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844B1 -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0844B1 KR101660844B1 KR1020140156097A KR20140156097A KR101660844B1 KR 101660844 B1 KR101660844 B1 KR 101660844B1 KR 1020140156097 A KR1020140156097 A KR 1020140156097A KR 20140156097 A KR20140156097 A KR 20140156097A KR 101660844 B1 KR101660844 B1 KR 101660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s
- sensor assembly
- windshield
- vibration
- break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4—Mechanical actuation by breaking of glas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의 표면에 면접촉되면서 상기 유리창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면 일측에는 안착단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부착부;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면을 덮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단에 결합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부착부의 안착단과 상기 상부고정부 사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부착부를 통해 전달된 진동 에너지의 진동주파수에 따라 진동되며,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진동판; 그리고, 상기 각 진동판의 표면을 따라 부착되면서 각 진동판에서 발생된 진동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압전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와 같은 다양한 파장대의 주파수 변형을 모두 검출하는 방식을 적용한 센서 어셈블리의 제공을 통해 유리창에 대한 파손 여부가 정확히 파악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파장대의 주파수 변형을 모두 검출하는 방식을 적용한 센서 어셈블리의 제공을 통해 유리창에 대한 파손 여부가 정확히 파악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창은 실외 환경으로부터 실내 환경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채광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유리창은 외부 충격에 약한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충격 발생에 의한 파손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단점 및 이러한 파손에 따른 보안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해당 유리창을 통해 외부 침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의 방범 수단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범 수단으로는 통상 유리창의 파손을 센싱하여 외부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혹은, 동작 센서를 실내에 설치하여 외부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리창의 파손을 센싱하여 외부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경우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9031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003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2505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2287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유리창의 파손을 센싱하는 방법은 유리창의 파손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리를 통해 파악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센서를 해당 유리창의 표면에 장착하여 구성하도록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실질적인 유리창의 파손인지 혹은, 단순 충격인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파손 여부의 센싱을 위한 센서를 단순히 유리창의 특정 부위에 설치하는 방법의 경우는 유리창의 전 부위에 대한 파손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려움과 더불어 상기 센서를 유리창의 전 부위에 설치하는 방법의 경우는 전체적인 비용의 증가 및 유리창이 가지는 기본적인 채광 기능의 저하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파장대의 주파수 변형을 모두 검출하는 방식을 적용한 센서 어셈블리의 제공을 통해 설치 부위는 최소화하면서도 센싱 범위는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는 유리창의 표면에 면접촉되면서 상기 유리창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면 일측에는 안착단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부착부;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면을 덮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단에 결합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부착부의 안착단과 상기 상부고정부 사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부착부를 통해 전달된 진동 에너지의 진동주파수에 따라 진동되며,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진동판; 그리고, 상기 각 진동판의 표면을 따라 부착되면서 각 진동판에서 발생된 진동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압전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진동판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진동판의 타단측 끝단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각 진동판이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에 따르면 유리창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진동에 공진되는 복수의 진동판을 가짐과 더불어 이러한 각 진동판에는 해당 진동판의 진동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키는 압전필름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면서 유리창의 파손에 따른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진동 특성별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 어셈블리;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증폭하는 신호증폭기; 상기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컨버터를 통해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제공받아 유리창의 파손 여부 및 파손 형태를 판단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판단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는 다양한 파장대의 주파수 변형을 모두 검출하는 방식을 적용한 센서 어셈블리의 제공을 통해 설치 부위는 최소화하면서도 센싱 범위는 최대화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는 각 파장대별 주파수 변형이 각 진동판의 공진되는 구조를 통해 더욱 확연히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리창의 파손 여부 뿐만 아니라 파손 형태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각 진동판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각 진동판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100)는 크게 부착부(110)와, 상부고정부(120)와, 복수의 진동판(130) 및 압전필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진동 특성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리창(10)의 파손을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부착부(110)는 유리창(1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부착부(110)는 유리창(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온전히 전달받아 진동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 혹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의 저면은 상기 유리창(10)의 표면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유리창(1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부착부(110)는 상기 유리창(10)의 실내측 표면과 실외측 표면 중 어느 곳에 밀착 고정되더라도 상관없으나, 상기 부착부(110)가 상기 유리창(10)의 실외측 표면에 위치될 경우에는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 발생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측 표면에 위치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한 부착부(110)의 상면 일측에는 안착단(11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10)은 후술될 각 진동판(130)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써,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블럭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착단(111)은 상기 부착부(110)와 단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부착부(110)와는 별도의 블럭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부(110)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고정부(120)는 상기 부착부(110)를 이루는 안착단(111)과 함께 각 진동판(130)을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상부고정부(120)는 상기 안착단(111)과 동일한 형상의 블럭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안착단(111)의 상면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부(120)와 안착단(111) 간의 결합은 통상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진동판(130)은 부착부(110)를 통해 전달된 진동 에너지의 진동주파수에 따라 진동되도록 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각 진동판(130)은 상기 부착부(110)의 안착단(111)과 상기 상부고정부(120) 사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각 진동판(130)으로 전달된 진동의 증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진동판(130)들이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 각 진동판(130)들이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진동 특성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한 진동판(130)이 공진하면서 다른 진동판(130)들에 비해 더욱 큰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리창(10) 파손에 대한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각 진동판(130)들의 고유진동수는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저주파 진동에 대한 감지와, 저~중 주파수 진동에 대한 감지와, 중~고 주파수 진동에 대한 감지 및 초고 주파수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진동판(130)들이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진동판(130)의 타단측 끝단에 서로 다른 크기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131)를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질량체(131)의 질량 차이를 통해 상기 각 진동판(130)의 공진 주파수대역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질량체(131)를 추가로 제공하는 이유는 외팔보 구조로 설치되는 각 진동판(130)들의 끝단에 부하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외팔보 구조로만 이루어지는 형태에 비하여 더욱 큰 떨림(진동)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데 더욱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량체(131)들의 질량은 동일하게 형성하면서도 각 진동판(13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 진동판(130)의 고유진동수가 서로 달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전필름(piezo-electric film)(140)은 각 진동판(130)에서 발생된 진동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압전필름(140)은 박막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각 진동판(130)의 표면을 따라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압전필름(140)의 후단측 끝단에는 신호선(141)이 연결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100)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100)는 그의 부착부(110)가 감지하고자 하는 유리창(10)의 표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최초의 상태에서 유리창(10)의 파손이 발생될 경우 상기 유리창(10) 파손의 형태에 따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진동이 발생된다.
