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612B1 -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 Google Patents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612B1
KR101663612B1 KR1020090081092A KR20090081092A KR101663612B1 KR 101663612 B1 KR101663612 B1 KR 101663612B1 KR 1020090081092 A KR1020090081092 A KR 1020090081092A KR 20090081092 A KR20090081092 A KR 20090081092A KR 101663612 B1 KR101663612 B1 KR 10166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ntainer
detergent
flange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3311A (en
Inventor
윤종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612B1/en
Priority to CN2010101778271A priority patent/CN101838922B/en
Priority to ES10172385.6T priority patent/ES2566018T3/en
Priority to EP10172385.6A priority patent/EP2290150B1/en
Priority to US12/860,718 priority patent/US8464913B2/en
Priority to CN2010102688963A priority patent/CN102002841B/en
Publication of KR2011002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측벽과 후벽을 포함하는 육면체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면이 함몰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의 전방면으로 세제용기의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세제용기를 수용하는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전방면에 구비되되, 상기 장착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컵홀더 수용홈과, 상기 컵홀더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세제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제를 저장하는 컵이 수용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세제용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body having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 side wall and a rear wall so as to ope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a detergent container such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recessed, A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unting portion, and a cup inserted in the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and accommodating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including a cup holder.

세제용기, 거치대, 컵홀더, 워크보드, 세탁장치 Detergent container, holder, cup holder, work board, washing machine

Description

세제용기 거치대{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본 발명은 세탁 시 요구되는 액상세제나 분말세제가 저장된 세제용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of a detergent container storing liquid detergent or powder detergent required for washing.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washing device is a device for removing dirt buried in laundry through the action of water and a detergent.

세탁장치는 크게 교반식과 와류식 및 드럼식 세탁장치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The washing machine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stirring type, a vortex type and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the agitation type, the washing rods rising in the center of the washing tub are washed by rotating the washing rods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wirl type wash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ater and the laundry to rotate the disk- Put the water, detergent and laundry in the drum and wash it.

상술한 세탁장치들은 세탁조나 터브에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한 뒤 세탁조나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세탁수와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제의 화학적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포함된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The washing apparatuses described above supply washing water and detergent to a washing tub or a tub and then rotate the drum provided in the washing tub or tub. During this process, the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and the chemical action of the detergent, .

세탁 시 요구되는 세제는 형태에 따라 분말세제와 액상세제로 구분될 수 있으고, 용도에 따라 세탁물에서 오물을 분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의미의 세제 와 세탁물에 향을 부가하는 기능성 세제 및 옷감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위한 섬유유연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detergent required for washing, it may be divided into a powder detergent and a liquid deterg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 general detergent used for decomposing the dirt in the laundry, a functional detergent for adding the fragrance to the laundry, And a fabric softening agent to make it.

상기 세제는 세제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세탁 시마다 세탁장치에 일정량을 공급하여 세탁하게 된다.The detergent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state of being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user supplies a certain amount of laundry to the washing machine every time the laundry is washed.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세제용기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that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a washing machin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세제용기에 저장된 세제의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제용기에 저장된 세제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capable of easily discharging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and using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without any residual use.

또한,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컵홀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structure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측벽과 후벽을 포함하는 육면체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면이 함몰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의 전방면으로 세제용기의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세제용기를 수용하는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전방면에 구비되되, 상기 장착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컵홀더 수용홈과, 상기 컵홀더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세제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제를 저장하는 컵이 수용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세제용기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body having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 side wall and a rear wall so as to ope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being recessed, A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unting portion and a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inserted in the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and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ere is provided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including a cup holder in which a cup for storing detergent is accommodated.

이 경우, 상기 컵홀더는 상기 컵홀더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하방으로 만곡되어 구비되는 컵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p holder may include a base plat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and a cup receiving groove having the base plate bent downward.

또한, 상기 컵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p holder may further include rib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e plate.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컵수용홈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리브의 길이는 상기 컵수용홈의 깊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b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up receiving groove, and the length of the ribs may be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up receiving groove.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base plate may include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that ar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bent downward at opposite ends of the base plate.

