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079B1 -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 Google Patents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079B1
KR101659079B1 KR1020090097710A KR20090097710A KR101659079B1 KR 101659079 B1 KR101659079 B1 KR 101659079B1 KR 1020090097710 A KR1020090097710 A KR 1020090097710A KR 20090097710 A KR20090097710 A KR 20090097710A KR 101659079 B1 KR101659079 B1 KR 101659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loading
unloading
loading cran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0444A (en
Inventor
정해선
심현택
차문찬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9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79B1/en
Publication of KR2011004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근접할 경우 사전에 서로 맞닿아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 일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회동부재(111)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받침대(112)가 형성된 몸체(110), 상기 회동부재(111)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후단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축(121)과,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23)와, 상기 지지부(12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124)를 포함하는 지지대(120), 상기 수평부(124)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재(130) 및 상기 몸체(1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상기 지지대(120)를 감지하여 하역 크레인의 정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감지센서(14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2)는, 상기 지지부(123)의 하방에 맞닿아 지지하여 서로 인접된 하역 크레인들에 각각 설치된 수평부(124)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역 크레인 주행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이 서로 근접할 경우 사전에 서로 맞닿아 자연스럽게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하역 크레인의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에 사용중인 하역 크레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Figure R1020090097710

하역, 크레인, 장비, 충돌, 근접, 위치, 감지, 안전사고, 방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a loading crane when loading and unloading crane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loading crane traveling section (1) A body 1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crane 1 and having a pivoting member 111 at an upper portion and a pedestal 112 at a front portion thereof, A supporting part 123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121 and a supporting part 123 provided in front of the supporting part 123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act member 130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24 and a support member 120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ody 110 to rotate, ) To detect unloading And a sensing unit 140 for transmitting a stop signal of the lane, wherein the pedestal 112 includes a horizontal part 124 which is supported by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2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a loading crane with respect to a moving direction of a loading crane when a loading crane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loading cran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of the cargo crane with the detection sensor in advance.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unloading cran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aximize utilization efficiency as well as utilization efficiency.

Figure R1020090097710

Unloading, crane, equipment, crash, proximity, location, detection, safety accident, prevention

Description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근접하는 하역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하여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that detects a position of a loading cran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collision in advance.

일반적으로 하역 크레인은 제철소 또는 발전소에서 원료(연료)를 하역하기 위해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강풍과 같은 기상이변으로 서로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Generally, the unloading crane travels along the rail to unload raw materials (fuel) from a steel mill or a power plant. Safety accidents involving frequent collision of the driver due to inattentive or strong weather, such as strong wind, have occurred frequently.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감지바(2)와,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 형성되어 감지바(2)와 맞닿아 하역 크레인의 정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감지센서(3)로 구성된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s. 1 and 2, a detection bar 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ading crane traveling unit 1 so as to protrude horizontally. And a detection sensor (3) for contacting the bar (2) and transmitting a stop signal of the unloading crane.

그러나 전술한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는 하역 크레인의 중량이 대략 1800톤 내외임을 감안할 경우 이동속도에 가중되어 상기 감지바(2)와 감지센서(3)가 서로 맞닿는 과정에서 부하가 집중되면서 쉽게 파손됨은 물론 변형으로 인한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the weight of the unloading crane is about 1800 tons or more, the loading barrel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asily while the load is concentrate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detection bar 2 and the detection sensor 3,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malfunction due to deformation.

특히, 상기 감지바(2)는 후방은 고정되고 전방은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외팔보 구조이므로 하역 크레인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면서 상기 감지센서(3)와 정확하게 맞닿을 수 없어서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는 기능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Particularly, since the detection bar 2 is fixed at the rear side and the front side is protr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not accurately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3 while being shake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loading crane, I have got a limit on the function that can not be done.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 설치하되 상부에 다수의 활차(11)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1)를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감지바(40)와; 상기 감지바(40)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활차(11)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위치한 중량체(20)와 연결된 제2로프(22)와; 상기 중량체(20)와 연결되어 상기 활차(11,12)를 경유하여 하역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R)의 사이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스톱퍼(30)와 연결된 제1로프(21)와; 상기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바(40)와 맞닿게 되면 하역 크레인의 정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감지센서(50)로 이루어지는 "주행간 충돌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351121호로 안출된 바가 있다.3 and 4, a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pulleys 11 disposed at both ends of a loading crane 1 and having a plurality of pulleys 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s shown in FIGS. 3 and 4, Wow; A sensing bar 40 mount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guide roller 41 provided at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loading cranes 1; A second rope 22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nsing bar 40 and connected to the weight 20 located inside the body 10 via the pulley 11; A first rope 21 connected to the weight 20 and connected to the stopper 30 inserted or separated between the wheels of the unloading crane and the rail R via the pulleys 11 and 12; And a detection sensor (50)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ading crane (1) to transmit a stop signal of the loading cran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cting bar (40) "Has been devised as a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0351121.