즉, 상기 유리창(10)에 미세한 금이 발생되는 파손, 특정 부위만 깨지되 파편은 발생되지 않는 파손, 특정 부위가 깨지면서 파편이 발생되는 파손, 전 부위가 완전히 깨지는 파손 등과 같이 파손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의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리창(10)의 파손에 따른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해당 유리창(10)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 고정되어 있던 센서 어셈블리(100)의 부착부(110)로 상기 진동이 전달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부착부(110)로 전달된 진동은 안착단(111)에 안착 고정된 각 진동판(130)들로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각 진동판(130)들은 상기 전달받은 진동에 의한 떨림이 발생되면서 해당 진동판(130)으로 전달된 진동 주파수의 특성에 따라 진동하게 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안착단(111)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과 고유 진동수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대역의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판(130)의 경우는 여타의 진동판(130)과는 달리 상기 진동에 공진되면서 더욱 크게 진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진동판(130)들에 부착된 각각의 압전필름(140)은 상기 각 진동판(130)들의 진동 특성에 따른 물리적 압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켜 제공하게 되는데, 전술된 각 진동판(130)들의 진동 특성이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각 압전필름(140)에 의해 전환되는 전기적 신호 역시 서로 달리 이루어지며, 이로써 상기 각 압전필름(140)의 전기적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유리창(10)의 단순 충격 여부나 파손 여부 혹은, 파손의 형태 등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는 전술된 센서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유리창(10)의 파손 여부와 파손 형태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에서 제시된 센서 어셈블리(100)와, 신호증폭기(200)와, A/D 컨버터(300)와, 마이크로프로세서(400)와, 무선통신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에 의해 센싱된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진동 특성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토대로 유리창(10)의 파손 여부 및 파손 형태 등을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에서의 침입 감지 혹은, 이상 발생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는 유리창(10)의 파손을 감지하기 위한 부위이며, 이러한 센서 어셈블리(100)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호증폭기(200)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증폭하는 앰프(amplifier)이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각 압전필름(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신호증폭기(200)를 통해 증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전기적 신호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A/D 컨버터(300)는 상기 신호증폭기(200)를 통해 증폭된 상기 각 압전필름(140)의 전기적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디지탈(digital) 신호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400)는 상기 A/D 컨버터(300)를 통해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제공받아 유리창(1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중앙 처리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400)가 각각의 압전필름(140)으로부터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토대로 해당 유리창(10)에 대한 파손 형태도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같이 단순한 유리창(10)의 파손 여부만을 확인하여 통보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유리창(10)의 파손이 외부 침입에 의한 파손인지 혹은, 단순 파손인지를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기(50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0)를 통해 판단된 결과 정보에 대한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기(예컨대,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혹은, 보안 관련자의 무선 단말기 등)로 무선 송신하는 기기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600은 전원공급부로써, 상기 신호증폭기(200)와, A/D 컨버터(300)와, 마이크로프로세서(400) 및 무선통신기(500)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전원공급부(600)가 배터리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에 의한 유리창(10) 파손 및 그의 대처를 위한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일반적인 상황하에서 유리창(10)의 파손이 발생될 경우 센서 어셈블리(100)의 각 압전필름(140)을 통해 해당 유리창(10)의 파손에 관련한 각종 신호가 신호증폭기(200)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에 의한 각종 파손 관련 신호의 제공 과정에 대하여는 전술된 센서 어셈블리의 작용 설명을 통해 이미 수행되었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신호증폭기(200)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100)를 통해 제공받은 전기적 신호를 더욱 증폭시켜 A/D 컨버터(300)로 제공하게 되며, 계속해서 상기 A/D 컨버터(300)에서는 상기 신호증폭기(200)를 통해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서는 상기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로부터 각 진동판(130) 중 공진이 발생된 진동판(130)(혹은, 여타의 진동판에 비해 더욱 큰 진폭을 갖는 진동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러한 진동판(130)에 관련한 파손의 여부 및 파손 형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기(500)를 통해 그 정보를 미리 설정된 무선 단말기(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혹은, 보안 관련자의 무선 단말기 등)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혹은, 보안 관련자는 해당 유리창(10)의 파손 여부 및 파손 형태를 원격지에서 정확히 판단한 상태로 그 대처를 수행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는 다양한 파장대의 주파수 변형을 모두 검출하는 방식을 적용한 센서 어셈블리(100)의 제공을 통해 설치 부위는 최소화하면서도 센싱 범위는 최대화될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각 파장대별 주파수 변형은 각 진동판(130)의 공진되는 구조를 통해 더욱 확연히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리창의 파손 여부 뿐만 아니라 파손 형태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10. 유리창 100. 센서 어셈블리