이 경우, 상기 제1플랜지의 양단 및 제2플랜지의 양단은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irst flang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flange may include stepped portions.

또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연결되는 측방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방플랜지의 높이는 상기 제1, 제2플랜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lange may further include a side flange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wherein a height of the side flange is lower than a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세제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 구비되되 상기 세제용기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내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is seated and an inner wall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또한, 상기 안착면은 상기 세제용기의 외주면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제용기가 억지끼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surface is provid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so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is detachably fitted.

이 경우, 상기 내측벽은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양 내측벽의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wall extend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wall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내측벽은 상기 세제용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wall may further include a push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한편, 상기 안착면은 상기 바디의 전방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ating surface may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ody.

이 경우, 상기 안착면은 상기 세제용기의 배출구가 구비되는 면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ating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jaw for supporting a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o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세제용기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 증대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제용기 거치대에 의하면, 세제용기에 저장된 세제의 인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제용기에 저장된 세제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easily taken out, and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used without being exha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제용기 거치대에 의하면, 세제용기 거치대에 착탈이 용이한 컵홀더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cup holder which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도1은 세제용기(C)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세제용기(C)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C1)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C2)와,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버튼(C3)과, 세제를 보충(refill)하기 위한 캡(C4)을 포함한다. 도1은 세제가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제용기의 일례일 뿐이므로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제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는 없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tergent container (C). The detergent container C includes a storage part C1 for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detergent, a discharge port C2 for discharging detergent stor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a button for selectively opening the discharge port C3), and a cap (C4) for refilling the detergent. FIG. 1 is only an example of a detergent container to which a detergent is stored and provided to a user.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holder for mounting a detergent contain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부(C)가 대략 육면체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storage section C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outer peripheral surface will be described below.

도2는 본 발명 세제용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기의 정면도이며,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기의 하부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다른 세제용기 거치대(1)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함몰구비되어 세제용기(C)가 수용되는 장착부(30)와, 상기 바디에 착탈가능하고 컵이 수용되는 컵홀더(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forming an outer shape, a mounting portion 30 accommodated in the body 10 to receive the detergent container C, And a cup holder 50 in which the cup is accommodated.

상기 바디(10)는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후벽(13)과, 상기 후벽(13)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측벽(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벽(13)과 측벽(11)은 세제용기 거치대(1)가 놓이는 평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은 상술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바디(10)의 형상이나 상기 측벽과 후벽의 형상은 바디가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후벽과 측벽을 구비하는 한 육면체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심미감 유발을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제공되어도 무방하다.The body 10 may include a rear wall 13 and a side wall 11 facing each other with the rear wall 13 interposed therebetween. The rear wall 13 and the side wall 1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is placed, and Fig. 1 shows the above-described case. However, the shape of the body 10 and the shape of the side wall and the rear wall need not be limited to the hexahedron shape having the rear wall and the side wall so that the bottom face of the body is opened, It may be provided.

상기 측벽(11)은 세제용기 거치대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하게 되는 저면이 상부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111)와 레일수용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wall 11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portion 111 and a rail receiving groove 115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rest is placed.

상기 만곡부(111)는 상기 양 측벽(11)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세제용기 거치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세제용기 거치대가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각각의 세제용기 거치대의 결합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urved portions 111 are provided on the both side walls 1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Further, when two or more detergent container cradles are provided, they can function as coupl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detergent container cradl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상기 만곡부(111)가 세제용기 거치대의 손잡이로서 기능할 경우,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리브(113)가 만곡부(11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urved portion 111 functions as the handle of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the non-slidable rib 113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111. [

도4는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하부면 사시도이고 이를 참고하여 상기 미끄럼방지리브(113)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미끄럼방지리브(113)는 상기 측벽(11)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된다. 또한, 그 위치는 상기 만곡부(111)의 길이방향 외주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세제용기 거치대를 이동할 경우 사용자의 손이 닿게 되는 만곡부(111)의 수평부에 집중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the anti-slip rib 113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1, and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osition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t is preferably provided intensively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111 where the user's hand touches when the user moves the detergent container rest .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세제용기 거치대(1)를 이동시킬 때 상기 만곡부(111)의 외주면 상부에 구비된 미끄럼방지리브(113)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the slip prevention rib (113)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hand.

