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81B1 -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 Google Patents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81B1
KR101661481B1 KR1020150019038A KR20150019038A KR101661481B1 KR 101661481 B1 KR101661481 B1 KR 101661481B1 KR 1020150019038 A KR1020150019038 A KR 1020150019038A KR 20150019038 A KR20150019038 A KR 20150019038A KR 101661481 B1 KR101661481 B1 KR 10166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ase
duct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462A (ko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센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도리 filed Critical (주)센도리
Priority to KR102015001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24F2007/002Junction box, e.g. for ducts from kitchen, toilet or bath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분리되고 흡기와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천공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 가장자리 외측으로는 플렌지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플렌지 결합부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통기공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반원형 돌기와, 상기 반원형 돌기에 형성되는 오목홈과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플렌지는 원통형의 케이스 결합부와 원통형의 덕트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결합부의 끝단 내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케이스의 외측에 플렌지가 결합될 수 있는 플렌지 결합부를 형성하되,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플렌지의 덕트결합부는 직경이 다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다양한 직경의 덕트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Flange connecting structure for duct}
본 발명은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기의 덕트를 연결하는 플렌지의 결합 구조를 변형하여 덕트의 직경에 맞춰 플렌지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지어지는 건물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단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건강을 위해 환기에 매우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단열과 환기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실내공기와 외부공기를 환풍팬을 통해 강제로 흡입, 배출하도록 하고, 필터 또는 열교환장치를 이용해 공기의 청정 및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건물용 공조(환기)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한 건물용 공조장치는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대개 천정에 설치되며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흡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공조기는 냉방(에어컨)과 난방(온풍기)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종래 공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배출송풍기(404)(406)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배출송풍기(406)의 작동을 통해 실내 각 공간(100)의 공기가 배출분배기(300)로 유입된후 배출송풍실(405)을 통과하고 열교환실(401)의 열교환기(402)를 통과한 다음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공급송풍기(404)의 작동을 통해 외부공기가 열교환실(401)의 열교환기(402)를 통과하여 공급송풍실(403)로 유입된 다음 공급분배기(200)를 통해 분할되어 실내의 각 공간(10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공조기는 덕트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덕트의 직경에 맞춘 별도의 플렌지를 케이스를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해 결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44047호
2. 국내특허등록 : 제1287440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외측에 플렌지가 결합될 수 있는 플렌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는 다양한 직경의 덕트의 연결이 가능한 플렌지가 결합되도록 하는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분리되고 흡기와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천공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 가장자리 외측으로는 플렌지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플렌지 결합부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통기공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반원형 돌기와, 상기 반원형 돌기에 형성되는 오목홈과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플렌지는 원통형의 케이스 결합부와 원통형의 덕트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결합부의 끝단 내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결합부와 덕트결합부의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되, 케이스 결합부의 직경보다 덕트결합부의 직경이 더 작게 또는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결합부의 걸림턱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차단턱과 이탈방지홈이 형성되어 케이스 결합부에 결합된 플렌지의 걸림돌기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또 플렌지의 걸림돌기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걸림턱의 이탈방지홈에 삽입되어 플렌지가 케이스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케이스의 외측에 플렌지가 결합될 수 있는 플렌지 결합부를 형성하되,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플렌지의 덕트결합부는 직경이 다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다양한 직경의 덕트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렌지 결합부와 플렌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가)도는 플렌지 결합부와 플렌지가 결합전 상태, (나)도는 플렌지 결합부와 플렌지가 결합전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분리사시도로써, 직경이 큰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플렌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렌지 결합부와 플렌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가)도는 플렌지 결합부와 플렌지가 결합전 상태, (나)도는 플렌지 결합부와 플렌지가 결합전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분리사시도로써,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플렌지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10)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분리되고 흡기와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101)이 천공된 케이스(100)를 구비하는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01) 가장자리 외측으로는 플렌지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플렌지 결합부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의 통기공(101)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반원형 돌기(111,121)와, 상기 반원형 돌기(111,121)에 형성되는 오목홈(113,123)과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12,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플렌지(130)는 원통형의 케이스 결합부(131)와 원통형의 덕트결합부(1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결합부(131)의 끝단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31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결합부(131)와 덕트결합부(132) 사이에는 단턱(133)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133)에 의해 케이스 결합부(131)의 직경보다 덕트결합부(132)의 직경을 더 작게, 또는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131)의 걸림턱(112,122)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차단턱(122a)은 케이스 결합부(131)에 결합된 플렌지(130)가 계속해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또 걸림턱(112,122)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22b)에는 플렌지(130)의 걸림돌기(131a)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131b)가 삽입되어 플렌지(130)가 쉬 헛돌지 못하게 함으로써 케이스(100)로 부터 플렌지(1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결합부(131)의 직경은 항상 동일하게 형성하고, 덕트결합부(132)의 직경만 달리한 플렌지, 즉 직경이 비교적 작은 플렌지(130)와 직경이 비교적 큰 플렌지(130a)를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직경의 덕트를 자유롭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덕트결합부(132)의 직경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렌지(130)의 케이스 결합부(131)를 케이스(100)의 플렌지 결합부에 맞대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플렌지(130)와 케이스(10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결합된 구조의 케이스(100)를 분리하지 않고도 덕트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공조기
110: 하부케이스 120: 상부케이스
111,121: 반원형 돌기 112,122: 걸림턱
113,123: 오목홈 130: 플렌지
130a: 직경이 보다 큰 플렌지
131: 케이스 결합부 132: 덕트결합부

