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93B1 - 누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93B1
KR101664393B1 KR1020150050952A KR20150050952A KR101664393B1 KR 101664393 B1 KR101664393 B1 KR 101664393B1 KR 1020150050952 A KR1020150050952 A KR 1020150050952A KR 20150050952 A KR20150050952 A KR 20150050952A KR 101664393 B1 KR101664393 B1 KR 10166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supply voltage
buffer
supplie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현
최상현
Original Assignee
오토센서코리아(주)
허지현
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센서코리아(주), 허지현, 최상현 filed Critical 오토센서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05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 액체가 떨어진 경우에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감지시스템은,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누수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검출되는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누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장치는 펄스입력전압 Va, Vb가 입력되는 전원입력단 A,B; 상기 전원입력단 A, B를 통하여 펄스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전원스위치 1, 2; 상기 전원스위치 1, 2의 이차측에 연결되는 저항 Ra, Rb; 상기 저항 Ra, Rb 사이에 연결되는 누수저항 Rs; 상기 저항 Ra, Rs의 연결선 사이의 점 P로부터 버퍼공급전압 Vp가 공급되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의 신호가 입력되어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 특수액체(알카리용액 또는 산성용액)만이 떨어진 경우에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량 누수는 감지하지 아니하고 중간량 이상의 누수 시에만 누수를 감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누수감지시스템의 수명연장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수감지시스템{LEKAGE WATER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 액체가 떨어진 경우에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특수액체만을 감지하고, 누수량감지를 조정하며, 누수감지시스템의 수명연장등을 개선한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발명은 본 발명은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리크에 의한 물성을 감지하기 위한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필름층, 전도성 라인층, 보호 필름층이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전도성 라인층은, 길이방향으로 단위면적당 일정한 저항값을 갖는 저항 라인과 상기 저항라인과 이격되면서 저항 라인과 나란히 형성된 도체 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리크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물성감지를 원하는 위치에 물성 감지 테이프를 부착시킨다. 저항라인(401,402)과 도체 라인(403,404)의 사이에는 수V 정도의 전압이 흐르게 된다. 리크가 발생하여 물성 감지 테이프의 상부의 일정위치에 물, 화학용액, 기타물성(전도체)이 떨어지면, 도 6에서와 같이 저항 라인(401)과 저항 라인(402) 사이에 리크(440)에 의한 폐회로가 구성된다. 리크의 위치에 따라서 저항값 및 전압이 달라지게 되므로, 그 저항값 및 전압값을 제어기 쪽에서 입력받아 저항값 및 전압값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물성감지테이프에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물성감지테이프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라인(401,402)과 도체라인(403,404)에 최대 직류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하므로, 저항라인(401,402)과 도체라인(403,404)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쉽게 부식하여 급격한 산화현상을 가져오고 이는 물성감지테이프를 포함하는 센서장치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누수되는 액체가 소량, 중간량, 대량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누수가 되는 것으로 처리됨으로써, 누수검출이 되지 말아야 할 소량 누수에 대하여 대처할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7385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은, 본 발명은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의 특수액체만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이다. 종래기술에서 누수되는 액체가 소량, 중간량, 대량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누수가 되는 것으로 처리됨으로써, 누수검출이 되지 말아야 할 소량 누수에도 누수로 처리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으로 소량 누수의 경우에는 감지되지 아니하고 중간량 이상의 누수가 되는 경우에 누수를 감지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물성감지테이프에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물성감지테이프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최대 직류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하므로,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쉽게 부식하여 급격한 산화현상을 가져오고 이는 물성감지테이프를 포함하는 센서장치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개선하는 감지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수감지시스템은,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누수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검출되는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누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장치는 펄스입력전압 Va, Vb가 입력되는 전원입력단 A, B; 상기 전원입력단 A, B를 통하여 펄스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전원스위치 1, 2; 상기 전원스위치 1, 2의 이차측에 연결되는 저항 Ra, Rb; 상기 저항 Ra, Rb 사이에 연결되는 누수저항 Rs; 상기 저항 Ra, Rs의 연결선 사이의 점 P로부터 버퍼공급전압 Vp가 공급되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의 신호가 입력되여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단 A, B에 입력되는 펄스입력전압 Va와 펄스입력전압 Vb는 양극(5 Volt)과 음극(0 Volt)의 길이(Time)가 1:3이고, 펄스입력전압 Va와 펄스입력전압 Vb가 번갈아 교번하면서 공급됨으로써, DC 전압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보다 1/2(50%)의 감소되는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홀수 타임(t1,t3,t5,­­,)일 때는 펄스입력전압 Va에 의해서 공급되고, 짝수타임(t2,t4,t6,­­,)일 때는 펄스입력전압 Vb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홀수 타임(t1,t3,t5,­­,)일 때, 5(V)*(Rs+Rb)/(Ra+Rs+Rb)인 것이다.
