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937B1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937B1
KR101659937B1 KR1020150085399A KR20150085399A KR101659937B1 KR 101659937 B1 KR101659937 B1 KR 101659937B1 KR 1020150085399 A KR1020150085399 A KR 1020150085399A KR 20150085399 A KR20150085399 A KR 20150085399A KR 101659937 B1 KR101659937 B1 KR 10165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temperature
storage space
unit
coo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진
김성진
김종웅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937B1/ko
Priority to US14/837,963 priority patent/US20160370107A1/en
Priority to CN201510578870.1A priority patent/CN10625717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03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nt heat transfer of samples, e.g. emittance 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구분짓는 도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냉동 싸이클 기기부, 상기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부, 상기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촬영부, 상기 수납 공간에서 상기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냉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는 냉장고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 상기 조도를 기초로 상기 냉장고 내부의 조명량이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조명량 제어 신호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명량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냉장고에 수납되는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냉기가 집중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등과 같은 사물을 냉동/냉장 보관하기 위한 전자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사물의 수납 공간(또는 고내)에 장착된 온도센서로부터 수납 공간의 온도를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냉기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러한 기존의 냉장고의 경우 온도센서는 수납 공간에서 대류에 의하여 형성된 전체적인 온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수납 공간의 전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냉기를 제공하되 이러한 냉기가 밀폐된 공간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수납 공간의 전체적인 온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수납 공간에 새로운 고온의 사물이 수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온도센서는 고온의 사물로 인하여 상승된 전체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냉장고는 전체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냉기를 제공하며, 제공된 냉기는 순환하면서 고온의 사물의 온도를 낮추고, 이로써 전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결국, 냉기의 제공은 냉기의 순환에 의하여 해당 사물의 온도가 낮아질 때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시간 t0 이전에는 냉장고의 수납 공간의 온도가 정상 온도 T0였다가 시간 t0인 시점에 고온의 사물이 수납되는 경우 수납 공간의 온도는 T1으로 상승하며, 이 때부터 냉기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제공되면서 순환이 되고, 순환에 의하여 수납 공간의 온도는 t2인 시점에 원래의 정상 온도 T0로 낮아지게(복귀) 된다.
만약, 이와 같은 상황에서 순환에 의하여 냉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로이 수납되는 사물의 온도 및 이러한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 집중적으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면, 수납 공간 온도가 T1에서 T0로 낮아지는 시간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t2에서 t1으로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한 뒤 이러한 위치에 집중적으로 냉기를 제공하는 냉장고는 공개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0-0018329 (2000.04.0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냉장고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집중적으로 냉기를 제공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사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구분짓는 도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냉동 싸이클 기기부, 상기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부, 상기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촬영부, 상기 수납 공간에서 상기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냉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고의 상기 도어부를 바라본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정면, 상기 도어부의 반대쪽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후면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천장면에서 상기 후면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정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는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 광각을 제공하는 렌즈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수납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상기 사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사물의 평면에서의 평면 위치 및 상기 냉장고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사물이 수납된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냉기에 상기 수납 공간 내에서의 순환력을 제공하고, 상기 냉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조절되는 조절 가능한 냉각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각팬부가 토출하는 상기 냉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어 방법은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냉장고에 형성되어 상기 사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에서의 상기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기의 토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천장면에서 상기 사물을 바라보았을 때의 상기 사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부에 의하여 외부와 구분되고, 상기 도어부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고의 상기 도어부를 바라본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정면, 상기 도어부의 반대쪽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후면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천장면 중 상기 후면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정면에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사물을 바라보았을 