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33B1 -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 Google Patents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33B1
KR101663133B1 KR1020150118071A KR20150118071A KR101663133B1 KR 101663133 B1 KR101663133 B1 KR 101663133B1 KR 1020150118071 A KR1020150118071 A KR 1020150118071A KR 20150118071 A KR20150118071 A KR 20150118071A KR 101663133 B1 KR101663133 B1 KR 10166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dapter
extension rod
baske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행
조영갑
유연식
류명한
류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12Means for moving control elements to desired posi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3/00Adaptations of reactors to facilitate experimentation or ir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장봉 어댑터(10),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봉(20), 및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을 결합 또는 분리 시키는 바스켓(30)을 포함하여, 연장봉 중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상단부를 하부와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연장봉의 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Extension Shaft Assembly of Bottom-Mounted Control Rod Drive Mechanism }
본 발명은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구용 원자로에 사용되는 제어봉 구동장치 및 이차정지 구동장치는 연구로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정지가 요구될 때 제어봉 및 정지봉의 위치를 변화시켜 각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작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봉 구동장치와 이차정지 구동장치는 각 구동부가 원자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설치방식과 원자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설치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는 원자로 수조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직접적인 동력 전달방식이 아닌 전자석을 이용한 비접촉식 제어방식을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 구동장치는 수조(10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밀봉관(102), 상기 밀봉관(102)의 내부에서 수조를 관통하여 제어용 핵연료봉(103)과 제어봉(104)을 지지하는 연장봉(120), 상기 연장봉(120)과 일체로 거동하는 가동자(105), 상기 가동자(105)를 이동시키는 전자석(106), 상기 전자석(106)을 승하강시키는 볼스크류(107) 및 구동모터(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자(105)는 밀봉관(102)의 내부에 위치하고 밀봉관(102)의 외부에 위치한 전자석(106)의 자력으로 가동자(105)를 지지하게 된다. 구동모터(108)가 회전하게 되면 볼스크류(107)를 통해 전자석(106)이 승하강하면서 밀봉관(102) 내의 가동자(105)를 전자기력으로 상하이동시키게 된다. 가동자(105)는 전자석(106)의 전자기력에 의해 지지되는데, 노심 출력을 제어할 때 구동모터(108)를 회전하여 위치를 조절하고, 원자로의 긴급정지가 요구될 때에는 전자석(106)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가동자(105)를 지지하던 전자기력을 제거하여 밀봉관(102) 내의 가동자(105)를 낙하시킨다.
여기서, 연장봉(120)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장시간 노심 부근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제어용 핵연료봉(103)에도 근접해 있으므로 중성자 조사 등으로 인해 기계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빠진다.
따라서, 전체 연장봉(120)이 동일 재질일 경우 상단부의 수명이 하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축되는데, 연장봉(120) 상단의 수명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연장봉(12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선행특허) 한국등록특허 10-154018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연장봉 중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상단부를 하부와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연장봉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는,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장봉 어댑터, 및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 어댑터는 상기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어댑터몸체, 및 상기 어댑터몸체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장봉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지는 해제돌기를 구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의 상단부에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결합부를 수용하는 어댑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수용홈의 내측벽에 상기 결합돌기가 지지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상기 연장봉 어댑터와 연장봉을 결합 또는 분리 시키는 바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수조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바스켓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결합부가 승하강할 때 상기 해제돌기를 눌러 결합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를 이탈시켜 상기 연장봉 어댑터와 연장봉을 분리 시키는 경사면이 상기 바스켓몸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해제돌기를 수용하는 도피홈이 상기 바스켓몸체에 상기 경사면보다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경사면과 도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해제돌기는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스켓의 경사면에 의해 압축되거나 상기 도피홈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의 외측에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바스켓몸체에 상기 연장봉의 테이퍼면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몸체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의하면, 연장봉 중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상단부를 하부와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교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연장봉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장봉 어댑터와 연장봉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스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스켓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연장봉 어댑터와 연장봉의 분해단면도,
도 8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연장봉 조립체의 분리 및 결합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장봉 조립체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장봉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는,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장봉 어댑터(10),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봉(20), 및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을 결합 또는 분리 시키는 바스켓(30)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봉 어댑터(10)는 상단부가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봉 어댑터(10)를 제어용 핵연료봉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봉 어댑터(10)는 연장봉(2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장봉(20)은 그대로 두고 연장봉 어댑터(10)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봉 어댑터(10)는 연장봉(20)에 비해 제어용 핵연료봉에 인접하게 구비되므로 연장봉(20)보다 교체시기가 빠르게 되고, 교체시기가 되면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상단부를 제어용 핵연료봉으로부터 분리하고 하단부는 연장봉(20)으로부터 분리하여 연장봉 어댑터(1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상단부는 종래와 동일한 탈착구조로 제어용 핵연료봉과 결합된다. 즉,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 전체를 제어용 핵연료봉에 결합 시키거나 분리 시켰는데, 이러한 종래의 탈착구조를 본 발명에서도 연장봉 어댑터(10)의 상단부에 그대로 적용하여 연장봉 어댑터(10)와 제어용 핵연료봉을 탈착시키게 된다.
