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413B1 -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413B1
KR101659413B1 KR1020167007618A KR20167007618A KR101659413B1 KR 101659413 B1 KR101659413 B1 KR 101659413B1 KR 1020167007618 A KR1020167007618 A KR 1020167007618A KR 20167007618 A KR20167007618 A KR 20167007618A KR 101659413 B1 KR101659413 B1 KR 10165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wireless devices
subset
decod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126A (ko
Inventor
산토쉬 폴 아브라함
시몬 멀린
조지 체리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4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 2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하는 제 2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HIGH EFFICIENCY WIRELESS NETWORKS}
[0001]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통신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0002] 많은 전기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은, 몇몇 상호작용하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데 이용된다. 네트워크들은 지리적 범위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지리적 범위는, 예를 들어, 대도시 영역, 로컬 영역 또는 개인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로서 각각 지정될 것이다. 네트워크들은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 및 디바이스들을 상호접속하는데 이용되는 교환/라우팅 기술(예를 들어, 회선 교환 대 패킷 교환),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물리적 매체의 타입(예를 들어, 유선 대 무선), 및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세트(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세트(suite),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이더넷 등)에 따라 상이하다.
[0003] 무선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이동식이어서 동적 접속 필요성들을 갖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쳐가 고정식보다는 애드혹(ad hoc) 토폴로지로 형성되는 경우 종종 선호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라디오, 마이크로파, 적외선, 광학 등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자기파들을 이용하여, 가이드되지 않은 전파 모드로 무형의(intangible) 물리적 매체를 이용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유리하게는, 고정식 유선 네트워크들에 비해 빠른 필드 전개 및 사용자 이동성을 용이하게 한다.
[0004] 무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은 서로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들로 통신할 수 있다. 많은 디바이스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디바이스 네트워크의 통신 레이트들 사이에 큰 차이들이 존재하는 경우, 혼잡 및 비효율적 링크 사용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통신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요구된다.
[0005]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각각은 몇몇 양상들을 갖고, 이 양상들 중 어떠한 단일 양상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담당하지 않는다.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이제 일부 특징들이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후, 그리고 특히, "상세한 설명"으로 명명된 섹션을 읽은 후, 본 발명의 특징들이, 제어 프레임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0006] 본 개시의 일 양상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 2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하는 제 2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7]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 2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제 2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 2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송신기는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여,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0008]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제 2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 2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여,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9]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코드는, 실행되는 경우 장치로 하여금,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게 한다. 코드는, 실행되는 경우, 추가로, 장치로 하여금, 제 2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하는 제 2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게 한다.
[0010]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예시한다.
[0011]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0012] 도 3은, CTS(clear to send)-투-셀프(CTS-to-Self) 프레임의 예를 예시한다.
[0013] 도 4는, CF(contention free)-종료 프레임의 예를 예시한다.
[0014] 도 5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CTS-to-Self 프레임 및 CF-종료 프레임을 포함하는 타이밍도를 예시한다.
[0015] 도 6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CTS-to-Self 프레임 및 CF-종료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이밍도를 예시한다.
[0016] 도 7은, 무선 통신의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0017]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교시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그리고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또는 임의의 다른 양상과 결합되어 구현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추가로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18] 특정한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이 양상들의 많은 변화들 및 치환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일부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한 이점들, 이용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고, 이들 중 일부는, 선호되는 양상들의 하기 설명 및 도면들에서 예시의 방식으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적이기 보다는 본 개시의 단지 예시이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0019]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WL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광범위하게 이용된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인근의 디바이스들을 서로 상호접속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임의의 통신 표준, 예를 들어, WiFi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무선 프로토콜들의 IEEE 802.11군의 임의의 멤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IEEE 802.11ah, 801.11ac, 802.11n, 802.11g 및/또는 802.11b 프로토콜들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0020] 일부 양상들에서, 서브-기가헤르쯔 대역의 무선 신호들은,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다이렉트-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 통신들, OFDM 및 DSSS 통신들의 조합 또는 다른 방식들을 이용하여, 802.11ah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 802.11ah 프로토콜의 구현들은, 센서들, 계측 및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802.11ah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특정 디바이스들의 양상들은, 예를 들어, 802.11b 및/또는 802.11g와 같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디바이스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약 1 킬로미터 또는 그 초과와 같은 비교적 긴 범위에 걸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0021]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디바이스들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술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802.11ah 표준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독립 채널들은 또한 공간 채널들 또는 스트림들로 지칭되며, 여기서 NS ≤ min{NT, NR} 이다. NS개의 독립 채널들 각각은 차원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 차원들이 활용되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0022] 일부 구현들에서, WLAN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컴포넌트들인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즉 액세스 포인트들("AP들") 및 클라이언트들(또한, 스테이션들 또는 "STA들"로 지칭됨)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P는 WLAN에 대한 허브 또는 기지국으로 기능하고, STA는 WLAN의 사용자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STA는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모바일 폰 등일 수 있다. 일례에서, STA는, 인터넷에 대한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들에 대한 일반적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 WiFi(예를 들어, 802.11ah와 같은 IEEE 802.11 프로토콜) 준수(compliant) 무선 링크를 통해 AP에 접속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는 또한 AP로서 이용될 수 있다.
