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539B1 -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539B1
KR101661539B1 KR1020090082857A KR20090082857A KR101661539B1 KR 101661539 B1 KR101661539 B1 KR 101661539B1 KR 1020090082857 A KR1020090082857 A KR 1020090082857A KR 20090082857 A KR20090082857 A KR 20090082857A KR 101661539 B1 KR101661539 B1 KR 10166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rosstalk
scaling
luminance
col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739A (ko
Inventor
박주용
성기영
남동경
김윤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5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08Suppression of interfering signals at the reproducing side, e.g. noise
    • H04N9/7917Suppression of interfering signals at the reproducing side, e.g. noise the interfering signals being cross-tal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Abstract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시스템은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여 채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크로스톡(crosstalk), 3차원(3-dimension, 3D), 디스플레이, 입체영상

Description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IMAGE SYSTEM FOR CHROMA PRESERVATIVE INTER-VIEW CROCSSTALK REDUCTION AND CROSSTALK REDUCTION METHOD}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입체 영상을 인지하기 위한 요인 중 가장 지배적인 것은 양 눈에 보여지는 영상의 차이이다. 따라서, 입체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 양 눈에 보여지는 영상의 차이에 따른 요인을 기반으로 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장 먼저 고안되었고, 현재 상용화된 제품들도 대부분 이러한 요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사람의 양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편광을 이용한 분할, 시분할, 원색(primary color)의 파장을 다르게 한 파장 분할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필터링하는 안경 방식과,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또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를 이용하여 각 영상을 특정 공간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하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모두는 동일한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다른 영상을 구현하고, 이를 앞서 말한 방식으로 나누어 보여준다 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서로 다른 영상을 나누어 보여줄 때 각각의 영상이 서로 간섭 없이 보여진다면 이상적이고 문제가 없겠지만,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원하지 않는 영상간 크로스톡(crosstalk)이 발생하여 입체영상의 시청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시청 품질의 저하는 입체영상 시청 시 피로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효과적으로 이러한 크로스톡을 저감할 수 있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휘도 스케일링부를 포함하고, 입력 영상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함께 재생되는 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영상 시스템은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상기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crosstalk)을 계산하고,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 및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하는 저감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영상 시스템은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색공간을,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색공간에서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을 계산하고,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 및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하는 저감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하고, 입력 영상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함께 재생되는 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크로스톡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영상을 표현하는 경우, 입력 영상에서 휘도 성분에 대해서만 스케일링함으로써, 채도를 유지 하면서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톡 마진 확보를 위한 스케일링 과정에서 휘도-색상 색공간의 휘도 성분만을 이용하여 채도 저하를 방지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필요한 최소 크로스톡 마진을 결정함으로써,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 구조의 변화 없이 신호처리만으로 영상간 크로스톡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분석부(110), 휘도 스케일링부(120), 저감 영상 생성부(130) 및 크로스톡 센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10)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함께 재생되는 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부(110)는 입력 영상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를 특징으로서 추출하거나 또는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스케일링을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분석부(110)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휘도 스케일링부(120)는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을 스 케일링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즉, 크로스톡 감소를 위해 입력 영상의 모든 성분에 대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경우, 채도 역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두 개의 영상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스케일링을 통해 크로스톡을 제거하기 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마진은 우측 영상의 신호 크기값이 신호 크기의 최대값인 경우에 발생하는 크로스톡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좌측 영상의 신호 크기가 마진보다 크다면, 우측 영상이 어떤 값을 갖더라도 우측 영상으로부터 발생할 크로스톡의 양을 좌측 영상에서 미리 차감할 수 있다. 우측 영상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통해 크로스톡의 양을 미리 차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영상에서 크로스톡의 양을 미리 차감하기 위해 마진을 확보하면, 모든 색의 대조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채도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만을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색상 성분은 보존함으로써,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서의 채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저감 영상 생성부(130)는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crosstalk)을 계산하고,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 및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저감 영상 생성부(130)는 입력 영상 중 제1 영상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영향을 미치고 남은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제1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2 크로스톡의 크기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제2 크로스톡의 크기는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 성분에 대 해 계산될 수 있다.
