 수강자에 대해 정상 출석으로 체크하고, 정상 출석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수강자에 대해 지각으로 체크한다.
이 때, 단계 S450은 두 패턴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응답 신호에 대해 출석 체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강의 시간 동안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수강자에 대해서는 결석으로 체크할 수 있다.
도 4는 출석체크 서버에서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출석체크 시스템에서의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는 출석체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강의의 수강자에 대한 출석 체크를 수정할 수도 있고, 강의 시간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나아가, 해당 강의 시간이 종료되면, 수강자들에 대한 출석 결과를 강의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체크 방법은 일정 공간 예를 들어, 강의실의 해당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일정 패턴 즉 해당 강의에 대응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수강자 정보와 패턴 정보를 추출한다(S510, S520).
여기서,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단말기 사용자 즉, 수강자의 요청에 의해 출석 체크 앱에서 생성되어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수강자 정보, 패턴 정보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추출된 패턴 정보와 해당 강의에 대해 미리 결정된 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두 패턴이 일치하면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수신 시점과 추출된 수강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수강자의 출석 여부를 체크한다(S530, S540).
여기서,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강의실에 미리 설치된 마이크 또는 강의자의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추출된 패턴 정보와 강의별 미리 저장된 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패턴 정보가 있는 경우 일치하는 패턴 정보의 강의 시간을 고려하여 수강자의 출석을 체크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540은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수신 여부와 수신 시점 그리고 해당 강의의 강의 시간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지각, 결석을 체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미리 결정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에서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는
    해당 수업 또는 해당 강의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패턴과 미리 저장된 강의별 또는 수업별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상기 추출된 패턴과 수강자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패턴과 상기 전송한 패턴을 비교하여 두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출석체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지각, 결석을 체크하는 출석체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를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출석체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미리 결정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일정 공간에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일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수강자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출석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해당 수업 또는 해당 강의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패턴이 미리 저장된 강의별 또는 수업별 패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패턴과 수강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석 결정부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패턴과 상기 전송한 패턴을 비교하여 두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일정 시간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출석 결정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수강자들 각각의 출석, 지각, 결석을 체크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치된 앱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KR1020150093175A 2015-06-30 2015-06-30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KR10166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175A KR101665256B1 (ko) 2015-06-30 2015-06-30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175A KR101665256B1 (ko) 2015-06-30 2015-06-30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256B1 true KR101665256B1 (ko) 2016-10-12

Family

ID=5717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175A KR101665256B1 (ko) 2015-06-30 2015-06-30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2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14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에코 및 하울링 감지 장치, 방법 및 다자간 통화 장치
KR20200001413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캔디모바일 비가청 음파 기반의 도어락 관리서버, 도어락 장치, 도어 개폐 인증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220148956A (ko) * 2021-03-29 2022-11-08 주식회사 메조미디어 사용자 디바이스를 매개로 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8780A1 (en) * 2012-10-17 2014-04-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sound signal
KR101425345B1 (ko) * 2013-10-17 2014-08-01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
KR20150020319A (ko) * 2012-05-01 2015-02-25 엘아이에스엔알, 인크. 콘텐츠 전달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319A (ko) * 2012-05-01 2015-02-25 엘아이에스엔알, 인크. 콘텐츠 전달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08780A1 (en) * 2012-10-17 2014-04-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sound signal
KR101425345B1 (ko) * 2013-10-17 2014-08-01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14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에코 및 하울링 감지 장치, 방법 및 다자간 통화 장치
KR102250988B1 (ko) 2017-09-01 2021-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에코 및 하울링 감지 장치, 방법 및 다자간 통화 장치
KR20200001413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캔디모바일 비가청 음파 기반의 도어락 관리서버, 도어락 장치, 도어 개폐 인증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2133726B1 (ko) 2018-06-27 2020-07-14 고경채 비가청 음파 기반의 도어락 관리서버, 도어락 장치, 도어 개폐 인증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220148956A (ko) * 2021-03-29 2022-11-08 주식회사 메조미디어 사용자 디바이스를 매개로 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72293B1 (ko) * 2021-03-29 2022-11-30 주식회사 메조미디어 사용자 디바이스를 매개로 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3245B (zh) 社交提醒
US957659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648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real-time collection of a feedback from the audience of a television or radio show
JP6497372B2 (ja) 音声対話装置および音声対話方法
US10349270B2 (en)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s
US1030342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function of smart voice service and method of adjusting output sound
KR102085383B1 (ko) 그룹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603234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to a communication system
CN104837157B (zh) 音箱添加方法、装置、移动终端和智能音箱
CN110637470B (zh) 用于验证用户意图以及安全配置计算设备的技术
WO2019120102A1 (zh) 无线手持电子装置、智能电子设备及其配对连接方法
KR101665256B1 (ko) 비가청 주파수와 패턴을 이용한 출석체크 방법 및 시스템
CN111406400A (zh) 会议电话参与者标识
US9843683B2 (en) Configuration method for sound collection system for meeting using terminals and server apparatus
US10587941B2 (en) Microphone cooperation device
JP2013140560A5 (ko)
CN105282658B (zh) 一种音频播放设备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JP7381200B2 (ja) デバイス設定装置、デバイス設定方法、デバイス設定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設定プログラム
CN10910453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101929033B1 (ko) 게임 플레이어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1480064B1 (ko) 단말기들간의 네트워크 형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10767221A (zh) 家电设备及控制权限的确定方法
KR20230103580A (ko) 음파통신을 이용한 출입체크시스템
GB2598298A (en) Proximity authentication method
KR20200063814A (ko) 출결관리용 출입감지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