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252B1 -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 Google Patents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252B1
KR101662252B1 KR1020140145476A KR20140145476A KR101662252B1 KR 101662252 B1 KR101662252 B1 KR 101662252B1 KR 1020140145476 A KR1020140145476 A KR 1020140145476A KR 20140145476 A KR20140145476 A KR 20140145476A KR 101662252 B1 KR101662252 B1 KR 10166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tower
air
ventilation
gear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8562A (en
Inventor
윤자문
유종근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52B1/en
Publication of KR2016004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는, 선체에 설치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환기타워, 환기타워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환기타워에 결합되어 기류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기류 조절부를 포함한다.A ventilation device for a marine structure is disclosed.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ion tower installed in a hull for generating an airflow,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tower, and a fan coupled to the ventilation tower,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0001]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일반적으로, 선박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은 사용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특수작업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작업선으로는 해양유전, 해양 플랜트 등의 해상작업을 위해 해상에 계류된 상태로 사용되는 드릴쉽(drilling rigs)이나, FPSO와 같은 부유식 해상구조물, 각종 지원선박(support vessel)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general, marine structures including ships can be classified into merchant ships, naval vessels, fishing vessels, special working ships, etc.,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Here, special working lines include drilling rigs used for marine operations such as offshore oil fields and marine plants, floating marine structures such as FPSO, and various support vessels. .

이러한 특수작업선들은 각종 해상 작업을 위해 선체 데크에 예를 들어 오일/가스 생산, 정제, 저장 등을 위한 상부 설비(Topsides)들이 설치되는데, 이들 설비들로 인해 선체 데크가 매우 복잡해져 부분적으로 자연 환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로 인해 가스 등이 누출되면 누출된 가스가 환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 정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스의 폭발압력이 증가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상부 설비에서의 환기가 매우 중요하다.These special work lines are equipped with topsides for oil / gas production, refining and storage, for example, on hull decks for various marine operations, which make the hull decks very complicated, There may be a place where it can not reach. Therefore, if a gas or the like is leaked due to an accident, the leaked gas can be stuck in a place where the ventilation is insufficient, thereby increasing the explosion pressure of the gas and leading to a fire. Therefore, ventilation in a complicated upper facility is very important.

관련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060호(2011. 01. 03, 선박의 배관설비 보호장치)가 있다.A related background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0060 (2011.03.03, Piping facility protection device for ship).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상부 구조물 환기를 위해 선택적으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n offshore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generating an airflow for ventilation of an upper structure of a sea structure including a shi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환기타워; 상기 환기타워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환기타워에 결합되어 상기 기류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기류 조절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ntilation tower installed in a hull for generating an airflow;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tower; And an air flow regulating unit coupled to the ventilation tower for controlling a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상기 기류 조절부는 상기 환기타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flow control unit may include a rotation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tower.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환기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rotary units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tower.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환기타워를 통해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ventilation tower to the outside.

상기 기류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환기타워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환기타워의 외주연 및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환기타워의 외주연 및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중 나머지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low regul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allowing the rotation uni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ventilation tower. The rotation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gear formed on on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ntilation tower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unit, ; A second gear rotatably supported on the other on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or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And a power unit for rotating the second gear.

상기 에어 공급부는 선원 거주구의 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of a source housing.

상기 선체에는 크레인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환기타워는 상기 크레인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hull may be provided with a crane, and the ventilation tower may be integrated with the cra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박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상부 구조물 환기를 위해 기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가스 등이 누출되더라도 누출된 가스가 환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선박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generate an air flow for ventilation of an upper structure of a maritime structure including a ship, so that even if a gas or the like leaks, the leaked gas can be prevented from stagnating at a place where ventilation is insufficie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entilation system for a marine structure that can prevent fire of a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ventilator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line AA 'in FIG. 3.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top view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ventilating apparatus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200)는 환기타워(210)와 에어 공급부(220)와 기류 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류 조절부(230)는 회전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ventilating apparatus 200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ntilation tower 210, an air supply unit 220, and an airflow control unit 230, In this case, the airflow regulating unit 230 may include a rotation unit 231.

해상구조물은 선박뿐만 아니라 해양유전, 해양 플랜트 등의 해상작업을 위해 해상에 계류된 상태로 사용되는 드릴쉽이나, FPSO와 같은 부유식 해상구조물, 각종 지원선박(support vessel)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따라서 선체(100)는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선박의 선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The concept of marine structures includes not only marine vessels but also drill ships, marine floating structures such as FPSO, and support vessels, which are moored for marine operations such as offshore oil fields and offshore plants. Therefore, the hull 100 is, for example, a concept encompassing the aforementioned hulls of various ships.

