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388B1 -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388B1
KR101658388B1 KR1020140125599A KR20140125599A KR101658388B1 KR 101658388 B1 KR101658388 B1 KR 101658388B1 KR 1020140125599 A KR1020140125599 A KR 1020140125599A KR 20140125599 A KR20140125599 A KR 20140125599A KR 101658388 B1 KR101658388 B1 KR 10165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nt
flow path
upper fram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4574A (en
Inventor
이동규
이재홍
이기학
안남식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88B1/en
Publication of KR2016003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및 이를 구비한 식물공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는, 식물배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식물배양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승유로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흘러 내린 물을 집수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안내하는 상승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th bed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and a plant plant having the same. A plant cultivation bed capable of water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frame having a plant culture section and having a rising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culture section; And a lower fram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an upper flow path for guiding the water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Description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및 이를 구비한 식물공장{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circulating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및 이를 구비한 식물공장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재배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수단을 따로 마련하지 않아도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및 이를 구비한 식물공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th bed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and a plant plant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growth plant having a plant capable of water circulation necessary for cultivation of plants A cultivation bed and a plant plant having the same.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일조량 부족, 잦은 집중호우, 과거와 다른 태풍의 진행 경로 등 이상 기후 현상들이 연이어 발생하여 각종 농산품 공급이 불안정해지고 가격이 급등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고 있다. 기후 변화가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면 노지 재배를 통한 쌀, 밀, 옥수수 등 주식용 곡물 농사마저 어렵게 함으로써 결국 식품관련사업의 리스크 증가 및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Global warming, shortage of sunshine, frequent floods, and unusual climatic phenomena such as past and other typhoon progresses have led to unstable supply of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and soaring prices. If climate change lasts for a long time, it will be difficult to cultivate grain for stocks such as rice, wheat, and corn through cultivation, which could lead to increased risk of food-related projects and food shortages.

기후 변화 현상은 농산물을 구매하는 일반 소비자뿐 아니라 유통, 식품업계 등 관련 기업에게도 사업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식물공장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Climate change is a potential risk not only to general consumers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but also to related companies such as distribution and food industry, which may hinder the stability of business. Therefore, the need for plant factories to increas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s increasing have.

식물공장이란 일정한 시설 내에서 빛, 온도, 습도, 공기(이산화탄소 농도), 물, 영양분 등 식물 배양에 필요한 모든 환경 조건을 인공적으로 통제, 제어해 농작물을 생산하는 식물 대량 재배시스템을 의미한다. A plant plant is a plant mass production system that produces crops by artificiall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all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plant cultivation such as light, temperature, humidity, ai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ter, nutrients, etc. within a certain facility.

일본의 경우 향후 식물공장 시장규모는 2009년 138억 6200만엔에서 2015년 310억엔으로 2009년 대비 2.2배, 2020년에는 4.6배 증가한 640억 엔이 될 것으로 전망되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In the case of Japan, the future plant plant market is expected to grow from 13.662 billion yen in 2009 to 31 billion yen in 2015, 2.2 times higher than in 2009 and 4.6 times higher in 2020, to 64 billion yen.

식물공장을 적용한 농업 방식은 기존 농업 방식과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첫째, 연중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모든 환경 조건이 인공적으로 제어되는 시설 내부에서 작물이 재배되므로 노지 재배뿐 아니라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시설재배와 달리 계절이나 환경의 변화, 지리적 입지 조건 등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농작물을 1년 내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재배 작물의 규격화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체계적인 생산 설비에서 작물이 재배, 수확되므로 크기나 용량 등이 규격화된 작물을 제품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기존의 주요농업 방식인 노지 재배에 비해 훨씬 개선된 시장 대응 능력을 보유할 수 있다. The method of farming using plant factories clearly distinguishes from the existing farming method. First, stable production is possible throughout the year. Since crops are cultivated in an environment where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controlled artificially, it is possible to produce crops all year round, regardless of season, environmental change, geographical location, etc., unlike cultivating greenhouses such as vinyl houses and greenhouses It is because. Second, it is possible to standardize and quantify cultivated crops. Because crops are grown and harvested from systematic production facilities, standardized crops of size and capacity can be commercialized. Third, it can have much improved market response 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 which is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

시장 수급 상황에 대응한 능동적이고 계획적인 생산량 조절, 소비자 수요 트렌드의 변화 등에 대응한 신속한 재배 품목 교체 등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replace the cultivation items in response to changes in consumer demand trends, and to actively and deliberately control production volume in response to market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최근 농업선진국에서는 수경재배 방식이 비순환식에서 순환식으로 전환되고 있는데, 기존의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은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또는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이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의 물공급은 식물재배용 베드 사이를 물이 순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때, 구조적인 해결보다는 설비적인 해결로 물, 온도, 연료, 공간 등과 관련하여 많은 종류의 설비를 사용하여 에너지 소모가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In recent agricultural advanced countries, the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non-circulation system to circulation system, and the existing circulation hydroponic system has been applied to vinyl houses, greenhouses or buildings. The water supply of this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is carried out by circulating the water between the beds for plant cultivation. At this time, many kinds of facilities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fuel, The energy consumption is large.