또한,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짝수타임(t2, t4, t6­­,)일 때, 5(V)*(Ra)/(Ra+Rs+Rb)인 것이다.
또한,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유기되는 전압이 아닌 저항 Ra, Rb, Rs에 의한 전압분배의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항 Rs는,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서 누수되는 액체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콘트롤유닛(MCU)에서의 누수여부판별은 감도설정값을 'SL'이라고 할 때,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일 경우에는 누수로 판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콘트롤유닛(MCU)에서의 누수여부판별은 감도설정값을 'SL'이라고 할 때,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일 경우에는 스탠바이(누수 없음)로 판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도설정값 'SL'을 조정함으로써, 임의 값의 누수의 양에 대하여 스탠바이(누수 없음)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는, 저면으로부터 테이프층, 플라스틱 필름층, 실버(은 도전층)잉크층, 카본(산화방지용)잉크층, 엣징(반응층)잉크층, UV코팅(수분흡수가능)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UV코팅(수분흡수가능)층은, UV코팅층에 다수개의 소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UV코팅층이 수분흡수가 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어서 액체가 떨어지는 경우 검출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엣징(반응층)잉크층은 알카리용액 또는 산성용액만을 감지하는(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 경우만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이다. 종래기술에서 누수되는 액체가 소량, 중간량, 대량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누수가 되는 것으로 처리됨으로써, 누수검출이 되지말아야 할 소량 누수에도 누수로 처리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으로 소량 누수의 경우에는 감지되지 아니하고 중간량 이상의 누수가 되는 경우에 누수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누수감지가 필요한 량에 대해서만 누수를 감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물성감지테이프에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물성감지테이프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최대 직류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하므로,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쉽게 부식하여 급격한 산화현상을 가져오고 이는 물성감지테이프를 포함하는 센서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도체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체라인의 산화현상을 지연시키고 센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장치에 입력되는 펄스입력전압 A, B의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T1 타임시 및 T2 타임시의 버퍼공급전압 Vp를 계산할 때 전압분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 (a) 및 도 4 (b)는 본 발명의 누수감지신호검출부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누수량에 따른 누수여부판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도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 액체가 떨어진 경우에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은, 본 발명은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 경우만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이다. 종래기술에서 누수되는 액체가 소량, 중간량, 대량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누수가 되는 것으로 처리됨으로써, 누수검출이 되지 말아야 할 소량 누수에도 누수로 처리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으로써 소량 누수의 경우에는 감지되지 아니하고 중간량 이상의 누수가 되는 경우에 누수를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물성감지테이프에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물성감지테이프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최대 직류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하므로,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쉽게 부식하여 급격한 산화현상을 가져오고 이는 물성감지테이프를 포함하는 센서장치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개선하는 감지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시스템도이다. 