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035B1 -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035B1
KR101659035B1 KR1020150010778A KR20150010778A KR101659035B1 KR 101659035 B1 KR101659035 B1 KR 101659035B1 KR 1020150010778 A KR1020150010778 A KR 1020150010778A KR 20150010778 A KR20150010778 A KR 20150010778A KR 101659035 B1 KR101659035 B1 KR 10165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679A (ko
Inventor
최준호
김기현
김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60L11/184
    • B60L11/18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전기차의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처리하는 일정 관리부,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처리하는 내비게이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4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CA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82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681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탤래매틱스 단말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며, 전기차의 배터리 정보, 전기차의 운행 정보, 교통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과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상기 차량 내의 다수의 단말기들과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연동함으로써, 차량 유지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최적의 충전 계획을 제공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전기차의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처리하는 일정 관리부,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처리하는 내비게이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4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기차가 주행 전이면, 상기 일정 관리부는,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목적지를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전력 소모 기대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기대치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일정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 내부에 진입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전기 외부에 배치된 서버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전자로부터 일정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정보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교통 정보와,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지형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주행과 관련된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출발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출발시간과 상기 수신된 제3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부는,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기차가 주행 중이면,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제1 지역에 위치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한 충전소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결과와 함께, 상기 검색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지역에 복수의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4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도착 예상 시간에 대응하는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터리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검출된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지로 설정하도록, 상기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지역에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지역 외의 제2 지역에 위치한 전기차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가 재설정되도록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기차가 주행을 완료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전기차의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 및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에 배치된 배터리의 충전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충전소, 충전 시점 및 충전량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 상태와, 차량의 운전자 일정 및 차량의 운전자 습관을 반영하여, 최적의 배터리 충전 계획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 내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주행 전인 경우,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행이 완료된 경우,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정보가 설정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배터리 관리부(100a), 일정 관리부(100b) 및 내비게이션부(10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100d)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기요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텔래매틱스 단말기(이하, 도 2 및 도 4 참조)와, 이동 단말기(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제어부에 대응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배치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차량의 배터리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가 배터리 관리부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특히,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따라서,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전기차에 대한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전기차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를 구비하는 차량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일정 관리부(100b)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텔래매틱스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일정 관리부(100b)는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어 저장된 일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정 관리부(100b)는 차량 관리 시스템의 입력부(미도시)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일정 관리부(100b)는 입력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00c)는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부는 상기 일정 관리부에서 처리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정보는, 목적지, 주행 경로, 전기차의 운행 상태, 전기차의 현재 위치의 교통 상태 및 주행 경로의 교통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비게이션부는 상기 처리된 제1 정보, 즉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반영한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주행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내비게이션부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 및 주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00c)는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표시부 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가 처리되도록, 상기 표시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으로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일정 관리부(100b)와 내비게이션부(100c)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된 제1 및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100d)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정보는, 전기차 충전소의 위치 정보, 상기 충전소에서 제공되는 전기의 시간대 별 요금 테이블과 관련된 정보, 상기 충전소에서 충전가능한 전력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100d)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해 에너지 네트워크와 통신 네트워크가 합쳐진 지능형 전력망으로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전기사용 관련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이다. 전력망을 디지털화함으로써 소비자는 스마트미터라는 개별 전력관리장치를 통해 전력의 수요공급 상황에 따라 변동하는 가격 등의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개발로 에너지 효율이 최적화되고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기본 인프라며, 태양광ㆍ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전력 정보를 전달해 효율적인 전력소비 유도할 수 있고, 전기자동차가 전력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시스템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정전의 경우 관련 전력망을 부분적으로 단절시켜 정전구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상에서는 직류 송전이 가능해 가전제품의 전기효율 향상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충전소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충전소 마다 할당되는 충전량, 충전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충전소 각각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충전소마다 할당되는 최적의 충전량, 충전시간 등을 상기 충전소의 식별정보와 연계시킨 테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주행 상태와 관련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주행 전인 경우와, 주행 중인 경우, 주행 완료된 경우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엔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전기차의 엔진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엔진의 활성화 여부, 엔진의 온도, 엔진에 대한 전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일정 관리부에서 처리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관리 시스템은, 교통 정보 및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프로그램, 일 등)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202)와; 차량 내에 장착되고, 원거리 무선 통신망(204) 및/또는 근거리 무 통신망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인공위성(205)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교통 정보를 근거로 is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s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과 같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는,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2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이동 단말기(2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20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1)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이동 단말기(201)는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201)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201)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201)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이동 단말기(201)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201)와 그 이동 단말기(201)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201)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이동 단말기(201)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에는 카메라와 마이크(마이크로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마이크로폰)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이동 