도1을 참고하여 상기 레일수용홈(115)을 살펴보면, 상기 레일수용홈(115)은 후술할 워크보드(70)에 구비되는 고정레일(73)이 수용되는 공간이다.Referring to FIG. 1, the rail receiving groove 115 is a space in which a fixed rail 73 provided on a work board 70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상기 세제용기 거치대(1)는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세탁장치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통상의 세탁장치에 세제용기 거치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빨래를 정리하거나 다림질과 같은 빨래손질이 가능한 워크보드를 세탁장치의 상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워크보드에 상기 세제용기 거치대(1)의 고정을 위한 고정레일(73)을 구비한다면, 사용자가 세탁 시 세제용기를 찾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정리 및 손질이 가능한 공간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세탁장치의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워크보드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is preferably located near a washing machine such as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However,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capable of fixing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to an ordinary washing machine, a work board capable of cleaning and cleaning clothes such as ironing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for the user to organize and clean the laundry as well as to reduce the trouble for the user to find the detergent container when washing the laundry,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Details of the work board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1)는 바디(10)의 전방면에 컵홀더 수용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on the front face of the body 10.

상기 컵홀더 수용홈(15)은 후술할 장착부(30)의 안착면(31)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후술할 컵홀더(5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컵홀더 수용홈(15)의 형상은 컵홀더(5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1은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컵홀더(50)를 수용하는 컵홀더 수용홈(15)을 도시하고 있다.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is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mount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 space in which a cup holder 50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holder 50, and FIG. 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50, And the holder receiving groove 15 is shown.

상기 장착부(30)는 상기 세제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바디(10)의 상부면이 함몰되어 구비되므로 바디의 측벽과 후벽에 둘러싸여 제공되며, 안착면(31), 내측벽(33), 내후벽(35) 및 걸림턱(37)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 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is recessed into the spac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mounting portion 30 is provided surrounded by the side wall and the rear wall of the body, and the seating surface 31, the inner wall 33, A rear wall 35 and a latching protuberance 37 are preferably provided.

상기 안착면(31)은 상기 세제용기(C)의 저장부(C1) 외주면 일부가 그 길이방향(L, 도1참고)으로 안착되는 공간이다. 즉, 상기 세제용기(C)의 배출구(C2)가 상기 바디(10)의 전방면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부(30)에 삽입될 때 세제용기(C)의 저장부(C1) 외주면이 지지되는 면이다.The seating surface 31 i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C1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is seate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L (see Fig. 1). That is, when the discharge port C2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30 so as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the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w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C1 is supported to be.

상기 내측벽(33)은 상기 안착면(31)의 양단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서로 마주도록 구비된다. 다만, 상기 내측벽(33)은 상기 세제용기(C)의 저장부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벽(33)이 상기 세제용기(C)의 저장부(C1)를 가압하면 세제용기 내부에 저장된 세제(특히, 액상세제의 경우)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상기 배출구(C2)에 구비되는 버튼(C3)을 사용자가 누르게 될 경우 세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The inner side wall 33 extends to both upp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31 and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ide wall 33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ervoir por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When the inner wall 33 presses the storage portion C1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liquid deterg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C3 provided on the user's body, the detergent is easily discharged.

상기 세제용기의 저장부(C1)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안착면(31)의 폭(W1)은 세제용기(C)의 폭(W2)보다 작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세제용기의 저장부 외주면은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 구비되는 내측벽(33)에 억지끼움되므로 세제용기에 저장된 세제는 상기 내측벽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된다.The width W1 of the seating surface 3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in order to pressuriz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C1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constrained to the inner wall 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so that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pressed by the inner wall.

