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994B1 - Pick up tool - Google Patents

Pick up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994B1
KR101664994B1 KR1020160097762A KR20160097762A KR101664994B1 KR 101664994 B1 KR101664994 B1 KR 101664994B1 KR 1020160097762 A KR1020160097762 A KR 1020160097762A KR 20160097762 A KR20160097762 A KR 20160097762A KR 101664994 B1 KR101664994 B1 KR 10166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nsion
fixing
handl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6009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9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 B25F1/04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brought into working positions by a pivoting or slid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 up tool having a direction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ck up tool having a direction conversion unit comprises: a handle unit which is gripped by a user; an extension unit having a variable shape with a predefined length,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on one end; a collecting unit on an end of the extension unit, having an electromagnet to generate magnetic force in accordance with power supply; a direction conversion unit installed on the extension unit to bend the extension unit in one direction, to control a position of the collecting unit; and a lighting unit provided on the collecting unit to irradiate light. The direction conversion unit comprises: a first fixated unit fixated on the extension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unit; a second fixated unit fixated on the extension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collecting unit; and an actuator to rotationally connect the first and the second fixated units, to allow extension and shrinkage.

Description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Pick up too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

본 발명은 방향전환부가 마련된 픽업 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석이나 틈이 좁은 공간과 같이 손이 닿기 힘든 협소한 장소에서 금속의 나사, 볼트 또는 철편물들을 쉽고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up tool provided with a direction chang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ck-up tool provided with a direction changing portion in one direction so that screws, bolts or iron pieces of metal can be easily and easily collected in a narrow place, Up tool having a switching unit.

일반적으로, 산업현장, 공업현장 등 각종 종합 현장이나,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은 미세공간(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시 각종 철편 및 금속재 볼트와 너트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Generally, when working in a variety of integrated sites such as industrial sites, industrial sites, and fine spaces (narrow spaces) such as an engine room of an automobile, various steel pieces and metal bolts and nuts often fall down to the floor.

이 경우 낙하된 철편 또는 금속재 볼트(이하 "내용물" 이라 칭함.) 및 너트를 수거하기 위해선 미세공간 내로 작업자가 직접 손을 뻗어 수거하거나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낙하된 내용물을 손이 닿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손을 넣어 내용물을 수거하고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collect dropped steel pieces or metal bol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s") and nuts, the worker directly draws his or her hand into the micro-space and collects the dropped contents by using a stic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moves to reach position and puts in hand to collect contents.

그러나, 이마저도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라면 수거가 가능하나, 작업자의 팔 길이보다 긴 위치에 내용물이 낙하되거나, 절곡된 위치에 낙하될 경우에는 수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although it can be collected if the worker's hand reaches the position, the contents can be collected at a position longer than the arm length of the worker or can not be collected if the worker falls to the bent position.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을 강구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pick-up tool equipped with a direction switching unit capable of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협소한 공간에 볼트 및 너트 또는 철편 등이 낙하되어도 쉽고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easily and easily collecting bolts, nuts, iron pieces, and the like even if the bolts,

본 발명은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일단이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위치되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수거부와, 상기 연장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를 일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거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방향전환부와, 상기 수거부에 설치되며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되는 방향의 연장부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수거부가 위치되는 방향의 연장부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ick-up tool provided with a direction changing section. The pick-up tool provided with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an operator, an extension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electromagnet disposed at a distal end of the extended portion and capable of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ccording to a supply of power, and a be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extending portion to bend the extending portion in one direction, A first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on an extension part of the hand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is positioned, and a second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extension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is positioned, A second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on an extension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part is located, and a second fixing part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 a rotatable manner, It provides a pick-up tool direction changing portion provided consisting of one or actuator to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은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온/오프 되는 전자석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철편 또는 금속재의 볼트 및 너트 등이 낙하되더라도 자력을 이용하여 쉽게 수거할 수 있으며, 특히, 플랙시블한 연장부 상에 방향전환부를 설치함으로써, 연장부를 일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어 꺽어진 부위에 낙하된 내용물도 쉽고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다.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chang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part of a flexible material and includes an electromagnet which is turned on / off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In particular, by providing the direction changing portion on the flexible extension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can be bent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contents dropped on the bent portion can be easily and easily collected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의 방향전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의 방향전환부를 구동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of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direction switching unit of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100)은 수거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협소한 공간 내의 절곡된 부분에 낙하되어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ck-up tool 100 equipped with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asily collected even if the contents to be collected fall on a bent portion in a narrow spa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100)은 수거부(130)를 연결하고 있는 연장부(120)를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낙하된 방향으로 수거부(130)가 향하도록 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낙하된 내용물을 수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ick-up tool 100 equipped with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bend the extension part 120 connecting the rejection part 130, 130) are directed, it is possible to collect contents easily and easily dropp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ickup tool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100)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와 일단이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연장부(120)와, 상기 연장부(120)의 말단에 위치되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거부(130) 및 상기 연장부(1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120)를 일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거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방향전환부(140)와, 상기 수거부(130)에 설치되며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부(150)와. 상기 수거부(130)가 위치된 연장부(12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거부(130)가 향하는 방향의 전방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촬영부(160) 및 상기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1, a pick-up tool 100 provided with a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110 to be gripped by an operator, a handle 110 coupled to the handle 110, (130) which is positioned at a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art (120) and can generate a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supply of power, and an extension part A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installed on the unit 120 to allow the extension unit 120 to bend in one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jection unit 130, And a lighting unit 150 installed to illuminate the light. The photographing unit 16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unit 120 where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located and photographs the forward view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irected. And a display unit 170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confirm the photographed image.

