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050B1 -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050B1
KR101665050B1 KR1020150013414A KR20150013414A KR101665050B1 KR 101665050 B1 KR101665050 B1 KR 101665050B1 KR 1020150013414 A KR1020150013414 A KR 1020150013414A KR 20150013414 A KR20150013414 A KR 20150013414A KR 101665050 B1 KR101665050 B1 KR 10166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oil
composition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151A (ko
Inventor
도종남
전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5001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8Peroxides, e.g. hydrogen pe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4Hydraulic lime cements; Roman cements ; natural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3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soil stabil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비가 적게 들며, 경관을 아름답게 하면서 안정된 비탈면을 형성할 수 있는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과산화수소 7~26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7~30중량% 및, 물 53~83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과산화수소 1~5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3~10중량%, 물 20~30중량% 및, 흙 55~7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용조성물을 생성한 후, 포설용조성물을 깎기비탈면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상기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고정홈을 굴착하는 깎기비탈면 굴착 단계 및; 상기 깎기 비탈면 사면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을 포설하여 고정홈에 포설용조성물이 삽입되도록 하는 포설용조성물 포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흙과 혼합되어, 포설용조성물이 경화될 시 무게가 적게 나가며 식생이 잘 자라고 재시공 가능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가 깎기비탈면에 시공될 시, 깎기비탈면의 표층이 안정화되고, 녹화식물이 표층에서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으며, 표층의 유실에 의한 복구가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상기 포설용조성물과 깎기비탈면 사면 간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깎기비탈면 표층의 유실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깎기비탈면을 시공할 시 식생 안정성, 깎기비탈면 표층의 안전성 및 재시공의 유리성 등을 제공해 안정적인 친환경 깎기비탈면 시공을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COMPOSITE TO STABILIZE SOIL AND CONSTRUCTING METHOD OF SLOPE USING IT}
본 발명은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비가 적게 들며, 경관을 아름답게 하면서 안정된 비탈면을 형성할 수 있는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깎기비탈면이란 땅을 굴취하여 만든 비탈면을 말한다.
현재 고속도로변 깎기비탈면은 약 1만여개소이며, 이중에서 최근 5년간 집중호우 등에 의해 붕괴유실건수가 해마다 증가하여 300여개소의 붕괴유실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붕괴유실개소의 복구비용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집계된 자료에 의하면 2012년도에는 1,140억원이 투입되었으며, 이중에서 표층유실비탈면의 복구비용으로 약 600억원이 소요됐다.
한편 대부분 깎기비탈면의 표층은 유실될 때 흙, 자갈 등이 함께 유실 되는 데, 현재 이에 대한 메카니즘과 특성, 원인 등이 아직까지 연구되지 못했고,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효과적인 복구공법도 없는 실정이다.
다만 깎기비탈면의 표층 복구공법으로, 쏘일네일공법, FRP공법, 숏크리트공법 등 안정공법 등이 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시공비가 고가이며,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환경과 경관적으로 불량한 경우가 많다.
등록특허 10-04914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비가 적게 들며, 경관을 아름답게 하면서 안정된 비탈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과산화수소 7~26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7~30중량% 및, 물 53~83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과산화수소 1~5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3~10중량%, 물 20~30중량% 및, 흙 55~7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용조성물을 생성한 후, 포설용조성물을 깎기비탈면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상기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고정홈을 굴착하는 깎기비탈면 굴착 단계 및; 상기 깎기 비탈면 사면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을 포설하여 고정홈에 포설용조성물이 삽입되도록 하는 포설용조성물 포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흙과 혼합되어, 포설용조성물이 경화될 시 무게가 적게 나가며 식생이 잘 자라고 재시공 가능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가 깎기비탈면에 시공될 시, 깎기비탈면의 표층이 안정화되고, 녹화식물이 표층에서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으며, 표층의 유실에 의한 복구가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상기 포설용조성물과 깎기비탈면 사면 간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깎기비탈면 표층의 유실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깎기비탈면을 시공할 시 식생 안정성, 깎기비탈면 표층의 안전성 및 재시공의 유리성 등을 제공해 안정적인 친환경 깎기비탈면 시공을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설용조성물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서 고정홈이 굴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1실시에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서 고정홈이 굴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체가 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의 포설용조성물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결속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의 포설용조성물이 포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과산화수소 7~26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7~30중량% 및, 물 53~83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하기의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서 적용되는 과산화수소 1~5중량%,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3~10중량% 및, 물 20~30중량%를 토양경량화 안정재에 적용되도록 100분율 중량%로 환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 전체 중량 대비 1~3중량%의 보습재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습재로는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석회혼합물은 상기 시멘트석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8~12중량%의 석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과산화수소 1~5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3~10중량%와, 물 20~30중량% 및, 흙 55~7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용조성물을 생성한 후, 포설용조성물을 깎기비탈면 사면에 포설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석회혼합물은 시멘트석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8~12중량%의 석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흙은 흙 전체 중량 대비 0~50중량%의 세립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흙은 표준사와 세립분으로 이루어지고, 세립분은 토양 분류에서 #200번체를 통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흙은 시공 현장에서 발생한 현장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깎기비탈면 사면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유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깎기비탈면에 포설용조성물을 포설하면서 고정홈에 포설용조성물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조성비의 범위 안에서 흙과 혼합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와 흙의 조성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를 실험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일축압축강도란, 경량기포재료의 특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공학적 지표로, 깎기비탈면을 식생이 자랄 수 있을 정도로 시공하고 시공된 깎기비탈면의 재굴착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이러한 강도의 기준을 국토교통부(2009)의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에서는 경도시험치 18∼23mm(일축압축강도 0.5∼1.0MPa)로 제시한다.
한편 표 1에서 흙은 표준사와 세립분으로 이루어지고, 시멘트석회혼합물은 석회가 시멘트석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 정도를 이룬다. 이때 세립분은 토양 분류에서 #200번체를 통과한 것을 이용한다.
과산화수소
(중량%)
잔부 중량%의 흙에서의 세립분 함유량(중량%) 물(중량%) 시멘트+석회
(중량%)
일축압축강도 KPa
(기준강도500~1000KPa)








