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363B1 -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363B1
KR101661363B1 KR1020100080512A KR20100080512A KR101661363B1 KR 101661363 B1 KR101661363 B1 KR 101661363B1 KR 1020100080512 A KR1020100080512 A KR 1020100080512A KR 20100080512 A KR20100080512 A KR 20100080512A KR 101661363 B1 KR101661363 B1 KR 10166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lug
standby power
mobile terminal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730A (ko
Inventor
송종화
박종수
장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3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랜 모듈, 스마트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대기전력 제어장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 수동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조작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간편하게 외출 또는 귀가시 자동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METHOD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AND CONTROLL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댁내로 귀가 혹은 외출하였음을 인지하여 가정의 전력기기에 대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TV, 오디오 등과 같은 전력소비 장치는 회로 구성이 집적화되고, 신호처리기술이 고속화 및 고정밀화되어 동작 전원의 안정화가 필연적으로 요구되었다.
그 결과, 전력소비 장치는 자동 파워 온/오프 기능과 같은 다기능을 구비하게 되고, 전력소비 장치의 전원 공급도 정상 모드와 대기 모드로 구분되어, 정상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전력이 소모되고, 대기모드에서는 기본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력소비 장치와 같이 대기 모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에 의한 전기 요금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이용자의 부담이 가중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는 플러그를 직접 뽑아 전원을 차단해야 하지만, 사용자가 전력소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시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댁내로 귀가 혹은 외출하였음을 인지하여 가정의 전력기기에 대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대기전력 제어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랜 모듈, 스마트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상태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티터링부에서 판단된 이동 단말기 접속상태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랜 모듈, 상기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스캔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단말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스캔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대기전력 제어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무선랜 모듈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신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공급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신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전력 제어장치가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댁내로 귀가 혹은 외출하였음을 인지하여 가정의 전력기기에 대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기전력 제어장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 수동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조작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간편하게 외출 또는 귀가시 자동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 수신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 수신 범위내로 진입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기전력 제어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액세스 포인트(150) 및 스마트 플러그(160)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랜 모듈(1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150, Access Point, 이하 AP라 한다)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랜(Local Area Network)의 무선접속장치이다. 상기 AP(150)는 스프레드 분광이나 전자기파 기반의 OFDM변조 기술을 사용하여 제한된 지역 안에 있는 기기끼리 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랜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예를 들어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가 전파 수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AP(150)에 접속하여 기기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AP(150)는 기기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접속장치 또는 무선랜 모듈을 이용하여 랜에 접속가능한 지점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11)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모듈(111)은 상기 AP(1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AP의 전파 수신 범위(Network Coverage Area)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가 AP(150)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접속정보를 상기 AP(150)로부터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댁내에서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줄여주는 스마트 플러그(160,Smart Plug)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 플러그(160)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즉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상기 스마트 플러그(160)가 전력기기에 대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있는 지에 대한 현재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저장부는 제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모니터링부(121) 및 제어명령 생성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21)는 상기 무선랜 모듈(111)을 통하여 AP(150)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AP(150)에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모니터링부(121)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수신된 스마트 플러그(160)의 현재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스마트 플러그(160)가 전력기기에 대기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명령 생성부(122)는 상기 모니터링부(121)에서 판단된 이동 단말기 연결 여부 및 스마트 플러그 현재 상태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외출 또는 귀가 상태를 이동 단말기 연결여부에 따라 판단하고, 이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160)에 전송함으로써, 전력기기에 대기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스마트 플러그(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랜 모듈(111)을 통하여 AP(150)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AP(150)에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0). 제어부(120)는 상기 AP(150)에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160)에 현재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대하여 스마트 플러그(160)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다고 응답하는 경우(S21), 제어부(120)는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생성하고 스마트 플러그(160)에 상기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전송함으로써(S22) 스마트 플러그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상기 AP(150)에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160)에 현재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대하여 스마트 플러그(160)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는 경우(S25), 제어부(120)는 대기전력 공급명령을 생성하고 스마트 플러그(160)에 상기 대기전력 공급명령을 전송함으로써(S26) 스마트 플러그를 온시킬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AP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댁내로 귀가 혹은 외출하였음을 인지하여 가정의 전력기기에 대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20), 사용자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무선 통신부(3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AP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랜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321), AP(1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AP의 전파 수신 범위(Network Coverage Area)내에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AP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랜 모듈(322)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323)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323)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제어부(310)는 AP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스캔을 통하여 주변에 AP가 있는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스캔 주기가 길 경우, AP에 접속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상기 위치정보 모듈(323)을 통하여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정보(여기서는 사용자의 댁내의 위치정보)의 소정의 범위내에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네트워크 스캔 주기를 짧게 하여 이동 단말기가 AP에 빨리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가 귀가시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가 AP에 빨리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전력 제어장치가 이동 단말기의 연결상태를 빨리 감지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신속하게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공급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 수신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 여기서는 스마트 폰)을 휴대한 사용자가 외출시 AP(150)의 전파 수신 범위(Network Coverage Area)를 벗어나는 경우, 대기전력 제어장치(100)는 AP(15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가 AP와 연결 해제되었음을 감지한다. 이 후 대기전력 제어장치(100)는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플러그(160, 현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음)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조작행위를 할 필요없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 수신 범위내로 진입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 여기서는 스마트 폰)을 휴대한 사용자가 귀가시 AP(150)의 전파 수신 범위(Network Coverage Area)로 진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위치정보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스캔 주기를 짧게함으로써 즉시 AP에 접속한다. 대기전력 제어장치(100)는 AP(15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가 AP와 연결되었음을 감지한다. 이 후 대기전력 제어장치(100)는 대기전력 공급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플러그(160, 현재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음)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귀가시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조작행위를 할 필요없이 대기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대기전력 제어장치 110 : 무선 통신부
111 : 무선랜 모듈 112 : 근거리 통신 모듈
120 : 제어부 121 : 모티터링부
122 : 제어명령 생성부 150 : 액세스 포인트(AP)
160 : 스마트 플러그 300 : 이동 단말기