즉, 휘도 스케일링부(120)와 저감 영상 생성부(130)에서 스케일링 및 크로스톡 계산의 과정을 휘도 성분에 대해서만 수행함으로써, 색상 성분은 보존하여 결과 영상의 채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색상 성분의 크로스톡은 감소되지 않고 유지된다. 그러나, 인간 시각은 특성상 휘도 정보에 비해 색상정보에는 둔감하기 때문에, 복잡한 영상 등의 계산에서는 계산량을 줄임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크로스톡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저감 영상 생성부(130)는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색공간을,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색공간에서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을 계산하고,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 및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저감 영상 생성부(130)는 입력 영상 중 제1 영상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영향을 미치고 남은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제1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2 크로스톡의 크기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제2 크로스톡의 크기는 변환된 색공간에서 모든 색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일링은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 성분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크로스톡 계산은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색공간을,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모든 색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채도 열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색상 성분의 크로스톡을 감소시킬 수 있다.
크로스톡 센싱부(140)는 크로스톡 센서를 통해 크로스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크로스톡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크로스톡 센서를 통해 수신된 크로스톡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할 양을 결정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영상 분석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위 추출부(210) 및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부(110)는 필요에 따라 범위 추출부(210) 및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를 모두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하거나 범위 추출부(210) 및 히스토그램 분석부(220)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범위 추출부(210)는 입력 영상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를 특징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 설명한 휘도 스케일링부(220)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 내에서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의 신호 크기의 최대값과 '0' 사이의 범위나 입력 영상에서 실제로 측정되는 신호의 최대값 및 최소값의 범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를 지정함으로써, 스케일링 시 대조비를 확보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는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스케일링을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휘도 스케일링부(220)는 대응함수에 기초하여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즉,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만을 이용하여 선형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특정 색상 영역을 감지하여 해당 영역을 스케일링하는 것과 같이 해당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하여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스케일링 전후의 신호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3에서는 입력 영상의 처리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모든 영상의 화소를 대상으로 하여 신호 크기의 최대값 'Imax' 및 최소값 'Imin'을 특성으로 얻고, 최대값 'Imax' 및 최소값 'Imin'에 해당하는 범위를 기준으로 스케일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신호 크기는 화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In , M = (In - Imin) * (Im - C) / (Imax - Imin + C)
여기서, 'In'는 입력 영상 중 n-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301)를, 'In , M'는 n-번째 영상(301)에 대해 스케일링 과정에 따라 생성되는 n-번째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신호 크기(302)를, 'Im'은 신호 크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을, C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마진을 각각 의미한다.
수학식 1에서는 모든 영상의 화소값의 최대값 및 최소값으로 'Imax' 및 'Imin'를 결정했으나, 결과 영상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 상하 일정 부분의 신호를 클리핑(clipping)하여 실제 최대값보다 작거나 실제 최소값보다 큰 값을 'Imax' 및 'Imin'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에서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서는 보다 큰 대조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3은 n-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301)를 [Imin, Imax] 구간에서 [C, Im] 구간으로 스케일링함으로써, n-번째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신호 크기(302)를 얻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때, 스케일링 결과의 범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 Im] 구간을 [Imin2, Imax2] 구간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만약 'Imax2'의 값과 'Imax'의 값이 같다면, 최대 휘도값을 변경하지 않는 조건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Imin2'의 값은 'Imax2'의 값이 크로스톡으로 작용할 때의 크기 이상으로 정해져야 'Imax2' 값에 의한 크로스톡에 대응할 수 있다. 일례로, 대조비의 확보를 위해 'Imin2'의 값은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Imax2'의 값이 크로스톡으로 작용할 때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Imin2 = Imax2 * C / Im
이때, 도 3에서는 신호 크기의 최대값 및 최소값 정보만을 이용하여 선형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였으나,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을 분석하거나 피부색 등의 특정 색상 영역을 감지하는 등의 영상 분석 과정을 통해 대응 함수를 정의하는 것과 같은 비선형적인 스케일링 과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임의의 영상과 주변 영상에 대한 신호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이다. 도 4에서는 n-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401)를 'In , R'이라 하고, n-번째 영상의 주변 영상인 (n-1)-번째 영상 및 (n+1)-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403, 405)를 각각 'In -1, R' 및 'In +1, R'라 했을 때, 크로스톡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즉, n-번째 영상은 양 방향으로 (n-1)-번째 영상 및 (n+1)-번째 영상에 (C/Im)만큼의 영향을 미치고 남은 값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값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0, Im] 구간에서 [0, Im - C] 구간으로 스케일링한 결과 영상의 신호 크기(402) 'In , RC0'의 값이 된다.