1






0
25 3 991.6
30 3 665.9
30 5 887.6


10
20
3 730.5
25
3 689.4
5 998.3

30
3 636.7
5 821.2


30

20
3 630.9
5 999.2
25
3 543.3
5 901.1
30
3 430.1
5 760.1
50 20 10 570.5





3





0
20 3 967.3
25 3 924.41
30 3 629.2
5 852.2


10

20 3 681.1
25
3 678.6
5 928.0
30
3 546.9
5 808.6

30

20
3 624.7
5 998.9
25 5 876.2
30 5 703.7
50 20 10 522.5






5







0

20 3 841.7
25 3 793.1
30
3 581.2
5 845.0


10

20 3 578.0
25
3 530.9
5 861.9
30
3 500.1
5 790.7


30
20 5 704.4
25
5 686.6
10 815.8
30 10 718.0
50 20 10 555.5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조성비의 범위 안에서 흙과 혼합하면, 국토교통부의 기준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가 흙과 혼합하여 포설용조성물이 제조되면, 상기 포설용조성물은 식생이 자랄 수 있으면서 재시공 가능한 강도를 가지도록 경화되기 때문에, 포설용조성물을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포설하면, 깎기비탈면의 표층을 안정화시키면서 생태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깎기비탈면을 유지보수할 시 기존의 깎기비탈면 표층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설용조성물은, 과산화수소, 시멘트, 석회 및 물과 흙이 혼합하면서 기포가 고르게 발생하여 도 1과 같이 고른 공극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깎기비탈면 사면에 시공 시 깎기비탈면의 표층을 경량화하여 사면의 활동성을 저하시키고, 상기 공극을 통해 식물이 효과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영양분을 공급받도록 한다. 뿐만아니라 상기 포설용조성물은 기포에 의해 공극이 고르게 형성됨에 따라 재료 분리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습재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토양경량화 안정재에 토양경량화 안정재 전체 중량 대비 1~3중량%의 보습재(예를 들어 세라마이드, 글리세린)를 혼합하면 상기 포설용조성물 고화시 발생하는 열 및 화학적 반응에 의한 건조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상기 기준강도를 만족함은 물론, 상기 포설용조성물 내의 공극이 보다 많이 형성되어, 깎기비탈면 표층의 경량화 및 식생환경 개선을 더욱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서 고정홈이 굴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깎기비탈면 굴착 단계
굴착기를 이용하여, 도 2와 같이 깎기비탈면 사면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홈(10)을 굴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10)은 기둥형상을 이루도록 상하방으로 형성된다.
포설용조성물 포설 단계
포설기를 이용하여, 상기 깎기 비탈면 사면에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흙의 포설용조성물을 포설하여 상기 고정홈(10)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포설되면, 깎기비탈면 표층은 지면에 보다 견고히 결착되어 상기 표층이 상기 깎기비탈면의 사면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실시예 3]
도 3은 제1실시에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에서 고정홈이 굴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체가 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의 포설용조성물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결속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의 포설용조성물이 포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깎기비탈면 굴착 단계