손잡이부(11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주면을 물결모양으로 형성하여 손가락이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grip 110 can be gripped by an operato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formed in a wavy shape so that the finger can be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wavy shape, so that the grip can be firmly gripped.

연장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10)와 일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extended portion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y being coupled to the handle 110 at one end.

상기 연장부(120)는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속재로 설명하였으나,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로의 변경이 가능하다.The extension part 120 can be deformed freely and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lthough the extension 120 is described as a metal materi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materials such as a plastic material.

즉, 상기 연장부(120)는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낙하된 지형에 대응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extension part 120 can have a flexible property so that the worker can vary the shape by applying a force, so that the extension part 120 can cope with the topography of the contents.

또한, 상기 연장부(120)의 말단에는 수거부(130)가 위치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130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extending part 120.

상기 수거부(130)는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서,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갖는 전자석일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30 may be a magnetic body having a magnetic force, and may be an electro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supply of power.

즉, 상기 손잡이부(110)의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수거부(130)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수거부(130)가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a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handle 110, and the battery and the receiver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 so that the receiver 130 ) Can generate magnetic force.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110)에는 상기 수거부(130)에 전원 공급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스위치(1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수거부(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락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handle 112 is provided with a switch 112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130,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power supply 130 is short- .

또한, 상기 연장부(120) 상에는 방향전환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extension 120. [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방향전환부(140)는 상기 연장부(120)를 일방향으로 구부려 상기 수거부(130)를 일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10)가 위치되는 방향의 연장부(120)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부(142)와, 상기 수거부(130)가 위치되는 방향의 연장부(120)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부(144) 및 상기 제1고정부(142)와 제2고정부(14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엑츄에이터(14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may bend the extension unit 120 in one direction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removal unit 130 in on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unit 110 is positioned A first fixing part 142 fixedly installed on the extension part 120 of the receiving part 130 and a second fixing part 144 fixed on the extension part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part 130 is positioned, And an actuator 146 that rotatably connects the first fixing portion 142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44 so as to be extended or contract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142)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시 연장부(120)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연장부(120)를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일측에 돌출돌기(142b)가 연장되게 형성된 몸체(142a)와, 상기 돌출돌기(142b)가 형성된 몸체(142a)의 타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몸체(142a)가 상기 연장부(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나사(142c)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portion 142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be able to be fixed by surrounding the normally extending portion 120. The first fixing portion 142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cover the extending portion 120, The body 142a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42a on which the protrusion protrusion 142b is formed and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a fixing screw 142c which is fixed to the extension 120.

즉, 상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42a)를 상기 연장부(120) 중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몸체(142a)의 측면을 관통하여 내측에 위치되는 연장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고정나사(142c)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부(120)에 상기 제1고정부(142)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fter the ring-shaped body 142a is positioned to surround a part of the extended portion 12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20, which passe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42a and is located inside, So that the first fixing portion 142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12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xing screw 142c is engaged.

또한, 제2고정부(144)는 상기 제1고정부(142)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장부(120)를 감쌀 수 있도록 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 돌출돌기(144b)가 형성된 제2몸체(144a)와, 상기 제2몸체(144a)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돌기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고정나사(144c)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fixing part 144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cover the extension part 1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fixing part 142 and has a protruding protrusion 144b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fixing screw 144c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4a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ing protrusion.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146)는 상기 제1고정부(142)와 제2고정부(14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Meanwhile, the actuator 146 rotatably connects the first fixing portion 142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44.

