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986B1 - 내진용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내진용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986B1
KR101664986B1 KR1020160018697A KR20160018697A KR101664986B1 KR 101664986 B1 KR101664986 B1 KR 101664986B1 KR 1020160018697 A KR1020160018697 A KR 1020160018697A KR 20160018697 A KR20160018697 A KR 20160018697A KR 101664986 B1 KR101664986 B1 KR 101664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ectric device
base
buffer
enclosur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6001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당김 현상으로 인한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외함 베이스; 상기 외함 베이스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기기; 상기 외함 베이스 내벽 주변에 트러스트 프레임의 구조로 형성되는 완충재 프레임 및 상기 전기기기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와 완충재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완충걸이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용 수배전반{DISTRIBUTION BOARD FOR EARTHQUAKE-PROOF}
본 발명은 내진용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당김 현상으로 인한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회사 또는 발전소로부터 특고압을 받아 저압으로 변성하여 분배하는 전기기기를 포함하고, 전기기기에는 변압기 등 전자부품을 포함한 단위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배전반은 고압반, 저압반, 동력반 및 분전반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배전반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내진을 고려한 수배전반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내진을 고려한 수배전반은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에 내진 베이스를 형성하고,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에 형성된 내진 베이스를 고정하며, 내진 베이스에 외함 베이스를 형성한다. 외함 베이스 내부 공간에는 전기기기가 배치된다. 종래의 내진을 고려한 수배전반은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 및 내진 베이스를 통하여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특허문헌 1은 배전반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내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에 내진 보강부재를 무정전과 무이설 상태로 설치하여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내진 성능을 갖는 내진 보강구조를 개시하였다.
종래의 내진을 고려한 수배전반 및 이를 개량한 특허문헌 1은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 및 내진 베이스에 의해 외함 베이스가 지진에 견딜 수 있지만, 지진에 의해 전달되는 외함 베이스 내벽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외함 베이스 내부의 전기기기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블의 당김 현상으로 인한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030326호(2011.04.13.)
본 발명은 지진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외함 베이스 내벽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내진용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함 베이스 내부의 전기기기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당김 현상으로 인한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외함 베이스; 상기 외함 베이스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기기; 상기 외함 베이스 내벽 주변에 트러스트 프레임의 구조로 형성되는 완충재 프레임 및 상기 전기기기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와 완충재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완충걸이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재 프레임은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적층 및 압착하여 형성된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완충재는 기 설정된 구간에 홀이 형성된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압착하여 탄성력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상기 외함 베이스 상부면에 인입되는 인입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 또는 하부면에 인출되는 인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상기 외함 베이스 상부에 케이블의 당김에 대응하는 길이의 인입 케이블이 형성되는 상부 트렌치 베이스 또는 하부에 케이블의 당김에 대응하는 길이의 인출 케이블이 형성되는 하부 트렌치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상기 전기기기에 포함된 단위기기 간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단위기기 간의 도체에 의한 진동 전달을 완화시키는 탄성 버스바가 단위기기 간의 도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함 베이스 내벽 주변에 트러스트 프레임의 구조로 형성되어 지진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외함 베이스 내벽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기기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와 완충재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완충걸이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을 통하여 전기기기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를 통하여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의 마찰로 인한 케이블의 파손 또는 케이블의 당김 현상으로 인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렌치 베이스를 통하여 케이블의 당김 현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옆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정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다.
도 3은 전기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버스바를 도시한 예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적층 및 압착하여 제조되는 완충재를 도시한 예이다.
도 7은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적층 및 압착하여 제조되는 완충걸이를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턴버클의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
도 9는 양방향 스프링 볼트를 도시한 예이다.
도 10은 단방향 스프링 볼트를 도시한 예이다.
도 11은 완충 볼트를 도시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옆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정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옆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정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로서, 내진용 수배전반은 외함 베이스(110), 전기기기(120), 완충재 프레임(130) 및 턴버클(143)을 포함한다.