본 발명의 누수감지시스템은,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누수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300), 상기 연결부(300)를 통하여 검출되는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누수감지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장치(100)는 펄스입력전압 Va, Vb가 입력되는 전원입력단 A, B(14,15); 상기 전원입력단 A, B(14,15)를 통하여 펄스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전원스위치 1, 2(20,22); 상기 전원스위치 1, 2(20,22)의 이차측에 연결되는 저항 Ra, Rb; 상기 저항 Ra, Rb 사이에 연결되는 누수저항 Rs; 상기 저항 Ra, Rs의 연결선 사이의 점 P로부터 버퍼공급전압 Vp가 공급되는 버퍼부(30); 상기 버퍼부(30)의 신호가 입력되어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유닛(MCU,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는 테이프에 라인 A, B(도전층)가 인쇄되어 있는 평면도를 보이고 있고, 실제에는 라인 A, B 층 위에 3개 층이 더 적층되어 있으며(도 4 참조), 누수시에는 도전체 라인 A 및 라인 B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원스위치 1은 타임 t1시에 TRa1이 ON되고, TRa2가 OFF되며, 타임 t2시에는 TRa1이 OFF되고, TRa2가 ON된다. 또한, 전원스위치 2는 타임 t1시에 TRb1이 OFF되고, TRb2는 ON되며, 타임 t2시에는 TRb1이 ON되고, TRb2가 OFF된다. 버퍼부(30)는 신호를 매칭시켜 주는 버퍼(buffer)기능을 하는 것이다. 연결부(300)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누수감지장치(100)로 전달해 주는 연결부이다. 예로써, 스위치 1, 2의 이차측 저항 Ra, Rb는 각각 200KΩ, 버퍼입력단저항 Rc는 10KΩ으로 할 수 있다. 누수저항 Rs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의 라인 A, B 및 라인 A, B 사이를 연결하는 엣징잉크층(반응층)의 저항이다. 누수량에 따라 엣징잉크층(반응층)의 저항이 변하므로 누수저항 Rs도 변한다. 메인콘트롤유닛(MCU,10)의 출력신호(50)는 누수가 없고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스탠바이' 신호를 출력하고 누수를 판별되는 경우에는 '누수'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장치에 입력되는 펄스입력전압 Va, Vb의 도이다. 전원입력단 A, B(14,15)에 입력되는 펄스입력전압 Va(10)와 펄스입력전압 Vb(12)는 양극(5 Volt)과 음극(0 Volt)의 길이(Time)가 1:3이고, 펄스입력전압 Va(10)와 펄스입력전압 Vb(12)가 번갈아 교번하면서 공급되는 것이다. 누수가 발생하여 누수신호검출부의 라인 A, B가 폐회로가 되는 경우에 전원펄스가 공급되는 1 싸이클 T1 동안에 양극펄스 Va1 및 음극펄스 Vb1이 누수감지장치(100)에 공급되는 것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DC 전압(펄스전압 4개에 해당되는 전압이 공급됨)보다 본 발명에서는 1/2(50%)의 감소된 전압(2개의 펄스전압이 공급됨)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로써, 폐회로가 형성된 도체라인에 흐르는 전류도 비례하여 감소함((50%)으로 종래기술에와 같이 도체라인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도체라인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도체라인이 쉽게 부식하여 급격하게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버퍼부(30)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홀수 타임(t1,t3,t5,­­,)일 때는 펄스입력전압 Va에 의해서 공급되고, 짝수타임(t2,t4,t6,­­,)일 때는 펄스입력전압 Vb에 의해서 공급된다. 버퍼부(30)에 공급되는 버퍼공급전압 Vp는 유기되는 전압이 아닌 저항 Ra, Rb, Rs에 의한 전압분배의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도 3은 t1 타임시[(a)도] 및 t2 타임시[(b)도]의 버퍼공급전압 Vp를 계산할 때 전압분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예로서, t1 타임 일 때에 버퍼부(30)에 공급되는 버퍼공급전압 Vpt1은 5(V)*(Rs+Rb)/(Ra+Rs+Rb)이 된다. 이 경우 그라운드(GND)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분자는 (Rs+Rb)가 되는 것이다.(도 3의 (a)참조)
계산 예로서, 누수저항 Rs=100 KΩ이고, 전원스위치 1, 2의 이차측 저항 Ra=Rb=200KΩ인 경우에 버퍼공급전압 Vp=5V*(100KΩ+200KΩ)/(200KΩ+100KΩ+200KΩ)=3V가 된다.
또한, 예로서, t2 타임일 때에 버퍼부(30)에 공급되는 버퍼공급전압 Vpt2는 5(V)*(Ra)/(Ra+Rs+Rb)이 된다. 이 경우 그라운드(GND)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분자는 (Ra)가 되는 것이다.(도 3의 (b)참조)
계산예로서, 누수저항 Rs=100KΩ이고, 전원스위치 1, 2의 이차측저항 Ra=Rb=200KΩ인 경우에 버퍼공급전압 Vp=5V*(200KΩ)/(200KΩ+100KΩ+200KΩ)=2V가 된다.