구체적으로, 상기 엑츄에이터(146)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142)의 돌출돌기(142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2고정부(144)의 돌출돌기(144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actuator 146 includes a cylinder and a rod slidably coupled to the cylinder, and one end of the cylinder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protrusion protrusion 142b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42 , And on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projecting projection 144b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44. [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146)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에 대해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이때, 상기 로드와 결합된 제2고정부(144)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연장부(120)가 구부러지게 되는 구조이다.Accordingly,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actuator 146, the rod is extended or contracted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portion 144 coupled with the rod is pulled in one direction The portion 120 is bent.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부(140)는 상기 연장부(120)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부(120)에서 상기 방향전환부(140)를 분리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장부(120) 상의 설치 위치 역시 가변될 수 있다.Here,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is detachably installed to the extending unit 120 and may be used after the direction changing unit 140 is separated from the extending unit 120, The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20 may also be variable.

또한, 조명부(150)는 상기 수거부(130)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lluminating unit 150 may be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130 so as to irradiate light forward,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즉,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 내용물이 낙하되어도 낙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by allowing light to be irradi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rop position even if the content falls in a dark place.

촬영부(160)는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내용물이 낙하될 경우 이를 촬영하여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연장부(120)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162)과, 상기 브라켓(162)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1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60 photographs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fall down to a position where the operator can not directly visually confirm them, and transmits the images to the display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camera 164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162. The bracket 162 may be fixed to the bracket 162,

상기 브라켓(162)은 상기 연장부(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받침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bracket 16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120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cover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120 and may have a " Is formed to be protruded.

이때, 상기 브라켓(162)은 상기 연장부(120)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고정나사(162a)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162a)를 회전시켜 연장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162 is provided with a fixing screw 162a which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20, and the fixing screw 162a rotates to pr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

또한, 카메라(164)는 상기 받침부재와 고정결합되며, 전방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164 is fixedly coupled to the receiving member, and can capture a front view.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가 위치된 연장부(120)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70 may be installed on the extended portion 120 where the handle 110 is located.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촬영부(16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카메라(164)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The display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camera 164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so that an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60.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연장부(120)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화면(172)이 마련되고, 상기 화면의 하부에 상기 제1,제2고정부(142,144) 및 상기 브라켓(162)과 마찬가지로 상기 연장부(1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74)와 상기 고정부재(174)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고정나사(176)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70 is fixedly coupled to the extension unit 120, and is provided with a screen 172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60, A fixing member 174 having a ring shape and a fixing member 174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extension part 120 lik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42 and 144 and the bracket 162, And a fixing screw 176 which penetrates and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using the pick-up tool 100 having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우선, 단순히 협소한 공간으로 낙하된 내용물을 픽업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0)에 방향전환부(140)와 촬영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10)에 마련된 온/오프 스위치(112)만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내용물을 수거한다.4,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the photographing unit 160, and the display unit 170 are coupled to the extension unit 120. In this case, Off switch 112 provided on the pull tab 110 in a state where only the on / off switch 112 is not operated.

또한, 내용물이 낙하된 곳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지역이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0)에 방향전환부(140)와, 촬영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결합한 상태에서 협소한 곳으로 수거부(130)를 삽입한다. 5,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the photographing unit 160, and the display unit 170 are disposed in the extended portion 120, In the combined state, the rejection unit 130 is inserted into a narrow place.

이후, 연장부(120)의 구부러질 위치에 방향전환부(1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한 후 방향전환부(140)를 작동시켜 연장부(120)가 일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명부(150)는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고, 촬영부(160)에서는 전방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the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can be positioned at the bent position of the extending unit 120, and then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is operated so that the extending unit 120 can be bent in one direction . At this time, the illuminating unit 150 irradiates light forward, and the photographing unit 160 photographs a front view.

이후, 작업자가 상기 촬영부(160)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내용물의 위치를 확인한 후 손잡이부(110)에 마련된 온/오프 스위치(112)를 조작하여 수거부(130)인 전자석을 작동시켜 내용물이 수거부(130)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수거할 수 있다.After the worker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and operates the on / off switch 112 provided on the handle 110, The contents can be collected by allowing the contents to be adhered to the rejection unit 130.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픽업 툴 110 : 손잡이부
112 : 스위치 120 : 연장부
130 : 수거부 140 : 방향전환부
142 : 제1고정부 142a : 몸체
142b : 돌출돌기 142c : 고정나사
144 : 제2고정부 144a : 제2몸체
144b : 돌출돌기 144c : 고정나사
146 : 엑츄에이터 150 : 조명부
160 : 촬영부 162 : 브라켓
162a : 고정나사 164 : 카메라
170 : 디스플레이부 172 : 화면
174 : 고정부재 176 : 고정나사
100: pick-up tool 110:
112: switch 120: extension
130: rejection 140: direction changing section
142: first fixing portion 142a: body
142b: projecting projection 142c: fixing screw
144: second fixing portion 144a: second body
144b: projecting projection 144c: fixing screw
146: Actuator 150:
160: photographing section 162: bracket
162a: fixing screw 164: camera
170: Display unit 172: Screen
174: fixing member 176: fixing screw