단말기(201)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201)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201)의 방위, 이동 단말기(201)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201)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1)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201)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2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20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201)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201)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에는 디스플레이부과 음향 출력 모듈(음성 출력부), 알람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20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1)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1)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1)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1)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201)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은 이동 단말기(201)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이동 단말기(201)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201)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이나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제어부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1)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201)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2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20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201)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201)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201)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201)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201)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음성 인식 엔진)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내비게이션부(100c)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내비게이션부(100c)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차량에 진입된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대응될 수도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탤레매틱스 단말기(200)와 내비게이션부(100c)가 대응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부(100c)는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지도 정보,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주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00c)는 복수의 버튼 이미지(301a, 301b, 301c, 301d, 301e)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출력된 버튼 이미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주행과 관련된 또한, 내비게이션부(100c)는 목적지까지 설정된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정보(303)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의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또는 헤드 유닛(Head Unit))(4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4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CPU)(4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4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414)를 내장한 메인 보드(4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4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4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0) 차량에 내장된 CDMA 모듈(무선 통신부)(4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4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4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409)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DMA 모듈(406), GPS 모듈(407)은 안테나(404, 4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수신한다. 상기 CDMA 모듈은, 무선 통신부(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22)은 상기 메인 보드(410)에 연결되고, 안테나(4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4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460)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414)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CD)(401)와, 키 제어부(4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4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427)가 연결된다. 상기 표시부(4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4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4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401)는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위의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401)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보드(4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4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상기 메인 보드(4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오디오 보드(4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4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4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상기 오디오 보드(4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4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426)는 차량 인터페이스(4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417)와 메인 보드(4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4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4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4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4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4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4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2)에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400_1)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표시부(4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4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4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모듈(음성 인식 엔진)(401_1)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400_1)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무선 통신(예를 들면,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및/또는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그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1).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는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차가 주행 전인지, 주행 중인지, 주행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주행 전인 경우와, 주행 중인 경우, 주행 완료된 경우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엔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전기차의 엔진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엔진의 활성화 여부, 엔진의 온도, 엔진에 대한 전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일정 관리부에서 처리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판단된 주행 여부에 근거하여, 전기차의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 및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100d)으로부터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S502).
구체적으로, 전기차가 주행 전이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 및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가 주행 중이라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제2 정보 및 제3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정 관리부(100b)는 전기차에 진입한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정보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일정 관리부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고, 시간 정보 및 장소 정보와 연계된 단말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여, 전기차의 목적지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하는 도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00c)는 설정된 목적지에 대해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전기차의 주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부(100c)는 상기 일정 관리부에서 처리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S503).
배터리 관리부(100a)는 위와 같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대응되어 설정되는 주행 경로 정보, 배터리의 잔량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배터리 잔량을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전기차의 주행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배터리의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2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관리부(100a)는 목적지 정보 및 주행 경로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한 결과에 근거하여,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504).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정보는, 복수의 충전소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 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가 소정의 시간 내에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하면서, 배터리 충전 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 설정된 목적지, 목적지에 대응되는 일정,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주행 경로와 관련된 교통 상황, 충전소의 위치, 상기 전기차가 충전소에 도착하는 시점, 충전소의 시간대에 따른 전기 요금, 충전소를 경유하기 위해 추가로 소요되는 시간 및 충전소를 경유하기 위해 추가로 소모되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차가 주행 전인 경우,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설명된다.
전기차의 주행 여부에 대한 판단(S601) 결과, 전기차가 주행 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내비게이션부(100c)는, 일정 관리부(100b)에서 처리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목적지를 설정하고(S602),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관리부(100b)는 상기 전기차 내부에 진입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전기 외부에 배치된 서버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전자로부터 일정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처리된 제2 정보 중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전력 소모 기대치를 산출할 수 있다(S603).
