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973B1 -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973B1
KR101660973B1 KR1020090117713A KR20090117713A KR101660973B1 KR 101660973 B1 KR101660973 B1 KR 101660973B1 KR 1020090117713 A KR1020090117713 A KR 1020090117713A KR 20090117713 A KR20090117713 A KR 20090117713A KR 101660973 B1 KR101660973 B1 KR 10166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ata line
line
common volt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156A (ko
Inventor
성덕경
김중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18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 H01L27/11803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using field effect technology
    • H01L27/11807CMOS gate arrays
    • H01L2027/11868Macro-architecture
    • H01L2027/11874Layout specification, i.e. inner core region
    • H01L2027/11879Data lines (bu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90Multiple hosts in the emissive layer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적색 발광부들, 상기 적색 발광부들과 이웃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녹색 발광부들, 상기 녹색 발광부들과 이웃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청색 발광부들, 상기 적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라인, 상기 적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1 구동부,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라인,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녹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2 구동부,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청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3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평면형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다. 또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장치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화상 표시 매체로서 장점이 있다. 또한, 저온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의 반도체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므로 향후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어 양극으로부 터 공급받는 정공과 음극으로부터 받은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각 적색, 녹색, 청색 발광부의 면적에 따라 소자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적색 또는 녹색 발광부를 축소시켜 청색 발광부를 확대시킴으로써, 청색 발광부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적색 또는 녹색 발광부가 축소됨에 따라 전체적인 화이트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적색 또는 녹색 발광부를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청색 발광부의 수명을 향상시켜 화이트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적색 발광부들, 상기 적색 발광부들과 이웃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녹색 발광부들, 상기 녹색 발광부들과 이웃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청색 발광부들, 상기 적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라인, 상기 적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1 구동부,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라인,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녹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2 구동부,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청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1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적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1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라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2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은 상기 녹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라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3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3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청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은 상기 청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3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5 및 제 6 라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부의 면적은 상기 적색 발광부 또는 상기 녹색 발광부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적색 발광부들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각각 공급되는 제 1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 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1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라인패턴,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라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2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은 상기 청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3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5 라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색 발광부 또는 녹색 발광부의 면적을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청색 발광부의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청색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색, 녹색, 청색 및 화이트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이 우수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적색 발광부들(100R), 상기 적색 발광부들(100R)과 이웃하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녹색 발광부들(100G)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100)과 이웃하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청색 발광부들(100B)이 위치한다.
그리고, 적색 발광부(100R)의 일측에는 적색 발광부(100R)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적색 발광부(100R)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라인(111)과 제 1 데이터 라인(111)과 나란하게 배열된 제 1 공통전압 라인(121)이 위치한다. 또한, 적색 발광부(100R)와 제 1 데이터 라인(111) 사이에 연결된 제 1 구동부(131)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데이터 라인(111)의 하부를 통해 제 1 공통전압 라인(121)과 제 1 구동부(131)를 연결하는 제 1 라인패턴(104c) 및 제 2 라인패턴(104d)이 위치할 수 있다.
녹색 발광부(100G)의 일측에는 녹색 발광부(100G)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녹색 발광부(100G)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라인(112)과 제 2 데이터 라인(112)과 나란하게 배열된 제 2 공통전압 라인(122)이 위치한다. 또한, 녹색 발광부(100G)와 제 2 데이터 라인(112) 사이에 연결된 제 2 구동부(132)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라인(112)의 하부를 통해 제 2 공통전압 라인(122)과 제 2 구동부(132)를 연결하는 제 3 라인패턴(124c) 및 제 4 라인패턴(124d)이 위치할 수 있다.
청색 발광부(100B)의 일측에는 청색 발광부(100B)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청색 발광부(100B)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라인(113)이 위치하고, 제 3 데이터 라인(113)과 나란하게 배열된 제 3 공통전압 라인(123)이 위치한다. 또한, 청색 발광부(100B)와 제 3 데이터 라인(113) 사이에 연결된 제 3 구동부(133)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3 데이터 라인(113)의 하부를 통해 제 3 공통전압 라인(123)과 제 3 구동부(133)를 연결하는 제 5 라인패턴(134c) 및 제 6 라인패턴(134d)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색 발광부들(100R), 녹색 발광부(100G)들 및 청색 발광부(100B)들 사이에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데이터 라인(111, 112, 113)과 제 1 내지 제 3 공통전압 라인(121, 122, 123)과 교차하는 스캔 라인(105)이 위치할 수 있다.
