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995B1 - 창호의 레일 - Google Patents

창호의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995B1
KR101662995B1 KR1020140182974A KR20140182974A KR101662995B1 KR 101662995 B1 KR101662995 B1 KR 101662995B1 KR 1020140182974 A KR1020140182974 A KR 1020140182974A KR 20140182974 A KR20140182974 A KR 20140182974A KR 101662995 B1 KR101662995 B1 KR 10166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window
wheel
check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125A (ko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riority to KR102014018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에 구비되어 창문의 주행방향을 안내하도록 하는 창호의 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레일에서 사행구간과 포켓구간의 사이에 체크구간을 형성하고, 창문을 닫았을 때에 호차의 휠이 체크구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창문의 잠금 장치를 잠그지 않았더라도 창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창호의 레일{Rail of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의 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구비되어 창문의 주행방향을 안내하도록 하는 창호의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창틀에 창문이 설치되고, 창틀에는 레일이 구비되며, 창문은 레일에서 주행된다. 레일은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직선구간과 사행구간이 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창문이 주행될 때에 레일의 형상에 따라 주행방향이 결정된다. 즉, 레일의 직선 구간에서는 창문은 직선으로 주행되고, 레일의 사행 구간에서는 창문이 사행된다.
한편, 창문은 사행이 완료된 시점에 완전하게 닫힌 상태이다. 그러나 창문을 별도의 잠금 장치로 잠그지 않고, 닫은 상태로 놔둘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장치를 잠그지 않고 닫아 놓은 상태에서는 강풍 등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 창문 전체 면적에 풍력이 작용될 수 있다.
한편, 창문이 닫힌 상태이므로 사행구간에 호차의 휠이 위치되는데, 창문이 풍력에 영향을 받은 경우에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열리는 경우가 있다.
이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창호에서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a)는 창문이 직선 구간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창문이 사행구간에서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창호의 레일에서 창문이 풍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호는 레일(30)의 상측에 창문(1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창문(10)은 저면(11)에 호차(20)가 복수로 설치된다. 상술한 하나의 호차(20)는 제1휠(21)과 제2휠(22)이 이격 되어 구비된다.
레일(30)은 제1직선구간(31)과 제2 직선구간(33)이 평행하고 이격 되게 배치되고, 제1, 2직선구간(31, 33)의 각각의 한쪽 끝에는 제1, 2사행구간(32, 34)이 형성되며, 제1사행구간(32)과 제2사행구간(34)은 이어지는 구간에 포켓(35)이 형성된다.
제1휠(21)은 제1직선구간(31)과 제1사행구간(32)에서 주행되어 상술한 포켓(35)에 수용된다.
제2휠(22)은 제2직선구간(33)과 제2사행구간(34)에서 주행되어 상술한 포켓(35)에 수용된다.
즉, 창문(10)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직선구간(31, 33)에 위치된 상태이라면 직선 주행한다. 반면에, 창문(10)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사행구간(32, 34)에 위치된 상태라면 사행주행 한다. 창문(10)이 더 이상 사행주행이 되지 않는 지점까지 이동되면 창문(10)이 닫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창문(10)에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잠금 장치를 잠그지 않고, 단순하게 창문(10)을 닫아놓을 수 있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10)에 풍력이 작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풍력이 작용될 때에는 제1휠(21)은 제1사행구간(32)에서 쉽게 사행주행이 가능하고, 아울러 제2휠(22)은 제2사행구간(34)으로 이동에 아무런 제재가 없기 때문에 쉽게 이동될 수 있는 상황이다. 