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623B1 - 껍질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껍질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623B1
KR101662623B1 KR1020150018917A KR20150018917A KR101662623B1 KR 101662623 B1 KR101662623 B1 KR 101662623B1 KR 1020150018917 A KR1020150018917 A KR 1020150018917A KR 20150018917 A KR20150018917 A KR 20150018917A KR 101662623 B1 KR101662623 B1 KR 10166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suction
skin
suction pip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451A (ko
Inventor
김광섭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102015001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과 같이 외면에 껍질로 쌓인 열매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10)을 포함하는 흡입부(100); 흡입 바람을 발생시키고. 흡입 바람을 풍로관(201)을 통해 흡입부(100)로 전달하는 팬부(200); 열매 흡입시, 열매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과 열매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300); 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열매를 수용하되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부(410)를 포함하는 열매 수용부(400); 및 개폐부(410)가 개방되면 열매 수용부(400)에서 낙하되는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되, 껍질이 탈피된 열매를 배출할 수 있는 열매 배출구(510)와 열매 외의 잔여물(물, 껍질 등)을 배출할 수 있는 잔여물 배출구(520)를 포함하는 탈피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껍질 탈피장치{DEVICE FOR PEELING SHELL}
본 발명은 은행과 같이 외면이 껍질로 쌓인 열매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10)과 흡입관(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호스(120)를 포함하는 흡입부(100); 이중 구조로 형성된 흡입팬(230)을 구동시켜 배기구(220)로 바람을 배출시킴으로써 흡입 바람을 발생시키고, 풍로관(201)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110)이 열매를 흡입하도록 하는 팬부(200); 풍로관(201)과 연결되며, 일측에 흡입관 연결부(310)를 형성하여 흡입관(110)과 연결되되, 열매 흡입시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열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300); 분리부(3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고, 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열매를 수용하되, 개방 또는 폐쇄 동작되는 개폐부(410)를 포함하는 열매 수용부(400); 열매 수용부(4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며, 개폐부(410)가 개방되면 낙하되는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부(500); 및 탈피부(500)가 설치되는 베이스(600);를 포함하되,
탈피부(500)는, 그 일측에 껍질이 탈피된 열매를 배출할 수 있는 열매 배출구(510); 열매 배출구(510)보다 낮은 위치에 잔여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잔여물 배출구(520); 열매 배출구(5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고, 탈피부(500) 내부에서 탈피부(500)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수직 고무봉(531)이 구비된 밑판(530); 밑판(530)의 중심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밑판(53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540); 및 탈피부(500)의 측면에 다수 개 형성된 수평 고무봉(55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은행을 포함하여 다양한 열매는 건강식 또는 술안주로 애용되기 때문에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열매를 수확하여 가공시켜 판매하는 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은행은 겉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과즙부분, 중간 부분을 이루는 딱딱한 견과부분 및 섭취가능한 열매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은행은 나무에서 성장과정을 거치면서 지면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과즙부분은 물렁물렁해져 터뜨리게 되면 악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은행을 수확할 때에는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은행의 과즙부분을 발로 비벼서 벗어내고 있는데, 이는 작업을 번거롭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자동으로 열매 껍질을 탈피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여기서 열매 껍질탈피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첫째 열매의 수집(수확)이 용이하여야 하고, 둘째 열매 수집시 함께 수집되는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어야하며, 셋째 열매만 자동으로 분리하여 껍질을 탈피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열매 껍질을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231328호에는 은행 껍질 탈피장치(이하, '선행기술 1'로 지칭)가 기재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771호에는 은행 자동탈피기(이하, '선행기술 2'로 지칭)가 기재되어 있다.