때의 상기 사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 공간이 구획부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상기 사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감지하여 상기 냉기 토출부를 제어하는 단계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의 평면에서의 평면 위치 및 상기 냉장고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사물이 수납된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된 상기 냉기에 순환력을 제공하는 냉각팬부가,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물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팬부를 통해 상기 냉기를 상기 사물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장고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고온의 사물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사물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낮출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냉장고 수납 공간에 고온의 사물이 수납되었을 때의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여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여 냉각팬의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냉장고'는 음식 기타 사물에 냉기를 제공하는 가전 제품으로써 냉장고나 냉동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냉장/냉동 장치를 지칭하는 것이며, 이하에서 언급하는 '냉장고'는 냉장고, 냉동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냉장/냉동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사물의 수납 공간(또는 고내)을 형성하는 본체부(110), 본체부에 장착되어 개폐됨으로써 수납 공간과 외부를 구분짓는 도어부(120),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부(140), 냉기 토출부(140)로부터 토출된 냉기에 수납 공간 내에서의 순환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냉기의 토출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냉각팬부(150),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촬영부(160), 수납 공간에서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170), 온도와 위치를 기초로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온도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180) 또는 수납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다른 것이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거나 이외의 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을 냉장고에 구현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이러한 본체부(110)에 연결된 도어부(120)는 개폐에 의하여 수납 공간과 외부를 분리한다. 아울러,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화상 촬영부(160), 수납 공간에서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감지부(170), 그리고 냉기 토출부(140)로부터 토출된 냉기에 수납 공간 내에서의 순환력을 제공하고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러한 냉기가 토출되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냉각팬부(1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만 도 2b에 도시된 구성 및 이러한 구성의 위치, 그리고 이들간의 연결관계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도 2a 및 2b를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부(110)는 냉장고(100)의 프레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에 의하여 사물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도어부(120)는 힌지(미도시)에 의하여 본체부(110)와 결합되며, 본체부(110)를 개폐시킴으로써 수납 공간과 외부를 구분지을 수 있다.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는 본체부(110)에 포함되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압축과 응축 및 증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는 냉장고(100)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냉기 토출부(140)는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와 연결되며,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에서 형성한 냉기를 수납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에 형성된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냉기 토출부(140)는 예를 들면 냉장고(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각 구획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열화상 촬영부(160)는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며, 예를 들면 비접촉식으로 열화상을 감지하는 촬영 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열화상 촬영부(160)는 냉장고(100) 수납 공간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3(냉장고를 천장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천장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화상 촬영부(160)는 천장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의 사물(5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열화상 촬영부(160)가 천장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열화상 촬영부(160)는 냉장고(100) 수납 공간의 천장면에 배치되는 경우 천장면의 중앙부가 아닌, 도 4에 도시(냉장고를 천장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도어쪽에 가까운 쪽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어부(120)가 닫힌 경우 도어부(120)를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냉장고의 부분을 정면(111), 이러한 정면(111)을 기준으로 냉장고의 반대쪽 부분을 후면(112)이라고 정의하면, 열화상 촬영부(160)는 천장면에서 후면(112)보다 상대적으로 정면(111)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화상 촬영부(160)가 정면(111)에 가깝도록 천장면에 배치되면, 천장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수납 공간에 배치된 사물(50b)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으로 인입되는 새로운 사물(50a)의 온도를 인입 시점에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열화상 촬영부(160)에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각을 제공하는 렌즈부(16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화상 촬영부(160)는 수납 공간 내부의 구석구석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70)는 사물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의 위치란 사물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면에서의 위치(평면 위치)를 나타내거나, 또는 수납 공간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사물이 복수의 공간 중에서 어느 공간에 배치 또는 인입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사물의 높이란 이러한 사물이 냉장고(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에 위치하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높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사물이 