[0023] 액세스 포인트("AP")는 또한 Node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eNode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부("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공지될 수 있다.
[0024] 스테이션 "STA"는 또한 액세스 단말("AT"),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공지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무선 로컬 루프("WLL")국,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일부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교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폰(예를 들어,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헤드셋,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 오락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게이밍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글로벌 측위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0025]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802.11ah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STA로 이용되든 또는 AP로 이용되든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이용되든, 스마트 계측을 위해 또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센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거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그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또한, 확장된 범위의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예를 들어, 핫스팟들로 이용하기 위해) 또는 머신-투-머신 통신들을 구현하기 위해, 감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0026]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802.11ah, 802.11ac, 802.11n, 802.11g 및 802.11b 표준들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무선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STA들(106)과 통신하는 AP(104)를 포함할 수 있다.
[0027] AP(104)와 STA들(106) 사이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송신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은 OFDM/OFDMA 기술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들은 CDMA 기술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C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0028] AP(104)로부터 STA들(106) 중 하나 이상으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DL)(108)로 지칭될 수 있고, STA들(106)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AP(104)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UL)(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0029] AP(104)는, 기본 서비스 영역(BSA)(102)에서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AP(104)와 연관되고 통신을 위해 AP(104)를 이용하는 STA들(106)과 함께 AP(104)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중앙 AP(104)를 갖지 않을 수 있지만, 오히려 STA들(106) 사이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AP(104)의 기능들은 대안적으로 STA들(106)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30]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AP(104), 또는 STA들(106)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31]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으로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에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통상적으로, 메모리(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적 및 산술적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0032] 프로세서(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컴포넌트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0033] 프로세싱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설명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이와 달리 지칭되든,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코드를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2진 코드 포맷, 실행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코드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포맷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0034]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와 원격의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16)는 하우징(208)에 부착되고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예를 들어, MIMO 통신들 동안 활용될 수 있는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0035]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 및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이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캐리어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프로세싱 신호들에 이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DSP(220)는 송신을 위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데이터 유닛은 물리 계층 데이터 유닛(PPDU)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PPDU는 패킷으로 지칭된다.