위의 선행기술 1은, 원심 회전력 및 물세척에 의해 은행의 외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은행 껍질 탈피장치를 기재하고 있으며, 선행기술 2는, 탈피호퍼 내에서 세척수와 함께 휘저어 주는 1차 탈피작업을 실시한 후, 1차 탈피된 은행을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2차 탈피작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은행 자동탈피기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선행기술들은 은행을 별도로 수확한 상태에서 장치에 투입시켜 탈피작업을 수행토록 하고 있는바, 은행 수확에 따른 인력 소모가 발생되므로 열매의 수집에 대한 용이성 및 열매 수집시 함께 수집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는바, 여전히 작업의 효율을 증진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은행 등과 같은 열매를 흡입방식을 채용하여 수집함으로써, 열매 수집을 용이하게 하되, 열매 수집시 함께 수집될 수 있는 이물질을 열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열매의 껍질을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1328호(2013.02.07.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771(2004.01.07. 공고)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은행과 같이 외면이 껍질로 쌓인 열매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껍질 탈피장치에 있어서,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10)과 흡입관(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호스(120)를 포함하는 흡입부(100); 이중 구조로 형성된 흡입팬(230)을 구동시켜 배기구(220)로 바람을 배출시킴으로써 흡입 바람을 발생시키고, 풍로관(201)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110)이 열매를 흡입하도록 하는 팬부(200); 풍로관(201)과 연결되며, 일측에 흡입관 연결부(310)를 형성하여 흡입관(110)과 연결되되, 열매 흡입시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열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300); 분리부(3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고, 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열매를 수용하되, 개방 또는 폐쇄 동작되는 개폐부(410)를 포함하는 열매 수용부(400); 열매 수용부(4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며, 개폐부(410)가 개방되면 낙하되는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부(500); 및 탈피부(500)가 설치되는 베이스(600);를 포함하되,
탈피부(500)는, 그 일측에 껍질이 탈피된 열매를 배출할 수 있는 열매 배출구(510); 열매 배출구(510)보다 낮은 위치에 잔여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잔여물 배출구(520); 열매 배출구(5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고, 탈피부(500) 내부에서 탈피부(500)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수직 고무봉(531)이 구비된 밑판(530); 밑판(530)의 중심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밑판(53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540); 및 탈피부(500)의 측면에 다수 개 형성된 수평 고무봉(550);을 포함하는, 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는, 은행과 같이 외면이 껍질로 쌓인 열매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껍질 탈피장치에 있어서,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10)과 흡입관(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호스(120)를 포함하는 흡입부(100); 이중 구조로 형성된 흡입팬(230)을 구동시켜 배기구(220)로 바람을 배출시킴으로써 흡입 바람을 발생시키고, 풍로관(201)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110)이 열매를 흡입하도록 하는 팬부(200); 풍로관(201)과 연결되며, 일측에 흡입관 연결부(310)를 형성하여 흡입관(110)과 연결되되, 열매 흡입시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열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300); 분리부(3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고, 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열매를 수용하되, 개방 또는 폐쇄 동작되는 개폐부(410)를 포함하는 열매 수용부(400); 열매 수용부(4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며, 개폐부(410)가 개방되면 낙하되는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부(500); 및 탈피부(500)가 설치되는 베이스(600);를 포함하되,
탈피부(500)는, 그 일측에 껍질이 탈피된 열매를 배출할 수 있는 열매 배출구(510); 열매 배출구(510)보다 낮은 위치에 잔여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잔여물 배출구(520); 열매 배출구(5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고, 탈피부(500) 내부에서 탈피부(500)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수직 고무봉(531)이 구비된 밑판(530); 밑판(530)의 중심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밑판(53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540); 및 탈피부(500)의 측면에 다수 개 형성된 수평 고무봉(55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기는, 흡입관을 통해 열매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다량의 열매를 별도로 줍지 않아도 대량으로 탈피 작업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관을 통해 열매를 흡입함으로써, 열매 외의 낙엽 또는 흙 등의 잔여 물질(이하, '이물질'로 지칭)을 함께 흡입할 수 있는데, 흡입된 열매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는 열매만 탈피부로 이송되어 껍질을 탈피할 수 있기 때문에,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흡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분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분리부의 내부에 포함된 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열매 수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탈피부 및 베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탈피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탈피부의 내부 구성을 다른 일예로써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배출 가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은행과 같이 외면이 껍질로 쌓인 열매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열매는, 은행, 밤, 호두 등 외면에 껍질로 