각 발광부(100R, 100G, 100B)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구동부(131, 132, 133)는 각각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부들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색을 구현하여 흰색를 포함한 풀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색 발광부들(100R) 사이의 공간으로 제 2 구동부(132)의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데이터 라인(111)과 제 1 공통전압 라인(121)은 제 2 구동부(132)가 시프트됨에 따라 적색 발광부들(100R)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RP)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녹색 발광부들(100G) 사이의 공간으로 제 3 구동부(133)의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데이터 라인(112)과 제 2 공통전압 라인(122)은 제 3 구동부(133)가 시프트됨에 따라 녹색 발광부들(100G)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RP)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데이터 라인(113)과 제 3 공통전압 라인(123)은 시프트된 제 3 구동부(133)에 연결될 수 있도록 청색 발광부들(100B)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RP)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 발광부들(100R)과 녹색 발광부(100G)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색 발광부(100R)의 제 1 구동부(131), 녹색 발광부(100G)의 제 2 구동부(132) 및 청색 발광부(100B)의 제 3 구동부(133)가 위치함으로써, 청색 발광부(100B)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색 발광부(100R) 또는 녹색 발광부(100G)의 면적이 축소되지 않으면서, 청색 발광부(100B)이 면적을 적색 발광부(100R) 또는 녹색 발광부(100G)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청색 발광부(100B)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적색 발광부들(200R), 상기 적색 발광부들(200R)과 이웃하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녹색 발광부들(200G)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200)과 이웃하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청색 발광부들(200B)이 위치한다.
그리고, 적색 발광부(200R)의 일측에는 적색 발광부(200R)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적색 발광부(200R)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라인(211)과 제 1 데이터 라인(211)과 나란하게 배열된 제 1 공통전압 라인(221)이 위치한다. 또한, 적색 발광부(200R)와 제 1 데이터 라인(211) 사이에 연결된 제 1 구동부(231)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데이터 라인(211)의 하부를 통해 제 1 공통전압 라인(221)과 제 1 구동부(231)를 연결하는 제 1 라인패턴(204c) 및 제 2 라인패턴(204d)이 위치할 수 있다.
녹색 발광부(200G)의 일측에는 녹색 발광부(200G)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녹색 발광부(200G)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라인(212)이 위치한다. 또한, 녹색 발광부(200G)와 제 2 데이터 라인(212) 사이에 연결된 제 2 구동부(232)가 위치한다. 여기서, 제 2 데이터 라인(212)은 제 1 공통전압 라인(221)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라인(212)의 하부를 통해 제 1 공통전압 라인(221)과 제 2 구동부(232)를 연결하는 제 3 라인패턴(224c) 및 제 4 라인패턴(224d)이 위치할 수 있다.
청색 발광부(200B)의 일측에는 청색 발광부(200B)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청색 발광부(200B)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라인(213)이 위치하고, 제 3 데이터 라인(213)과 나란하게 배열된 제 2 공통전압 라인(222)이 위치한다. 또한, 청색 발광부(200B)와 제 3 데이터 라인(213) 사이에 연결된 제 3 구동부(233)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공통전압 라인(222)의 하부를 통해 제 3 데이터 라인(213)과 제 3 구동부(233)를 연결하는 제 5 라인패턴(234c)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색 발광부들(200R), 녹색 발광부(200G)들 및 청색 발광부(200B)들 사이에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데이터 라인(211, 212, 213)과 제 1 및 제 2 공통전압 라인(221, 122)과 교차하는 스캔 라인(205)이 위치할 수 있다.
각 발광부(200R, 200G, 200B)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구동부(231, 232, 233)는 각각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부들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색을 구현하여 흰색를 포함한 풀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색 발광부들(200R) 사이의 공간으로 제 2 구동부(232)의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데이터 라인(211)과 제 1 공통전압 라인(221) 및 제 2 데이터 라인(212)은 제 2 구동부(232)가 시프트됨에 따라 적색 발광부들(200R)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RP)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녹색 발광부들(200G) 사이의 공간으로 제 3 구동부(233)의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데이터 라인(213)과 제 2 공통전압 라인(222)은 제 3 구동부(233)가 시프트됨에 따라 녹색 발광부들(200G)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RP)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제 1 공통전압 라인(221)은 제 1 구동부(231)와 제 2 구동부(232)에 각각 연결되어 공유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공통전압 라인(221)은 제 1 라인패턴(204c)과 제 2 라인패턴(204d)을 통해 제 1 구동부(231)에 연결되고, 제 3 라인패턴(224c)과 제 4 라인패턴(224d)을 통해 제 2 구동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 발광부들(200R)과 녹색 발광부(200G)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색 발광부(200R)의 제 1 구동부(231), 녹색 발광부(200G)의 제 2 구동부(232) 및 청색 발광부(200B)의 제 3 구동부(233)가 위치함으로써, 청색 발광부(200B)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색 발광부(200R) 또는 녹색 발광부(200G)의 면적이 축소되지 않으면서, 청색 발광부(200B)이 면적을 적색 발광부(200R) 또는 녹색 발광부(200G)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청색 발광부(200B)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부와 제 1 내지 제 3 구동부의 단면 구조는 제 1 및 제 2 실시예가 모두 유사하므로 하기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적색 발광부 및 제 1 구동부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기판(101) 상에 반도체층(102a, 102b)이 위치하고, 반도체층(102) 상에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03)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03) 상에 게이트 전극(104a), 커패시터 하부전극(104b), 제 1 라인패턴(104c) 및 제 2 라인패턴(104d)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04a), 커패시터 하부전극(104b) 및 제 1 공통전압 라인패 턴(104c, 104d) 상에 층간 절연막(106)이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106)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층(102a)의 양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2 콘택홀(107a, 107b), 커패시터 하부전극(104b)을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107c), 제 1 라인패턴(104c)을 노출시키는 제 4 및 제 5 콘택홀(107d, 107e), 제 2 라인패턴(104d)을 노출시키는 제 6 콘택홀(107f),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반도체층(102b)의 양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 7 및 제 8 콘택홀(107g, 107h)가 위치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06) 상에는 제 1 콘택홀(107a)을 통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층(102a)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109a), 제 2 콘택홀(107b)을 통해 반도체층(102a)에 연결되고 제 3 콘택홀(107c)을 통해 커패시터 하부전극(104b)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109b)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 4 콘택홀(107d)을 통해 제 1 라인패턴(104c)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상부전극(109c), 제 1 데이터 라인(111), 제 5 콘택홀(107e)을 통해 제 1 라인패턴(104c)에 연결되고 제 6 콘택홀(107f)을 통해 제 2 라인패턴(104d)에 연결되는 제 1 공통전원 라인(121)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 7 콘택홀(107g)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반도체층(102b)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109d) 및 제 8 콘택홀(107h)을 통해 반도체층(102b)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109e)이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1), 커패시터(Cst)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 상에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109e)을 노출시키는 비어홀(116)이 형성된 패시베이션막(115)이 위치한다. 