[0036] 무선 디바이스(202)는 일부 양상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키패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임의의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37]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226)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226)은,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버스에 부가하여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컴포넌트들이, 일부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함께 커플링되거나 또는 서로에게 입력들을 제공하거나 수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0038] 다수의 별개의 컴포넌트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결합되거나 공통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는, 프로세서(204)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신호 검출기(218) 및/또는 DSP(220)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각각은 복수의 별개의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0039]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는 AP(104) 또는 STA(106)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통신들은, 패킷들 또는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데이터 유닛들은 데이터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및/또는 관리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들은, AP 및/또는 STA로부터 다른 AP들 및/또는 STA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프레임들은,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신뢰가능하게 전달(예를 들어, 데이터의 수신을 확인응답하는 것, AP들의 폴링, 영역-클리어링 동작들, 채널 포착, 캐리어-감지 유지보수 기능들 등)하기 위해 데이터 프레임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관리 프레임들은, 다양한 감독 기능들(무선 네트워크들에 참여하고 그로부터 이탈하는 것 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0040] 도 3은, CTS-투-셀프 프레임의 예를 예시한다. CTS-투-셀프 프레임(300)은, 통신을 위한 채널 또는 매체를 예비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CTS-투-셀프 프레임(300)은 4개의 상이한 필드들, 즉, 프레임 제어(FC) 필드(302), 지속기간 필드(304), 수신기 어드레스(RA) 필드(306)(또한 수신기 어드레스(a1)로 지칭됨),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308)를 포함한다. 도 3은, 필드들(302, 304, 306 및 308)의 크기를, 각각 2, 2, 6 및 4와 같이 옥텟으로 추가로 표시한다. 필드 크기들 모두의 값을 합산하는 것은 CTS-투-셀프 프레임(300)의 전체 크기를 제공하고, 이는 14 옥텟이다. RA 필드(306)는, 48-비트(6 옥텟) 값인, 디바이스의 풀(full)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CTS-투-셀프 프레임의 경우, RA 필드(306)의 MAC 어드레스는 CTS-투-셀프 프레임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에 대응할 것이다. CTS-투-셀프 프레임(300)이, 이를 송신한 것과 동일한 디바이스로 어드레스되기 때문에, CTS-투-셀프 프레임(300)을 디코딩할 수 있고 통신 채널을 청취하는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은 지속기간 필드(304)에 표시된 지속기간 동안 침묵할 것이다.
[0041] 도 4는, CF-종료(contention free end) 프레임(400)을 예시한다. CF-종료 프레임(400)은 경합 없는 기간의 종료를 시그널링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CF-종료 프레임(400)은,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예를 들어, 도 3의 CTS-투-셀프 프레임(300)에 대한 응답으로 행해진 예비를 취소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 CF-종료 프레임(400)을 수신하는 임의의 수신기는, 임의의 NAV가 취소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CF-종료 프레임(400)은 5개의 상이한 필드들, 즉, 프레임 제어(FC) 필드(402), 지속기간 필드(404), 수신기 어드레스(RA) 필드(406)(또한 수신기 어드레스(a1)로 지칭됨), 송신기 어드레스(TA) 필드(408)(또한 송신기 어드레스(a2)로 지칭됨)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410)를 포함한다. 도 4는, 필드들(402, 404, 406, 408 및 410)의 크기를, 각각 2, 2, 6, 6 및 4와 같이 옥텟으로 추가로 표시한다. 필드 크기들 모두의 값을 합산하는 것은 CF-종료 프레임(400)의 전체 크기를 제공하고, 이는 20 옥텟이다. 지속기간 필드(404)는, 송신 기회(TXOP)의 완료를 표시(즉, 수신 STA들의 NAV를 0으로 설정)하기 위해, 생성 STA에 의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RA 및 TA 필드들(406, 408) 각각은 디바이스의 풀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이는, 48-비트(6 옥텟) 값이다. 따라서, CF-종료 프레임(400)을 디코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전에 CTS-투-셀프 프레임(300)의 지속기간(304) 동안 침묵되는 통신 채널 상에서 청취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은 통신 채널 상에서 다시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0042] 도 5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CTS-to-Self 프레임 및 CF-종료 프레임을 포함하는 타이밍도를 예시한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도록 허용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타이밍도(500)는 비콘(502), CTS-투-셀프 프레임(504) 및 CF-종료 프레임(506)을 도시한다. 도 5에서, 예를 들어, 도 1의 AP(104)는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자신에게 송신할 수 있다. CTS-투-셀프 프레임(504)은 임의의 시간에 송신될 수 있지만, 비콘(502) 근처에서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하는 것은, STA들, 예를 들어, STA들(106a-106d)이, CTS-투-셀프 프레임(504)이 송신될 때 어웨이크되는 것을 보장한다. CTS-투-셀프 프레임(504)은 인터벌(520)을 개시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임의의 수신 STA들은, 그 수신 STA들이 CF-종료 프레임을 수신 및 디코딩하지 않으면 침묵한다.