누수저항 Rs는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서 누수되는 액체의 양(또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메인콘트롤유닛(MCU,40)에서는 누수감지신호의 값이 반영되는 타임 t1, 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 Vpt2를 입력받아서 누수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메인콘트롤유닛(MCU,40)에서의 누수여부판별은, 감도설정값을 'SL'이라고 할 때, 예로서 타임 t1, t2인 경우에,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일 경우에는 누수로 판별하는 것이다. 감도설정값 SL은 사전에 임의의 값으로 설정이 가능한 값이다.
계산 예로서, 감도설정값 SL=1로 하면, 상기에서 버퍼공급전압 Vp에 대한 계산예의 값을 대입하여 보면, 1≥(3V)-(2V)가 되어 누수로 판별되는 것이다.
또한,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 - (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 일 경우에는 스탠바이(누수 없음)로 판별하는 것이다.
계산예로서, 감도설정값 SL=1로 하고, t1, t2 에 대한 버퍼공급전압 Vp를 5V,0V 로 하여 계산예의 값을 대입하여 보면,1<(5V)-(0V)=5가 되어 스탠바이(누수 없음)로 판별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누수량에 따른 누수여부판정을 도시한 도이다. 첫째로, 소량 누수인 경우에, t1일 때 누수저항 Rs=600KΩ, Ra=Rb=200KΩ이면, 버퍼공급전압 Vpt1=4V이고, t2일 때 Rs=150KΩ, Ra=Rb=200KΩ이면, 버퍼공급전압 Vpt2=1V로 되고, 감도설정값 SL=3으로 하면 이 경우(소량 누수)에는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에서 값을 대입하면 3≥4-1=3으로 되어 누수로 판별한다.
또한, 두 번째로, 중간량 누수인 경우에, t1일 때 누수저항 Rs=100KΩ, Ra=Rb=200KΩ이면, 버퍼공급전압 Vpt1=3V이고, t2일 때 누수저항 Rs=67KΩ, Ra=Rb=200KΩ이면, 버퍼공급전압 Vpt2=2V로 되고, 감도설정값 SL=3으로 하면 이 경우(중간량 누수)에는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에서 값을 대입하면 3≥3-2=1로 되어 누수로 판별한다.
또한, 세 번째로, 대량 누수인 경우에, t1일 때 누수저항 Rs=0KΩ, Ra=Rb=200KΩ이면, 버퍼공급전압 Vpt1=2.5V 이고, t2일 때 누수저항 Rs=0KΩ, Ra=Rb=200KΩ이면, 버퍼공급전압 Vpt2=2.5V로 되고, 감도설정값 SL=3으로 하면 이 경우(중간량 누수)에는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에서 값을 대입하면 3≥2.5-2.5=0으로 되어 누수로 판별한다. 누수저항 Rs는 상기와 같이, t1일 때 누수가 소량, 중간량, 대량으로 갈수록 600KΩ, 100KΩ, 0KΩ으로 되어 누수량이 증가할수록 누수저항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현재까지 일반적인 누수감지시스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누수액이 소량만 되어도 모두 누수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상황은 소량의 누수인 경우에는 누수로 볼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소량의 누수는 스탠바이(누수 없음)으로 판별하는 것이 소망스러운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누수량에 따른 감도조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의 첫 번째 경우에서, 소량 누수인 경우에 감도설정값 SL=2로하면, 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4V 이고, 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1V로 되며, 이 경우(소량 누수)에는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에서 값을 대입하면 2<4-1=3으로 되어 스탠바이(누수 없음)으로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도설정값 'SL'을 조정함으로써, 임의 값의 누수의 양(소량 누수)에 대하여 스탠바이(누수 없음)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4 (a)는 본 발명의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의 측면도이고 도 4 (b)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누수감지신호검출부(200)는, 저면으로부터, 테이프층, 플라스틱 필름층, 실버(은 도전층)잉크층, 카본(산화방지용)잉크층, 엣징(반응층)잉크층, UV코팅(수분흡수가능)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테이프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한다. 실버잉크층은 실버(은)잉크를 플라스틱 필름층 상에 도포하여 도전층인 라인 A, B를 형성한다. 실버(은) 도전층이 부식하지 않도록 산화방지용 카본잉크를 라인 A, B 상에 도포한다. 카본잉크가 도포된 라인 A, B 상에 엣징잉크층이 도포된다. 엣징잉크층은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에서만 통전이 되며 보통의 물로서는 통전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 경우만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이다.