우리나라의 경우 수경재배 면적이 최근 10년 사이에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수경재배방식에 있어서는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초기투자비용의 증가에 의한 경제적 부담 증가와, 물의 재사용을 위한 물 처리 및 관리기술 등 순환식 수경재배 기술의 미확립으로 인해 대부분의 식물이 비순환식으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In Korea, hydroponic cultivation area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10 years. However,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initial investment cost for constructing a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and water treatment for reusing water Management technology and the like, most of the plants are cultivated in a non-circulating manner.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비순환식 수경재배를 순환식 수경재배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이를 위해서 물을 저장 및 공급하는 설비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물이 순환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In Korea, there is a growing need to convert existing non-re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into a re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erefore,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development of a system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even without a facility for storing and supplying water .

따라서,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6109호 (발명의 명칭: 식물 공장 시스템, 공개일자: 2003년 12월 24일) 가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related art documents related thereto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96109 (entitled Plant Plant System, 24th of Marc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배양프레임에 물 순환유로를 형성한 것으로서 식물배양에 필요한 물의 공급이 펌프 등 별도의 물공급수단 없이 물의 순환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종래의 식물공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작비용 및 에너지 절감율이 높은 물의 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와 그를 구비한 식물공장을 제공할 수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t culture frame in which a water circulation channel is formed, and water can be circulated without supply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nt growing bed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production cost and energy saving ratio as compared with a plant and a plant plant having the plant growing b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는, 식물배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식물배양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승유로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흘러 내린 물을 집수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안내하는 상승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plant cultivation bed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frame having a plant culture section and having a rising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culture section; And a lower fram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an upper flow path for guiding the water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상기 식물배양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상승유로부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식물재배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식물배양부의 하부 끝단에는 물 넘침을 방지하는 차수판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to provide a plant growing space, and a lower end of the plant cultur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eration plate for preventing water overflow.

상기 식물배양부는 상기 상승유로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nt culturing part may be inclined or stepped so that water flows from the upper end of the upward flow path part to the lower frame.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 모인 물을 상기 상승유로부로 보내도록 상기 집수부와 상기 상승유로부를 연통시키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에 모인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frame includes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A body portion communicating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to sen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ortion to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And protruding en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물을 상기 상승유로부로 보내기 위한 중공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be formed with a hollow tube through which the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is sent to the upflow channel.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prevent movement of the upper frame or to maintain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상기 중공관은 상기 집수부의 하단 쪽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로부까지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low tube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a plurality of the hollow tubes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from the collecting part to the upward flow path part.

상기 중공관은 상기 몸체부의 양단 보다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중공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llow tube may have a larger hollow tube at the center of the body than both ends of the body.

상기 중공관은 상기 집수부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로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llow tub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ollecting portion toward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상기 상승유로부와 상기 중공관은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폐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upward flow path portion and the hollow tub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loop flow path.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식물재배베드; 상기 식물 재배베드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수단; 초기 동작시에 상기 물저장수단에서부터 상기 식물재배베드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식물재배베드가 형성된 각층을 연결하는 기둥; 및 상기 식물재배베드의 상기 상승유로부를 각각 층마다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물저장수단에서부터 공급된 물을 상부로 안내하는 층간유로;를 포함하는 식물공장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ing bed as described above; Water storage means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means to the plant growing bed during an initial operation; A column connecting each layer on which the plant growing bed is formed; And an interlayer flow path connecting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of the plant growth bed to each lay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guid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means upward.

상기 기둥의 내부에는 각 층에 형성된 상기 식물재배베드의 유로와 연결되는 기둥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column, a column flow path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plant growing bed formed in each layer may be formed.

상기 층간유로 또는 상기 기둥유로에는 물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A valve for interrupting the movement of water may be formed in the interlayer flow path or the column flow path.

상기 식물재배베드, 상기 층간유로 또는 상기 기둥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급된 물의 수위 또는 수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수단 또는 상기 밸브는 상기 센서와 연동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ant growing bed, the interlayer flow path, and the column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r the quantity of the supplied water, and the water supplying means or the valve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ensor.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펌프 등 별도의 수단 없이 물의 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를 제공하므로, 식물재배에 필요한 물을 따로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수단을 설비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물을 순환하기 위해 사용하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growth bed capable of circulating water without a separate means such as a pump, so tha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means for storing or supplying water required for plant cultivation,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used for.