이러한 선체(100)의 상부에는 상부 구조물(11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구조물(110)은 예를 들어 오일/가스 생산, 정제, 저장 등을 위한 상부 설비(Topsides)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설비들로 인해 선체(100) 데크가 매우 복잡해져 부분적으로 자연 환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로 인해 가스 등이 누출되면 누출된 가스가 환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 정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스의 폭발압력이 증가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The upper structure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ull 100. Herein, the upper structure 110 refers to, for example, topsides for oil / gas production, refining, storage, etc., and these facilities make the hull 100 deck very complicated, There is a place that can not be reached. Therefore, if a gas or the like is leaked due to an accident, the leaked gas can be stuck in a place where the ventilation is insufficient, thereby increasing the explosion pressure of the gas and leading to a fir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선체(100) 상부 구조물(110)의 환기를 위해 기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가스 등이 누출되더라도 누출된 가스가 환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선박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flow can be selectively generated for ventil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10 of the hull 100, so that even if gas or the like leaks, the leaked gas can be prevented from stagnating at a place where ventilation is insufficie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entilation system for a marine structure that can prevent fire of a ship.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20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환기타워(210)와 에어 공급부(220)와 기류 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ventilator 200 for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entilation tower 210, an air supply unit 220, and an airflow control unit 230 as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환기타워(210)는 선체(100)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후술할 에어 공급부(22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선체(100)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기타워(210)에는 복수의 에어홀(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은 환기타워(210)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환기타워(210)를 통해 형성되는 에어 공급로(212)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ventilation tower 210 may be installed on the hull 100 and generate airflow by supplying air from an air supply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upper part of the hull 100. To this end, a plurality of air holes (see FIG. 4) may be formed in the ventilation tower 210. A plurality of air holes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air may be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ath 212 formed through the ventilation tower 2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렇게 환기타워(210)의 에어홀로부터 배출된 에어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선체(100) 상부 구조물(110)로 전달되어 정체된 가스 등을 선체(100)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hole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can form an air flow an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tructure 110 of the hull 100 so that the stagnated gas or the like can be pushed out of the hull 100.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환기타워(210)는 선체(100) 상부에 설치된 크레인(130)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환기타워(210)는 크레인(130)을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즉, 기둥부)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크레인(130)의 기둥부를 형성하는 파이프 구조물은 환기타워(210)로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기둥부의 내부 공간은 에어 공급로(212)로 활용될 수 있다.1 and 3, the ventilation tower 21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a crane 130 installed above the hull 100. In this case, the ventilation tower 21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a lower structure (that is, a column) supporting the crane 130. That is, the pipe structure forming the column of the crane 130 can be utilized as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lumn portion can be utilized as the air supply path 212.

이와 같이 환기타워(210)를 선체(100)의 상부 구조물(예를 들어, 크레인(130))과 일체화시킴으로써, 환기타워(21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선체(100)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해상구조물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해상구조물의 건조 단가를 보다 낮출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ventilation tower 210 on the hull 100 by integrating the ventilation tower 210 with the upper structure of the hull 100 (for example, the crane 13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offshore structure and lower the drying unit cost of the offshore structure.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환기타워(210)가 크레인(130)의 하부 구조물(기둥부)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기타워(210)는 선체(100)의 상부 구조물, 예를 들어 톱사이드(Top Sides) 설비를 지지하는 선박 구조물의 기둥부 등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ventilation tower 210 is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column) of the crane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upper structure of the ship structure, for example, the column portion of the ship structure supporting the top side equipment.

에어 공급부(220)는 환기타워(210)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 공급부(220)는 팬(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팬(221)은 에어 공급로(212) 상에 설치되어 에어를 환기타워(210)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220 can supply air to the ventilation tower 210. Referring to FIG. 3, the air supply unit 220 may include a fan 221, and the fan 221 may be installed on the air supply path 212 to move the air to the ventilation tower 210.

이때, 팬(221)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외부공기, 즉 외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an 221 may be outside air, that is, outside air.

이외에도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는 선원 거주구(120)에 구비된 공조기(222)로부터 발생하는 배출 공기일 수 있다. 공조기(222)의 배출 공기가 에어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에어 공급로(212)는 공조기(222)와 연결될 수 있다.1, the air may be exhaust ai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222 provided in the seamen port 120. The air supply passage 212 can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222 such that the exhaust air of the air conditioner 222 can be utilized as an air supply source.