110. 부착부 111. 안착단
120. 상부고정부 130. 진동판
131. 질량체 140. 압전필름
141. 신호선 200. 신호증폭기
300. A/D 컨버터 400. 마이크로프로세서
500. 무선통신기 600. 전원공급부
110. 부착부 111. 안착단
120. 상부고정부 130. 진동판
131. 질량체 140. 압전필름
141. 신호선 200. 신호증폭기
300. A/D 컨버터 400. 마이크로프로세서
500. 무선통신기 600. 전원공급부
Claims (4)
- 유리창의 표면에 면접촉되면서 상기 유리창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면 일측에는 안착단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부착부;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면을 덮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단에 결합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부착부의 안착단과 상기 상부고정부 사이에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부착부를 통해 전달된 진동 에너지의 진동주파수에 따라 진동되며,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진동판; 그리고,
상기 각 진동판의 표면을 따라 부착되면서 각 진동판에서 발생된 진동 특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압전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판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진동판의 타단측 끝단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각 진동판이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097A KR101660844B1 (ko) | 2014-11-11 | 2014-11-11 |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097A KR101660844B1 (ko) | 2014-11-11 | 2014-11-11 |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6116A KR20160056116A (ko) | 2016-05-19 |
KR101660844B1 true KR101660844B1 (ko) | 2016-09-28 |
Family
ID=5610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6097A KR101660844B1 (ko) | 2014-11-11 | 2014-11-11 |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08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98878A1 (en) * | 2021-06-14 | 2022-12-15 | Robert Bosch Gmbh | Automated windshield damage detection and mitig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2825A (ja) * | 2006-10-20 | 2008-05-01 | Tokai Rika Co Ltd | 車両のガラス割れ検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2872A (ko) * | 1995-10-28 | 1997-05-30 | 박정옥 | 유리 파손 감지 장치 |
JP3704408B2 (ja) * | 1996-11-28 | 2005-10-12 | 株式会社ノーケン | 振動式レベル検出装置および振動式レベル検出方法 |
KR101106163B1 (ko) * | 2009-11-19 | 2012-01-19 | (주)맨 텍 | 센서를 이용한 우박감지시스템 |
-
2014
- 2014-11-11 KR KR1020140156097A patent/KR1016608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2825A (ja) * | 2006-10-20 | 2008-05-01 | Tokai Rika Co Ltd | 車両のガラス割れ検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6116A (ko) | 2016-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6311035B2 (en) | MEMS sound transducer with closed control system | |
EP2984463B1 (en) | A sound sensor | |
US8193926B2 (en) | Piezoelectric triggering mechanism | |
NO312796B1 (no) | Alarmbrikke | |
TW200718926A (en) | Oscillatory wave detecting apparatus | |
JP2007093213A (ja) | 圧力センサ | |
US9349269B2 (en) | Glass breaka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ation thereof | |
KR101660844B1 (ko) |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유리창 파손 감지장치 | |
CN105144750A (zh) | 声音变换器 | |
EP3201886B1 (en) | Wireless acoustic glass breakage detector | |
JP4947713B2 (ja) | 振動検知装置 | |
JP2019035663A (ja) | 設備・機器の常時振動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 |
WO2007126270A1 (en) | Saw transponder for sensing pressure | |
EP1341137B1 (en) | A security system, particularly for property surveillance, and a sensor | |
JP2008039654A (ja) | 超音波を利用した振動センサ | |
JP2008287380A (ja) | 窓ガラス破壊検出装置 | |
JP4869865B2 (ja) | 車両のガラス割れ検知装置 | |
KR100724100B1 (ko) | 증폭기 내장형 초소형 음향방출센서 | |
US8011253B2 (en) | Stress-wave sensor module, stress-wave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collision event utilizing the stress-wave sensor | |
JP2005156432A (ja) | 破断音センサ | |
JP2011137637A (ja) | 表面弾性波共振子型振動センサ | |
JPH0546534Y2 (ko) | ||
JP4032967B2 (ja) | ガラス破壊センサ | |
JP3213945B2 (ja) | ノックセンサ | |
US6237416B1 (en) | Multi-purpose impact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