In , RC0 = In , R * (Im - C) / Im
또한, (n-1)-번째 영상 및 (n+1)-번째 영상은 각각 [0, Im] 구간에서 [0, Im - C] 구간으로 스케일링한 결과 영상의 신호 크기(404, 406)의 값인 'In -1, RC' 및 'In +1, RC'만큼 n-번째 영상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In -1, RC' 및 'In +1, RC'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In -1, RC = In -1, R * C / (2 * Im)
In +1, RC = In +1, R * C / (2 * Im)
도 5는 크로스톡 감소의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이다. 이때, 도 4에서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된 값들의 합이 도 3에서 n-번 영상을 스케일링한 값인 'In , M'과 같도록 할 수 있다. 즉, 신호 크기(402, 404, 406)의 값인 'In , RC0', 'In -1, RC' 및 'In +1, RC'의 합이 신호 크기(302)의 값인 'In , M'와 같도록 하면, n-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401)의 값인 'In , R', (n-1)-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403)의 값인 'In -1, R' 및 (n+1)-번째 영상의 신호 크기(405)의 값인 'In +1, R'를 실제 장치의 입력으로 넣었을 때, 크로스톡이 감소된 신호 크기(302)의 값인 'In , M'를 갖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뷰(view)의 수가 N개라고 가정하면, 모든 영상에 대해 하기 수학식 5와 같은 N개의 식을 풀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한 N개의 영상인 'I0 , R' 내지 'IN , R'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뷰가 반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n = 0'일 때 'n-1'에 N을 넣어 계산할 수 있고, 'n = N'일 때 'n+1'에 '0'을 넣어 계산할 수 있다.
In , M = In , RC0 + In -1, RC + In +1, RC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색공간이나 휘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색공간을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거나, 휘도만을 계산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영상을 표현하는 경우, 입력 영상에서 휘도 성분에 대해서만 스케일링함으로써, 채도를 유지하면서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크로스톡 마진 확보를 위한 스케일링 과정에서 휘도-색상 색공간의 휘도 성분만을 이용하여 채도 저하를 방지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필요한 최소 크로스톡 마진을 결정함으로써,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 구조의 변화 없이 신호처리만으로 영상간 크로스톡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톡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톡 저감 방법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영상 시스템(1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영상 시스템(100)을 통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크로스톡 저감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S601)에서 영상 시스템(100)은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함께 재생되는 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입력 영상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를 특징으로서 추출하거나 또는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스케일링을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602)에서 영상 시스템(100)은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즉, 크로스톡 감소를 위해 입력 영상의 모든 성분에 대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경우, 채도 역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의 두 개의 영상을 포함한다 고 가정한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스케일링을 통해 크로스톡을 제거하기 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마진은 우측 영상의 신호 크기값이 신호 크기의 최대값인 경우에 발생하는 크로스톡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좌측 영상의 신호 크기가 마진보다 크다면, 우측 영상이 어떤 값을 갖더라도 우측 영상으로부터 발생할 크로스톡의 양을 좌측 영상에서 미리 차감할 수 있다. 우측 영상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통해 크로스톡의 양을 미리 차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영상에서 크로스톡의 양을 미리 차감하기 위해 마진을 확보하면, 모든 색의 대조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채도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만을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색상 성분은 보존함으로써,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서의 채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S601)을 다시 살펴보면, 영상 시스템(100)은 입력 영상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를 특징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단계(S602)에서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 내에서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의 신호 크기의 최대값과 '0' 사이의 범위나 입력 영상에서 실제로 측정되는 신호의 최대값 및 최소값의 범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를 지정함으로써, 스케일링 시 대조비를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단계(S601)에서 영상 시스템(100)이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스케일링을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단계(S602)에서 대응함수에 기초하여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즉, 신호 크 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만을 이용하여 선형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특정 색상 영역을 감지하여 해당 영역을 스케일링하는 것과 같이 해당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하여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단계(S603)에서 영상 시스템(100)은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을 계산하고,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 및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입력 영상 중 제1 영상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영향을 미치고 남은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제1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2 크로스톡의 크기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제2 크로스톡의 크기는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 성분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즉, 영상 시스템(100)이 스케일링 및 크로스톡 계산의 과정을 휘도 성분에 대해서만 수행함으로써, 색상 성분은 보존하여 결과 영상의 채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색상 성분의 크로스톡은 감소되지 않고 유지된다. 그러나, 인간 시각은 특성상 휘도 정보에 비해 색상정보에는 둔감하기 때문에, 복잡한 영상 등의 계산에서는 계산량을 줄임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크로스톡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영상 시스템(100)은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색공간을,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색공간에서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을 계산하고,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 및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은 입력 영상 중 제1 영상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영향을 미치고 남은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제1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2 크로스톡의 크기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제2 크로스톡의 크기는 변환된 색공간에서 모든 색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일링은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휘도 성분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크로스톡 계산은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색공간을,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모든 색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채도 열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색상 성분의 크로스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시스템(100)은 크로스톡 센서를 통해 크로스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크로스톡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크로스톡 센서를 통해 수신된 크로스톡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할 양을 결정하여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톡 저감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 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스케일링 전후의 신호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4는 임의의 영상과 주변 영상에 대한 신호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5는 크로스톡 감소의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톡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영상 시스템