또한, 물의 공급수단을 구비하더라도 최초에 한번만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식물공장에 형성된 수압차이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형성된 물순환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since it is used only once at first, and thereafter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formed in the plant plant and the water circulation structure form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또한, 본 발명의 물순환구조는 물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필수원소를 용해시킨 양액 또는 비료를 포함하는 물을 순환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circulating water including nutrients or fertilizers in which essential elem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are dissolved, as well as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베드를 적층하여 식물공장을 설치했을 때는 한정된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벽은 설치자의 선택사항이 될 수 있는데, 외벽의 유무에 따라 자연재해에 민감하지 않거나 또는 빛과 우수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에너지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when a plant plant is installed by laminating the plant growing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mited space can be usefully used. At this time, the outer wall may be an option of the installer.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outer wall, it is not sensitive to natural disasters, or energy and light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물재배베드의 상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물재배베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식물재배베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식물재배베드의 하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따른 하부프레임 중 몸체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몸체부에 형성된 중공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식물재배베드에서의 물순환구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식물재배베드가 다수개 구비된 식물공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rame of the plant growing bed according to FIG.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lant growing bed according to FIG. 1;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lant growing bed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of the plant growth bed of FIG. 1;
6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art of the lower frame according to FIG.
6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A" in Fig. 6 (a).
FIG. 7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ed examples of the hollow tube formed in the body part according to FIG.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water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plant growing bed according to FIG. 1.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lant having a plurality of plant growing beds according to FIG. 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베드(100)는, 상부 또는 상면에 식물이 놓여지는 식물배양부(120)를 제공하며 상기 식물배양부(120)로 물을 공급하는 순환유로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110) 및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 내린 물을 집수하는 하부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5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50)의 중심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로 상승하게 하거나 안내하는 상승유로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1 to 4, a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unit 120 in which plants are placed on an upper or upper surface, and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And a lower frame 15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0 and collect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 have.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50 and the upper frame 110 so that the water mov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150 is allow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frame 110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190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상승유로부(190)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50)에서 집수된 물이 흐르거나 상승하는 상승유로(191) 및 상기 상승유로(191)를 통해 상승된 물이 나와 다시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 또는 식물배양부(120)로 나갈 수 있게 도와주는 상승개구(19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승개구(193)는 상승유로(191)의 최상단에 형성된 일종의 물 토출포트(outlet port)라고 할 수 있다.The rising channel portion 190 is provided with a rising channel 191 through which the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frame 150 flows or rises and the water raised through the rising channel 191 is discharged to the upper frame 110 Or an elevation opening 193 which helps to exit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can be formed. The rising opening 193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water outlet po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ising flow path 19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식물재배베드(100)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 등의 강재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하우스 등의 식물공장(200, 도 9 참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steel member such as a reinforced concrete or a steel frame, and may be applied to a plant plant 200 (see FIG. 9) such as a vinyl house or a glass hous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100)는 식물공장(200)과 같은 다층 건축구조물에서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역할을 하면서도 동시에 식물을 재배하는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재배베드(100)는 철근 콘크리트 또는 강부재 등으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식물공장(200)의 슬래브(slab) 자체가 식물재배베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mber for growing plants simultaneously while serving as a structure for forming respective layers in a multi-layered structure such as the plant plant 200. Therefore, the plant growing bed 100 may be formed of reinforced concrete, a steel member, or in some cases, the slab itself of the plant 200 may be formed as a plant growing 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100)는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50)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서 물이 순환되기 때문에 식물 생육에 필요한 물을 자주 공급해 줄 필요가 없으며,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펌프 등의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식물재배베드(10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requently supply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 because water is circulated by the structural shape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50,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means such as a pump for circulating the water.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lant growing bed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100)의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상승유로부(190)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식물재배공간을 제공하는 식물배양부(120)와 상기 식물배양부(120)의 양단에 형성되어 물 넘침을 방지하는 차수판(1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frame 110 of the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 culturing part 1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ward flow path part 190 to provide a plant growing space, And a water level plate 1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ter leveling unit 120 to prevent water overflow.

도 2를 참조하면, 상부프레임(110)은 식물배양부(120)에 공급된 물이 아래쪽 즉, 하부프레임(150) 쪽으로 충분히 흐를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치 지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2,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rame 110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can flow sufficiently downward, that is, toward the lower frame 150, It is most preferable to have a similar form.

식물배양부(120)는 상부프레임(110)의 상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식물이 놓일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식물배양부(120)에 식물 또는 식물묘목 등이 놓이게 되고 식물의 뿌리게 공급되는 물이 식물배양부(120)의 표면을 흐르게 된다. 식물배양부(120)에 흐르게 되는 물은 상승유로부(190)의 상단에 형성된 상승개구(193)를 통해 나오게 된다.The plant culturing part 12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and has a sufficient area to allow the plant to be placed. Although not shown, a plant or a plant seedling or the like is placed in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and water to which the plant is supplied is flowed on the surface of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The water flowing into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flows out through a rising opening 19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ising channel part 190.

상승유로부(19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식물배양부(120)의 최고점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부재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승유로부(190)는 식물배양부(120)가 형성된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50)에에 모인 물을 식물배양부(120)로 흐를 수 있게 하는 유로가 형성된 부재이다. The upward channel portion 190 is formed as a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ghest point of the downwardly sloping vegetative cultivation portion 12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he ascending channel 190 supports the upper frame 110 in which the plant culturing unit 120 is formed and a flow channel for allowing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frame 150 to flow to the plant culturing unit 120 .