[0043] AP(104)는, 적어도 침묵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특성을 이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대해, STA(106d)가 간섭 없이 AP(104)와 통신할 수 있도록, STA들(106a, 106b 및 106c)을 침묵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특성은, 적어도 STA들(106a, 106b 및 106c)이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CTS-투-셀프(504) 프레임을 검출하는 경우, STA들(106a-106c)는, CTS-투-셀프 프레임(504) 내의 지속기간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CTS-투-셀프 프레임(504)의 지속기간 필드는, STA(106d)가 통신하기 위해 총 통신 기간의 미리 결정된 퍼센티지가 예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TA(106d)는 또한 CTS-투-셀프 프레임(504)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44] AP(104)는 후속적으로, 통신을 위해 클리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지만 침묵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디코딩할 수 없도록 하는 다른 송신 특성을 이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CF-종료 프레임(506)은 인터벌(520)의 지속기간 내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다.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는 것은, STA(106d)에 대한 CTS-투-셀프 프레임(504)에 의해 인보크될 수 있는 임의의 침묵 커맨드를 클리어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AP(104)는 STA(106d)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클리어할 수 있다. 또한, AP(104)는,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하는 것, 및 후속적으로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하는 것을 주기적 인터벌에 따라 반복할 수 있다.
[0045] 일 구현에서, 송신 특성은 물리 계층(PHY)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STA들(106a-106c)은, IEEE 802.11b 표준에 따른 모드에서 동작하는 PHY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802.11ac와 연관된 PHY 모드를 활용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STA(106d)는, IEEE 802.11ac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PHY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802.11ac와 연관된 PHY 모드를 활용하여 송신된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AP(104)는, 예를 들어, 802.11b와 연관된 PHY 모드를 활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802.11ac 표준과 연관된 PHY 모드를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802.11b 표준과 연관된 PHY 모드를 활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지 못할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침묵으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STA들(106a-106c)로부터의 간섭 없이 AP(104)와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PHY 모드들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인터벌(530) 동안 다른 PHY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0046] 다른 구현에서, 다른 구현에서, 송신 특성은 변조 코딩 방식(MCS)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STA들(106a-106c)은, 예를 들어, CCK(complementary code keying)을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CCK 방식에 따라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STA(106d)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을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OFDM 방식에 따라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AP(104)는 CCK를 활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OFDM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CCK 방식을 활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지 못할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침묵으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STA들(106a-106c)로부터의 간섭 없이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MCS 하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인터벌(530) 동안 다른 MCS 하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0047] 다른 구현에서, 송신 특성은 대역폭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STA들(106a-106c)은 20MHz의 대역폭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따라서, 20MHz 대역폭을 활용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STA(106d)는, 예를 들어, 20MHz, 40MHz, 80MHz 및 160MHz 중 임의의 대역폭들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따라서, 20MHz, 40MHz, 80MHz 및 160MHz 중 임의의 대역폭을 활용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AP(104)는 20MHz의 대역폭을 활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80MHz의 대역폭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20MHz의 대역폭들을 활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지 못할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침묵으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STA들(106a-106c)로부터의 간섭 없이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대역폭을 활용하는 디바이스들은, 인터벌(530) 동안 다른 대역폭을 활용하는 디바이스들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0048]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 특성은 송신 주파수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STA들(106a-106c)은 2.4GHz의 주파수에서 통신할 수 있고, 따라서, 2.4GHz의 주파수에서 송신된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STA(106d)는, 예를 들어, 5GHz의 주파수에서 메시지들을 통신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AP(104)는 2.4GHz의 주파수에서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5GHz의 주파수에서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2.4GHz의 주파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지 못할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침묵으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STA들(106a-106c)로부터의 간섭 없이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인터벌(530) 동안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0049]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 특성은 MIMO 스트림들의 수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STA들(106a-106c)은 오직 단일 데이터 스트림만을 활용하여 메시지들을 통신 및 디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STA(106d)는, 예를 들어, 1 내지 8 중 임의의 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따라서, STA(106d)는 1 내지 8 중 임의의 