상기 연장봉 어댑터(10)는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어댑터몸체(11), 및 상기 어댑터몸체(11)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연장봉(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를 구비하고, 외력에 의해 눌려지는 해제돌기(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어댑터몸체(11)의 하단부 외측에 복수개의 결합부(12)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각 결합부(12)는 하단부가 상기 어댑터몸체(11)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위쪽으로 향하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상기 해제돌기(14)는 각 결합부(12)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3)는 상기 해제돌기(14)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해제돌기(14)와 결합돌기(13)는 일체로 거동하되 상기 해제돌기(14)의 이동거리보다 결합돌기(13)의 이동거리가 짧다.
상기 연장봉(20)의 상단부에 어댑터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 수용홈(21)으로 상기 어댑터몸체(11)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12)의 하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어댑터 수용홈(21)의 내측벽에 상기 결합부(12)의 결합돌기(13)를 지지하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봉(20)의 어댑터 수용홈(21)에 연장봉 어댑터(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결합홈(22)에 상기 결합돌기(13)가 삽입되고, 이때 상기 해제돌기(14)는 어댑터 수용홈(21)의 상단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바스켓(30)은 상기 해제돌기(14)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12)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을 결합 또는 분리 시킨다.
상기 바스켓(30)은 관통공(32)을 가진 관형상으로 형성된 바스켓몸체(31)를 구비하여 상기 연장봉(20)이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스켓몸체(31)는 수조의 내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연장봉(20)과 연장봉 어댑터(10)가 바스켓몸체(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몸체(31)에 경사면(33)과 도피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3)은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결합부(12)가 승하강할 때 상기 해제돌기(14)를 눌러 결합부(12)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13)를 이탈시켜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을 분리 시킨다.
또한, 상기 도피홈(35)은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해제돌기(14)를 수용하고, 상기 경사면(33)보다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해제돌기(14)가 도피홈(35)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13)가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경사면(33)과 도피홈(35)은 바스켓몸체(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결합부(12)에 대응되게 4개의 도피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3)과 도피홈(35)은 바스켓몸체(31)의 축방향에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봉 어댑터(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제돌기(14)가 상기 바스켓(30)의 경사면(33)에 의해 압축되거나 상기 도피홈(35)에 삽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돌기(14)가 바스켓(30)의 경사면(33)에 의해 압축되면 결합부(12)가 어댑터몸체(11) 쪽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돌기(13)가 연장봉(20)의 결합홈(2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연장봉 어댑터(10)를 승강시키면 연장봉(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돌기(14)가 바스켓(30)의 도피홈(35)에 안착되면 결합부(12)가 복원되면서 결합돌기(13)가 연장봉(20)의 결합홈(22)으로 삽입된다. 이때에는 결합돌기(13)가 결합홈(2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연장봉 어댑터(10)를 연장봉(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연장봉(20)의 상단부 외측에 테이퍼면(23)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몸체(31)의 관통공(32) 내측벽 하단부에는 상기 연장봉(20)의 테이퍼면(23)이 지지되는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연장봉 어댑터(10)의 분리 또는 결합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상태에서는 연장봉 어댑터(10)가 바스켓(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연장봉(20)의 상단부만이 바스켓(30)의 관통공(32) 내부에 위치하고 연장봉 어댑터(10)는 연장봉(20)에 결합된 상태로 바스켓(3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연장봉 어댑터(1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연장봉(20)과 연장봉 어댑터(10)를 바스켓(30) 쪽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연장봉 어댑터(10)의 해제돌기(14)가 바스켓(30)의 경사면(33)에 의해 압축되도록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의 회전각을 맞추어 하강시킨다. 