도 2를 참조하면, 상승개구(193)는 상부프레임(110)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상부프레임(110)을 위에서 볼 때 상승개구(193)는 길게 형성된 슬롯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승개구(193)를 중심으로 양측의 식물배양부(120)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elevating opening 193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upper frame 110. When viewed from above, the elevating opening 193 may have a long slot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symmetrically formed plant cultivation portions 120 on both sides of the rising opening 193 are formed.

상승개구(193)에서 나온 물은 상승개구(193)의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된 식물배양부(120)를 전체적으로 충분히 적실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승개구(193)에서 나온 물은 대부분 하부프레임(150)으로 흘러가야 한다. 만약, 상승개구(193)에서 나온 물 중에서 하부프레임(150)으로 흘러가지 않는 물이 있다면, 식물재배베드(100)를 순환하는 물이 줄어들게 되어 외부에서 물을 추가적으로 공급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물배양부(1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차수판(1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emerging from the rising opening 193 should be able to sufficiently wet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rising opening 193. Therefore, most of the water from the rising opening 193 must flow to the lower frame 150. If there is water not flowing into the lower frame 150 from the water emerging from the rising opening 193,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plant growing bed 100 may be reduced and water may be additionally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this, a water-receiving plate 121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nt culture section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차수판(121)은 식물배양부(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된 부재로서, 식물배양부(120)에 공급된 물이 식물배양부(120)의 길이방향 양단을 통해 하부프레임(15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수판(121)의 높이는 식물배양부(120) 전체에 걸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수판(121)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승개구(193)와 가까운 부분의 차수판(121)을 높게 형성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ing plate 121 is a member protrud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is supplied to the lower frame 150 throug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side. The height of the aqueduct 121 is preferably the same throughout the plant culturing unit 120, but the height of the aquat plate 121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water level plate 121 near the rising opening 193 may be formed to be high and the height thereof may be made to be lower toward the botto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유로부(190)에는 하부프레임(150)과 연통되는 상승유로(1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승유로(191)는 식물배양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유로부(190)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유로(191)는 전체적으로 하나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중공관(161)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pward flow path 190 may be formed with a rising flow path 191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frame 150. It is preferable that the ascending channel 191 is uniformly formed over the entire upper channel section 19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nt culture section 120. The upward flow path 191 is formed not only as a whole but also as a plurality of divided flow path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hollow tube 161 shown in Fig.

상승유로(191)의 하단은 하부프레임(150)에 형성된 중공관(161)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단은 상승개구(193)가 된다. 상승유로(191)를 통과하는 물은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흘러야 하는데, 물이 원활하게 상승하기 위해서는 상승유로(191)의 전체 부피 또는 크기 보다 식물배양부(120)와 중공관(161) 등을 합한 유로의 부피 또는 크기가 더 커야 한다. 즉, 물이 상승유로(191)를 채우는 속도 보다 상승유로(191)의 하단 쪽으로 물이 유입되는 속도가 더 빠르도록 각각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ascending channel 191 is communicated with the hollow tube 161 formed in the lower frame 150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a rising opening 193.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ascending channel 191 must flow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order for the water to rise smoothly, the total volume or the size of the ascending channel 191 must be larger than the total volume or size of the uplifting channel 191 by combining the plant culture section 120 and the hollow tube 161 The volume or size of the flow path should be larger.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respective flow passages so that the rate at which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upflow channel 191 is faster than the rate at which water fills up the upflow channel 191.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햇빛을 모으기 위해 집광판 또는 광원공급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모아진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열발전기, 축전지 또는 비상용 발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물배양부(120)에 충분한 빛이 제공되어 식물의 성장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collecting plate or light source supplying means for collecting sunlight, and a solar generator, a battery or an emergency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collected light into electric energy may be installed.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light to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to further speed up the growth rate of the plant.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식물배양부(120)는 식물이 놓여지는 공간으로 물이 잘 흡수될 수 있는 다수개의 스펀지 또는 부직포(미도시) 등이 식물배양부(120)의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펀지 또는 부직부에 식물의 뿌리가 닿을 수 있도록 식물이 놓일 수 있다. 즉, 식물배양부(120)에는 물을 흡수하여 식물이 물에 노출되는 시간을 늘일 수 있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등과 같은 보습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sponges or nonwoven fabrics (not shown) and the like, which are well absorbed by water, may be placed on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in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plant may be placed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can reach the sponge or the nonwoven. That is, the plant cultiva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humidify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ponge or a non-woven fabric that can absorb the water and increase the time for exposing the plant to wat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배양부(120)는 상기 상승유로부(190)의 상단 즉, 상승개구(193)에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150) 쪽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3, the plant culturing unit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water can flow from the upper end of the upflow channel unit 190, that is, from the upward opening 193 toward the lower frame 150, So that the water flows naturally.

도 4는 도 3의 식물재배베드(100)의 변형예이며,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형상이 계단의 형상이며, 이는 상기 하부프레임(150)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부프레임(110)의 경우에는 식물배양부(120)가 평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상부프레임(110)에 올라가서 식물을 채취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식물의 배치 공간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의 면적이 수직 부분의 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FIG. 4 is a modification of the plant growing bed 100 shown in FIG. 3. The upper frame 110 has a stepped shape, which is inclined to allow water to flow through the lower frame 150. In the case of the upper frame 110 shown in FIG. 4, the plant culturing unit 120 can be formed in a planar manner, and the operator can stably climb up the upper frame 110 to collect pla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horizontally form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vertical portion in order to secure a large arrangement space of plants.