이 경우, 공조기(222)로부터 발생하는 배출 공기는 별도의 팬(221) 없이도 공조기(222)의 팬을 통해 각각의 환기타워(21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에어 공급로(212)에 별도의 팬(212)를 설치할 필요 없이 공조기(222)의 유체 이송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나 비용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환기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haust ai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222 can be supplied to the respective ventilation towers 210 through the fans of the air conditioner 222 without a separate fan 221. That is, by using the fluid conveyance capability of the air conditioner 222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fan 212 in the air supply path 212, a more efficient ventilation system can be realized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cost.

기류 조절부(230)는 환기타워(210)에 결합되어 환기타워(210)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환기타워(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flow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that is coupled to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tower 210. The airflow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through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can be rotatably coupled.

이를 위해 기류 조절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31)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부(231)가 환기타워(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4,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23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 unit 231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ventilation tower 21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231)는 내부에 공간부(236)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튜브 형상의 회전부(231)는 원통형의 횡단면을 갖는 환기타워(210)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otation part 231 may be a tubular member that forms a space part 236 therein. Thus, the tubular rotating portion 231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having a cylindrical cross-section.

이와 같이 회전부(231)가 원통형의 환기타워(210)에 대해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회전 운동함으로써, 환기시키고자 하는 대상물, 즉 상부 구조물(110)에 대해 기류의 유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us, the rotating part 231 rotates about the imaginary rotation axis about the cylindrical ventilation tower 210 to selectively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to the object to be ventilated, that is, the upper structure 110 .

한편 도 4에서는 회전부(231)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회전부(231)는 일측으로 돌출된 물방울 형상의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분사구(232)는 회전부(231)의 상기 돌출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에어 분사구(232)는 회전부(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slo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4, the rotary part 231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rotary part 231 may include a water-droplet cross- . In this case, the air jet opening 232 may be formed in the projected area of the rotation part 231. For reference, the air injection port 2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art 231.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에 공간부(236)가 형성된 칼럼 형상의 회전부(23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 분사구(232)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분사구(232)는 공간부(236)와 연통될 수 있고, 공간부(236)는 환기타워(210)의 에어홀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로(212)를 통해 공급된 에어는, 회전부(231)의 원회전 운동에 상관없이 에어 분사구(2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air jet opening 232 may be formed in the columnar rotary part 231 having a space part 236 therein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injection port 232 can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236 and the space portion 236 can communicate with the air hole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Therefor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ath 21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jection port 232 irrespective of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part 231.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분사구(232)가 슬롯 형태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에어 분사구(232)는 회전부(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에어 분사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hough the air injection port 232 is formed in a slot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njection port 23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hol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tation part 23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31)는 하나의 환기타워(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하나의 회전부(231)가 하나의 환기타워(21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rotation units 231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ventilation tower 210.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one rotation unit 231 may be coupled to one ventilation tower 210 if necessary.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231)와 원통형 환기타워(210) 간의 결합은 에어가 환기타워(210)를 통해 회전부(231)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기 장치(200)는 회전부(231)가 환기타워(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구동부(230)는 제1 기어(234)와 제2 기어(235) 및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between the rotation part 231 and the cylindrical ventilation tower 210 can be combined so that air can flow to the rotation part 231 through the ventilation tower 210. The ventil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part 230 for rotating the rotation part 231 relative to the ventilation tower 210. The rotation driving part 230 may include a first gear 234, 2 gear 235 and a power unit (not shown).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타워(210)의 외주연과 회전부(231)의 내주연 사이에는 제1 기어(234)와 제2 기어(235)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이격된 공간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31)는 회전부(231)의 에어 분사구(232)와 연통될 수 있으며, 에어는 공간부(231)와 에어 분사구(2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space portion 231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ortion 231 so that the first gear 234 and the second gear 235 are positioned may be provided . The space 231 can communicate with the air injection port 232 of the rotation part 231 and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part 231 and the air injection port 232.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어(234)는 환기타워(210)의 외주연 및 회전부(231)의 내주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234)가 환기타워(21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제1 기어(234)는 래크(rack) 기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gear 234 may be formed on on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ortion 231.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ear 23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the first gear 234 may be a rack gear.

제2 기어(235)는 상기 제1 기어(234)에 치합되도록 환기타워(210)의 외주연 및 회전부(231)의 내주연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기어(235)가 환기타워(210)의 외주연에 대향하는 회전부(231)의 내주연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제2 기어(235)는 원형의 피니언(pinion) 기어일 수 있다.The second gear 235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and the oth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portion 231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34.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gear 235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ortion 231 opposit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210. In this case, the second gear 235 is a circular pinion ) Gear.