쌓인 모든 열매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은행을 가정하여 설명할 수 있음을 미리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유압으로 동작된다고 기재하는 것은,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 동작을 위한 구조(유압선, 유압제공수단)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한 것임을 미리 밝힌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는 흡입부(100), 팬부(200), 분리부(300), 열매 수용부(400), 탈피부(500) 및 베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팬부(200)에서 발생된 흡입 바람을 통해 흡입부(100)는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데,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열매 및 이물질은 분리부(300)를 통해 분리될 수 있고, 이 중 열매가 열매 수용부(400)에 수용된 후, 개폐부가 개방되면 열매가 탈피부(500)로 낙하되어 껍질이 탈피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된 흡입 바람은, 팬부(200)의 동작에 의해 바람이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이 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는 방향을 갖는 바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흡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흡입부(100)는 열매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흡입관(110) 및 물 호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110)은 열매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써,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바라의 형태로 구성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물 호스(1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흡입관(110)을 따라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흡입관(110)의 흡입구 쪽을 향하도록 흡입관(11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흡입관(110)을 통해 열매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경우, 물 호스(120)에서 배출되는 물이 함께 흡입됨으로써, 흡입관(110) 내부를 지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흡입관(110) 내면에 흡입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은행의 경우 속껍질 부분이 악취를 발생하고 끈적거리기 때문에, 흡입관(110)에 물 호스(120)에서 배출되는 물을 함께 흡입시킴으로써, 흡입관(110) 내부에 열매가 붙어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이에 흡입관(110) 내부의 냄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흡입부(100)는 팬부(200)에서 발생하는 흡입 바람에 의해 흡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한 팬부(200)를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팬부(200)는 풍로관(201)을 통해 후술될 분리부(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 바람을 발생시켜, 분리부(300)에 연결된 흡입부(100)가 열매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팬부(200)는 풍로관 연결부(210), 배기구(220) 및 흡입팬(230)을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
풍로관 연결부(210)는 풍로관(201)과 연결되는 팬부(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20)는 팬부(2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팬(23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흡입팬(23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배기구(22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흡입 바람이 발생될 수 있다.
흡입팬(230)은 팬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팬의 방향이 배기구(220)로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흡입팬(230)은 이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부(200)에서 발생되는 흡입 바람의 세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분리부(300)는 풍로관(201)과 연결되고 일측에 흡입관 연결부(310)를 형성하여 흡입관(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열매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부(300)는 흡입관 연결부(310), 분리부 투시창(320) 및 가이드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분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분리부의 내부에 포함된 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흡입관 연결부(31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흡입부(100)의 흡입관(110)이 연결될 수 있으며, 분리부 투시창(320)은 분리부(30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리부 투시창(3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분리부(300)의 일측을 분리부 투시창(320)이 대응되는 크기만큼을 뚫어놓고, 투명 재질의 분리부 투시창(32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흡입관 연결부(310)는,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분리부(300)의 일측에 단일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의 (b)와 같이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며,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복수 개(2개 이상)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흡입관 연결부(31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후술될 가이드 부재(330)도 복수 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330)는 도 5와 같이, 분리부(300) 내부에 그 중심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써,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열매 및 이물질이 분리부(300) 내부에서 회오리 방향을 유지하여 흩날리도록 할 수 있다.
단, 열매의 경우 소정의 무게가 있기 때문에 분리부(300)의 하측으로 떨어지지만(큰 화살표 방향), 낙엽 등의 이물질의 경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팬부(200)에서 발생된 흡입 바람과 가이드 부재(330)의 방향에 따라 분리부(300)의 내부에서 회오리 방향으로 회전(작은 화살표 방향)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300)의 내부에서 회오리 방향으로 회전하던 이물질은 풍로관(201)을 따라 팬부(200)로 이송될 수도 있다.