복수의 공간 중 어느 공간에 배치되는지 또는 어느 공간에 인입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170)는 사물의 위치와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감지부(170)는 예를 들면 도 2b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의 맞모금의 위치에 각각 1개씩(한쪽 꼭지점에 1개, 그리고 이러한 꼭지점과 마주하지 않는 다른 꼭지점에 1개)배치되거나 또는 수납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각 공간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위치 감지부(17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일 수 있는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물의 위치와 높이 등을 감지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2011-0057083호의 배경기술 또는 해당 공보에서와 같이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열화상 촬영부(160)가 감지한 온도와 위치 감지부(170)가 감지한 위치를 기초로,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집중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열화상 촬영부(160)는 사물의 온도가 고온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위치 감지부(170)는 이러한 고온의 사물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이를 기초로, 제어부(180)는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이러한 고온의 사물에 집중하여 제공되는 집중 냉각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수납 공간이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면서 각각의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부(140)가 배치되는 경우, 열화상 촬영부(160)는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정보를 전달하고, 위치 감지부(170)는 이러한 고온의 사물이 복수의 공간 중 어느 공간에 배치 또는 인입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이러한 고온의 사물이 배치 또는 인입되는 공간에 형성된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서, 평소보다 많은 양의 냉기 또는 더 낮은 온도의 냉기가 제공, 즉 집중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사물의 온도가 냉기의 순환에 의하여 내려갈 때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내려갈 수 있으므로, 수납 공간(고내)의 온도 역시 T1에서 T0로 낮아지는 시간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t2에서 t1으로 앞당겨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고온의 사물을 위치한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냉장고를 천장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냉각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부(150)는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에 수납 공간 내에서 순환되도록 하는 힘, 즉 순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각팬부(150)는 냉기 토출부(140)로부터 토출된 냉기의 방향이 사물을 향할 수 있도록, 즉 집중 냉각이 가능하도록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도 5는 이와 같이 냉기 토출부(140)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냉각팬부(150)의 회전에 의하여 제어부(180)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위하여, 냉각팬부(150)는 냉기에 순환력을 제공하는 팬(fan), 팬을 구동하는 모터부, 제어부(180)가 전달하는 위치로 냉각팬부(150)가 향하도록 냉각팬부(150)를 회전(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집중 냉각에 의하여 고온의 사물의 온도가 냉기의 순환에 의하여 내려갈 때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내려갈 수 있으므로, 수납 공간(고내)의 온도 역시 T1에서 T0로 낮아지는 시간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t2에서 t1으로 앞당겨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온도 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90)는 수납 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하며,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온도 감지부(190)는 수납 공간 전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며, 집중 냉각에 의하여 고온의 사물의 온도가 내려감으로써 수납 공간 전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회복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수납 공간 전체의 온도가 올라갔다가 기 설정된 온도로 회복된 경우 이를 제어부(180)로 전달함으로써 집중 냉각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고온의 사물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사물의 온도를 순환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낮출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10), 냉장고(100)에 형성되어 사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에서의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120),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단계(S130) 및 온도와 위치를 기초로 냉기의 온도 또는 방향을 토출을 제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이외의 다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제어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10)는 열화상 촬영부(16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촬영부(160)는 냉장고(100) 수납 공간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천장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장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의 사물(5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열화상 촬영부(160)는 수납 공간의 천장면에서 도어쪽에 가까운 쪽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10)에서는 수납 공간에 배치된 사물(50b)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으로 인입되는 새로운 사물(50a)의 온도를 인입 시점에 감지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10)에서는 열화상 촬영부(160)에 장착되어 광각을 제공하는 렌즈부(161)에 의하여 수납 공간 내부의 구석구석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납 공간에서의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120)는 위치 감지부(17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감지부(170)는 사물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사물의 위치란 사물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면에서의 위치(평면 위치) 또는 수납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사물이 복수의 공간 중에서 어느 공간에 배치 또는 인입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사물의 높이란 이러한 사물이 냉장고(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에 위치하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높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 사물이 어느 공간에 배치되는지 또는 어느 공간에 인입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170)는 