110: 영상 분석부
120: 휘도 스케일링부
130: 저감 영상 생성부

Claims (9)

  1.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크로스톡(crosstalk)을 제거하기 위한 마진을 포함하는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휘도 스케일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함께 재생되는 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상기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crosstalk)을 계산하고, 상기 휘도 성분에 대한 크로스톡 및 상기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하는 저감 영상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영상 생성부는,
    상기 입력 영상 중 제1 영상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영향을 미치고 남은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2 크로스톡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상기 제2 크로스톡의 크기는 상기 휘도-색상 색공간에서 상기 휘도 성분에 대해 계산되는, 영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결과 영상의 색공간을, 휘도에 선형적이고 덧셈 및 뺄셈 연산이 가능한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색공간에서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을 계산하고, 상기 모든 색에 대한 크로스톡 및 상기 스케일링 결과 영상에 기초하여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하는 저감 영상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영상 생성부는,
    상기 입력 영상 중 제1 영상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영향을 미치고 남은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2 크로스톡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톡 저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크로스톡의 크기 및 상기 제2 크로스톡의 크기는 상기 변환된 색공간에서 상기 모든 색에 대해 계산되는, 영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휘도 스케일링부는,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는, 영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를 상기 특징으로서 추출하는 범위 추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휘도 스케일링부는,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는, 영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스케일링을 위한 대응함수를 결정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휘도 스케일링부는,
    상기 대응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성분을 스케일링하는, 영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톡 센서를 통해 크로스톡 정보를 수신하는 크로스톡 센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일링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시스템.
KR1020090082857A 2009-09-03 2009-09-03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857A KR101661539B1 (ko) 2009-09-03 2009-09-03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857A KR101661539B1 (ko) 2009-09-03 2009-09-03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39A KR20110024739A (ko) 2011-03-09
KR101661539B1 true KR101661539B1 (ko) 2016-09-30

Family

ID=4393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857A KR101661539B1 (ko) 2009-09-03 2009-09-03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124B2 (en) 2020-11-18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01B1 (ko) 2017-09-12 202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551A (ja) * 2000-09-11 2002-03-22 Canon Inc 立体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JP2009141583A (ja) * 2007-12-05 2009-06-25 Canon Inc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551A (ja) * 2000-09-11 2002-03-22 Canon Inc 立体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JP2009141583A (ja) * 2007-12-05 2009-06-25 Canon Inc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124B2 (en) 2020-11-18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39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457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o adjust 3D information based on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EP229769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perceived ghosting in displayed stereoscopic images
RU2648955C1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записывающий носитель
US959128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RU251943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ходного трехмерного видеосигнала
US946767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224789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08994B2 (en) 2D to 3d image conversion
KR101720161B1 (ko) 깊이 맵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US981369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797035B1 (ko) 오버레이 영역의 3d 영상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Jung et al. Visual comfort enhancement in stereoscopic 3D images using saliency-adaptive nonlinear disparity mapping
KR101661539B1 (ko) 채도를 유지하면서 시점간 크로스톡을 저감하는 영상 시스템 및 방법
Boev et al. Visual-quality evaluation methodology for multiview displays
Ko et al. A ParaBoost stereoscopic image quality assessment (PBSIQA) system
KR101838342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30057586A (ko) 깊이 맵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EP2408210B1 (en) Cross-color imag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harpness enhancement
Chang et al. Ghosting reduction method for color anaglyphs
US2012007643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cuti et al. Decolorization by fusion
JP5598185B2 (ja) 目立ち画像生成装置及び目立ち画像生成プログラム
Lee et al. Colourisation in Yxy colour space for purple fringing correction
KR101550554B1 (ko)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82912A (ko)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