상기 제2 정보 중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교통 정보와,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지형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과 관련된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터리 관리부는, 전기차의 주행 전에,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정보,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교통 정보 및 운전자의 습관(주행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완료시까지 소모될 전력 소모 기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관리부는 내비게이션부(100c), 상기 내비게이션부에 대응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주행과 관련된 이력(history)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는 운전자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운전자를 식별하기 위해,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에 진입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센싱부는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배터리 관리부(100a)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산출된 전력 소모 기대치와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4).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제1 및 제2 정보와, 전기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605).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출발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설정된 출발시간과 상기 수신된 제3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부(100c)는,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차가 주행 중인 경우,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기차의 주행 여부에 대한 판단(S701)결과, 전기차가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관리부(100a)는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가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차량 관리 시스템의 입력부(미도시)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처리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제1 지역에 위치한 전기차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역은, 전기차의 주행 경로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 이내의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제1 지역 내에 위치하는 전기차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내비게이션부(100c)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또는 외부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는 충전소의 위치, 충전소까지의 경로 정보, 충전소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충전소의 요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S703)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역 내에 전기차를 위한 충전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4).
상기 제1 지역에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필요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S705).
또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산출된 필요 충전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706).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제1 지역에 복수의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제4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도착 예상 시간에 대응하는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검출된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터리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검출된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지로 설정하도록, 상기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역에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제1 지역 외의 제2 지역에 위치한 전기차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707).
이 경우, 배터리 관리부(100a)는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 중, 전기차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재설정(S708)하도록 내비게이션부(100c)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행이 완료된 경우,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설명된다.
전기차의 주행 여부에 대한 판단(S801)결과, 전기차의 주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802).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충전소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접한 충전소는 급속 충전을 제공하는 충전소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00a)는 검색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S803).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충전소까지 이동하기 위한,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배터리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100a)는 산출된 충전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80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정보가 설정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비게이션부(100c)의 디스플레이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 목적지 및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1 그래픽 객체(90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배터리 관리부(100a)에서 설정된 제4 정보와 관련된 제2 그래픽 객체(9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그래픽 객체(910)는 충전소의 위치, 충전소에 대응하여 설정된 충전량, 충전 요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에 배치된 배터리의 충전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충전소, 충전 시점 및 충전량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 상태와, 차량의 운전자 일정 및 차량의 운전자 습관을 반영하여, 최적의 배터리 충전 계획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전기차의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처리하는 일정 관리부,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되며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교통 정보,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지형 정보, 그리고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과 관련된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처리하는 내비게이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4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에 관련된 이력 정보는,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상기 전기차로 진입한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된 운전자의 주행 패턴에 관련된 이력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가 주행 전이면,
    상기 일정 관리부는,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목적지를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전력 소모 기대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기대치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 내부에 진입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전기차 외부에 배치된 서버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전자로부터 일정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정보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출발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출발시간과 상기 수신된 제3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내비게이션부는,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가 주행 중이면,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제1 지역에 위치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한 충전소에서 상기 전기차의 목적지까지 주행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결과와 함께, 상기 검색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에 복수의 충전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4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도착 예상 시간에 대응하는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터리 충전량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검출된 충전 요금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지로 설정하도록, 상기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에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제1 지역 외의 제2 지역에 위치한 전기차의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가 재설정되도록 내비게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가 주행을 완료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충전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2. 전기차의 운전자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처리하는 일정 관리부,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처리하는 네비게이션부,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전기차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상기 판단된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전기차의 운전자의 일정과 관련된 제1 정보, 상기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제2 정보 및 전기 요금과 관련된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상기 판단된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제4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점 및 충전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교통 정보, 상기 주행 경로와 관련된 지형 정보, 그리고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과 관련된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에 관련된 이력 정보는, 상기 배터리 관리부가 상기 전기차로 진입한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된 운전자의 주행 패턴에 관련된 이력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50010778A 2015-01-22 2015-01-22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78A KR101659035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78A KR101659035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79A KR20160090679A (ko) 2016-08-01
KR101659035B1 true KR101659035B1 (ko) 2016-09-23

Family

ID=5670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778A KR101659035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921B1 (ko) * 2017-02-22 2021-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0801A (ja) * 2012-05-31 2013-12-12 Ne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50B1 (ko) * 2009-12-11 2012-04-04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그리드 환경 기반의 맞춤형 주행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6817A (ko) * 2011-10-05 2013-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경로 결정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KR101865928B1 (ko) * 2011-11-08 2018-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주행범위 안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0801A (ja) * 2012-05-31 2013-12-12 Ne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79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637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6139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9930B1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5393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4591A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7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9021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1962B1 (ko) 차량용 풋레스트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258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0483A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04706A (ko) 이동 단말기의 응급사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2644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9035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3952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3633B1 (ko)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55267A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544454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405A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22729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7971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3948B1 (ko) 이동 단말기의 poi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6638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5835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2316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