굴착기를 이용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홈(10')을 굴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10')은 도 4와 같이 깎기비탈면 사면으로 노출되는 상방개구홀(11)과, 상부가 상방개구홀(11)과 연통하여 상방개구홀(11)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상방개구홀(11)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방개구홀(11) 보다 폭이 큰 걸림홈(12)과, 걸림홈(12)과 연통하여 걸림홈(12)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걸림홈(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홈(13)과, 측방으로 관통형성되어 깎기비탈면의 사면으로 노출되고 걸림홈(12) 및 안착홈(13)과 연통하며 걸림홈(12)과 안착홈(13) 사이에 위치하는 측방개구홀(14)을 갖춘다.
가이드체 가설 단계
항타기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홈(10')의 안착홈(13)의 중심부에 하단이 뾰족한 가이드체(20)를 박는다. 이때 가이드체(20)는 도 5와 같이 직립되고 상단이 고정홈(10')의 상방개구홀(11) 외부로 노출된다.
포설용조성물 공급 단계
공급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설용조성물을 상기 고정홈(10')에 공급하고,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홈(10')의 상방개구홀(11)을 넘치지 않도록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상기 상방개구홀(11)에 유입되도록 한다.
결속체 삽입 단계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심부 상하방으로 형성된 삽입홀(31)과, 상하방 및 측방으로 형성된 관통홀(32)을 갖춘 결속체(30)를 가이드체(20)에 삽입한다. 그러면 결속체(30)는 자중 또는 외력 제공에 의해 가이드체(2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7과 같이 결속체(30)가 고정홈(10')의 안착홈(13)에 안착한다. 이때 결속체(30)에 의해 밀린 포설용조성물은 고정홈(10')의 측방개구홀(14) 외부로 배출되고, 결속체(30)의 관통홀(32)에는 포설용조성물이 유입된다.
가이드체 제거 단계
상기 결속체(30)가 고정홈(10')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정홈(10')의 안착홈(13)에 박힌 가이드체(20)를 도 8과 같이 제거한다.
포설용조성물 포설 단계
포설기를 이용하여, 상기 깎기 비탈면 사면에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설용조성물을 도 9와 같이 포설한다.
그러면 상기 포설용조성물은 결속체(30)의 삽입홀(31)에 유입되며, 고정홈(10') 및 비탈깎기면 사면을 포설한다.
이와 같이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포설되면, 고정홈(10')에 유입된 포설용조성물이 고리 형상으로 경화되면서 깎기비탈면의 사면과 깎기비탈면 표층이 견고히 결합되어 상기 표층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홈(10')의 안착홈(13)에 안착된 결속체(30)와 고정홈(10')에 유입된 포설용조성물 간의 추가 결속을 통해 상기 표층의 미끄러짐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는 흙과 혼합되어, 포설용조성물이 경화될 시 무게가 적게 나가며 식생이 잘 자라고 재시공 가능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가 깎기비탈면에 시공될 시, 깎기비탈면의 표층이 안정화되고, 녹화식물이 표층에서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으며, 표층의 유실에 의한 복구가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상기 포설용조성물과 깎기비탈면 사면 간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깎기비탈면 표층의 유실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은 깎기비탈면을 시공할 시 식생 안정성, 깎기비탈면 표층의 안전성 및 재시공의 유리성 등을 제공해 안정적인 친환경 깎기비탈면 시공을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10, 10'; 고정홈 11; 상방개구홈
12; 걸림홈 13; 안착홈
14; 측방개구홀 20; 가이드체
30; 결속체 31; 삽입홀
32; 관통홀

Claims (10)