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송신된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AP(104)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활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4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활용하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지 못할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침묵으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STA들(106a-106c)로부터의 간섭 없이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직 특정 MIMO 구성에서만 또는 MIMO 없이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은, 인터벌(530) 동안 다른 MIMO 구성에서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0050]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 특성은 스트림당 데이터 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STA들(106a-106c)은 1, 2, 5.5 또는 11Mb/s의 데이터 레이트를 활용하여 메시지들을 통신 및 디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STA(106d)는, 예를 들어, 800Mb/s보다 큰 것까지의 메시지들을 통신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AP(104)는 11Mb/s의 데이터 레이트에서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고,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54Mb/s의 데이터 레이트에서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STA들(106a-106c)이 오직 11Mb/s까지에서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하지 못할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침묵으로 유지될 것이다. 54Mb/s에서 송신되는 CF-종료 프레임(506)은 그 대신, STA들(106a-106c)에서 잡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인터벌(530) 동안 STA들(106a-106c)로부터의 간섭 없이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낮은 통신 레이트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은, 인터벌(530) 동안 더 높은 통신 레이트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0051] 앞서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들에 추가로, 본 출원은, 상기 예시적인 구현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한없이 고려한다. 예를 들어, AP(104)는, 적어도 침묵될 STA들과 호환가능한 MCS를 활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를 송신할 수 있고, 그 다음, 통신을 위해 클리어되는 하나 이상의 STA들과 호환가능하지만 침묵될 STA들과는 호환가능하지 않은 다수의 MIMO 채널들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0052] 본 창작적 개념들은, 침묵될 디바이스들의 단일 그룹 및 통신을 위해 클리어될 디바이스들의 단일 그룹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다른 구현에서, 연속적으로 상이한 송신 특성들과 STA의 호환가능성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에 대한 연속적인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상이한 송신 특성들을 갖는 CF-종료 프레임들의 시퀀스가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느 인터벌들 동안 어느 디바이스들이 차단되는지에 대한 더 정밀한 입도의 제어가 시행될 수 있다.
[0053] 도 6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CTS-to-Self 프레임 및 CF-종료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이밍도를 예시한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송신 특성들과 무선 디바이스들의 호환가능성에 기초하여, 연속적인 인터벌들 동안 복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도록 허용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타이밍도(600)는 비콘(602), CTS-투-셀프 프레임(604), CF-종료 프레임(606a), CF-종료 프레임(606b) 및 CF-종료 프레임(606c)을 도시한다. 3개의 CF-종료 프레임들이 도시되지만,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수의 CF-종료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AP, 예를 들어, 도 1의 AP(104)는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자신에게 송신할 수 있다. CTS-투-셀프 프레임(604)은 임의의 시간에 송신될 수 있지만, 비콘(602) 근처에서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송신하는 것은, STA들, 예를 들어, STA들(106a-106d)이, CTS-투-셀프 프레임(604)이 송신될 때 어웨이크되는 것을 보장한다. CTS-투-셀프 프레임(604)은 인터벌(620)을 개시할 수 있고, 그 인터벌(620) 동안 임의의 수신 STA들은 침묵한다.
[0054] AP(104)는, 적어도 침묵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특성을 이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대해, STA(106d)가 간섭 없이 AP(104)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특정 인터벌 동안 STA들(106a, 106b 및 106c)을 침묵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P(2104)는, STA들(106a, 106b 및 106c)이 디코딩할 수 있는 송신 특성을 이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a-106c)은, CTS-투-셀프 프레임(604) 내의 지속기간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벌(6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STA(106d)는 또한 CTS-투-셀프 프레임(604)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55] 일 구현에서, 도 1의 STA(106a)는 오직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STA(106b)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 또는 2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STA(106c)는 1 내지 3 중 임의의 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STA(106d)는 1 내지 4 중 임의의 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에서, AP(104)는, STA들(106a-106d) 각각이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디코딩하고 침묵할 수 있도록,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활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송신할 수 있다.
[0056] AP(104)는 후속적으로, 4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606a)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606a)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적어도 인터벌(630) 동안 배타적으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도록 클리어될 것이다. STA들(106a-106c)은 4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없기 때문에, STA들(106a-106c)은 CF-종료 프레임(606a)을 디코딩할 수 없고 침묵을 유지할 것이다.
[0057] AP(104)는 후속적으로, 3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606b)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c 및 106d) 둘 모두는 CF-종료 프레임(606b)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다. STA(106d)는 CF-종료 프레임(606a)에 의해 통신을 위해 이미 클리어되었다. 이제 STA(106c)가 적어도 인터벌(640) 동안 STA(106d)와 함께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도록 클리어될 것이다. STA들(106a-106b)은 3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코딩할 수 없기 때문에, STA들(106a-106b)은 CF-종료 프레임(606b)을 디코딩할 수 없고 침묵을 유지할 것이다.