그러나 종래의 "주행간 충돌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는 상기 감지바(40)를 가이드롤러(41)가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하역 크레인이 근접하여 서로 맞닿게 되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감지센서(5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30)가 하역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R)의 사이에 삽입되어 하역 크레인을 고정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감지바(40)와 스톱퍼(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1로프(21)와 제2로프(22)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쉽게 절단됨은 물론 상기 스톱퍼(30)가 하역 크레인의 하중에 의해서 쉽게 고착 및 변형되어 정지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nloading device equipped with inter-vehicle collision avoiding device" moves backward when the loading cra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nsing bar 40 while the guide roller 41 stably supports the receiving bar 40, The stopper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wheel of the unloading crane and the rail R to fix the unloading crane while the stopper 30 is operated. The first rope 21 and the second rope 22 for operation are easily cu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topper 30 is easily fixed and deformed by the load of the loading crane and can not perform the stop function I got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역 크레인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이 서로 근접할 경우 사전에 서로 맞닿아 자연스럽게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감지센서의 작동으로 하역 크레인을 정지시켜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unloading crane,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unloading cran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device which can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by stopping a loading crane by the operation of a detection senso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는,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근접할 경우 사전에 서로 맞닿아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a crane with a crane when a loading crane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crane traveling section (1) 1.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ing device for preventing an accident,

상기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 일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회동부재(111)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받침대(112)가 형성된 몸체(110), 상기 회동부재(111)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후단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축(121)과,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23)와, 상기 지지부(12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124)를 포함하는 지지대(120), 상기 수평부(124)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재(130) 및 상기 몸체(1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상기 지지대(120)를 감지하여 하역 크레인의 정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감지센서(14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2)는, 상기 지지부(123)의 하방에 맞닿아 지지하여 서로 인접된 하역 크레인들에 각각 설치된 수평부(124)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dy 1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crane 1 and having a pivoting member 111 at an upper portion and a pedestal 112 at a front portion thereof, A supporting part 123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121 and a supporting part 123 provided in front of the supporting part 123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act member 130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24 and a support member 120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ody 110 to rotate, And a sensing sensor 140 for detect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upporting unit 123 and transmitting a stop signal of the unloading crane, wherein the supporting unit 112 is suppor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unit 123, And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portion 124 is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

상기 회동부재(111)는 베어링 유닛 또는 부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tiltable member 111 may be either a bearing unit or a bush.

삭제delete

상기 받침대(112)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120)와 맞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패드(11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112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pad 112a for alleviating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pedestal 112 is in contact with the pedestal 120.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지센서(14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감지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b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22 protruding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121 and contacting the sensing sensor 140.

상기 접촉부재(130)는 전방이 개방된 홀더(131)가 사용되고, 마주보는 방향의 접촉부재(130)는 롤러(131a)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tact member 130 may be a holder 131 having an open front side and the contact member 130 may be a roller 131a.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대(12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커버(113)가 형성될 수 있다.A cover 1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110 so as to entirely cover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space in which the support base 120 can rotate.

본 발명은 하역 크레인 주행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이 서로 근접할 경우 사전에 서로 맞닿아 자연스럽게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하역 크레인의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collision of a loading crane in advance by operating the detection sensor while naturally turning upwards when the loading and unloading cran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ading crane traveling section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에 사용중인 하역 크레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unloading crane, it is an extremely useful invention that maximizes utilization efficiency as well as utilization efficienc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oading crane collision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show an operating state of the unloading crane collision preve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서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100)는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서 선단이 외측을 바라보도록 설치하여 레일(R)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충돌하기 전에 상기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100)의 선단이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tip ends of the loading / unloading crane traveling section (1) face outward so that the loading /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s of the device 100 ar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재(111)는 상기 지지대(12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iltable member 111 guides the support table 120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이를 위해 상기 회동부재(111)는 원활한 회동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베어링 유닛 또는 부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either the bearing unit or the bushing may be selectively used to ensure a smooth pivotal movement of the tiltable member 111.