동력부(미도시)는 제2 기어(235)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로 제2 기어(235)의 중심축과 결합될 수 있다. 동력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제2 기어(23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unit (not shown) can be engaged with the center shaft of the second gear 235 by a device that can rotate the second gear 235. The power unit (not shown)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gear 235,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231)가 원통형 환기타워(210)에 대해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회전 운동함으로써, 환기시키고자 하는 대상물, 즉 상부 구조물(110)에 대해 기류의 유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등이 누출될 때, 누출된 가스가 집중적으로 정체된 곳(즉, 강제환기가 긴급히 요구되는 영역)에 기류를 집중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선박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ry part 231 rotates about the imaginary rotation axis about the cylindrical ventilation tower 210,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to the object to be ventilated, that is, Can be selectively changed. Therefore, when the gas or the like leaks, the airflow can be concentrated in a place where the leaked gas is intensively stagnated (i.e., a region where forced ventilation is urgently required), and as a result, the fire of the ship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ddition, alteration, deletion, or addition of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선체 110: 상부 구조물
120: 선원 거주구 130: 크레인
200: 환기 장치 210: 환기타워
212: 에어 공급로 220: 에어 공급부
221: 팬(fan) 222: 공조기
230: 기류 조절부 231: 회전부
232: 에어 분사구 233: 회전구동부
234: 제1 기어 235: 제2 기어
236: 공간부
100: Hull 110: Superstructure
120: Crew residence District 130: Crane
200: ventilation device 210: ventilation tower
212: air supply path 220: air supply section
221: fan 222: air conditioner
230: air flow regulator 231:
232: air jet opening 233: rotation driving part
234: first gear 235: second gear
236:

Claims (7)

선체에 설치되어, 기체가 유동하는 환기타워;
상기 환기타워로,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환기타워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는 기류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류 조절부는,
상기 환기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환기타워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상기 환기타워에 대하여 회전 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
A ventilation tower installed on the hull for flowing gas;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gas to the ventilation tower; And
And an airflow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gas flowing in the ventilation tower,
The air-
A rota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ntilation tower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ventilation tower;
And a rotation driving section for rotating the rotation section with respect to the ventilation tow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환기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rotary parts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t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환기타워를 통해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 분사구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portion includes an air jet opening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ventilation towe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환기타워의 외주연 및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환기타워의 외주연 및 상기 회전부의 내주연 중 나머지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drive unit includes:
A first gear formed on any one of an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and an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ortion;
A second gear rotatably supported on the other on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ilation tower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or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And
And a power section for rotating the second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선원 거주구의 공조기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por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of a sourc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크레인이 설치되며,
상기 환기타워는 상기 크레인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해상구조물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ll is equipped with a crane,
Wherein the ventilation tower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crane.
KR1020140145476A 2014-10-24 2014-10-24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KR101662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476A KR101662252B1 (en) 2014-10-24 2014-10-24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476A KR101662252B1 (en) 2014-10-24 2014-10-24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62A KR20160048562A (en) 2016-05-04
KR101662252B1 true KR101662252B1 (en) 2016-10-04

Family

ID=5602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476A KR101662252B1 (en) 2014-10-24 2014-10-24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2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6377A (en) * 2008-10-15 2010-04-3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Air outle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6377A (en) * 2008-10-15 2010-04-3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Air outl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62A (en)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9677T3 (en) Polar ship with drilling rig
EP3060468B1 (en) Guide for retractable thruster
US10946942B2 (en) Fin stabilizer
KR100558907B1 (en) Submarine with exhaust discharge structure in sailing under water
KR101662252B1 (en) Ventil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US3951097A (en) Hydraulic motor or pump
KR101229217B1 (en) Propulsion device using lift force
JP6361914B2 (en) Floating offshore facility, propulsion structure, and floating offshore facility propulsion method
KR101652382B1 (en) Offshore structure with ventilation device
JP2004017902A (en) Electric propulsion motor cooling device for vessel
SE435706B (en) DEVICE FOR INSTALLATION OF THRUSTER PROPELLERS
JP5638700B2 (en) Temperature and pressure monitoring system with closed derrick structure
KR20120000300A (en) Ship having reduced noise
JP5627793B2 (en) Sealed derrick structure for polar vessels
KR101741557B1 (en) Azimuth thruster
KR101695886B1 (en) Drillship having fire water monitor
KR102361520B1 (en) Seawater Inlet and Discharge Structure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EP3472041B1 (en) A power system for a marine vehicle, comprising a propulsion unit, a rudder bearing and fittings
JP7359524B2 (en) vertical shaft pump
KR101599226B1 (en) Truster for ship
KR20150094820A (en) Bow Thruster Including Stand-by Sealing Unit
KR20170052718A (en) Ship including device for reducing a fluctuation pressure induced by propeller
RU2397105C1 (en) Stern gear
KR200482410Y1 (en) Submersible Pump
KR20160000333A (en) Drilling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