외함 베이스(110)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의 후면 또는 정면에 도어(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1,112)는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제한하고, 내부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1, 112)는 개폐를 위한 도어 손잡이(111a, 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외함 베이스(110)는 통풍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풍구는 외함 베이스 후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통풍구 또는 외함 베이스(110) 후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기기기(120)는 외함 베이스(110)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전기기기는 변압기를 포함하고, 차단기 및 계전기 등 단위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기는 진공 차단기(VCB: Vacuum Circuit) 및 저압 차단기(ACB: Air Circuit Br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기기(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변압기를 포함하고, 후술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전기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버스바를 도시한 예로서, 전기기기(120)는 변압기와 단위기기 또는 단위기기와 단위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는 탄성 버스바(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버스바(123)는 전기기기(120)에 포함된 단위기기 간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단위기기 간의 도체에 의한 진동 전달을 완화시키며, 단위기기 간의 도체로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버스바(123)는 복수 개의 동판(123a) 및 플렉서블 전선(123b)을 포함한다. 탄성 버스바(123)는 전기기기(120)에 사용되는 전류용량을 만족하는 개수의 동판(123a)이 적층될 수 있고, 동판(123a)은 내진시 발생되는 P파 또는 S파의 진동으로부터 유연하게 완화시키고, 부드럽게 구부러질 수 있는 1mm 이하의 얇은 두께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선(123b)은 적층된 복수 개의 동판(123a)을 감싸여 복수 개의 동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드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 지지용 애자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선(123b)은 동판과 동일한 소재인 구리를 포함하고, 격자 형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전선(123b)은 전술한 구조에 의해 탄성을 가지고, 일정한 무게 또는 진동에 견디며, 직진성을 유지하고, 단위기기 간의 도체에 의한 진동 전달을 완화시킨다.
완충재 프레임(130)은 외함 베이스 내벽 주변에 트러스트 프레임의 구조로 형성되어 내벽의 충격을 완충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완충재 프레임(130)의 재료인 완충재에 대한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적층 및 압착하여 제조되는 완충재를 도시한 예로서, 완충재 프레임(130)은 비철금속재(131a)와 탄성재(131b)를 적층 및 압착하여 형성된 완충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재(131)는 비철금속재(131a), 탄성재(131b), 비철금속재(131a), 탄성재(131b) 및 비철금속재(131a) 순으로 적층 및 압착되어 균일한 탄성력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비철금속재(131a)는 내열강판 또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재(131b)는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열 강판은 녹 또는 습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접착력이 강할 수 있고, 스테인리스는 접착력이 약하나, 녹 또는 습기에 강할 수 있다.
완충재(131)는 내진용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지역의 환경에 대응하여 스테인리스 또는 내열 강판이 포함될 수 있다.
완충재(131)는 비철금속재(131a)와 탄성재(131b)를 적층 및 압착되어 탄성을 가지고, 지진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외함 베이스(110)의 내벽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외함 베이스(110)의 내부는 전기기기(1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있으나, 완충재(131)는 온도변화가 있어도 우레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층의 접합이 분리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진동 또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외함 베이스(110)의 내벽의 프레임 구조로 적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재(131)는 비철금속재(131a), 탄성재(131b), 탄성재(131b) 및 비철금속재(131a) 순으로 적층 및 압착되어 가중된 탄성력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철금속재(131a) 기 설정된 구간에 격자형 홀(131c)이 형성되고, 완충재(131)는 격자형 홀(131c)이 형성된 비철금속재(131a)와 탄성재(131b)를 적층 및 압착될 수 있다. 격자형 홀(131c)은 그물 또는 메쉬 형태의 격자가 형성되고, 격자 사이에 홀이 형성된다. 완충재(131)는 압착시 탄성재(131b)의 일부분이 탄성금속재(131a)의 격자형 홀(131c)에 침투되므로, 탄성력이 강화되고, 각 층의 접착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완충재(131)는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P파 또는 S파에 대응할 수 있는 힘의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진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외함 베이스(110)의 내벽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후술되는 완충 고리(141, 142)에 사용되어 변압기 등 전기기기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턴버클(143)은 전기기기(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141)와 완충재 프레임(13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완충걸이(142)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된다.