도 8의 (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 어댑터(10)의 해제돌기(14)가 바스켓(30)의 경사면(33)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제돌기(14)에 의해 연장봉 어댑터(10)의 결합부(12)가 어댑터몸체(11) 쪽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돌기(13)가 연장봉(20)의 결합홈(2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연장봉(20)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바스켓(30)의 걸림턱(36)에 연장봉(20)의 테이퍼면(23)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연장봉(20)이 연장봉 어댑터(10)로부터 분리된 후 소정 거리만큼 하강한 상태에서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 어댑터(10)를 들어 올리게 되면, 연장봉 어댑터(10)의 결합돌기(13)가 연장봉(20)의 결합홈(22)으로 삽입되어 재결합되지 않고 연장봉 어댑터(10)가 연장봉(20)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바스켓(30)의 도피홈(35)은 경사면(33)의 하단부 및 회전홈(34)과 단차가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 시 해제돌기(14)가 삽입되는 도피홈(35)이 분리 시 해제돌기(14)가 위치하는 경사면(33)의 하단부 및 회전홈(34)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 시 연장봉(20)이 자중에 의해 낙하한 상태에서, 낙하된 거리만큼 연장봉 어댑터(10)가 도피홈(35)의 하단까지 하향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결합돌기(13)가 결합홈(22)에 삽입되어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연장봉(20)이 자중에 의해 단차거리만큼 낙하하여 분리 시 연장봉 어댑터(10)가 연장봉(20)에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연장봉 어댑터(10)의 교체 후 결합 시에는 분리 시의 낙하거리만큼 하강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연장봉 어댑터(10)로 교체한 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연장봉(20)이 안착된 바스켓(30)의 상부에 연장봉 어댑터(10)를 위치시킨다. 이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 어댑터(10)를 하강시킨 다음,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돌기(14)가 바스켓(30)의 도피홈(35)에 안착되면서 결합부(12)가 복원되어 결합돌기(13)가 연장봉(20)의 결합홈(22)으로 삽입된다. 이에 결합돌기(13)가 결합홈(2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연장봉 어댑터(10)가 연장봉(20)에 결합된다.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이 결합되면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 어댑터(10)와 연장봉(20)을 바스켓(30)의 상부로 승강시켜 평상상태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도 10의 (b)의 경우는 해제돌기(14)가 경사면(33)을 따라 삽입되는 경우로, 도 10 (c)와 같이 회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연장봉 어댑터(10)가 바스켓(30)에 삽입될 때 해제돌기(14)가 경사면(33)에 의해 압축되면서 하강하여 회전홈(34)에 안착된 후 회전홈(34)을 따라 이동하여 도피홈(35)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연장봉 어댑터(10)를 바스켓(30)에 삽입하기 전에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해제돌기(14)가 회전홈(34)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도피홈(35)으로 삽입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연장봉 어댑터
11 : 어댑터몸체
12 : 결합부
13 : 결합돌기
14 : 해제돌기
20 : 연장봉
21 : 어댑터 수용홈
22 : 결합홈
23 : 테이퍼면
30 : 바스켓
31 : 바스켓몸체
32 : 관통공
33 : 경사면
34 : 회전홈
35 : 도피홈
36 : 걸림턱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구동부가 원자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장봉 어댑터; 및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봉;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 어댑터는,
    상기 제어용 핵연료봉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어댑터몸체; 및
    상기 어댑터몸체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장봉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지는 해제돌기를 구비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봉의 상단부에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결합부를 수용하는 어댑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수용홈의 내측벽에 상기 결합돌기가 지지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상기 연장봉 어댑터와 연장봉을 결합 또는 분리 시키는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수조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바스켓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결합부가 승하강할 때 상기 해제돌기를 눌러 결합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를 이탈시켜 상기 연장봉 어댑터와 연장봉을 분리 시키는 경사면이 상기 바스켓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해제돌기를 수용하는 도피홈이 상기 바스켓몸체에 상기 경사면보다 함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경사면과 도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돌기는,
