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55B1 -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55B1
KR101663155B1 KR1020150086896A KR20150086896A KR101663155B1 KR 101663155 B1 KR101663155 B1 KR 101663155B1 KR 1020150086896 A KR1020150086896 A KR 1020150086896A KR 20150086896 A KR20150086896 A KR 20150086896A KR 101663155 B1 KR101663155 B1 KR 10166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
wire hook
contain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유텍
Priority to KR102015008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2015/1692Wires or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리테이너 캐치,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 캐치에 연동하여 회동 가능한 상부캠(upper cam), 상기 상부캠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된 제1 와이어 후크와 제2 와이어 후크,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하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캠(lower cam), 상기 하부캠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캠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제1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3 와이어 후크, 상기 하부캠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캠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후크와 제2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4 와이어 후크, 및 상기 하부캠이 일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하부캠이 타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에 삽입되는 바(ba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Locking Device of a container door from the inner side thereof}
본 발명은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容器)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일반 잡화 및 특수한 화물을 외포장(外包裝) 없이 용이하게 수송하므로 시간·비용이 절감되고, 화물의 파손·분실·도난 등 수송 중의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화차·자동차·선박 등의 적하(積荷)가 인력노동 대신에 기계화되어 하역작업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통상의 컨테이너를 도어 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종래의 컨테이너 도어의 잠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 도어 잠금장치는 한 쌍의 도어(20) 외측에는 복수 개의 록킹로드(locking rod)(11)가 좌우로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록킹로드(11)의 상,하단은 컨테이너의 상,하측 프레임에 결합한 고정부(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록킹로드(11)의 하단부(111)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부(12)의 결합관계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의 고정부(12)는 캠 키퍼(cam keeper)(12)이고, 록킹로드(11)의 하단부(111)는 캠(cam)(111)이 형성되어, 캠 키퍼(12)에 대해 캠 운동하면서 록킹로드(11)는 도어 프레임의 고정부(12)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로드(11)의 하측에는 회동을 위한 핸들(13)이 구비되고, 핸들(13)은 리테이너(14)의 상측에 안착 되고, 리테이너(14)의 상측에는 회동할 수 있는 리테이너 캐치(retainer catch)(15)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14) 및 리테이너 캐치(15)에 형성된 홀에 금속제 봉인, 즉 컨테이너 실(container seal)(16)을 장착하여 핸들(13)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도어(20) 개방을 방지하고 있었다. 참고로, 컨테이너 실은 컨테이너에 화물을 채울 때에 봉하는 금속제 봉인으로서 여기에는 식별을 위한 기호 및 번호가 붙어 있다. 이 봉인상태에 의하여 도난, 발하 등의 부정행위의 유무, 화물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으며 운송인에 대한 보상청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도어의 잠금장치의 구조에서는, 금속제 봉인을 그대로 둔 채, 리테이너 캐치(15)를 절단한 후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타인의 부정적 행위에 의한 컨테이너 화물의 도난 여부 등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제 봉인으로 견고하게 결속된 리테이너(14) 및 리테이너 캐치(15)를 해제하기는 용이하지 않으나, 상,하측의 고정부(12)와 록킹로드(12)를 도어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파손함으로써 도어(20)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테이너 도어를 내측에서 잠가, 타인에 의한 도어 강제 개방을 방지하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리테이너 캐치,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 캐치에 연동하여 회동 가능한 상부캠(upper cam), 상기 상부캠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된 제1 와이어 후크와 제2 와이어 후크,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하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캠(lower cam), 상기 하부캠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캠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제1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3 와이어 후크, 상기 하부캠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캠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후크와 제2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4 와이어 후크, 및 상기 하부캠이 일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하부캠이 타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에 삽입되는 바(ba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캠은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리테이너 캐치의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샤프트의 단면은 상기 리테이너 캐치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캠(upper cam)이 연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캠은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상기 제2 와이어 후크가 각각 걸리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상기 제2 와이어 후크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보다 전방으로 상기 상부캠으로부터 