즉, 창문(10)은 제1사항구간(32)에 대한 거리(s)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열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창문(10)을 닫아 놓은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풍력에 의해 창문(10)이 너무나도 쉽게 개방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2-0124172호(2012.11.1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록 사용자가 창문의 잠금 장치를 잠그지 않았더라도 창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의 레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제1휠(21)이 구비된 호차(20)의 주행을 안내하는 창호의 레일에 있어서, 상기 제1휠(21)이 직선 주행되는 제1직선구간(61); 창문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휠(21)이 상기 제1직선구간(61) 이후에 사행 주행되는 제1사행구간(62); 및 상기 창문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휠(21)이 상기 제1사행구간(62) 이후에 직선 주행되는 체크구간(6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제1, 2휠(21, 22)이 구비된 호차(20)가 직선주행 또는 사행주행 되도록 상기 호차(20)의 주행을 안내하는 창호의 레일에 있어서, 상기 제1휠(21)이 직선 주행되는 제1직선구간(61); 상기 제1직선구간(61)의 끝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휠(21)이 사행 주행되는 제1사행구간(62); 상기 제1사행구간(62)의 다른 쪽 끝에서 직선 또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직선구간(6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휠(21)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직선 구간(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휠(21)의 이동이 자유로운 체크구간(64); 상기 제1직선구간(61)과 평행하고, 상기 제1직선구간(61)과 이격 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휠(22)이 직선 주행되는 제2 직선구간(66); 및 상기 제2직선구간(66)의 끝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휠(22)이 사행 주행되는 제2사행구간(67);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상기 체크구간(64)의 끝에 형성되어 상기 제1휠(21)이 수용되는 제1 포켓구간(65); 및 상기 제2사행구간(67)과 상기 제1 포켓구간(65)이 이어지고, 상기 호차(20)의 제2휠(22)이 수용되는 제2포켓구간(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상기 제1직선구간(61)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상측이 바로 보이는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체크구간(64)의 일부 구간은 상기 제1포켓구간(65)보다 돌출되어 상기 제1휠(21)이 제1포켓구간(6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구간(64)을 임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상기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는 0.2mm 내지 1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상기 체크구간(64)의 거리는 2mm 내지 10mm인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사용자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잠금 장치를 잠그지 않았을 때에,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창문이 풍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창호에서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a)는 창문이 직선 구간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창문이 사행구간에서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창호의 레일에서 창문이 풍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창문이 직선 구간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창문이 사행 구간에 위치되어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창문(10)과 호차(20)의 구성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창문이 직선 구간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창문이 사행 구간에 위치되어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60)은, 제1, 2 직선구간(61, 66)과 제1, 2 사행구간(62, 67)과 제1,2 포켓구간(65, 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60)은 제1사행구간(62)과 제1포켓구간(65)의 사이에 체크구간(64)이 구성된다.
제1 직선구간(61)은 선행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제1휠(21)이 직선 주행되는 구간이다.
제1사행구간(62)은 제1직선구간(61)의 끝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휠(21)이 사행 주행되는 구간이다.
체크구간(64)은 제1사행구간(62)의 다른 쪽 끝에서 직선 또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제1직선구간(6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1휠(21)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직선 구간(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휠(21)의 이동이 자유로운 구간이다.
한편, 체크구간(64)과 제1사행구간(62)의 사이에는 전환구간(6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환구간(63)은 완만한 곡률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전환구간(63)은 제1휠(21)이 제1사행구간(62)에서 체크구간(64)으로 주행되거나 반대로 체크구간(64)에서 제1사행구간(62)으로 주행될 때에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제1포켓구간(65)은 체크구간(64)의 끝에 형성되어 제1휠(21)이 수용되는 구간이다.
제2직선구간(66)은 제1직선구간(61)과 평행하고, 제1직선구간(61)과 이격 되어 배치되며 제2휠(22)이 직선 주행되는 구간이다.