또한, 상기 세제용기의 억지끼움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 구비되는 내측벽(33) 간의 거리를 안착면(31)의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세제용기(C)를 장착부에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세제용기의 저장부 외주면 하부는 상기 측벽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세제용기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가압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ide walls 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may be increa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31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is makes it easier to insert the detergent container C into the mounting portion, and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servoir por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pressed by the side wall, the effect of pressing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realized do.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벽(33)에 세제용기의 저장부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가압돌기(331)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도10은 상기 가압돌기(331)가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측벽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inner wall 33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331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ervoir of the detergent container. 10 shows a case where the pressing protrusions 331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but a plurality of the pressing protrusions 331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wall.

한편, 상기 안착면(31)은 상기 세제용기(C)의 배출구(C2)가 세제용기의 바닥면(C5)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세제용기 내부에 세제(액상세제 및 분말세제)가 소량 잔류한 경우, 세제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eating surface 31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discharge port C2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C5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is is to allow the detergent to be used without any detergent if a small amount of detergent (liquid detergent and powder detergent) remains in the detergent container.

즉, 상기 안착면(31)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면 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세제는 상기 배출구(C2)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므로 별다른 노력(배출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흔들거나, 세제용기를 뒤집어 보관하는 등의 노력)없이도 사용자는 세제용기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f the seating surface 3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deterg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ll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C2.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shake the discharge port downward or turn the detergent container upside down) The user can use all of the liquid detergent stor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또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배출구(C2)가 구비되는 세제용기(C)의 상단을 지지하는 걸림턱(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용기는 내부에 저장된 액상세제의 무게 및 용기 자체의 무게가 존재하고, 상기 안착면은 경사지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세제용기가 미끄러지지않도록 지지하게 된다.Further, the seating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catching protuberance 37 for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having the outlet C2. The detergent container has the weight of the liquid detergent stored therein and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tself, and the seating surface is inclined so that the detent jaw supports the detergent container so as not to slip.

한편, 상기 내후벽(35)은 상기 세제용기(C)의 배면이 수용되는 벽으로 상기 세제용기(C)의 바닥면(C5)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inner rear wall 35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C5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by a wall accommoda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C, .

이하에서는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1)에 구비되는 컵홀더(50)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up holder 50 provid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컵홀더(50)는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상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5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마주보는 양단에 하부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플랜지(55) 및 제2플랜지(57)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이어주는 측방플랜지(59)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배면에 구비되는 리브(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p holder 50 includes a base plate 51 for forming an upper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holder 50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51, A side flange 59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to each other and a rib 53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51. [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는 상기 컵홀더 수용홈(15)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다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형상은 상기 컵홀더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한 반원형상이나 타원형상 등 심미감제공을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도 무방하며, 도5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51)를 개시하고 있다.The base plate 5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However, the shape of the base plate 51 may be modified to various shapes to provide a sense of beauty such as a semi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FIG. 5 is a cross- (51).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컵수용홈(51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컵수용홈(511)은 세탁 시 요구되는 세제량을 계량하기 위한 컵이 수용되는 홈이다. Preferably, the base plate 51 includes a cup receiving groove 511 formed to be depressed downward. The cup receiving groove 511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51 to receive a cup, to b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배면에 구비되는 리브(53)는 컵홀더(50)의 강도 보강 및 성형(사출성형 등)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컵홀더(50)를 컵홀더 수용홈(15)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ribs 53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51 not only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up holder 50 and improve the molding (injection molding and the like), but als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up holder 50 15).

상기 컵홀더(50)는 상기 바디(10)의 컵홀더 수용홈(15)에 삽입되는 구성이므로 액상세제나 이물질이 컵홀더 수용홈(15) 내부로 유입되어 컵홀더 수용홈(15)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나, 상기 컵수용홈(511)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일측을 가압하면 상기 리브(53)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컵홀더 수용홈(15)에서 상기 컵홀더(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up holder 50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of the body 10, liquid detergent or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to clean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It may be necessary to clean the cup receiving groove 511. In this case, In this case, when the user presses one side of the base plate 51, the rib 53 serves as a supporting point of the lever, so that the cup holder 5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

다만, 상기 리브(53)는 상기 컵수용홈(511)의 양측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리브(53)의 높이는 상기 컵수용홈(511)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ribs 5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up receiving groove 511 and the height of the rib 53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depth of the cup receiving groove 511 .