상부프레임(110) 또는 식물배양부(120)의 모양은 도 3 및 도 4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물을 거치할 수 있고 상승개구(193)에서 나온 물이 아래쪽의 하부프레임(150)으로 흐를 수 있는 모양이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물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서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는 형상을 지닌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든 다양하게 가능하다. The shape of the upper frame 110 or the plant cultivating portion 120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FIGS. 3 and 4, and the plant can be mounted and the water from the rising opening 193 can pass through the lower lower frame 150, It can be a shape that can flow to.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rame 110 can be formed into any shape as long as water has a shape that can be flow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도 5는 하부프레임(15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50)은 상부프레임(110)과 달리 평평한 판 모양의 부재이다. 하부프레임(150)은 상부프레임(110)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으는 집수장치의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rame 150. Fig. As shown in FIG. 5, the lower frame 150 is a flat plate-shaped member, unlike the upper frame 110. The lower frame 150 serves not only to fix and support the upper frame 110, but also to serve as a water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상기 하부프레임(15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170), 상기 집수부(170)에 모인 물을 상기 상승유로부(190)로 보내도록 상기 집수부(170)와 상기 상승유로부(190)를 연통시키는 몸체부(160) 및 상기 몸체부(16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170)에 모인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단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frame 150 includes a water collecting part 170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and a water collecting part 170 for collect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to the upflow channel part 190. [ A protruding end portion 160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60 to prevent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180).

상기 하부프레임(15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온 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물을 다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상승유로부(190)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5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중을 부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lower frame 150 collects the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frame 110 and can send the collected water to the upflow channel unit 190 so that the water can be raised again. Also, the lower frame 150 may bear the load of the upper frame 11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집수부(170)는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 내린 물을 1차적으로 모아서 중공관(161)으로 보내는 부분이다.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 내린 물을 가급적 많이 모으기 위해서 집수부(170)는 몸체부(160)의 상면 보다 음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부(170)의 함몰 깊이는 중공관(161)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물이 충분히 집수될 수 있도록 가급적 깊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170)는 하부프레임(15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3 to 5,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collects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and sends the collected water to the hollow tube 161. In order to collect as much water as possible from the upper frame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lecting part 170 is recessed at a lower angl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60. The recess depth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hollow tube 161 and is preferably as deep as possible so that water can be sufficiently collected. As shown in FIG. 5, the collecting part 170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frame 150.

집수부(170)의 상부 모서리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10)의 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수부(170)와 상부프레임(110)의 하단을 가능한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내린 물이 집수부(170)로 유입되는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고 집수부(170)로 보다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만약, 집수부(170)와 상부프레임(110)의 하단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상부프레임(110)에서 흘러내린 물 중 일부는 상부프레임(110)의 하단과 집수부(170) 사이의 몸체부(160) 상면에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집수부(170)에 모이는 물의 양이 줄어 들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10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collecting part 170. By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and the upper frame 110 as close as possible, the path of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in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can be shortened, A larger amount of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tank. A part of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body par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collecting part 170 160 so that the amount of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170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집수부(17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으로부터 흘러온 물이 집수되며, 최적의 집수를 위하여 상기 집수부(170)의 깊이는 상기 돌출단부(180)의 높이 또는 상기 몸체부(160)의 두께 보다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집수부(170)는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collected from the upper frame 110 is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and the depth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is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nd part 180 or the height of the body part 160). ≪ / RTI > In other words,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may be formed to a depth sufficient to collect water.

하부프레임(150)의 몸체부(160) 폭방향 양단에는 돌출단부(18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단부(180)는 상부프레임(110)의 차수판(121)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즉, 집수부(170)로 모이는 물이 하부프레임(150)을 벗어나 흐르는 것을 방지하거나 집수부(170)에서 넘쳐 흐른 물이 몸체부(160) 외부로 흘러 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부(160)의 폭방향 양단에는 돌출단부(18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Protruding ends 180 may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body frame 160 of the lower frame 150 in the width direction. The protruding end portion 180 is a portion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level plate 121 of the upper frame 110. 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from flowing out of the lower frame 150 or to prevent the overflowing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from flowing out of the body part 160, The protruding end portions 180 may protrude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돌출단부(18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으로부터 하부프레임(150) 내지집수부(170)로 흘러온 물이 하부프레임(15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단부(180)의 높이(H2)는 상기 몸체부(160)의 높이(H1)보다 같거나 높게 형성되고 집수부(170)의 깊이(d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단부(180)의 최상단은 몸체부(160)의 상면 또는 집수부(170)의 상단 보다는 높게 형성되어야 집수부(170)에 모인 물이 몸체부(160)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end portion 18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frame 110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from the lower frame 150 to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from flowing out of the lower frame 150. [ The height H2 is form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body portion 160 and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epth d2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 3 and 4,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end portion 180 should be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0 or the upp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so that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160 to the outsid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60)에는 상기 집수부(170)에 집수된 물을 상기 상승유로부(190)로 보내기 위한 중공관(16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관(161)은 몸체부(16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수부(170)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로부(190)까지 상기 몸체부(160)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a hollow tube 161 for pass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to the upward flow path part 190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160.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hollow tubes 161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60 from the collecting portion 170 to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190. have.