패시베이션막(115) 상에 비어홀(116)을 통해 드레인 전극(109e)에 연결되는 제 1 전극(117)이 위치한다. 제 1 전극(117) 상에 제 1 전극(117)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뱅크층(118)이 위치하고, 제 1 전극(117) 상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18)이 위치한다. 그리고, 유기막층(118)을 포함하는 기판(101) 전면에 제 2 전극(120)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각 적색, 녹색, 청색 및 흰색의 수명을 측정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비교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적색, 녹색, 청색, 흰색의 수명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적색, 녹색, 청색, 흰색의 수명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비교예는 적색 발광부와 녹색 발광부의 면적을 축소하고, 청색 발광부의 면적을 축소된 적색 및 녹색 발광부의 면적만큼 확장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휘도가 50%에 도달할 때의 수명을 살펴보면, 적색의 수명은 6800시간, 녹색의 수명은 6500시간, 청색의 수명은 6800시간 그리고, 흰색의 수명은 7000시간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적색 발광부와 녹색 발광부의 면적을 축소하지 않고 구동부와 배선부만의 구조를 달리하여, 청색 발광부의 면적을 확장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수명을 살펴보면, 적색의 수명은 27000시간, 녹색의 수명은 15000시간, 청색의 수명은 7000시간 그리고, 흰색의 수명은 15000시간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비교예에 비해 수명 특성이 월등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비교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적색, 녹색, 청색, W의 수명을 나타낸 그래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적색, 녹색, 청색, 흰색의 수명을 나타낸 그래프.

Claims (12)

  1.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적색 발광부들;
    상기 적색 발광부들과 이웃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녹색 발광부들;
    상기 녹색 발광부들과 이웃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청색 발광부들;
    상기 적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라인;
    상기 적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1 구동부;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라인;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녹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2 구동부;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데이터가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시프트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청색 발광부들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 3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1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적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1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라인패턴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2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은 상기 녹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라인패턴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3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3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청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은 상기 청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3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5 및 제 6 라인패턴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부의 면적은 상기 적색 발광부 또는 상기 녹색 발광부의 면적보다 넓은 유기전계발광소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부들 및 상기 녹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각각 공급되는 제 1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적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1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라인패턴,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2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라인패턴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부들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제 2 공통전압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녹색 발광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과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은 상기 청색 발광부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 2 공통전압 라인의 하부를 통해 상기 제 3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5 라인패턴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090117713A 2009-12-01 2009-12-01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6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13A KR101660973B1 (ko) 2009-12-01 2009-12-01 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13A KR101660973B1 (ko) 2009-12-01 2009-12-01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56A KR20110061156A (ko) 2011-06-09
KR101660973B1 true KR101660973B1 (ko) 2016-09-28

Family

ID=4439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13A KR101660973B1 (ko) 2009-12-01 2009-12-01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9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892A (ja) * 2005-03-04 2006-09-14 Chunghwa Picture Tubes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有機el素子アレイ
JP2007116175A (ja) 2005-10-21 2007-05-10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85B1 (ko) * 2005-01-31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892A (ja) * 2005-03-04 2006-09-14 Chunghwa Picture Tubes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有機el素子アレイ
JP2007116175A (ja) 2005-10-21 2007-05-10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56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9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432381B2 (en) Active matrix display
KR101580719B1 (ko) 표시 장치
CN100539233C (zh) 双面板型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KR10132065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800417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a power line in a non-pixel region
KR100608403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0472841C (zh) 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EP1659633A2 (en) Flat panel display and its method of fabrication
KR20190073133A (ko) 마이크로led 표시장치
CN102097453B (zh)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KR2009008847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7068724B (zh)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oled显示器
KR201401118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20511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including an emissive layer including an assistant dopant layer and light-emitting dopant layer
US80135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517001A (zh) 像素驅動電路及顯示裝置
KR10166097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2086487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设备
KR101717075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50065833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40078560A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101222985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66931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030094046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