한편, 컵수용홈(511)의 바닥면이 상기 컵홀더 수용홈(15)에 삽입된 베이스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만 있다면, 상기 컵수용홈(511) 자체가 지지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브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I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receiving groove 511 can stably support the base plat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the cup receiving groove 511 itself can serve as a supporting point, It may not have a rib.

상기 제1플랜지(55)와 제2플랜지(57)는 상기 컵홀더 수용홈에 삽입된 베이스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리브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양단에 단차부(551, 571)를 각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lange 55 and the second flange 57 are configured to stably support the base plat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s have stepped portions 551 and 571 at both ends, respectively, so as not to hinder the function of the ribs.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며, 도5에서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플레이트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제2플랜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may be bent downward from opposite ends of the base plate.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ase plate as shown in FIG. 5,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ase plate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높이는 상기 리브(53)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큰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각 플랜지의 양단은 플랜지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단차부(551, 57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first flange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flange are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rib 53. Both ends of each flange are provided with stepped portions 551 and 571 ).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을 컵홀더 수용홈(15)의 깊이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단차부(551 또는 571)가 컵홀더 수용홈(15)의 하방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컵홀더(50)가 컵홀더 수용홈(15)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or right chamber of the base plate 51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the stepped portion 551 or 571 is moved downwardly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So that the cup holder 50 can easily escape from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나아가, 상기 컵홀더(50)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이어주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는 측방플랜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방플랜지(59)는 상기 제1, 제2플랜지의 단차부(551, 571)에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up holder 50 may further include a side flange 59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base plate so as to connect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flange 59 is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s 551 and 571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기 거치대(1')의 사시도이고, 도7은 도2에 개시된 세제용기 거치대(1, 이하 "제1세제용기 거치대")와 도6에 개시된 세제용기 거치대(1', 이하 "제2세제용기 거치대")의 결합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6과 도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And a container stand (1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etergent container stand").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세탁 시 필요한 세제는 오물제거를 위한 세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섬유유연제나 향 부가를 위한 향첨가세제를 더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세탁에 필요한 세제가 2종류 이상인 경우에 유용한 세제용기 거치대(100)를 제공한다.The detergent required for washing is not only a detergent for removing dirt but also a fragrance detergent for fabric softener or fragrance is general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 useful when two or more kinds of detergents necessary for washing are used.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두 개의 세제용기 거치대가 결합 가능한 것이 특징이고, 이하에서는 도2에 개시된 실시예와 구별되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detergent container cradles can be combined. In the following,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2 will be mainly described.

도6에 개시된 제2세제용기 거치대(1')는 바디(10')의 측벽(11')에 결합리브(17')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측벽(11')에 구비되는 만곡부(111')에 전방리브(17a')와 후방리브(17b')가 구비된다.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disclosed in FIG. 6 further includes a coupling rib 17' in the side wall 11 'of the body 10'. That is, the front ribs 17a 'and the rear ribs 17b' are provided on the curved portion 111 'provided in the side wall 11'.

상기 전방리브(17a')는 측벽(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뒤 제2세제용기 거치대(1')의 전방(바디(10')의 전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후방리브(17b')는 측벽(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뒤 제2세제용기 거치대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The front rib 17a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11' and is bent forward (forward of the body 10 ') of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nd the rear rib 17b '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11' and is bent rearwardly of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상기 전방리브(17a')와 후방리브(17b')는 바디의 측벽(11') 일면(도면 상 좌측 측벽)에만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양 측벽에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front ribs 17a 'and the rear ribs 17b' are provided only on one side (the left side wall in the drawing) of the side wall 11 'of the body, the case where the front ribs 17a' and the rear ribs 17b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is not excluded.