Claims (3)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와 일단이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연장부(120)와,
상기 연장부(120)의 말단에 위치되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수거부(130)와,
상기 연장부(1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120)를 일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거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10)가 위치되는 방향의 연장부(120)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부(142)와, 상기 수거부(130)가 위치되는 방향의 연장부(120)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부(144) 및 상기 제1고정부(142)와 상기제2고정부(14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엑츄에이터(146)로 이루어진 방향전환부(140)와,
상기 수거부(130)에 설치되며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부(150)와,
상기 수거부(130)가 위치된 연장부(12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거부(130)가 향하는 방향의 전방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촬영부(160) 및
상기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160)는
상기 연장부(120)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162)과, 상기 브라켓(162)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164)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162)은 상기 연장부(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164)와 결합될 수 있는 받침부재가 돌출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연장부(120)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화면(172)이 마련되고, 상기 화면의 하부에 상기 연장부(1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74)와, 상기 고정부재(174)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나사(176)로 이루어진 방향전환부가 구비된 픽업 툴.
A handle 110 to be gripped by an operator,
An extension part 1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1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variable shape,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130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120 and capable of generating magnetic force according to supply of power,
The position of the handle 130 can be adjusted by providing the extension 120 on the extension 120 so that the extension 120 can be bent in one direction. A first fixing part 142 fixedly installed on the extension part 120; a second fixing part 144 fixedly installed on the extension part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ption part 130 is located; A direction switching unit 140 composed of an actuator 146 that can be extended or contracted by connecting the first fixing unit 142 and the second fixing unit 144 in a rotatable manner,
A lighting unit 150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130 and capable of emitting light,
A photographing unit 160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ded portion 120 where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located and photographing a front view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130 faces,
And a display unit (170)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confir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60)
The photographing unit 160
A bracket 162 fixedly coupled to the extension 120 and a camera 164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162,
The bracket 16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120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cover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120 and may have a " A supporting member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camera 164 is formed to protrude,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screen 172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20 and can display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part 160 is provided and a part of the extension part 120 And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17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120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120 is pressed And a fixing screw (176) which can be fixed by the fixing screw (176).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97762A 2016-08-01 2016-08-01 Pick up tool KR1016649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62A KR101664994B1 (en) 2016-08-01 2016-08-01 Pick up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62A KR101664994B1 (en) 2016-08-01 2016-08-01 Pick up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994B1 true KR101664994B1 (en) 2016-10-11

Family

ID=5716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762A KR101664994B1 (en) 2016-08-01 2016-08-01 Pick up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99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156A (en) * 1997-02-04 1998-08-18 Top Kogyo Kk Metal component takeout device
KR200149037Y1 (en) * 1996-12-30 1999-06-15 양재신 Search stick of an automobile
KR200453359Y1 (en) * 2008-08-14 2011-05-09 주식회사 한국특장기술 Waste gas guide pipe
KR20120028804A (en) *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이턴 Wrist device for surgical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037Y1 (en) * 1996-12-30 1999-06-15 양재신 Search stick of an automobile
JPH10217156A (en) * 1997-02-04 1998-08-18 Top Kogyo Kk Metal component takeout device
KR200453359Y1 (en) * 2008-08-14 2011-05-09 주식회사 한국특장기술 Waste gas guide pipe
KR20120028804A (en) *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이턴 Wrist device for surgical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6419A3 (en) Pointing device using the image of the hand
CA2178240A1 (en) Video Scope Camera
CN106231980B (en) Endoscope apparatus
JP5085807B2 (en) Endoscope
EP1588933A3 (en) Electrical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EP1471551A3 (en) Stalk switch
JP5692068B2 (en) Microscope system
US10143361B2 (en) Endoscope system having rotatable elongated part and bending part controlled to bend based on rotation of elongated part
JP2000316791A (en) Endoscope having variable power function
KR101664994B1 (en) Pick up tool
EP0976504A2 (en) Hog ring clamping device
KR101559132B1 (en) Portable endoscope system
JP2020151406A (en) Medical holding apparatus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JP2006337993A (en) Magnifying mirror and tool
JP5602619B2 (en) Endoscope
JP5290053B2 (en) Microscope system
EP1369727A3 (en) Optical driving unit, optical apparatus and camera system
EP1447735A3 (en) TV image conversion device for turning computer on or off by means of multimedia remote control
CN109419482B (en) Medical instrument with control module and endoscope control system applying same
EP1513255A3 (en) Dis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 from power source
JP7177315B2 (en) spray jet rod
JP2007282912A (en) Cleaning tool
JP6766939B2 (en) Operation inpu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ing system
JP2015165842A (en) Operation par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TWI639407B (en) Medical device with control module and endoscop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