Claims (3)

  1.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분리되고 흡기와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천공된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공 가장자리 외측으로는 플렌지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플렌지 결합부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통기공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반원형 돌기와, 상기 반원형 돌기에 형성되는 오목홈과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플렌지는 원통형의 케이스 결합부와 원통형의 덕트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결합부의 끝단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의 걸림턱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차단턱과 이탈방지홈이 형성되어 케이스 결합부에 결합된 플렌지의 걸림돌기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또 플렌지의 걸림돌기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걸림턱의 이탈방지홈에 삽입되어 플렌지가 케이스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2. 삭제
  3. 삭제
KR1020150019038A 2015-02-07 2015-02-07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KR10166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038A KR101661481B1 (ko) 2015-02-07 2015-02-07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038A KR101661481B1 (ko) 2015-02-07 2015-02-07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62A KR20160097462A (ko) 2016-08-18
KR101661481B1 true KR101661481B1 (ko) 2016-09-30

Family

ID=5687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038A KR101661481B1 (ko) 2015-02-07 2015-02-07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50A (ko) 2021-11-22 2023-05-31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덕트 설치형 공조 시스템
KR20230135303A (ko) 2022-03-16 2023-09-25 주식회사 협일공조 덕트의 조립식 배관 분배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7806B2 (ja) * 2020-09-30 2023-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41Y1 (ko) * 2003-08-06 2003-10-30 강태선 로스터용 후드
JP2005003345A (ja) * 2003-05-21 2005-01-06 Showa Denko Kk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75B1 (ko) * 2007-04-27 2008-04-30 (주)문명에이스 조립식 덕트플랜지
KR100972048B1 (ko) * 2007-09-15 2010-07-23 김정환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345A (ja) * 2003-05-21 2005-01-06 Showa Denko Kk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200331841Y1 (ko) * 2003-08-06 2003-10-30 강태선 로스터용 후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50A (ko) 2021-11-22 2023-05-31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덕트 설치형 공조 시스템
KR20230135303A (ko) 2022-03-16 2023-09-25 주식회사 협일공조 덕트의 조립식 배관 분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62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947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KR2018008639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640454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9903600B2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661481B1 (ko) 직경이 다른 덕트 연결을 위한 플렌지를 구비하는 공조기
CN105091109A (zh) 一种壁挂机及空气调节装置
EP2713113B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713371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5091110A (zh) 一种壁挂机及空气调节装置
WO2022021595A1 (zh) 风管组件及移动空调
CN205227550U (zh) 空调器室内机
US6715310B2 (en)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with better effect in cold-air circulation
KR101549079B1 (ko) 회전개폐식 공조기용 댐퍼와 이를 구비하는 공조장치
KR101763889B1 (ko) 공기순환기용 바이패스 통기구 형성장치
CN104214839A (zh) 分体壁挂吸顶两用型室内机
KR20170003702U (ko) 전열교환기의 흡배기관과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KR101625954B1 (ko) 환기구 역풍 방지장치
KR101549083B1 (ko) 회전개폐식 송풍장치용 댐퍼
CN104896387A (zh) 具透气功能的灯具
KR200459768Y1 (ko) 천정형 냉난방기의 공기순환 장치
KR101247339B1 (ko) 공급조절팬의 풀림을 방지하는 공기조화용 환기구
KR200451084Y1 (ko) 실외기 에어컨 배출 커버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JP2020118436A (ja) 節電パネル、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913543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