제2세제용기 거치대(1')끼리 또는 제1세제용기 거치대(1)와 제2세제용기 거치대(1')끼리 결합되어 두 개의 세제용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세제용기 거치대(100)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상기 전방리브(17a')와 후방리브(17b')로 구비되는 결합리브(17')는 바디(10')의 일측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 is provided so that two detergent container holder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betwee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nd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The coupling rib 17 'provided as the front rib 17a' and the rear rib 17b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body 10'.

그러나, 세 개의 세제용기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제용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상기 전방리브(17a')와 후방리브(17b')는 바디(10')의 양 측벽(11')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세제용기 거치대(1')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 제1세제용기 거치대(1)를 각각 결합시킨다면 세 개의 결합된 세제용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is provi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ree detergent containers can be mounted, the front ribs 17a 'and the rear ribs 17b' 11 ', respectively. That is, if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ree combined detergent container holders.

이하에서는 도7과 도8을 참고하여, 제1세제용기 거치대(1)와 제2세제용기 거 치대(1')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nd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제1세제용기 거치대(1)와 제2세제용기 거치대(1')가 결합된 세제용기 거치대(100)는 도2의 세제용기 거치대(1)의 만곡부(111)와 도6의 세제용기 거치대(1')의 결합리브(17')를 통해 진행된다.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 having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nd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coupled to the curved portion 111 of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of FIG. 2 and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through the coupling rib 17'.

도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결합리브(17')가 없는 제1세제용기 거치대(1)의 만곡부(111)는 결합리브(17')가 형성된 제2세제용기 거치대(1')의 전후방리브(17a', 17b')에 삽입된다. 즉, 제1세제용기 거치대(1)의 만곡부(111)가 구비되는 측벽(11)과 제2세제용기 거치대(1')의 측벽(11')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세제용기 거치대(1)의 만곡부를 형성하는 측벽이 상기 전후방리브(17a, 17b')에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면 양 세제용기 거치대가 결합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curved portion 111 of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without the engaging rib 17 'is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ribs 1' of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 17a ', 17b'.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wall 11 having the curved portion 111 of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11 'of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When the side wall forming the curved por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1 is push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ribs 17a and 17b ', both detergent container cradles are engaged.

따라서, 상기 만곡부(111)는 세제용기 거치대를 이동시킬 때 손잡이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세제용기 거치대를 결합할 때 결합부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urved portion 111 not only functions as a handle when moving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but also functions as a coupling portion when the two or more detergent container holder are engaged.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세제용기 거치대(1')만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세제용기를 거치 가능한 세제용기 거치대(100)를 제공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 capable of mounting two or more detergent containers using only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기 거치대(10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세제용기 거치대(1000)를 세탁장치(D, W)의 상부에 구비시킬 수 있도록 워크보드(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ork board 70 so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rest 1000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D, W.

도9에는 두 개의 세제용기가 거치될 수 있는 세제용기 거치대(100)와 워크보드(70)의 결합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세제용기 거치대(1)와 워크보드의 결합 및 제2세제용기 거치대(1')와 워크보드의 결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9 shows the combina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 and the work board 70 on which two detergent containers can be mounted,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and the work board and the second detergent container holder (1 ') and the work board is not excluded.

이하에서는 도9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되, 제1, 제2세제용기 거치대의 구성은 도2와 도6에 개시된 세제용기 거치대(100)와 동일한 바 워크보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tergent container baske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bar workboard as the detergent container baskets 100 disclosed in FIGS. 2 and 6.