사물의 위치와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감지부(170)는 예를 들면 도 2b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의 맞모금의 위치에 각각 1개씩(한쪽 꼭지점에 1개, 그리고 이러한 꼭지점과 마주하지 않는 다른 꼭지점에 1개)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냉기를 형성하는 단계(S130)는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압축과 응축 및 증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냉동 싸이클 기기부(130)에 의하여 냉기를 형성하는 과정은 이미 공개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냉기의 토출을 제어하는 단계(S140)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10)에서 감지한 온도와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120)에서 감지한 위치를 기초로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집중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하는 단계(S140)는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고온의 사물의 위치에 집중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수납 공간이 구획부(19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면서 각각의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부(140)가 배치되는 경우, 열화상 촬영부(160)는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정보를 전달하고, 위치 감지부(170)는 고온의 사물이 복수의 공간 중 어느 공간에 배치 또는 인입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하는 단계(S140)는 이러한 고온의 사물이 배치 또는 인입되는 공간에 형성된 냉기 토출부(140)로, 평소보다 많은 양의 냉기 또는 평소보다 낮은 온도의 냉기가 제공, 즉 집중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하는 단계(S140)는 냉기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냉각팬부(150)를 통해 고온의 사물을 위치한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하는 단계(S140)는 냉기 토출부(140)로부터 토출된 냉기의 방향이 사물을 향할 수 있도록, 즉 집중 냉각이 가능하도록 냉각팬부(150)를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집중 냉각에 의하여 고온의 사물의 온도가 냉기의 순환에 의하여 내려갈 때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내려갈 수 있으므로, 수납 공간(고내)의 온도 역시 T1에서 T0로 낮아지는 시간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t2에서 t1으로 앞당겨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납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온도 감지부(19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납 공간 전체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수납 공간 전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회복된 경우 이러한 온도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집중 냉각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 고내에 수납되는 사물의 온도 및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고온의 사물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사물의 온도를 냉기의 순환에 의하여 내려갈 때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낮출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냉장고
110: 본체부 120: 도어부
130: 냉동 싸이클 기기부 140: 냉기 토출부
150: 냉각팬부 160: 열화상 촬영부
170: 위치 감지부 180: 제어부

Claims (13)

  1. 냉장고로서,
    사물의 수납 공간을 복수 개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개폐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구분짓는 도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냉동 싸이클 기기부;
    상기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부;
    상기 도어부가 닫혔을 때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의 상기 도어부를 바라본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정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도어부의 반대쪽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후면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의 천장면에 배치되되 상기 천장면에서 상기 후면보다 상기 정면에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배치되는 1개의 열화상 촬영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인입되는 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냉기의 온도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사물이 인입될 때, 상기 인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인입되는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는,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 광각을 제공하는 렌즈부가 장착되는
    냉장고.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사물의 평면에서의 평면 위치 및 상기 냉장고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사물이 수납된 높이를 감지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냉기에 상기 수납 공간 내에서의 순환력을 제공하고, 상기 냉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조절되는 조절 가능한 냉각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각팬부가 토출하는 상기 냉기의 온도 또는 방향을 조절하는
    냉장고.
  8. 사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복수 개 포함하는 냉장고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인입되는 사물의 온도를 상기 인입되는 시점에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입되는 사물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납 공간에 제공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냉기의 온도 또는 방향을 조절하여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냉장고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부에 의하여 외부와 구분되고, 상기 도어부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고의 상기 도어부를 상기 외부에서 바라본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정면, 상기 도어부의 반대쪽 방향을 상기 냉장고의 후면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천장면에 배치되되, 상기 천장면에서 상기 후면보다 상기 정면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지점에 배치되는 열화상 촬영부에 의하여 상기 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고 제어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의 평면에서의 평면 위치 및 상기 냉장고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사물이 수납된 높이를 감지하는
    냉장고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토출된 상기 냉기에 순환력을 제공하는 냉각팬부가, 상기 온도 및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물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팬부를 통해 상기 냉기를 상기 사물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방법.