더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캠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의 걸림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와이어 후크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단부에 제1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와이어 후크가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단부에 제2 걸림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2 와이어는 컨테이너 화물의 횡방향 타격에 휘어지더라도 직선으로 원상 회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에 의하면, 컨테이너 도어를 내측에서 잠가, 타인에 의한 도어 강제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잠금장치에서 금속제 봉인을 그대로 둔 채, 리테이너 캐치를 절단한 후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타인의 부정적 행위에 의한 컨테이너 화물의 도난 여부 등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와이어를 끈, 합성수지 등 화물에 의한 횡방향 타격에 일시적으로 휘어지더라도 용이하게 직선으로 복원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 화물의 예측하지 못한 타격에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되는 다른 효과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도어의 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에서 도어 프레임의 고정부인 캠 키퍼(cam keeper)와 록킹로드의 하단부인 캠(cam)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컨테이너 도어에 장착된 컨테이너 실(seal)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의 상부캠과 제1,2 와이어 후크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리테이너 캐치의 정면도를, 도 5의 (b)는 리테이너 캐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도 4의 상부캠의 정면도를, 도 6의 (b)는 상부캠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도 4의 제1,2 와이어 후크의 정면도를, 도 7의 (b)는 와이어 후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의 하부 박스에서 하부캠과 제3,4 와이어 후크와 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하부캠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의 제3,4 와이어 후크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이하,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는 컨테이너 도어(20)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리테이너 캐치(100)에 연동하여 회동 가능하고, 컨테이너 도어(20)의 내면에 구비되는 상부캠(upper cam)(1)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5의 (a)는 리테이너 캐치(100)의 정면도를, 도 5의 (b)는 리테이너 캐치(1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리테이너 캐치(100)의 샤프트(101)가 상부캠(1)의 관통홀(18)에 삽입되는데, 이때 리테이너 캐치(100)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이 상부캠(1)이 회동 되도록 리테이너 캐치(100)의 샤프트(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캐치(100)의 샤프트(101)에는 2개의 평탄면(10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캠(1)의 관통홀(18)에도 평탄면(18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캠(1)은 일측에 제1 돌출부(17)를, 타측에 제2 돌출부(16)를 구비하며, 이들 돌출부는 예시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17)에는 제1 와이어 후크(2)가 걸리는 걸림홈(171)이, 제2 돌출부(16)에는 제2 와이어 후크(3)가 걸리는 걸림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이들 와이어 후크(2,3)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와이어 후크(2,3)는 돌출부(17,16)의 걸림홈(171,161)에 걸리는 갈고리부(21,31)가 상측에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1,2 와이어(6,7)가 연결되는 통공(22,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2 와이어(6,7)는, 강성의 로드(rod)의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화물에 의한 타격에 의해 로드가 구부러져 원상 회복되지 않을 경우 본 실시예에서 의도하는 기능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끈,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화물에 의한 횡방향 타격에 일시적으로 휘어지더라도 용이하게 직선으로 복원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후크(2)와 제2 와이어 후크(3)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17) 및 제2 돌출부(16) 중 어느 하나가 더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6에는 제1 돌출부(17)가 제2 돌출부(16)에 비하여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된 모습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리테이너 캐치(1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부캠(1)이 회동할 때, 이들 와이어 후크(2,3)에 연결된 제1 와이어(6)와 제2 와이어(7)가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는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200)에 인접한 컨테이너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하부박스(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박스(4)에는 하부캠(lower cam)(5)이 대략 그 중심부(P)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부캠(5)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제3 와이어 후크(8)와 제4 와이어 후크(9)가 각각 하부캠(5)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캠(5)의 일측에는 걸림부(5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10)의 걸림홈(101)에 삽입된다.
한편, 도 10에는 제3,4 와이어 후크(8,9)의 정면도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와이어 후크(8)는 하부캠(5)의 일측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리벳 결합 등을 통하여 제3 와이어 후크(8)는 하부캠(5)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와이어 후크(8)는 제1 와이어 후크(2)와는 제1 와이어(6)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그 하측이 하부캠(5)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상측에 제1 와이어(6)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4 와이어 후크(9)는 하부캠(5)의 타측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와이어 후크(3)와는 제2 와이어(7)를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는 바(bar)(10)를 더 포함한다.