중공관(161)은 집수부(170)에 모인 물을 상부프레임(110)의 상승유로(191)까지 보내는 유로이다. 따라서, 집수부(170)에 모인 물을 가급적 많이 상승유로(191)로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61)은 몸체부(16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공관(161)이 몸체부(160)의 폭방향의 중심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θ) 만큼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수부(170)에 모인 물이 중공관(161) 안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The hollow tube 161 is a flow path for send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170 to the rising flow path 191 of the upper frame 110. Therefore,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should be sent as much as possible to the upward flow path 191. 6 (b),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tube 16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60. [ Since the hollow tube 16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160,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flows into the hollow tube 161, It can be easily flowed in.

또한, 중공관(161)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집수부(170)의 물이 한꺼번에 중공관(161) 안으로 유입되면 상승유로(191)에 가해지는 수압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승유로(191) 안에 있는 물이 더 잘 상승할 수도 있다.Since the hollow tube 161 is inclined downward, when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flows into the hollow tube 161 all at once, the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rising flow path 191 becomes large, ) The water in it may rise better.

중공관(16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60)를 가로지르는 다수개의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중공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hollow tube 161 is not limited to a plurality of circular tubes crossing the body portion 160 as shown in FIG. 6, but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For example, a hollow tub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도 7(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61)은 집수부(170)의 하단 쪽에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중공관(161)이 집수부(170)의 하단 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중공관(161)으로 유입되지 않고 집수부(170)에 남게 되는 물을 줄일 수 있다. 도 7(c)와 같이, 중공관(161)은 그 단면 모양이 원형 뿐만 아니라 반원, 타원,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 and 7 (b), the hollow tube 16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offset toward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part 170. Since the hollow tube 161 is bia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can be reduced without flowing into the hollow tube 161. As shown in FIG. 7 (c), the hollow tube 16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emicircle, an ellipse, and a rectangl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상기 집수부(170)에서 상기 중공관(161)으로 물이 이동할 때 중공관(161) 내부에 물이 최대로 잘 유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7의 (a),(b),(c)가 나타내어 주고 있다. The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llow pipe 161 when the water moves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to the hollow pipe 161. In this case, 7 (a), (b), and (c).

또한, 도 7(d)에 도시된 상기 중공관(161)은 상기 몸체부(160)의 양단 보다 상기 몸체부(160)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중공관(161)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물이 상기 상승개구(193)를 통해 다시 상기 식물배양부(120)로 공급될 때 상부프레임(110)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상승개구(193)를 통해서 최대한 많은 물이 유출되어 식물배양부(120) 전체에 걸쳐 물이 잘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ollow tube 161 shown in FIG. 7 (d) has a larger hollow tube 161 at the center of the body 160 than both ends of the body 160, This is because as much water as possible flows out through the rising opening 193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0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part 120 again through the rising opening 193, 120 so that the water is spread well.

몸체부(160)의 폭방향 가운데 부분에는 중공관(161) 및 상승유로(191)와 연통되는 유로연결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로연결부(166)는 몸체부(160)의 폭방향 가운데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166)는 상부프레임(110)의 상승유로부(190)의 하단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166)는 집수부(17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몰 형성하지 않고 몸체부(160)의 상면에서부터 중공관(16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유로연결부(166)의 형상 또는 구조는 중공관(161)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hannel connecting portion 166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ipe 161 and the upward flow path 191 may be form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60 in the width direction. Referring to FIG. 6,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166 may be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in a middl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60. The channel connection portion 166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rising channel portion 190 of the upper frame 110.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66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or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tube 16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0 without forming a depression.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66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hollow tube 161.

유로연결부(166)의 깊이(d1)는 집수부(170)의 깊이(d2) 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연결부(166)가 집수부(170) 보다 깊게 형성되어야 중공관(161)이 충분히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d1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66 is formed to be deeper than the depth d2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70. [ The hollow pipe 161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sufficiently whe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66 is formed deeper than the catching portion 170.

또한, 상기 몸체부(16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5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63)는 몸체부(16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부프레임(110)의 양단이 끼워지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 support member 163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frame 110 or maintaining the engaged state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0 . The support member 163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0, but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upper frame 110.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110 are fitted.