그 후, 팬부(200)로 이송된 이물질은 이중으로 구성된 흡입팬(230)에 의해 분해되어 배기구(220)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는, 분리부(300)에 연결되는 풍로관(201)의 일단이 분리부(300)의 상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분리부(30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는, 간혹 분리부(300) 내부에 발생되는 회오리 방향의 바람을 따라 풍로관(201) 내부로 열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술된 분리부(30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풍로관(201)의 일단에 대한 소정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10 내지 20 cm가 되도록 할 수 있는데, 반드시 위의 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매가 풍로관(201)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최적의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입관 연결부(31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분리부(300)와 연결될 수록 소정의 각도로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 연결부(310)를 통해 분리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열매 및 이물질이 분리부(300)의 내부에서 회오리 방향으로 도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흡입관 연결부(310)를 분리부(300)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술된 가이드 부재(330) 역시 흡입관 연결부(310)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단일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흡입관 연결부(310)가 분리부(300)의 원주면을 따라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부(300)를 통해 분리된 열매는, 열매 수용부(400)로 낙하되는데, 상기한 열매 수용부(4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열매 수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개폐부(410)가 폐쇄되는 것(a) 및 개폐부가 개방되는 것(b)을 나타내고 있다.
설명에 앞서, 후술될 열매 수용부(4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6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사각형의 형태로 설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형태(삼각형, 다각형 등)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열매 수용부(400) 뿐만 아니라, 분리부(300) 및 탈피부(500)도 마찬가지이다.
열매 수용부(400)는 분리부(3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어, 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열매를 수용하는 것으로, 개폐부(410) 및 수용부 투시창(420)을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 투시창(420) 또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부 투시창(3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매 수용부(400)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410)는, 열매 수용부(400)의 수용부 투시창(420)이 설치되는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프레임(411), 손잡이 가이드(412), 손잡이(413) 및 도어(4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11)은 열매 수용부(400)의 한면을 포함하여 사각체 형상을 갖을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내부 일측에 도어(414)가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 가이드(412)는 프레임(4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413)가 삽입되어 손잡이(413)가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가이드(412)에 삽입되는 손잡이(413)는 도어(4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손잡이(413)는 유압에 의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어(414)는 후술될 탈피부(500)와 연결되는 열매 수용부(4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열매 수용부(400)와 탈피부(500)의 사이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개폐부(410)는 유입 이외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손잡이(413)를 조작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어(414)는 열매 수용부(400)의 하단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방 또는 폐쇄 동작에 따라 열매 수용부(400)의 하측 방향에 연결되는 후술될 탈피부(500)로 열매 수용부(400)에 수용된 열매를 낙하시킬 수 있다.
낙하된 열매는 탈피부(500)에 위치하게 되는데, 탈피부(500)는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탈피부(500)를 첨부된 도면의 도 7 내지 10을 통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탈피부 및 베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후술될 탈피부(500)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60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베이스(600)를 이동수단(트럭 등의 차량, 경운기, 트랙터 등)에 설치하여 껍질 탈피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은행의 수집을 위한 인력이 많이 요구되지 않아서 모여서 작업할 필요가 없으며, 산에서 직접 탈피하고, 잔여물은 거름으로 하여 산에 다시 재공급할 수 있어서, 유통비용과 잔여물 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에 따르면, 탈피부(500)는 열매 배출구(510), 잔여물 배출구(520), 밑판(530), 회전수단(540), 수평 고무봉(550) 및 물 투입구(5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매 배출구(510)는 탈피부(5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탈피부(500)에서 껍질이 탈피된 열매를 배출할 수 있다.
잔여물 배출구(520)는 탈피부(5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탈피부(500)에서 "탈피된 껍질"(후술될 물 투입구에 의해 투입된 물과 혼합된 껍질을 의미함 / 이하, '잔여물' 이라 지칭) 등의 잔여물을 배출할 수 있다.