상기 워크보드(70)는 세탁장치(세탁기(W) 및 건조기(D)를 포함)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세탁물을 손질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세탁물을 세탁하기 전 사용자는 세탁물의 분류나 찌든때 제거를 위해 세제를 찌든때에 바르는 경우와 같은 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 후 다림질과 같은 후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워크보드(70)는 사용자가 세탁 전후 세탁물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71), 상기 프레임(71)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고정레일(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9는 세탁기와 건조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워크보드를 개시하고 있으나, 세탁기의 상부에만 구비되는 워크보드 또는 건조기의 상부에만 구비되는 워크보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work board 7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washing machine W and the dryer D) to provide a space for the user to trim laundry. Before washing the laundry, the user can carry out a pre-treatment such as when the laundry is classified or stained and when the laundry is stained with a detergent. In addition, the user may perform a post-treatment such as ironing after washing. Therefore, the work board 70 is provided with a frame 71 that forms an outer shape of the work board 70 to provide a work space necessary for the user to process the laundry before and after washing, a fixed rail projec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71 73). FIG. 9 shows a work board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but does not exclude a work board provided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machine or a work board provided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dryer.

상기 프레임(71)은 상기 세탁장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하부면이 개방되는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면 세탁장치의 외주면이 프레임의 하부로 수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워크보드의 결합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frame 71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If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71 is provided in a hexahedron shap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shing machine can be receiv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It is easier to combine work boards.

상기 프레임(71)의 상부면에는 돌출되어 구비되는 고정레일(73)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레일(73)은 제1, 제2세제용기 거치대의 레일수용홈(115, 115')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세제용기 거치대(100)를 워크보드(7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And a fixed rail 7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71. The fixed rail 73 is inserted into the rail receiving grooves 115 and 115 'of the first and second detergent container cradles and serves to fix the detergent container cradle 100 to the work board 70.

따라서, 상기 세제용기 거치대(100)는 상기 워크보드(70)의 프레임(71) 상부면을 따라 도면 상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세제용기 거치대를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세탁 시 필요한 세제를 곧바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100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71 of the work board 70, so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can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supply the detergent required at the time of use, so that the user convenience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세제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tergent container.

도 2는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the container for a detergen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하부 사시도이다.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컵홀더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p holder.

도 6은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8 is a rear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detergent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은 본 발명 세제용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container for a detergen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바디: 10 측벽: 11Body: 10 Side walls: 11