[0058] AP(104)는 후속적으로, 2개의 MIMO 데이터 스트림들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606c)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STA들(106b-106d) 각각은 CF-종료 프레임(606c)을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다. STA(106c 및 106d)는 각각 CF-종료 프레임(606b 및 606a)에 의해 통신을 위해 이미 클리어되었다. 이제, STA(106a)가 침묵을 유지할 동안, STA(106b)가 적어도 인터벌(650) 동안 STA들(106c 및 106d)와 함께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도록 클리어될 것이다.
[0059] 상기 구현은 송신 특성으로서 MIMO 데이터 채널들의 수를 활용하지만,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들은, 도 5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PHY 모드, MCS, 대역폭, 송신 주파수, 데이터 레이트, 또는 이러한 송신 특성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송신 특성들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AP(104)는, CTS-투-셀프 프레임(604)을 송신하는 것, 및 후속적으로 CF-종료 프레임들(606a-606c)의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을 주기적 인터벌에 따라 반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예들은 CTS-투-셀프 프레임들 및 CF-종료 프레임들을 활용하지만, 이러한 프레임 타입들은 오직 예시적이고,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채널들 또는 매체를 예비하도록 기능하는 임의의 프레임 또는 메시지가 CTS-투-셀프 프레임들 대신 활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채널들 또는 매체의 이러한 예비를 클리어하도록 기능하는 임의의 프레임 또는 메시지가 CF-종료 프레임들 대신 활용될 수 있다.
[0060] 도 7은, 무선 통신의 예시적인 방법의 양상에 대한 흐름도이다.
방법(700)은, 앞서 설명된 프레임들 중 임의의 것을 생성 및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흐름도(700)의 방법은,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타이밍도들(500 및 60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프레임들은 AP(104)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STA들(106a-106d) 중 하나 이상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202)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AP(104)의 더 상세한 도면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에서, 흐름도(700)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서 및/또는 송신기, 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서(204) 및 송신기(210)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컴포넌트들이 이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블록들은 특정 순서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블록들은 재순서화될 수 있고, 블록들은 생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추가적인 블록들이 추가될 수 있다.
[0061] 먼저, 블록(702)에서, AP(104)는,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04)는, 적어도 STA들(106a, 106b 및 106c)이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특성을 이용하여 CTS-투-셀프 프레임(504)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적어도 STA들(106a-106c)은 인터벌(520) 동안 침묵할 것이다.
[0062] 그 다음, 블록(704)에서, AP(104)는 후속적으로, 제 2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제 2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 2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것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한다. 예를 들어, AP(104)는, STA(106d)가 CF-종료 프레임(506)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특성을 이용하여 CF-종료 프레임(506)을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CTS-투-셀프 프레임(504)에 의해 인보크될 수 있는 STA(106d) 내의 임의의 침묵 커맨드를 클리어할 것이다.
[0063]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해 하나보다 많은 메시지(예를 들어, CF-종료 프레임)가 송신되는 경우, 방법(700)은 블록(706)으로 계속될 수 있다. 블록(706)에서, AP(104)는,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상이한 송신 특성을 각각 활용하여,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상이한 송신 특성들과 STA의 호환가능성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에 대한 연속적인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상이한 송신 특성들을 갖는 CF-종료 프레임들의 시퀀스가 송신될 수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AP(104)는, STA(106c)가 디코딩할 수 있는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606b)을 송신할 수 있다. 이제, STA들(106a-106b)가 침묵을 유지할 동안, STA(106c)가 적어도 인터벌(640) 동안 STA(106d)와 함께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도록 클리어될 것이다. AP(104)는 후속적으로, STA(106b)가 디코딩할 수 있는 또 다른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CF-종료 프레임(606c)을 송신할 수 있다. 이제, STA(106a)가 침묵을 유지하는 동안, STA(106b)가 적어도 인터벌(650) 동안 STA들(106c 및 106d)와 함께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도록 클리어될 것이다.