밑판(530)은 열매 배출구(510)의 하단 높이에 대응되도록 탈피부(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열매 수용부(400)에서 낙하된 열매가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곳일 수 있다.
이러한 밑판(530)은 탈피부(500)의 내부에 구성되되, 탈피부(500)와 소정의 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잔여물이 밑판(530)의 하부 방향으로 흘려내릴 수 있도록 하여 잔여물 배출구(5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술된 소정의 틈은 잔여물이 밑판(530) 하부측으로 흐를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의미한다.
그리고 밑판(53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수단(540)과 수평 고무봉(550)에 의해 열매가 탈피부(500)에서 껍질이 탈피될 수 있는데, 이때 탈피부(500)에는 도 7과 같이 일측에 물 투입구(560)를 구비함으로써, 일정량의 물이 투입되어 열매의 껍질을 탈피함과 동시에 세척까지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밑판(530)과 회전수단(540)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탈피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8에 따르면, 밑판(530)은 그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고무봉(5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고무봉(531) 및 수평 고무봉(55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수단(540)은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기어의 결합을 통해 회전될 수 있는데, 회전봉(541), 회전축(542), 기어(543) 및 수직기어(543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와 같은 동력공급수단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되, 발생된 회전력을 수직기어(543a)가 인가받아 이와 접촉해 있는 기어(54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기어(543)에 연결된 수직축(542)이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어 회전봉(541)을 회전시키는 원리이다.
이때, 기어(543, 543a)의 결합은 도 8과 같이 베벨 기어의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평기어, 헬리컬 기어, 나사 기어 등 다양한 형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으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봉(541)을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다른 일예로써, 회전수단(540)은 밑판(5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542)의 회전력이 밑판(5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시킴으로써, 밑판(53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일예로써, 밑판(530)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마다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9를 통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탈피부의 내부 구성을 다른 일예로써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또 다른 일예에 따른 밑판(530)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름을 갖는 제1 밑판(530a)을 형성하고, 제1 밑판(530a)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2 밑판(530b)을 형성하며, 제2 밑판(530b)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3 밑판(530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각 밑판(530a, 530b 및 530c)은 밑판 연결체(532)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에 밑판(530)을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각 밑판(530a, 530b 및 530c)을 모두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밑판(530a)이 갖는 소정의 지름은, 설계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제1 밑판(530a)의 지름은 밑판(530)이 탈피부(500) 내에서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또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각 밑판(530a, 530b, 530c)은 잔여물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밑판(530)과 탈피부(500) 사이의 이격 간격만큼의 간격이면 충분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9에서는 밑판(530)의 개수를 3개(530a, 530b, 530c)로 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더 다양한 개수(530n)의 밑판을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밑판(530)과 탈피부(500) 사이의 이격 공간 외에도, 각 밑판(530a, 530b 및 530c)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므로, 잔여물이 밑판(53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잔여물의 배출이 더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탈피부(500)에서 껍질이 탈피된 열매는 열매 배출구(5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아무리 밑판(530)이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내부에서 열매를 밀어줄 수 없기 때문에 열매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열매 배출구(510)에 배출 가이드(511)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10을 통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장치에서 배출 가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배출 가이드(511)는 유압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유압 조작을 위한 유압선이 연결됨이 당연하다.
첨부된 도면의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배출 가이드(511)는 배출 가이드판(512), 관절구조(513) 및 유압막대(5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유압막대(514)는 유압선이 연결되는 것으로, 유압에 의해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에 유압막대(514)에 연결된 관절구조(513)가 조작될 수 있는데, 관절수도(513)는 관절(Join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절은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2개 구비되어 3단의 관절구조를 갖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막대(514)의 구조에 의해 접힘 또는 펴짐 동작될 수 있는 관절구조를 갖으면 충분하다.