만곡부: 111 미끄럼방지리브: 113Bend: 111 Anti-slip ribs: 113

레일수용홈: 115 후벽: 13Rails Retaining Holes: 115 Rear Wall: 13

컵홀더 수용홈: 15 결합리브: 17Cup holder receiving groove: 15 Combination rib: 17

장착부: 30 안착면: 31Mounting area: 30 Mounting area: 31

내측벽: 33 내후벽: 35My side wall: 33 My back wall: 35

걸림턱: 37 컵홀더: 50Hanging jaw: 37 cup holder: 50

컵수용홈: 511 리브: 53Cup housing groove: 511 rib: 53

제1플랜지: 55 제2플랜지: 57First flange: 55 Second flange: 57

단차부: 551, 571 측방플랜지: 59Stepped section: 551, 571 Side flange: 59

워크보드: 70 프레임: 71Work board: 70 frames: 71

고정레일: 73Fixed rails: 73

Claims (13)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측벽과 후벽을 포함하는 육면체형상의 바디;A body having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 side wall and a rear wall so as to open the lower surface; 상기 바디의 상부면이 함몰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의 전방면으로 세제용기의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세제용기를 수용하는 장착부;A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detergent container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recessed and the outlet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상기 바디의 전방면에 구비되되, 상기 장착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컵홀더 수용홈;A cup hold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컵홀더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세제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제를 저장하는 컵이 수용되는 컵홀더;를 포함하며,And a cup hol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and receives a cup for storing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tergent container, 상기 컵홀더는The cup holder 상기 컵홀더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하방으로 만곡되어 구비되는 컵수용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며,A base plat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p holder receiving groove; A cup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base plate is curved downward; And a ri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e plate, 상기 리브는 상기 컵수용홈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리브의 길이는 상기 컵수용홈의 깊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the rib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up receiving groove, and the length of the ribs is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up receiv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마주보는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the base plate further includes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that ar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bent downward at both opposite ends of the base plate.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플랜지의 양단 및 제2플랜지의 양단은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flang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flange include stepped portions.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연결되는 측방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방플랜지의 높이는 상기 제1, 제2플랜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And a side flange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wherein a height of the side flange is lower than a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장착부는The mounting portion 상기 세제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 구비되되 상기 세제용기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내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Further compris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is seated; and an inner wall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the inner wall being provided to pressuriz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안착면은The seating surface 상기 세제용기의 외주면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제용기가 억지끼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the detergent container has a width smaller than an outer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detergent container so that the detergent container is detachably fitte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내측벽은 상기 안착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양 내측벽의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 Wherein the inner side wall extend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ide walls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내측벽은 상기 세제용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the inner wall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안착면은 상기 바디의 전방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the seating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ody.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안착면은 상기 세제용기의 배출구가 구비되는 면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용기 거치대.Wherein the seating surface further comprises a retaining jaw for supporting a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o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KR1020090081092A 2009-08-31 2009-08-31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KR101663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92A KR101663612B1 (en) 2009-08-31 2009-08-31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CN2010101778271A CN101838922B (en) 2009-08-31 2010-05-09 Detergent container placement table
ES10172385.6T ES2566018T3 (en) 2009-08-31 2010-08-10 Rack for a detergent container
EP10172385.6A EP2290150B1 (en) 2009-08-31 2010-08-10 Detergent container cradle
US12/860,718 US8464913B2 (en) 2009-08-31 2010-08-20 Detergent container cradle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container
CN2010102688963A CN102002841B (en) 2009-08-31 2010-08-30 Detergent container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92A KR101663612B1 (en) 2009-08-31 2009-08-31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11A KR20110023311A (en) 2011-03-08
KR101663612B1 true KR101663612B1 (en) 2016-10-07

Family

ID=4274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092A KR101663612B1 (en) 2009-08-31 2009-08-31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3612B1 (en)
CN (1) CN101838922B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756A (en) * 1910-08-03 1912-02-20 Pine Hill Crystal Spring Water Co Combined closure and faucet.
KR200242552Y1 (en) * 1999-01-23 2001-09-25 이희평 nail clipper set case
US6827243B1 (en) * 2002-08-01 2004-12-07 Michael Nuzzolese Portable liquid dispensing kit
US7275662B1 (en) * 2003-07-18 2007-10-02 Steve Milcetich Bottle support device
DE102005050083B4 (en) * 2005-10-18 2011-11-03 Miele & Cie. Kg Dosing device for liquid additive for a household appliance
KR20090101680A (en) * 2008-03-24 2009-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ma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8922B (en) 2012-04-25
KR20110023311A (en) 2011-03-08
CN101838922A (en)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913B2 (en) Detergent container cradle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container
US8826700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7190688B2 (en) ultrasonic cleaner
US6684450B2 (en) Wringing device
US6115877A (en) Mop holding apparatus for holding a free end of a mop from turning when the mop is being wrung
JP7175461B2 (en) ultrasonic cleaner
KR101663612B1 (en)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KR101663611B1 (en)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KR20170096321A (en) Apparatus for injecting liquid additive in washing machine
EP2519679B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tergent box
JP6773689B2 (en) Washing machine with washing classification function
KR20110023310A (en) Cradle for detergent container
JP5895142B2 (en) dishwasher
RU2178262C2 (en) Soap holder
KR100668697B1 (en) Detergent vessel
KR101504826B1 (en) Soap case
KR200461051Y1 (en) washboard for washstand
KR101366286B1 (en) Dishwasher
KR101064075B1 (en) Detergent vessel
WO2011023808A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leaning agent dispenser
RU2506362C2 (en) Washing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for laundry with multifunctional doser of washing agents and such machine operation method
KR101479242B1 (en) Washing machine having the detergent feeding device
KR101065695B1 (en) structure for multipurpose handle of drum-type washing machine
JP5592177B2 (en) Dishwasher
CN216304215U (en) Washing box capable of pushing cleaning liquid out and washing assembly for cleaning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