테이프층은 양면테이프를 사용한 것이며 그 위에 플라스틱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그 위에 실버잉크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실버(은)잉크를 도포하여 도전체(라인 A,B)를 형성한 층이고 그 위에 도전체(라인 A,B)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카본잉크를 도포한 층이다. 또한, 그 위에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에 반응하는 엣징잉크층이 도포되고 그 위에 다수개의 소공이 형성되어 있거나,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UV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엣징(반응층)잉크층은, 누수되는 산성 액체 또는 알카리성 액체에 대하여 반응하는(도전되는) 재료만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누수감지시스템은, 본 발명은 알카리성 액체 또는 산성액체가 누수되는 경우에 감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누수되는 액체가 소량, 중간량, 대량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누수가 되는 것으로 처리됨으로써, 누수검출이 되지 말아야 할 소량 누수에도 누수로 처리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으로 소량 누수의 경우에는 감지되지 아니하고 중간량 이상의 누수가 되는 경우에 누수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누수감지가 필요한 량에 대해서만 누수를 감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물성감지테이프에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물성감지테이프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최대 직류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하므로,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저항라인과 도체라인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쉽게 부식하여 급격한 산화현상을 가져오고 이는 물성감지테이프를 포함하는 센서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리크가 발생하여 페회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도체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체라인의 산화현상을 지연시키고 센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10 : 메인코트롤유닛(MCU)
20 : 전원스위치 1 22 : 전원스위치 2
30 : 버퍼부(buffer)부
100 : 누수감지장치
200 : 누수감지신호검출부
300 : 연결부

Claims (13)

  1.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시스템은,
    누수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누수감지신호검출부,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검출되는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누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장치는 펄스입력전압 Va, Vb가 입력되는 전원입력단 A,B; 상기 전원입력단 A, B를 통하여 펄스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전원스위치 1, 2; 상기 전원스위치 1, 2의 이차측에 연결되는 저항 Ra, Rb; 상기 저항 Ra, Rb 사이에 연결되는 누수저항 Rs; 상기 저항 Ra, Rs의 연결선 사이의 점 P로부터 버퍼공급전압 Vp가 공급되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의 신호가 입력되여 누수여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홀수 타임(t1,t3,t5,­­,)일 때는 펄스입력전압 Va에 의해서 공급되고, 짝수타임(t2,t4,t6,­­,)일 때는 펄스입력전압 Vb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단 A, B에 입력되는 펄스입력전압 Va와 펄스입력전압 Vb는 양극(5 Volt)과 음극(0 Volt)의 길이(Time)가 1:3이고, 펄스입력전압 Va와 펄스입력전압 Vb가 번갈아 교번하면서 공급됨으로써, DC 전압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보다 1/2(50%)의 감소되는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30)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홀수 타임(t1,t3,t5,­­,)일 때, 5(V)*(Rs+Rb)/(Ra+Rs+R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짝수타임(t2, t4, t6­­,)일 때, 5(V)*(Ra)/(Ra+Rs+R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에 공급되는 상기 버퍼공급전압 Vp는, 유기되는 전압이 아닌 저항 Ra, Rb, Rs에 의한 전압분배의 법칙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Rs는,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에서 누수되는 액체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유닛(MCU)에서의 누수여부판별은, 감도설정값을 'SL'이라고 할 때,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일 경우에는 누수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유닛(MCU)에서의 누수여부판별은, 감도설정값을 'SL'이라고 할 때, SL<(t1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1)-(t2일 때 버퍼공급전압 Vpt2)일 경우에는 스탠바이(누수 없음)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설정값 'SL'을 조정함으로써, 임의 값의 누수의 양에 대하여 스탠바이(누수 없음)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신호검출부는, 저면으로부터 테이프층, 플라스틱 필름층, 실버(은 도전층)잉크층, 카본(산화방지용)잉크층, 엣징(반응층)잉크층, UV코팅(수분흡수가능)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V코팅(수분흡수가능)층은, UV코팅층에 다수개의 소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UV코팅층이 수분흡수가 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어서 액체가 떨어지는 경우 검출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징(반응층)잉크층은 알카리용액 또는 산성용액만을 감지하는(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KR1020150050952A 2015-04-10 2015-04-10 누수감지시스템 KR10166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952A KR101664393B1 (ko) 2015-04-10 2015-04-10 누수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952A KR101664393B1 (ko) 2015-04-10 2015-04-10 누수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393B1 true KR101664393B1 (ko) 2016-10-10