한편,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는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12)가 형성될 수 있다.A pedestal 1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body 110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pedestal 120.

이때 상기 받침대(112)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와 맞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패드(112a)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112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pad 112a for alleviating an impac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20.

특히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대(12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커버(113)가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a cover 1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110 so as to entirely cover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space in which the support base 120 can rotat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또한,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후방에는 상기 감지센서(140)와 맞닿도록 돌출되는 감지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부재(111)를 기준으로 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지지부(123)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123)의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124)로 구성된다.The support base 120 is formed with a sensing part 122 protruding from the hinge shaft 12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nsing sensor 140 at the rear of the support base 120, And a horizontal portion 12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123. The horizontal portion 124 is inclined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이때 상기 감지부(122)는 회동각도에 따라서 점차 상기 감지센서(140)와 맞닿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3)는 상기 접촉부재(130)가 서로 맞닿을 경우 자연스럽게 상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sensing unit 122 is formed to have a arc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nsing sensor 14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and the supporting unit 123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ontact members 1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it can naturally rotate in an upward direction.

즉, 상기 지지부(123)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구조상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근접되면서 상기 접촉부재(130)가 서로 맞닿게 되면 부하에 의해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ing members 1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ifting cranes that are structurally tilted in an upward direction as they move forward can be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load when the contact members 1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접촉부재(130)는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이 서로 근접하면서 가장 먼저 맞닿는 부분으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접촉부재(130)는 전방이 개방된 홀더(131)로 형성되고 타측의 접촉부재(130)는 롤러(131a)를 형성하여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홀더(131)의 내부로 롤러(131a)가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지지대(12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ntact member 13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to minimize the impact to the moving crane, which is the closest to the moving cran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contact member 130 of the contact member 130 is formed as a holder 131 which is open at the front side and the contact member 130 at the other side is formed as a roller 131a so that the load- The support base 120 can be pivoted upward in a natural manner while the support base 120a is inserted.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140)는 상기 감지부(122)의 회동위치에 따라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sensor 140 may use a limit switch or a proximity sensor that can sense the sensing unit 122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22.

따라서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근접할 경우 상기 접촉부재(130)가 서로 맞닿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역 크레인들이 계속 근접하게 되면 이동하는 힘으로 인해 상기 지지대(120)가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상부로 회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감지부(122)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감지센서(140)를 작동시켜 하역 크레인의 정지신호를 송신하여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when the loading crane moving along the rail R is close to each other, the contact members 1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support base 120 is naturally turned upward about the hinge shaft 121 due to the mov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ing unit 122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operate the sensing sensor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in advance by transmitting a stop signal of the crane.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FIG. 1 and FIG. 2 are flow charts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of a general 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device. FIG.

도 3 및 도 4는 종래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FIG. 3 and FIG. 4 are flowcharts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device.

도 5는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6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n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8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loading crane coll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Fig. 9 and Fig. 10 are flowcharts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하역 크레인 주행부 2: 감지바1: unloading crane running part 2: detection bar

3: 감지센서3: Detection sensor

10: 몸체 11,12: 활차10: body 11,12: pulley

20: 중량체 21: 제1로프20: weight body 21: first rope

22: 제2로프 30: 스톱퍼22: second rope 30: stopper

40: 감지바 41: 가이드롤러40: detection bar 41: guide roller

50: 감지센서50: Detection sensor

100: 본 발명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100: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unloading cran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0: 몸체 111: 회동부재110: body 111:

112: 받침대 112a: 완충패드112: pedestal 112a: cushion pad

113: 커버113: cover

120: 지지대 121: 힌지축120: support base 121: hinge shaft

122: 감지부 123: 지지부122: sensing unit 123:

124: 수평부124:

130: 접촉부재 131: 홀더130: contact member 131: holder

131a: 롤러131a: roller

R: 레일R: Rail

Claims (8)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역 크레인들이 서로 근접할 경우 사전에 서로 맞닿아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에 있어서,A loading crane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preventing a collision accident by operating detection sensors by abutting against each other in advance when loading and unloading cranes installed at both ends of an unloading crane traveling section (1) are close to each other, 상기 하역 크레인 주행부(1)의 양단 일측에 설치하되 상부에 회동부재(111)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받침대(112)가 형성된 몸체(110);A body 1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th ends of the loading crane traveling unit 1, with a pivoting member 111 at an upper portion and a pedestal 112 at a front side; 상기 회동부재(111)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후단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축(121)과,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23)와, 상기 지지부(12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124)를 포함하는 지지대(120);A hinge shaft 1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through the pivoting member 111 and a support portion 123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121, And a horizontal part (124) extending horizontally in front of the support part (123); 상기 수평부(124)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재(130); 및A contact member 130 formed at the tip of the horizontal portion 124; And 상기 몸체(1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상기 지지대(120)를 감지하여 하역 크레인의 정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감지센서(140);를 포함하고,And a sensing sensor (140)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ody (110) to sense the supporting table (120) rotating and to transmit a stop signal of the loading crane, 상기 받침대(112)는, 상기 지지부(123)의 하방에 맞닿아 지지하여 서로 인접된 하역 크레인들에 각각 설치된 수평부(124)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Wherein the pedestal (112) abuts agains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3) to match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portion (124) provided on each of the accessory cranes adjacent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11)는 베어링 유닛 또는 부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ltable member (111) is selectively used either as a bearing unit or as a bush.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2)의 상부에는 완충패드(11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cushion pad (112a)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pedestal (1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대(12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커버(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The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a cover (11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110) so as to entirely cover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space in which the support base (120) is rota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지센서(14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감지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se (120) further comprises a sensing part (122) protruding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121) and contacting the sensing sensor (140)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an unloading cra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2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nsing unit (122) is formed in an arc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130)는 전방이 개방된 홀더(131)가 사용되고, 마주보는 방향의 접촉부재(130)는 롤러(131a)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The handling cra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der (131) having an open front is used as the contact member (130) and a roller (131a) is used as a contact member (130) .
KR1020090097710A 2009-10-14 2009-10-14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1659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10A KR101659079B1 (en) 2009-10-14 2009-10-14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10A KR101659079B1 (en) 2009-10-14 2009-10-14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44A KR20110040444A (en) 2011-04-20
KR101659079B1 true KR101659079B1 (en) 2016-09-23

Family

ID=4404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710A KR101659079B1 (en) 2009-10-14 2009-10-14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4054A (en) * 2013-12-26 2015-07-06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Portal crane arrangement structure
KR101667292B1 (en) 2014-11-04 2016-10-18 주식회사 포스코 Carrier-car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CN105905810B (en) * 2016-06-28 2017-07-21 青岛海西重机有限责任公司 A kind of ship unloaders drivers' cab safeties
CN111392366A (en) * 2020-03-27 2020-07-10 沈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Anti-collision detection method for telescopic chute and electrolytic multifunctional crown bl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573B1 (en) 2005-07-12 2006-12-14 주식회사 포스코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unloa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063U (en) * 1976-11-12 1978-06-12
KR100829686B1 (en) * 2001-12-20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prohibiting of bumping of reclaimer
KR20040019697A (en) * 2002-08-29 2004-03-06 주식회사 포스코 Movable rail stopper of unloa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573B1 (en) 2005-07-12 2006-12-14 주식회사 포스코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unlo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44A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079B1 (en) Collision prevention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1049211B1 (en) Pull-out lift stage
CN101032063B (en) Supporting carriage for a power supply unit, and power supply unit
CN1045756C (en) Loose material flattening apparatus
CN108569374B (en) Ship receiving port, boarding bridge with ship receiving port and control method of boarding bridge
KR20130132979A (en) Support structure for tripper linked to stacker, and traveling cargo handling device
KR20110139656A (en) Transportation vehicle system
CN113772551A (en) Hook top punching detection device for floating crane
CN101955110A (en) Elevator with low running resistance for inclined shaft way
CN202480863U (en) Forklift steering speed reducing device
CN201436271U (en) Elevator for leaning hoistway
JP2021042037A (en) Conveyance device
KR200454118Y1 (en) A safety winch equipment for high place works
CN212608962U (en) Force-limiting compensation tank stabilizing device capable of safely avoiding
KR101741157B1 (en) Long-distance transport type jib cranes
CN108910557B (en) Novel hinged type unloading vehicle
KR20180031318A (en) Emergency break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JPH11301994A (en) Work range regulating device for track traveling work wagon
TWI681890B (e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JP7304766B2 (en) Work vehicle safety device
CN216548659U (en) Bidirectional movement type shipping host machine structure
JP4851870B2 (en) Upper limit position stop mechanism
EP3080031A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CN220564230U (en) Pile up fork truck overhead guard
JP7480085B2 (en) Ship Un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