  1. 깎기비탈면의 사면에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고정홈을 굴착하는 깎기비탈면 굴착 단계; 및
    상기 깎기비탈면 사면에 과산화수소 1~5중량%와, 시멘트 또는 시멘트석회혼합물 3~10중량%, 물 20~30중량% 및 흙 55~75중량%를 혼합한 포설용조성물을 포설하여 상기 고정홈에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삽입되도록 하는 포설용조성물 포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깎기비탈면 사면으로 노출되는 상방개구홀과, 상부가 상방개구홀과 연통하여 상방개구홀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상방개구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방개구홀 보다 폭이 큰 걸림홈과, 걸림홈과 연통하여 걸림홈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걸림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홈과, 측방으로 관통형성되어 깎기비탈면의 사면으로 노출되고 걸림홈 및 안착홈과 연통하며 걸림홈과 안착홈 사이에 위치하는 측방개구홀을 갖추고,
    상기 고정홈의 안착홈의 중심부에 하단이 뾰족한 가이드체를 박는 가이드체 가설 단계와; 상기 포설용조성물이 고정홈의 상방개구홀을 넘치지 않도록 고정홈에 공급하는 포설용조성물 공급 단계와; 중심부 상하방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상하방 및 측방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갖춘 결속체를 가이드체에 삽입하여, 결속체를 고정홈의 안착홈에 안착하며, 결속체에 의해 밀린 포설용조성물이 고정홈의 측방개구홀 외부로 배출되고 결속체의 관통홀에 포설용조성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결속체 삽입 단계와; 상기 결속체가 고정홈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홈의 안착홈에 박힌 가이드체를 제거하는 가이드체 제거 단계를 더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석회혼합물은 시멘트석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8~12중량%의 석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은 흙 전체 중량 대비 0~50중량%의 세립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흙은 표준사와 세립분으로 이루어지고, 세립분은 토양 분류에서 #200번체를 통과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경량화 안정재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흙은 시공 현장에서 발생한 현장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13414A 2015-01-28 2015-01-28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KR10166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414A KR101665050B1 (ko) 2015-01-28 2015-01-28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414A KR101665050B1 (ko) 2015-01-28 2015-01-28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151A KR20160093151A (ko) 2016-08-08
KR101665050B1 true KR101665050B1 (ko) 2016-10-12

Family

ID=5671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414A KR101665050B1 (ko) 2015-01-28 2015-01-28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43B1 (ko) * 2017-06-20 2019-07-25 한국도로공사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64B1 (ko) 2012-08-31 2013-09-11 신림산업 주식회사 점질성 하상퇴적토 복원용 토양개량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97B1 (ko) 2002-11-11 2005-05-27 트랜스코리아개발 주식회사 후리졸녹산토녹화공법
CL2010000073A1 (es) * 2009-01-29 2011-01-07 Midwest Ind Supply Inc Composicion para mejora quimica del suelo que comprende un fluido sintetico y un reductor del punto de fluidez; composicion que comprende fluido sintetico, material biodegradable y fibras sinteticas;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aceite base y poliisobutileno; composicion que comprende fluido sintetico y un ligante; metodo de aplicac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64B1 (ko) 2012-08-31 2013-09-11 신림산업 주식회사 점질성 하상퇴적토 복원용 토양개량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151A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41B1 (ko) 강관다단 그라우팅을 위한 실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075528B2 (ja) 法面緑化工法
WO2007095123A3 (en) In-situ pilings with consistent properties from top to bottom and minimal voids
KR101566359B1 (ko) 섬유보강토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Kazemian et al. Assessment of stabilization methods for soft soils by admixtures
CN106592658B (zh) 拆建房屋地基的基础施工方法
KR101665050B1 (ko) 토양경량화 안정재 및 이를 이용한 깎기비탈면 시공 방법
CN109208592A (zh) 一种锚杆施工方法
KR20100123339A (ko) 단지개발 및 도로건설 절토부에 적용하는 생태 연통관을 구비한 식생용 옹벽 및 그 시공방법
US10648146B1 (en) Precast concrete screw cylinder system and method for soil stabilization and erosion control
JP6354614B2 (ja) 竹製杭、及び竹製杭を用いた液状化対策基礎構造体、並びに竹製杭の製造方法
AU2021105173A4 (en) Construction Treatment Method for Reinforcing Deep Peat Soil Foundation
KR101117149B1 (ko)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CN106638632A (zh) 一种景观挡土护坡构件的施工工艺
AU2022223257A1 (en) Subterranean placement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CN108867279A (zh) 一种软土路基市政道路施工方法
KR102184291B1 (ko) 도로의 임시 복구를 위한 보도블록부
CN109778826A (zh) 一种基于新型泡沫混凝土的软基处理施工方法
CN112523193A (zh) 一种软弱土和液化土互层地基的处理方法
JP4897507B2 (ja) 地盤の改良方法
KR20110028801A (ko) 직근 대나무를 이용한 녹화구조
CN114263197B (zh) 一种绿色环保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41712B1 (ko) 사면 보강용 핀 구조체 및 사면 보강용 핀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KR200306388Y1 (ko) 첨단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