제2사행구간(67)은 제2직선구간(66)의 끝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휠(22)이 사행 주행되는 구간이다. 제2사행구간(67)은 제1사행구간(62)과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사행구간(67)은 제1휠(21)과 제2휠(22)의 크기 사양에 따라 형상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2포켓구간(68)은 제2사행구간(67)과 제1포켓구간(65)이 이어지고, 호차(20)의 제2휠(22)이 수용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60)은 창문(10)이 닫혔을 때에, 즉, 호차(20)의 제1, 2 휠(21, 22)이 각각 제1, 2사행구간(62, 67)을 경유하여 제1, 2 포켓구간(65, 68)에 수용되었을 때에, 창호의 잠금 장치가 잠기지 않았더라도, 창문(10)은 임의로 열리지 않는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창문(10)이 닫힌 상태에서 창문(10)에 풍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휠(21)은 체크구간(64)에서 벗어날 수 없는 구성이다. 풍력이 창문(10)에 작용될 때에 작용되는 방향이 어느 방향이든 상관 없다. 왜냐하면, 창문(10)이 열리기 위해서는 제1직선구간(61)과 평행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야 하지만, 풍력의 작용방향은 제1 직선구간(61)과 평행하지 않고, 유사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휠(21)은 체크구간(64)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창문(10)에 풍력이 작용되더라도 제1휠(21)이 체크구간(64)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없기 때문에 창문(10)은 풍력의 영향으로 개방되지는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체크구간(64)의 거리는 2mm 내지 10mm인 것일 수 있다. 체크구간(64)의 거리는 길수록 제1휠(21)이 체크구간(64)에서 벗어나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지만, 너무 길면 창문(10)의 사행주행의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 여기사 창문(10)은 사행주행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창호는 창문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창문이 닫힐 때에 특정한 창문이 사행 주행함으로써 사행 주행한 폭만큼 창문이 창틀에 또는 다른 창문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구간(64)이 너무 길면은 해당 창문(10)이 창틀 또는 다른 창문에 밀착된 상태에서 닫히는 것이므로 창문(10)을 끝까지 닫을 때에 저항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체크구간(64)의 거리는 2mm 내지 10mm가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체크구간(64)에 대한 구성이 변경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레일(60)을 제1직선구간(61)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레일의 상측이 바로 보이는 평면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구간(64)의 일부 구간은 제1포켓구간(65)보다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로써, 제1휠(21)이 제1포켓구간(65)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크구간(64)을 임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체크구간(64)의 일부 구간이 돌출됨으로써 제1휠(21)이 제1직선구간(6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창문(10)을 이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창문(10)이 임의로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는 0.2mm 내지 1mm인 것일 수 있다.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가 너무 작으면 제1휠(21)의 주행에 충분한 저항을 발휘할 수 없을 수 있으므로, 적정한 크기가 요구된다.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는 0.2mm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가 너무 크면 사용자가 창문(10)을 의도적으로 개방하고자 할 때에 덜컹거리는 이질감을 느낄 수 있고, 창문(10)의 개방에 저항이 너무 크게 작용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정한 크기가 요구된다.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는 1mm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레일은 창틀에 구비되어 창문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창문 11: 저면
20: 호차 21, 22: 제1, 2 호차
30: 레일 31, 33: 제1, 2 직선구간
32, 34: 제1, 2 사행구간 35: 포켓
60: 레일 61, 66: 제1, 2 직선구간
62, 67: 제1, 2 사행구간 63: 전환구간
64: 체크구간 65, 68: 제1, 2 포켓구간

Claims (6)

  1. 제1휠(21)이 구비된 호차(20)의 주행을 안내하는 창호의 레일에 있어서,
    상기 제1휠(21)이 직선 주행되는 제1직선구간(61);
    창문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휠(21)이 상기 제1직선구간(61) 이후에 사행 주행되는 제1사행구간(62);
    상기 창문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휠(21)이 상기 제1사행구간(62) 이후에 직선 주행되는 체크구간(64);
    상기 체크구간(64)의 끝에 형성되어 상기 제1휠(21)이 수용되는 제1 포켓구간(65); 및
    제2사행구간(67)과 상기 제1 포켓구간(65)이 이어지고, 상기 호차(20)의 제2휠(22)이 수용되는 제2포켓구간(68)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직선구간(61)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상측이 바로 보이는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체크구간(64)의 일부 구간은 상기 제1포켓구간(65)보다 돌출되어 상기 제1휠(21)이 제1포켓구간(6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구간(64)을 임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레일.