    상기 연장봉 어댑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스켓의 경사면에 의해 압축되거나 상기 도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의 외측에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바스켓몸체에 상기 연장봉의 테이퍼면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몸체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KR1020150118071A 2015-08-21 2015-08-21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KR10166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071A KR101663133B1 (ko) 2015-08-21 2015-08-21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071A KR101663133B1 (ko) 2015-08-21 2015-08-21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133B1 true KR101663133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071A KR101663133B1 (ko) 2015-08-21 2015-08-21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11134C1 (ru) * 2023-06-13 2024-01-11 Роман Евгеньевич Тишин Привод регулирующего орган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775A (ja) * 1996-03-11 1997-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炉制御棒駆動装置用連結装置
JPH09325197A (ja) * 1996-06-04 1997-12-16 Toshiba Corp 原子炉の制御棒締結機構
JP2002350581A (ja) * 2001-04-16 2002-12-04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炉の制御棒結合アセンブリおよび制御棒装置
KR101502700B1 (ko) * 2013-10-22 2015-03-13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어봉구동장치의 연장봉 집합체와 가동자 집합체의 자동 연결 및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775A (ja) * 1996-03-11 1997-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炉制御棒駆動装置用連結装置
JPH09325197A (ja) * 1996-06-04 1997-12-16 Toshiba Corp 原子炉の制御棒締結機構
JP2002350581A (ja) * 2001-04-16 2002-12-04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炉の制御棒結合アセンブリおよび制御棒装置
KR101502700B1 (ko) * 2013-10-22 2015-03-13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어봉구동장치의 연장봉 집합체와 가동자 집합체의 자동 연결 및 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11134C1 (ru) * 2023-06-13 2024-01-11 Роман Евгеньевич Тишин Привод регулирующего орган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537A (ko) 로킹 장치, 고정 베이스 및 전기 자동차
KR101502700B1 (ko) 제어봉구동장치의 연장봉 집합체와 가동자 집합체의 자동 연결 및 분리 장치
KR20090079765A (ko) 중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1484298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CN105788667A (zh) 一种浮动式反应堆控制棒驱动机构
CN101251141A (zh) 快速定位锁紧机构
KR101663133B1 (ko) 하부설치 제어봉 구동장치의 연장봉 조립체
CN102678700A (zh) 一种升降杆及采用该升降杆的照明灯具
US10976037B2 (en) Junction structure for lowering lighting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202096144U (zh) 马桶盖板的快拆机构
CN105083476A (zh) 自动定位移动的浮标
WO2024146114A1 (zh) 用于高温气冷堆的自动调平式检修平台
US10161122B2 (en) Twin water-drainage valve inner core tube starting apparatus
JP2010066215A (ja) 制御棒駆動機構
US10535435B2 (en) Fuel assembly
CN105960118A (zh) 一种机械控制的电力电气柜
US9847146B2 (en) Anti-seismic apparatus for 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s
JP2013527826A (ja) デュアル駆動ウインチ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原子炉容器保守装置
KR101703819B1 (ko) 하부설치형 제어봉 구동장치의 피구동라인 교체방법 및 이를 위한 마운팅장치
KR20090066962A (ko) 건식 식각 장치
KR20130070306A (ko) 수직 확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감시시스템
CN207464232U (zh) 内胀卡盘
CN210153219U (zh) 一种密封性强的机械密封装置
US10224121B2 (en) Sealing mechanism for a nuclear reactor vessel cable penetration tube
JP6498085B2 (ja) 設置物固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