Claims (9)

  1.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랜 모듈,
    스마트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상태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판단된 이동 단말기 접속상태 및 스마트 플러그 상태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공급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랜 모듈,
    상기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스캔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단말기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네트워크 스캔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7.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무선랜 모듈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 및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동 단말기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 상태를 이용하여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공급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에 대기전력 차단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방법.
KR1020100080512A 2010-08-19 2010-08-19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KR10166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512A KR101661363B1 (ko) 2010-08-19 2010-08-19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512A KR101661363B1 (ko) 2010-08-19 2010-08-19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730A KR20120017730A (ko) 2012-02-29
KR101661363B1 true KR101661363B1 (ko) 2016-10-10

Family

ID=4583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512A KR101661363B1 (ko) 2010-08-19 2010-08-19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34B1 (ko) * 2012-03-23 2014-02-12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홈 에너지 세이빙 컨트롤 유닛
KR101588880B1 (ko) 2014-02-05 2016-02-12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스마트 전원 장치
KR101722696B1 (ko) * 2015-03-19 2017-04-1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00404B1 (ko) * 2015-03-19 2017-01-3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42B1 (ko) * 2005-09-02 2008-02-11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100919866B1 (ko) * 2007-08-08 2009-09-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정보를 이용한 절전방법 및 장치
US20090068970A1 (en) * 2007-09-11 2009-03-12 Motorola, Inc. Scanning frequency optimization for alternate network access in dual mode wireless devices
KR101111017B1 (ko) * 2009-01-14 2012-02-13 육상조 에너지 절감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된 자동 전력 차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730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335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US9877158B2 (en) Wi-Fi scan scheduling and power adaptation for low-power indoor location
US858886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00046341A (ko) 무선 랜 AP(Access Point) 접속 방법 및 이를이용한 장치
KR101515479B1 (ko) 멀티모드 무선전력 수신기기 및 그 무선전력 수신방법
EP2403224B1 (en) Audio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99744B1 (ko) Wifi 네트워크 발견 및 트래픽 모니터링의 위임
KR2011008269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
JP2008545312A (ja) Rfid能力最適化ネゴシエーション
KR20140135794A (ko) Nfc와 wct 사이의 공존
US20130307665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ories of mobile device
WO2015050544A1 (en) Cloud phone notifications
CN103634030A (zh) 支持无线电力传输和近场通信的通信装置
KR101661363B1 (ko)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KR102056119B1 (ko) 이동 단말들을 위한 무선 신호 검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4111A (ko) 듀얼 모드 rfid 센서 태그 및 그의 제어 방법
CN212749225U (zh) 一种集成双模soc的室内定位标签
KR10150685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275407A1 (en) Mobile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20703A (ko) Sd-card 및 usim과 uwb 융합 기반의 고정밀 실내 위치 측위 시스템 및 고정밀 실내 위치 측위 방법
CN103916977A (zh) 控制终端连接短距离无线网络的方法
KR100679404B1 (ko)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방법
WO2022247454A1 (zh) 一种跟踪器的网络自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754440B (zh) 符合蓝牙通信协议的从设备及通信连接方法
KR20200046530A (ko) 무선랜 단말 어웨이크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