KR1020150085399A 2015-06-16 2015-06-1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99A KR101659937B1 (ko) 2015-06-16 2015-06-1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4/837,963 US20160370107A1 (en) 2015-06-16 2015-08-27 Refrigerator providing local cooling
CN201510578870.1A CN106257177A (zh) 2015-06-16 2015-09-11 提供局部冷却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99A KR101659937B1 (ko) 2015-06-16 2015-06-1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937B1 true KR101659937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399A KR101659937B1 (ko) 2015-06-16 2015-06-1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70107A1 (ko)
KR (1) KR101659937B1 (ko)
CN (1) CN1062571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6647A (zh) * 2016-11-23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冰箱内是否放入温度异常物品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0357B (zh) * 2015-06-26 2018-03-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冷藏室的分区制冷控制方法和分区制冷控制装置
CN106885446A (zh) * 2017-03-10 2017-06-23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自动控制冰箱冷冻室温度的方法及装置
US10346796B2 (en) 2017-08-31 2019-07-09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contents monitoring system
DE102017125797A1 (de) * 2017-11-06 2019-05-09 Miele & Cie. Kg Temperaturerkennungsvorrichtung für ein Kühlgerät, Kühlgerät mit einer Temperaturerkenn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Temperatur für ein Kühlgerät
CN109028748A (zh) * 2018-07-13 2018-12-18 连云港伍江数码科技有限公司 冰柜、冰柜控制方法和装置
CN112696868A (zh) * 2020-12-28 2021-04-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库追踪控温方法、装置及制冷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329A (ko) 1998-09-01 2000-04-06 구자홍 냉장고의 집중냉각장치 및 방법
KR20030062571A (ko) * 2002-01-17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냉장고 냉기 제어방법
KR20150060436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6710A (en) * 1997-06-26 1998-12-30 Memco Ltd Door obstruction detector
KR100469202B1 (ko) * 2002-01-15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접촉식 열화상 센서가 장착된 냉장고
KR100434385B1 (ko) * 2002-01-28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분배 시스템
US20070125104A1 (en) * 2005-12-06 2007-06-07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Compressor system for vending devices and the like
US7673661B2 (en) * 2007-04-27 2010-03-09 Whirlpool Corporation Sensor system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KR101216182B1 (ko) * 2010-12-02 2012-12-27 박성수 무인 비행선의 광고이미지 인쇄방법
US9255729B2 (en) * 2013-03-15 2016-02-09 Phillip Rindlisbach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refrigerated items
PL3059535T3 (pl) * 2015-02-23 2020-04-30 BSH Hausgeräte GmbH Lodówka gospodarstwa domowego zawierająca apar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329A (ko) 1998-09-01 2000-04-06 구자홍 냉장고의 집중냉각장치 및 방법
KR20030062571A (ko) * 2002-01-17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냉장고 냉기 제어방법
KR20150060436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6647A (zh) * 2016-11-23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冰箱内是否放入温度异常物品的方法
CN106766647B (zh) * 2016-11-23 2019-12-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冰箱内是否放入温度异常物品的方法
US11079174B2 (en) 2016-11-23 2021-08-03 Qingdao Haier Joint Stock Co., Ltd.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rticle with abnormal temperature is placed in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70107A1 (en) 2016-12-22
CN106257177A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93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6119468A (en) Uniform cool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05122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3441700B1 (en) Refrigerator and partition control method
US11397048B2 (en) Refrigerator
EP3379173A1 (en) Refrigerator
US20180187951A1 (en) Refrigerator
JP5985029B2 (ja) 冷蔵庫
JP5827292B2 (ja) 冷蔵庫
JP2012251724A (ja) 冷蔵庫
JP2015222138A (ja) 冷蔵庫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TWI592909B (zh) Vending machine
JP6799958B2 (ja) 冷蔵庫
US1067032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592970B2 (ja) 冷蔵庫
KR2016000138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7963B1 (ko) 냉장고
JP4367576B2 (ja) 冷蔵庫
US10429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tor control
JP6910113B2 (ja) 冷蔵庫
KR20090049236A (ko) 냉장고용 냉기 덕트 시스템
JP2017156013A (ja) 冷蔵庫
KR20220045369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JP6664020B2 (ja) 冷蔵庫
JPH10246568A (ja) 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