[0064] 상기 구현들은 레거시 802.11 무선 STA들과 호환가능하고, 임의의 PHY 또는 MAC 변화들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주위의 STA들의 수 또는 능력들을 알 필요가 없는데, 이는, 특정 STA가 특정 인터벌 동안 통신하는 것이 차단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송신되는 프레임들의 송신 특성들이기 때문이다.
[0065]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정"은 광범위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유도, 검사, 검색(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검색),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정,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채널 폭"은 특정한 양상들에서 대역폭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0066]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지칭되는 구문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67] 전술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68]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상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69]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유형의(tangible)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70]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형될 수 있다.
[0071]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Blu-ray®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0072] 따라서, 특정한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0073]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이 또한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0074]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획득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운로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들(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저장 수단들을 디바이스에 커플링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0075] 청구항들은 전술한 것과 정확히 같은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행해질 수 있다.
[0076] 상기 내용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기본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 및 추가적 양상들이 고안될 수 있고, 이들의 범위는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44)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제 1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 2 메시지가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제 2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 각각이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순차적으로 클리어하도록, 상이한 송신 특성을 각각 활용하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은 상기 제 1 메시지를 디코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지속기간 내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걸친 총 통신 시간의 미리 결정된 퍼센티지가 예비되도록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주기적 인터벌에 따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특성은, 제 1 송신 주파수, 제 1 물리 계층 모드, 제 1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1 수, 및 제 1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특성은, 제 2 물리 계층 모드, 제 2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2 수, 및 제 2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전송 준비완료(clear to send)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contention free end)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무선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제 1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상기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메시지가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제 2 송신 특성을 갖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 각각이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상이한 송신 특성을 각각 활용하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순차적으로 클리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은 상기 제 1 메시지를 디코딩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지속기간 내에서 상기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걸친 총 통신 시간의 미리 결정된 퍼센티지가 예비되도록 상기 지속기간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주기적 인터벌에 따라 반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특성은, 제 1 송신 주파수, 제 1 물리 계층 모드, 제 1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1 수, 및 제 1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특성은, 제 2 물리 계층 모드, 제 2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2 수, 및 제 2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전송 준비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3.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제 1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상기 제 1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제 2 메시지가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제 2 송신 특성을 갖는,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 각각이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도록, 상이한 송신 특성을 각각 활용하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순차적으로 클리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은 상기 제 1 메시지를 디코딩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지속기간 내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걸친 총 통신 시간의 미리 결정된 퍼센티지가 예비되도록 상기 지속기간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인터벌에 따라 반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특성은, 제 1 송신 주파수, 제 1 물리 계층 모드, 제 1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1 수, 및 제 1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특성은, 제 2 물리 계층 모드, 제 2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2 수, 및 제 2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전송 준비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34.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실행되는 경우 장치로 하여금,
    제 1 메시지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1 서브세트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제 1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고;