도 7은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적층 및 압착하여 제조되는 완충걸이를 도시한 예로서, 완충걸이(141, 142)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물질 또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비철금속재(131a)와 탄성재(131b)에 걸이홀(131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기기(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141)의 표면은 전기기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탄성재(131b)가 휘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한 비철금속재(131a)를 포함한다. 제1 완충걸이(141)의 표면은 비철금속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온도변화에 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완충걸이(141, 142)의 걸이홀(131d)에 턴버클(143)의 고리가 체결되어 전기기기(120)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12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턴버클의 구조를 도시한 예로서, 턴버클(143)은 개방형 너트(143a), 왼나사 고리(143b) 및 오른나사 고리(143c)를 포함한다.
왼나사 고리(143b)는 제2 완충걸이(142)와 체결되고, 오른나사 고리(143c)는 제1 완충걸이(141)와 체결되며, 개방형 너트(143)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여 왼나사 고리(143b)와 오른나사 고리(143c)를 풀리거나 조여진다.
왼나사 고리(143b) 및 오른나사 고리(143c)는 나사와 고리가 결합된 구조이고, 나사는 개방형 너트(143)와 체결되고, 고리는 완충걸이와 체결되는 구조이다. 개방형 너트(143)는 왼나사 고리(143b) 및 오른나사 고리(143c)의 나사와 체결되고, 외부면과 내부가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육안으로 풀림과 조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완충걸이(141)는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기기(120)의 쓰러짐과 진동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고, 제1 잔여 진동을 턴버클에 전달할 수 있다. 턴버클(143)은 제1 잔여 진동을 제2 완충걸이(142)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완충걸이(142)는 제1 잔여 진동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고, 제2 잔여 진동을 완충재 프레임(130)에 전달할 수 있다. 완충재 프레임(130)은 제2 잔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완충걸이(141, 142), 턴버클(143) 및 완충재 프레임을 통하여 전기기기(120)의 쓰러짐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쓰러짐과 진동이 흡수되어 케이블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12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턴버클(143) 이외에도 양방향 스프링 볼트, 단방향 스프링 볼트 및 완충 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완충걸이(141, 142)와 체결될 수 있다.
도 9는 양방향 스프링 볼트를 도시한 예로서, 양방향 스프링 볼트(243)는 폐쇄형 너트(243a), 왼나사 스프링 고리(243b) 및 오른나사 스프링 고리(243c)를 포함한다.
왼나사 스프링 고리(243b)는 제2 완충걸이(142)와 체결되고, 오른나사 스프링 고리(243c)는 제1 완충걸이(141)와 체결되며, 폐쇄형 너트(243)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여 왼나사 스프링 고리(243b)와 오른나사 고리(243c)를 풀리거나 조일 수 있다. 폐쇄형 너트(243)는 도 8에 도시된 개방형 너트(143)와 다르게 외부면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폐쇄형 너트(243)의 외부면을 쉽게 그립(grip) 또는 조작하여 왼나사 스프링 고리(243b)와 오른나사 고리(243c)를 풀리거나 조일 수 있다.
왼나사 스프링 고리(243b) 및 오른나사 고리(243c)는 나사, 스프링 및 고리가 결합된 구조이고, 스프링은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기기(120)의 쓰러짐과 진동의 일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0은 단방향 스프링 볼트를 도시한 예로서, 단방향 너트(343a), 제1 스프링 고리(343b), 제2 스프링 고리(343c)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고리(343b)는 제2 완충걸이(142)와 체결되고, 제2 스프링 고리(343c)는 제1 완충걸이(141)와 체결되며, 단방형 너트(343a)는 일측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여 제1 스프링 고리(343b)와 제2 스프링 고리(343c)를 조일 수 있다.
도 11은 완충 볼트를 도시한 예로서, 완충 볼트(443)는 완충 너트(443a), 완충 고리(443b) 및 완충 스프링 고리(443c)를 포함한다.
완충 고리(443b)는 제2 완충걸이(142)와 체결되고, 완충 스프링 고리(443c)는 제1 완충걸이(141)와 체결되며, 완충 너트(443c)는 완충 스프링 고리(443c)를 풀리거나 조일 수 있다.
턴버클(143), 양방향 스프링 볼트(243), 단방향 스피링 볼트(343) 및 완충 볼트(443)는 폐쇄형 너트 또는 개방형 너트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기기기(120)의 상부 일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케이블(10)과 연결된 인입 단자(122) 및 부싱 또는 애자(121)가 형성될 수 있다.