Family

ID=5714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952A KR101664393B1 (ko) 2015-04-10 2015-04-10 누수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3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08A (ko) * 2017-03-20 2018-10-01 이재희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KR20180115385A (ko) * 2017-04-12 2018-10-23 김동언 전기분해를 이용한 리크센서장치
KR20210041193A (ko) * 2019-10-07 2021-04-15 레시너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민감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정전용량형 센서 및 그 센서의 민감도 조정방법
KR20210087817A (ko) 2020-01-03 2021-07-13 오토센서코리아(주) 양방향 원격 통신을 이용한 누수센서의 관리시스템
KR20230085305A (ko) 2021-12-07 2023-06-14 우성이엔디주식회사 전류값을 이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85B1 (ko) 2008-01-09 2008-05-06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JP2008116213A (ja) * 2006-10-31 2008-05-22 Sunx Ltd 漏液検出装置
KR200471278Y1 (ko) * 2012-12-12 2014-02-11 허지현 리크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한 리크감지장치
KR20150033516A (ko) * 2013-09-24 2015-04-01 (주)유민에쓰티 강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213A (ja) * 2006-10-31 2008-05-22 Sunx Ltd 漏液検出装置
KR100827385B1 (ko) 2008-01-09 2008-05-06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KR200471278Y1 (ko) * 2012-12-12 2014-02-11 허지현 리크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한 리크감지장치
KR20150033516A (ko) * 2013-09-24 2015-04-01 (주)유민에쓰티 강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08A (ko) * 2017-03-20 2018-10-01 이재희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KR102021427B1 (ko) 2017-03-20 2019-09-20 이재희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KR20180115385A (ko) * 2017-04-12 2018-10-23 김동언 전기분해를 이용한 리크센서장치
KR101938058B1 (ko) * 2017-04-12 2019-03-29 김동언 전기분해를 이용한 리크센서장치
KR20210041193A (ko) * 2019-10-07 2021-04-15 레시너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민감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정전용량형 센서 및 그 센서의 민감도 조정방법
KR102297815B1 (ko) 2019-10-07 2021-09-02 레시너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민감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정전용량형 센서 및 그 센서의 민감도 조정방법
KR20210087817A (ko) 2020-01-03 2021-07-13 오토센서코리아(주) 양방향 원격 통신을 이용한 누수센서의 관리시스템
KR20230085305A (ko) 2021-12-07 2023-06-14 우성이엔디주식회사 전류값을 이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393B1 (ko) 누수감지시스템
US9329296B2 (en) Underwater detector and method for underwater detection
US8803842B2 (en) Touch pane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ance between touch input points on touch panel
US7236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touch panel having a variable resistor for maintaining a desired voltage difference between electrodes
JP4347251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加工液面検出装置
US20130073237A1 (en) Submersion detection circuit and submersion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5037269A (ja) 電子機器、電圧監視方法及び電圧監視プログラム
US20180045545A1 (en) Magneto-inductive flow measuring device with reduced electrical current draw
KR20110053883A (ko) 히팅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20180038839A (ko) 정전용량의 근접 검출 기술을 이용한 유체 감지 센서
US20150308877A1 (en) A level measurement system for conductive liquids
US8564350B2 (en) Hysteresis device
US85196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de change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30278080A1 (en) Touch panel
US9551602B2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and magnetic excitation control method
KR102086975B1 (ko) 케이블타입 센서를 이용한 화학물질 누액감지장치
JP6558212B2 (ja) 水分検出装置
JP6770879B2 (ja) 交直両用検電器
JP2019002855A (ja) 静電検出装置
KR101997360B1 (ko) 인덕티브 센서의 단선 검출 장치
JP2005274158A (ja) 静電容量式液センサ
KR101946384B1 (ko) 정전용량 방식의 목표수위 감지 센서 및 감지패드와 이를 이용한 목표수위 감지 방법
US9804078B2 (en) Multiple coupon apparatus for cathodic protection testing
US9122281B1 (en) Simplified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water level in a reservoir
KR101959533B1 (ko) 산과 알카리 구분용 금속형 ph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