그리고 관절구조(513)의 일단에는 배출 가이드판(5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따라,
(a) 유압막대(514)가 상 방향으로 조작되면, 도 10의 (b)와 같이 관절구조(513)가 펴짐 동작되어 배출 가이드판(512)이 열매 배출구(510)의 바닥면과 수평되어 열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b) 유압막대(514)가 하 방향으로 조작되면, 도 10의 (a)와 같이 관절구조(513)가 접힘 동작되어 배출 가이드판(512)이 열매 배출구(510)의 바닥면과 수직되어 열매 배출구(510)를 막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탈피기는, 흡입관을 통해 열매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다량의 열매를 별도로 줍지 않아도 대량으로 탈피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관을 통해 열매를 흡입함으로써, 열매 외의 낙엽 또는 흙 등의 잔여 물질(이하, '이물질'로 지칭)을 함께 흡입할 수 있는데, 흡입된 열매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는 열매만 탈피부로 이송되어 껍질을 탈피할 수 있기 때문에,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1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흡입부
110 : 흡입관 120 : 물 호스
200 : 팬부
201 : 풍로관 210 : 풍로관 연결부
220 : 배기구 230 : 흡입팬
300 : 분리부
310 : 흡입관 연결부 320 : 분리부 투시창
330 : 가이드 부재
400 : 열매 수용부
410 : 개폐부 411 : 프레임
412 : 손잡이 가이드 413 : 손잡이
414 : 도어 420 : 수용부 투시창
500 : 탈피부
510 : 열매 배출구 511 : 배출 가이드
512 : 배출 가이드판 513 : 관절구조
514 : 유압막대 520 : 잔여물 배출구
530 : 밑판 531 : 수직 고무봉
540 : 회전수단 541 : 회전봉
542 : 회전축 543 : 기어
543a : 수직기어 550 : 수평 고무봉
560 : 물 투입구
600 : 베이스

Claims (5)

  1. 열매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10)과 상기 흡입관(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호스(120)를 포함하는 흡입부(100);
    이중 구조로 형성된 흡입팬(230)을 구동시켜 배기구(220)로 바람을 배출시킴으로써 흡입 바람을 발생시키고, 풍로관(201)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110)이 열매를 흡입하도록 하는 팬부(200);
    상기 풍로관(201)과 연결되며, 일측에 흡입관 연결부(310)를 형성하여 상기 흡입관(110)과 연결되되, 열매 흡입시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열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300);
    상기 분리부(3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고, 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열매를 수용하되, 개방 또는 폐쇄 동작되는 개폐부(410)를 포함하는 열매 수용부(400);
    상기 열매 수용부(400)의 하부방향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410)가 개방되면 낙하되는 열매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부(500); 및
    상기 탈피부(500)가 설치되는 베이스(600); 를 포함하되,
    상기 탈피부(500)는,
    그 일측에 껍질이 탈피된 열매를 배출할 수 있는 열매 배출구(510);
    상기 열매 배출구(510)보다 낮은 위치에 잔여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잔여물 배출구(520);
    상기 탈피부(500) 내부에서 탈피부(500)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열매 배출구(5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그 상면에 다수 개의 수직 고무봉(531)이 구비된 밑판(530);
    상기 밑판(530)의 중심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밑판(53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수단(540); 및
    상기 탈피부(500)의 측면에 다수 개 형성된 수평 고무봉(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껍질 탈피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300)는,
    상기 분리부(300) 내부에 그 중심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110)을 통해 흡입된 열매 및 잔여물이 분리부(300) 내부에서 회오리 방향을 유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껍질 탈피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판(530)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밑판(530a);
    상기 제1 밑판(530a)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밑판(530b); 및
    상기 제2 밑판(530b)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n 밑판(530n, 단 n은 밑판의 개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껍질 탈피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10)는,
    상기 열매 수용부(400)의 한면을 포함하여 사각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프레임(411);
    상기 프레임(4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가이드(412);
    상기 손잡이 가이드(412)에 삽입되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손잡이(413); 및
    상기 탈피부(500)와 연결되는 상기 열매 수용부(40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4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13)의 일단에 연결되어 손잡이(413)를 따라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도어(4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껍질 탈피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매 배출구(510)는,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열매의 배출을 돕는 배출 가이드(5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 가이드(511)는,
    유압선이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조작되는 유압막대(514);
    상기 유압막대(514)에 연결되고 다수의 관절을 갖되, 상기 유압막대(514)의 조작을 따라 펴짐 또는 접힘 동작되는 관절구조(513); 및
    상기 유압막대(514)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관절구조(513)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막대(514)가 상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열매 배출구(510)의 바닥면과 수평되어 열매를 배출시키고, 상기 유압막대(514)가 하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열매 배출구(510)의 바닥면과 수직되어 열매 배출구(510)를 막는 배출 가이드판(5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껍질 탈피기.