턴버클(143)은 전기기기(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애자(121)를 고정하는 제1 완충걸이(141)와 체결될 수 있고, 인입 단자(122)에 연결된 인입 케이블(10)의 단락 또는 고정된 전기기기(120)인 애자(121) 또는 인입 단자(122)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복수 개의 턴버클(143)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턴버클(143)은 전기기기(120)의 상부의 선정된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된 완충 고리와 각각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외함 베이스(110)의 상부면에 인입되는 인입 케이블(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1) 또는 하부면에 인출되는 인출 케이블(11)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 케이블(10)의 인입 위치는 전기기기(120)의 포함된 단위기기의 배치에 대응하여 외함 베이스(110)의 하부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인출 케이블(10)의 인출 위치는 외함 베이스(110)의 상부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인입 또는 인출 케이블(10, 11)의 인출입 위치는 전기기기(120)의 포함된 단위기기의 배치에 대응하여 외함 베이스(110)의 상부면에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1) 또는 제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2)는 일측이 케이블의 손상이 되지 않도록 모서리 영역이 없는 나팔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일정한 케이블의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며,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의 인장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1) 또는 제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2)는 케이블의 손상이 되지 않도록 양측이 나팔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1) 또는 제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2)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케이블의 한 쪽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당겨지는 케이블보다 끌려나가는 케이블 쪽으로 더 파손되기 때문에, 끌려나가는 쪽의 케이블 방향에 나팔형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당겨지는 쪽과 끌려나가는 쪽의 케이블의 양측 방향에 나팔형 구조 또는 양면 나팔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외함 베이스(110) 상부에 인장력을 보장하는 길이의 인입 케이블(10)이 형성되는 상부 트렌치 베이스(161) 또는 하부에 인장력을 보장하는 길이의 인출 케이블(11)이 형성되는 하부 트렌치 베이스(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트렌치 베이스(161) 또는 하부 트렌치 베이스(162)는 원형 또는 파형으로 케이블이 형성되어 케이블의 인장력을 보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상부 트렌치 베이스(161) 또는 하부 트렌치 베이스(162)에 인출입되는 케이블(10, 11)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 나팔형 케이블 보조 지지대(151a) 또는 제2 나팔형 케이블 보조 지지대(15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기기(120) 또는 복수 개의 단위기기는 기기 간의 전기적 도통 또는 접속을 위한 복수 개의 접속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외함 베이스(110) 일측부 또는 양측면에 인장력을 보장하는 길이의 복수 개의 접속 케이블이 형성되는 측부 트렌치 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하부 트렌치 베이스(162) 하부에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170)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18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하부 트렌치 베이스(162) 및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170) 사이에 내진 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진 베이스에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170)이 형성되어 앵커 볼트(18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옆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의 정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기기기(120), 턴버클(143) 및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1, 152)의 배치 관계가 변형된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복수 개의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기기기(120a, 120b, 120c)를 포함하고, 전기기기(120a, 120b, 120c)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141)와 완충재 프레임(13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완충걸이(142)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전기기기(120a, 120b, 120c)의 상부의 선정된 복수 개의 지점에 제1 완충걸이(141)를 형성하고, 각 지점별에 대응하는 높이로 완충재 프레임(130)의 일측별에 제2 완충걸이(142)를 형성하며, 각각의 제1 완충걸이(141)와 제2 완충걸이(142)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14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턴버클(143)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일 수 있으나, 다양한 개수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기기기(120a, 120b, 120c)의 상부 일측의 높이는 외함 베이스(110)의 하부면에서 전기기기(120a, 120b, 120c)의 상부 일측면까지의 높이고, 각 지점별 높이는 외함 베이스(110)의 하부면에서 전기기기(120a, 120b, 120c)의 상부의 각 지점의 면까지의 높이다. 각 지점별 높이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을 수 있으나, 상이할 수 있다.