몸체부(160)의 상면에 지지부재(163)를 형성함으로써, 상승유로(191)와 유로연결부(166)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고, 중공관(161)에서 유출된 물 중에서 상승유로(191)로 유입되지 않는 물을 줄일 수 있다. The upward flow path 191 and the flow path connection portion 166 can be brought into precise alignment by forming the support member 16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0. The upward flow path 191, Water which is not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can be reduc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배양베드의 물 순환구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상승유로부(190)와 상기 중공관(161)은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폐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100)는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물순환 수단이 없이도 물이 순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부프레임(110)에서부터 흘러 내려서 집수부(170)에 모인 물의 수압이 상승유로(191)의 물을 밀어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기 때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ter circulation structure of a plant culture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cending channel portion 190 and the hollow tube 16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lating flow path. As shown in FIG. 8, the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irculate water without a separate water circulating means such as a pump. This is because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70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110 is sufficient to push up the water in the upward flow path 19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100)는 식물공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식물공장에 적용될 경우에 식물재배베드(100)는 그 자체로서 식물공장의 각 층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ant grow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ant plant. When applied to a plant plant, the plant growing bed 100 itself can form each layer of a plant plant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베드(100)가 식물공장(200)에 다수개로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plant growing bed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plant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공장(200)은, 다수개의 식물재배베드(100), 상기 식물재배베드(100)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수단(210), 초기 동작 시에 상기 물저장수단(210)에서부터 상기 식물재배베드(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220) 및 상기 식물재배베드(100)가 형성된 각층을 연결하는 기둥(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plan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lant growing beds 100, water storage means 210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s 100, A water supply means 220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means 210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and a column 260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layers on which the plant growing bed 100 is formed.

기둥(26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기둥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층의 기둥유로는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column passag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olumn 26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column passages of the respective layers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식물재배베드(100)의 상기 상승유로부(190)를 각각 층마다 연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둥유로는 상승유로(19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수단(210)에서부터 공급된 물을 상부로 안내하는 층간유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층간유로(230)는 각 층에 마련된 식물재배베드(100)의 상승유로(191)와 연통될 수 있다.  The upward flow path portions 190 of the plant growing bed 1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lumn flow path can communicate with the rising flow path 191. And an interlayer flow path 230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means 210 upward. The interlayer flow path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upflow channel 191 of the plant growing bed 100 provided in each layer.

상기 층간유로(230) 또는 상기 기둥유로에는 물의 이동을 개폐하는 밸브(240)가 형성될 수 있다. A valve (2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vement of water may be formed in the inter-layer flow path (230) or the column flow path.

또한, 상기 물공급수단(220)에는 물뿐만 아니라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비료 또는 영양제를 첨가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eans 220 may include not only water but also fertilizers or nutrients so that plants can grow well.

또한, 상기 식물재배베드(100)와 상기 층간유로(230) 또는 상기 기둥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급된 물의 수위 또는 수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공급수단(220) 또는 상기 밸브(240)는 상기 센서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가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240)를 폐쇄시켜서 물저장수단(210) 및 물공급수단(220)에 의해서 상기 식물재배베드(10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정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층간유로(23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밸브(240)와도 연동되어 각층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24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기(미도시) 등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극히 자명하다 할 것이다. At least one of the plant growing bed 100 and the inter-layer flow path 230 or the column flow path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r the quantity of the water supplied thereto, and the water supplying means 220 or the valve (24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nsor.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has supplied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the valve 240 is closed and the water storage means 210 and the water supply means 220 are connected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The supply of water can be stopped. This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for each layer by interlocking with the valve 240 installed in the inter-layer flow path 230. Such a valve 24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a controller (not shown) or the like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which will be extremely obvious in the related art.

식물공장(200)를 처음으로 가동할 경우 각 층의 식물재배베드(100)에는 충분한 물이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식물공장(200)의 초기 가동시에는 외부에서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해서 각 층의 식물재배베드(100)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 식물재배베드(100)에 공급된 물이 순환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When the plant plant 200 is operated for the first time, there will not be enough water in the plantation bed 100 of each floor. As described above, at the time of initial operation of the plant 200, water is artificially supplied from the outside,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of each layer, and water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can be circulated You have to make a state.

초기 작동시에 물공급수단(220)에 의해서 물저장수단(210)에 저장된 물을 식물재배베드(1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각 층의 식물재배베드(100)는 기둥(260) 및 층간유로(23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식물재배베드(100)에만 물을 공급하더라도 식물공장(200) 전체의 식물재배베드(10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물 공급 과정은 상기 센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means 210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by the water supplying means 220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At this time, since the plant growing bed 100 of each lay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lumns 260 and the inter-layer flow path 230, even if water is supplied to only one plant growing bed 100,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of the plant. The water supply process can be controlled by the sensor.

상기 식물공장(200)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250)가 형성되며,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게 해준다. The plant plant 200 is provided with a door 250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enter and leave the plant plant 200, thereby facilitating all the operations for allowing plants to grow well.