    제 2 메시지가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제 2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클리어하도록, 제 2 송신 특성을 활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 각각이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아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순차적으로 클리어하도록, 상이한 송신 특성을 각각 활용하는,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각각은 상기 제 1 메시지를 디코딩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지속기간 동안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5 항에 있어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걸친 총 통신 시간의 미리 결정된 퍼센티지가 예비되도록 지속기간을 설정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제 34 항에 있어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주기적 인터벌에 따라 반복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특성은, 제 1 송신 주파수, 제 1 물리 계층 모드, 제 1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1 수, 및 제 1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특성은, 제 2 물리 계층 모드, 제 2 변조 코딩 방식, 동시적 데이터 스트림들의 제 2 수, 및 제 2 데이터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전송 준비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2.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체의 예비를 클리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메시지는 경합 없음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1 서브세트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기 제 2 서브세트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67007618A 2013-08-29 2014-08-12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659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71785P 2013-08-29 2013-08-29
US61/871,785 2013-08-29
US14/456,856 2014-08-11
US14/456,856 US9277567B2 (en) 2013-08-29 2014-08-11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high efficiency wireless networks
PCT/US2014/050725 WO2015031045A1 (en) 2013-08-29 2014-08-12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high efficiency wireless network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538A Division KR102100735B1 (ko) 2013-08-29 2014-08-12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126A KR20160048126A (ko) 2016-05-03
KR101659413B1 true KR101659413B1 (ko) 2016-09-23

Family

ID=525839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618A KR101659413B1 (ko) 2013-08-29 2014-08-12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167009538A KR102100735B1 (ko) 2013-08-29 2014-08-12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538A KR102100735B1 (ko) 2013-08-29 2014-08-12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277567B2 (ko)
EP (1) EP3039926B1 (ko)
JP (2) JP6110031B2 (ko)
KR (2) KR101659413B1 (ko)
CN (2) CN105493601B (ko)
TW (2) TWI548292B (ko)
WO (1) WO2015031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9210B (zh) * 2013-06-03 2018-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模式的建立方法及装置
US9277567B2 (en) 2013-08-29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high efficiency wireless networks
MX2018010250A (es) 2016-03-02 2018-09-27 Sony Corp Aparat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on, sistema de comunicacion, metod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on y program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0040A1 (en) 2006-01-12 2007-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ame using channel bonding in wireless LA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4882B2 (en) * 2003-12-17 2011-05-17 Intel Corporation Channel access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7965691B2 (en) * 2004-06-01 2011-06-21 Broadcom Corporation Network time reservation cancellation
JP4364165B2 (ja) * 2005-06-17 2009-11-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20070010237A1 (en) 2005-07-05 2007-01-11 Airgo Networks, Inc. Mac-level protection for networking extended-range and legacy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20070153760A1 (en) * 2005-12-29 2007-07-05 Nir Shapir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WI565278B (zh) 2006-01-04 2017-01-01 內數位科技公司 用於在存取點以及站台所使用的方法及其裝置
US8014818B2 (en) * 2006-01-04 2011-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fficient operation of multiple modes in a WLAN system
CN101056258B (zh) * 2006-04-10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局域网802.11中可降低信息交换冗余度的方法
WO2008057882A2 (en) * 2006-11-07 2008-05-15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wireless clients
WO2008060921A1 (en) * 2006-11-10 2008-05-22 Broadcom Corporation A serial clear to send to self messaging procedure
JP2010093489A (ja) 2008-10-07 2010-04-22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695019B (zh) * 2009-11-10 2013-03-2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发送方法和设备
US20120044844A1 (en) * 2010-08-20 2012-02-23 Solomon Trainin Method of collision resolution in a wide channel
JP2012070090A (ja) 2010-09-21 2012-04-05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US8493897B2 (en) * 2011-02-11 2013-07-23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tegorized channel reservation
WO2012177878A1 (en) * 2011-06-24 2012-1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wideband and multiple bandwidth transmission protocols
US9277567B2 (en) 2013-08-29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high efficiency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0040A1 (en) 2006-01-12 2007-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ame using channel bonding in wireless LA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802.1lg CP: A Solution for IEEE 802.11g and 802.1lb Inter-Working"(2003.4.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3817A (zh) 2016-09-16
TW201524228A (zh) 2015-06-16
TWI548292B (zh) 2016-09-01
CN105493601B (zh) 2017-12-01
EP3039926A1 (en) 2016-07-06
JP6235072B2 (ja) 2017-11-22
JP6110031B2 (ja) 2017-04-05
JP2016184939A (ja) 2016-10-20
US9277567B2 (en) 2016-03-01
WO2015031045A1 (en) 2015-03-05
CN106658750A (zh) 2017-05-10
CN105493601A (zh) 2016-04-13
US20160135163A1 (en) 2016-05-12
KR102100735B1 (ko) 2020-05-15
US10045331B2 (en) 2018-08-07
EP3039926B1 (en) 2020-10-28
JP2016535482A (ja) 2016-11-10
US20150065155A1 (en) 2015-03-05
KR20160045915A (ko) 2016-04-27
KR20160048126A (ko) 2016-05-03
TWI620453B (zh) 2018-04-01
CN106658750B (zh)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55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EP3592078B1 (en) Channel aware resource allocation
US20180092115A1 (en) Reliable wi-fi packet delivery using delayed/scheduled block acknowledgment mechanism
US2017011877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parameters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20160360397A1 (en) Color coding for data confirmation signals
US100453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high efficiency wireless networks
EP3305001A1 (en) Efficient random scheduled channel access
US2015006331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ultiple re-association attemp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