선정된 복수 개의 지점은 전기기기(120a, 120b, 120c)의 상부의 가장자리 4개의 지점일 수 있고, 사각형의 꼭지점 주변일 수 있으며, 십자 또는 + 형태의 꼭지점 주변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기기기(120a, 120b, 120c)는 복수 개의 애자(미도시) 또는 인입 단자(미도시)를 수용하는 기기 상부 베이스(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용 수배전반은 각각의 인입 단자에 대응하여 연결된 복수 개의 인입 케이블(10), 복수 개의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151) 및 복수 개의 제1 나팔형 케이블 보조 지지대(151a)를 포함할 수 있고, 인출 케이블도 복수 개일 수 있다.
110: 외함 베이스 120: 전기기기
130: 완충재 프레임 143: 턴버클
151, 15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 161, 162: 트렌치 베이스
170: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 180: 앵커 볼트

Claims (6)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외함 베이스;
    상기 외함 베이스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기기;
    상기 외함 베이스 내벽 주변에 트러스트 프레임의 구조로 형성되는 완충재 프레임 및
    상기 전기기기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완충걸이와 완충재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완충걸이의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턴버클을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 프레임은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적층 및 압착하여 형성된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수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기 설정된 구간에 홀이 형성된 비철금속재와 탄성재를 압착하여 탄성력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수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베이스 상부면에 인입되는 인입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 또는 하부면에 인출되는 인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2 나팔형 케이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베이스 상부에 케이블의 당김에 대응하는 길이의 인입 케이블이 형성되는 상부 트렌치 베이스 또는 하부에 케이블의 당김에 대응하는 길이의 인출 케이블이 형성되는 하부 트렌치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내진용 수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에 포함된 단위기기 간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단위기기 간의 도체에 의한 진동 전달을 완화시키는 탄성 버스바가 단위기기 간의 도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수배전반.
KR1020160018697A 2016-02-17 2016-02-17 내진용 수배전반 KR10166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697A KR101664986B1 (ko) 2016-02-17 2016-02-17 내진용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697A KR101664986B1 (ko) 2016-02-17 2016-02-17 내진용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986B1 true KR101664986B1 (ko) 2016-10-11

Family

ID=5716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697A KR101664986B1 (ko) 2016-02-17 2016-02-17 내진용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068B1 (ko) 2018-04-18 2018-12-28 이창학 배전반용 내진 구조물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297A (ja) * 2002-06-28 2004-01-29 Shoden Corp 耐震フレーム
KR20050098819A (ko) * 2005-09-23 2005-10-12 (주)제일피앤피 분전반
KR20090001110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화성방재 보양대가 장착된 소화전
KR20100036801A (ko) * 2008-09-30 2010-04-08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KR101030326B1 (ko) 2009-06-30 2011-04-20 (주)파워엔텍 배전반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내진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297A (ja) * 2002-06-28 2004-01-29 Shoden Corp 耐震フレーム
KR20050098819A (ko) * 2005-09-23 2005-10-12 (주)제일피앤피 분전반
KR20090001110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화성방재 보양대가 장착된 소화전
KR20100036801A (ko) * 2008-09-30 2010-04-08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KR101030326B1 (ko) 2009-06-30 2011-04-20 (주)파워엔텍 배전반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내진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068B1 (ko) 2018-04-18 2018-12-28 이창학 배전반용 내진 구조물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9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269899B1 (ko) 진동 및 충격 방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10181892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253774B1 (ko) 내진형 수배전반
KR101937793B1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10166498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210042791A (ko) 배전반 접속함 등 전기관련장비의 내진장치
KR10093957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KR10245252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32420B1 (ko) 함체용 내진장치
KR101873720B1 (ko) 내진 수배전반
KR101757826B1 (ko) 수배전반의 내진 장치
US20160133382A1 (e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CN101271140B (zh) 一种特高压输变电试验大厅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2472187B1 (ko) 리프트업 응력 감쇠를 포함한 3축 진동 감쇠 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CN201207068Y (zh) 一种特高压输变电试验大厅
KR101889337B1 (ko) 몰드 변압기
EP4020727A1 (en) Switchgear assembly and damping device for an electric switchgear
US12025201B2 (en) Displacement-controlled earthquake-resistant transformer employing friction damper
KR102499948B1 (ko) 면진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2569457B1 (ko) 제진과 면진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US9824814B2 (en) Acoustic panels for transformers
CN218299484U (zh) 穿引装置、变压器装置和变流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