KR1020150018917A 2015-02-06 2015-02-06 껍질 탈피장치 KR10166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17A KR101662623B1 (ko) 2015-02-06 2015-02-06 껍질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17A KR101662623B1 (ko) 2015-02-06 2015-02-06 껍질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51A KR20160097451A (ko) 2016-08-18
KR101662623B1 true KR101662623B1 (ko) 2016-10-06

Family

ID=5687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917A KR101662623B1 (ko) 2015-02-06 2015-02-06 껍질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523B (zh) * 2021-06-24 2022-02-01 湘潭大学 一种气力管道式油茶青果剥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28B1 (ko) 2012-04-18 2013-02-07 박태순 은행 껍질 탈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651A (ja) * 1994-06-09 1995-12-19 Eiji Hamamoto 根菜類の皮剥ぎ装置に用いる移送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287340B1 (ko) * 1999-02-24 2001-04-16 김종범 밤껍질탈피장치
KR200337771Y1 (ko) 2003-10-14 2004-01-07 박종문 은행 자동탈피기
KR101133291B1 (ko) * 2009-04-22 2012-04-04 박혜은 껍질 탈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28B1 (ko) 2012-04-18 2013-02-07 박태순 은행 껍질 탈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51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13424U (zh) 一种水葫芦清理机
ES2442389T3 (es) Ensamble guía de fruta de múltiples carriles para un extractor de jugos y métodos relacionados.
AU720208B2 (e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live marine animals
CN111093357B (zh) 用于农业收割机的碎屑去除系统及相关抽取器
CN207342332U (zh) 一种水产人工养殖用水源过滤装置
CN106592747B (zh) 一种用于市政污水收集的排水装置
CN108396719A (zh) 一种河道水面清理装置及其方法
CN108142958A (zh) 蘑菇清洗装置
CN210538783U (zh) 一种高效咖啡豆清洗装置
CN109092496B (zh) 一种辣椒籽皮分离装置
CN107376492A (zh) 一种水产人工养殖用水源过滤装置
CN210580916U (zh) 一种剥离充分的石榴脱粒机
KR101662623B1 (ko) 껍질 탈피장치
CN108902276B (zh) 一种用于十到二十厘米的人工养殖的蜗牛脱壳加工设备
CN112673805A (zh) 剪裁式定位筛分自服务自驱动式内循环水上移动采收装置
CN216165039U (zh) 一种便于取料的脐橙清洗装置
ES2442859T3 (es) Ensamble guía de fruta de múltiples carriles que tienen extremos de pestaña integrales para un extractor de jugos y métodos relacionados
CN113455665B (zh) 一种核桃壳仁滚筒双向分离装置
CN206418472U (zh) 一种水葫芦无线清理机
CN106805726B (zh) 一种带在线清洗功能的榨汁机下杯座
CN205433267U (zh) 一种吸管式榨汁机
CN109548764B (zh) 一种高效泥鳅挖掘及处理设备
CN113019672A (zh) 一种山茶油加工生产用果壳分离设备
CN206676114U (zh) 一种水气分离器及其清洁设备
CN207084062U (zh) 花生种子剥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