  2. 제1, 2휠(21, 22)이 구비된 호차(20)가 직선주행 또는 사행주행 되도록 상기 호차(20)의 주행을 안내하는 창호의 레일에 있어서,
    상기 제1휠(21)이 직선 주행되는 제1직선구간(61);
    상기 제1직선구간(61)의 끝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휠(21)이 사행 주행되는 제1사행구간(62);
    상기 제1사행구간(62)의 다른 쪽 끝에서 직선 또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직선구간(6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휠(21)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직선 구간(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휠(21)의 이동이 자유로운 체크구간(64);
    상기 제1직선구간(61)과 평행하고, 상기 제1직선구간(61)과 이격 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휠(22)이 직선 주행되는 제2 직선구간(66);
    상기 제2직선구간(66)의 끝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휠(22)이 사행 주행되는 제2사행구간(67);
    상기 체크구간(64)의 끝에 형성되어 상기 제1휠(21)이 수용되는 제1 포켓구간(65); 및
    상기 제2사행구간(67)과 상기 제1 포켓구간(65)이 이어지고, 상기 호차(20)의 제2휠(22)이 수용되는 제2포켓구간(68)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직선구간(61)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상측이 바로 보이는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체크구간(64)의 일부 구간은 상기 제1포켓구간(65)보다 돌출되어 상기 제1휠(21)이 제1포켓구간(6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구간(64)을 임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레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구간(64)이 돌출된 크기(a)는 0.2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레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구간(64)의 거리는 2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레일.
KR1020140182974A 2014-12-18 2014-12-18 창호의 레일 KR10166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974A KR101662995B1 (ko) 2014-12-18 2014-12-18 창호의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974A KR101662995B1 (ko) 2014-12-18 2014-12-18 창호의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25A KR20160074125A (ko) 2016-06-28
KR101662995B1 true KR101662995B1 (ko) 2016-10-14

Family

ID=5636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974A KR101662995B1 (ko) 2014-12-18 2014-12-18 창호의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02B1 (ko) 2019-12-16 2021-01-26 장재연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641A (zh) * 2017-12-28 2018-05-15 武汉利德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站台门的滚轮滑轨驱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147A (ja) * 2004-11-01 2006-05-18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101432010B1 (ko) * 2014-03-27 2014-08-20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08B1 (ko) 2011-05-03 2014-08-21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147A (ja) * 2004-11-01 2006-05-18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101432010B1 (ko) * 2014-03-27 2014-08-20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02B1 (ko) 2019-12-16 2021-01-26 장재연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25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1715B (zh) 车辆用座椅滑动装置
ATE441543T1 (de) Anti-roll einrichtung für fahrzeuge
KR101662995B1 (ko) 창호의 레일
JP2015535506A5 (ko)
EP1945473B1 (en) Vehicle sliding window
EP1116624A3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EP1918798A3 (en) Overhead travelling vehicle having ID reader
CN204548143U (zh) 一种列车防脱轨装置
KR101381384B1 (ko) 철도 차량용 연결기
JP2017043350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ルーフシステム
CN204196664U (zh) 车辆的滑动车顶的框架
PL1958848T3 (pl) Pojazd z zespołem przedniej szyby
CN205369078U (zh) 一种公路路面减速带
Kernberg et al. Personality disorders.
CN205365197U (zh) 汽车天窗导轨结构
EP3079964B1 (en) Bogie and carriage structure for rail vehicle
JP6507771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US8590461B2 (en) Devices to shift the stops of rail vehicle bodies with bogies on curves and rail vehicle body with bogies
CN106574475B (zh) 用于配件布置系统的控制元件、配件布置系统以及门或窗
CN107428348B (zh) 用于将轨道车辆以转动铰接的方式连接的转动铰链
JP5936816B2 (ja) 可動ホーム柵
JP6054636B2 (ja) 鉄道分岐器、鉄道分岐器用トングレール
CN209079894U (zh) 一种轨道车辆门踏板系统及轨道车辆
KR20220087997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구조
DE502006005113D1 (de) Verdunkelungsvorrichtung mit aufrollbarer rollobahn für eine lichtdurchlässige schei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