바(10)는 하부캠(5)이 일 방향(도 8 기준 시계방향, A)으로 회동시에 상향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200)에 형성된 홈(201)으로부터 이탈되고, 하부캠(5)이 타 방향(도 8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측 프레임(200)의 홈(201)에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캠(5)의 일단에는 걸림부(51)가 구비되고 바(10)에는 걸림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캠(5)이 시계방향(A)으로 회동시에 걸림부(51)가 바(10)를 컨테이너 도어의 상방으로 올려주게 되고, 하부캠(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는 바(10)가 컨테이너 도어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의 작용(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때, 컨테이너 도어의 외측에서 볼 때 리테이너 캐치(15)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하부캠(5)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상향되게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하부캠(5)의 걸림부(51)가 바(10)를 하방으로 밀어주어 바(10)의 말단부가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200)의 홈(20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타인이 리테이너 캐치(15), 리테이너(14)를 절단하더라도 바(10)가 하측 프레임(200)의 홈(201)에 삽입되어 있어, 즉 도어의 내측에서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컨테이너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통상적으로 컨테이너는 도어에 장착된 록킹로드(11)의 캠(111)은 도어 프레임의 캠 키퍼(12)에 대해 캠 운동하면서 록킹로드(11)의 캠(111)이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된다. 이러한 도어 개방을 위한 캠 운동을 위해서는 도어가 전방으로 이동되어야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바(10)가 하측 프레임(200)의 홈(201)에 삽입되어 도어의 이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리테이너 캐치(15)를 훼손한 상태에서 도어의 강제 개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너 캐치(15)를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상부캠(1)이 회동하게 되고,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6)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 후크(2) 및 제3 와이어 후크(8)는 상향 이동하고, 제2 와이어(7)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와이어 후크(3) 및 제4 와이어 후크(9)는 하향 이동하고, 이때 하부캠(5)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바(10)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최종적으로 바(10)는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200)의 홈(201)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록킹로드(11)의 캠(111)을 도어 프레임의 캠 키퍼(12)에 캠 운동시키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 캐치의 회동에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금속제 봉인을 그대로 둔 채, 리테이너 캐치(15)를 절단한 후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타인의 부정적 행위에 의한 컨테이너 화물의 도난 여부 등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리테이너 캐치
1...상부캠
2,3...제1,2 와이어 후크
4...하부박스
5...하부캠
8,9...제3,4 와이어 후크
10...바
200...컨테이너 하측 프레임
201...홈

Claims (7)

  1. 컨테이너 도어를 내측에서 잠그는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리테이너 캐치,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 캐치에 연동하여 회동 가능한 상부캠(upper cam),
    상기 상부캠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된 제1 와이어 후크와 제2 와이어 후크,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하부박스,
    상기 하부박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캠(lower cam),
    상기 하부캠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캠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제1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3 와이어 후크,
    상기 하부캠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캠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후크와 제2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4 와이어 후크, 및
    상기 하부캠이 일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테이너 하측 프레임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하부캠이 타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에 삽입되는 바(bar)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캠은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리테이너 캐치의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샤프트의 단면은 상기 리테이너 캐치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캠(upper cam)이 연동되도록 형성된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캠은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상기 제2 와이어 후크가 각각 걸리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와이어 후크와 상기 제2 와이어 후크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보다 전방으로 상기 상부캠으로부터 더 돌출되게 배치된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하부캠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있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와이어 후크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단부에 제1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와이어 후크가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단부에 제2 걸림홈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1,2 와이어는 컨테이너 화물의 횡방향 타격에 휘어지더라도 직선으로 원상 회복되는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KR1020150086896A 2015-06-18 2015-06-18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KR101663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96A KR101663155B1 (ko) 2015-06-18 2015-06-18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96A KR101663155B1 (ko) 2015-06-18 2015-06-18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155B1 true KR101663155B1 (ko) 2016-10-06

Family

ID=5716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896A KR101663155B1 (ko) 2015-06-18 2015-06-18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8028A1 (en) * 2006-05-04 2012-05-17 Mobile Mini, Inc. Dual lock locking system for contai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8028A1 (en) * 2006-05-04 2012-05-17 Mobile Mini, Inc. Dual lock locking system for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4896B2 (en) Locking apparatus for trailer doors
US11235921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US9683394B1 (en) Simplifi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hipment of high-value cargo
US3484127A (en) Door securing apparatus
EP1845225B1 (en) Container Lock and Method for Locking of Container Door
KR101578183B1 (ko) 컨테이너용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CN107878947B (zh) 锁紧装置、集装箱门结构和集装箱
US8066142B2 (en) Locking bar anti-theft device for container
CN201793189U (zh) 集装箱箱门密封装置
KR101663155B1 (ko) 컨테이너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US20120103032A1 (en) Security cover for cargo containers
US20170306663A1 (en) Radial end door locking rod, cam and keeper
US10871012B2 (en) End door latch arrangement for railroad car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US20060131896A1 (en) Cargo container door lock with theft prevention means
KR101495120B1 (ko) 차량 적재함 도어 고정장치
US7341305B2 (en) Customs seal for freight container door
EP1457436B1 (en) Freight container
CN110936991B (zh) 笼车及其锁定和解锁方法
US11346135B1 (en) Cover assembly for lock assembly of a shipping container
US9822558B1 (en) Tamper evident trailer lock
CN104097878A (zh) 集装箱门板底部的锁紧装置
KR101822848B1 (ko) 컨테이너 문의 강제 열림 방지구조
KR20080033605A (ko) 도난방지를 위한 봉인체결장치를 갖춘 컨테이너 도어시스템
KR20030000755A (ko) 컨테이너 도어 잠금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