또한, 상기 식물공장(200)에는 외벽이 형성될 수도 있고 외벽이 없을 수도 있다. 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빗물이 식물재배베드(100)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외벽을 없앨 경우에는 4면의 외벽 중 적어도 2면의 외벽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nt plant 200 may have an outer wall or an outer wall. In the absence of an outer wall, rainwate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100. When removing the outer wall,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outer wall of at least two of the four outer wall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of its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식물재배베드 110: 상부프레임
120: 식물배양부 121: 차수판
150: 하부프레임 160: 몸체부
161: 중공관 163: 지지부재
166: 유로연결부 170: 집수부
180: 돌출단부 190: 상승유로부
191: 상승유로 193: 상승개구
200: 식물공장 210: 물저장수단
220: 물공급수단 230: 층간유로
240: 밸브 250: 도어
260: 기둥
100: plant growing bed 110: upper frame
120: Plant culture section 121: Order plate
150: lower frame 160:
161: hollow tube 163: support member
166: channel connection part 170:
180: projecting end 190:
191: Ascent flow 193: Ascent flow
200: plant plant 210: water storage means
220: water supply means 230: interlayer flow path
240: valve 250: door
260: Column

Claims (14)

식물배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식물배양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승유로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흘러내린 물을 집수하는 하부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으로 이동된 물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로 안내하는 상기 상승유로가 구비된 상승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 모인 물을 상기 상승유로부로 보내도록 상기 집수부와 상기 상승유로부를 연통시키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에 모인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물을 상기 상승유로로 보내기 위한 중공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An upper frame having a plant culture section and having a rising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culture section; And
A lower frame disposed below the upper frame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 RTI >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n upward flow path portion having the upward flow path for communicating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in a communicative manner and guiding the water mov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Wherein the lower frame comprises: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frame;
A body portion communicating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to sen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ortion to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And
And protruding en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Wherein the body part is formed with a hollow tube through which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is passed through the upflow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배양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상승유로부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식물재배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식물배양부의 하부 끝단에는 물 넘침을 방지하는 차수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t culturing part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upward flow path part of the upper frame to provide a plant growing space and a lower end of the plant culturing part is provided with a water receiving plate for preventing water overf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배양부는 상기 상승유로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t culturing part is inclined or formed in a stepped shape so that water can flow from the upper end of the upward flow path part to the lower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upper frame or maintaining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상기 집수부의 하단 쪽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로부까지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llow tube is formed to be offset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a plurality of water tubes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to the upward flow path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상기 몸체부의 양단 보다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중공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llow tube has a larger hollow tube at the center of the body than both ends of th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상기 집수부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로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llow tub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ollecting portion toward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로부와 상기 중공관은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폐순환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재배베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ward flow path portion and the hollow pipe are communic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lation flow path.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재배베드;
상기 식물재배베드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수단;
초기 동작시에 상기 물저장수단에서부터 상기 식물재배베드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식물재배베드가 형성된 각층을 연결하는 기둥; 및
상기 식물재배베드의 상기 상승유로를 각각 층마다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물저장수단에서부터 공급된 물을 상부로 안내하는 층간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공장.
10. A plant growing b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6 to 10;
Water storage means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be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means to the plant growing bed during an initial operation;
A column connecting each layer on which the plant growing bed is formed; And
An interlayer flow path connecting the rising flow paths of the plant growing b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guid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ing means upward;
And a water-circulating plant pla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내부에는 각 층에 형성된 상기 식물재배베드의 상기 상승유로와 연결되는 기둥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공장.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column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rising flow path of the plant growing bed formed in each layer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olum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유로 또는 상기 기둥유로에는 물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공장.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ter-layer flow path or the column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interrupting the movement of wa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베드, 상기 층간유로 또는 상기 기둥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급된 물의 수위 또는 수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수단 또는 상기 밸브는 상기 센서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이 가능한 식물공장.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one of the plant growing bed, the inter-layer flow path, and the column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r the quantity of the water supplied thereto,
Wherein the water supply means or the valve is interlocked with the sensor.
KR1020140125599A 2014-09-22 2014-09-22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KR101658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599A KR101658388B1 (en) 2014-09-22 2014-09-22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599A KR101658388B1 (en) 2014-09-22 2014-09-22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74A KR20160034574A (en) 2016-03-30
KR101658388B1 true KR101658388B1 (en) 2016-09-21

Family

ID=5566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599A KR101658388B1 (en) 2014-09-22 2014-09-22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3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753B1 (en) 2020-12-04 2021-10-01 황진리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for plant factory using cultivation bed of circulation rotarty ty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496A (en) * 2009-05-25 2009-10-01 Takaharu Mori Plant cultivating device
JP2012055234A (en) 2010-09-09 2012-03-22 Japan Carlit Co Ltd:The Plant cultivation device of which tilt angle of cultivation bed is changeab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1U (en) * 1991-06-28 1993-01-19 株式会社クボタ Capillary hydroponics device
KR960006495B1 (en) * 1994-02-21 1996-05-16 이종철 Device for hydropon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496A (en) * 2009-05-25 2009-10-01 Takaharu Mori Plant cultivating device
JP2012055234A (en) 2010-09-09 2012-03-22 Japan Carlit Co Ltd:The Plant cultivation device of which tilt angle of cultivation bed is change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753B1 (en) 2020-12-04 2021-10-01 황진리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for plant factory using cultivation bed of circulation rotarty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74A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728B1 (en) Tilting apparatus for cultivation a plant container of multistage lamination layers
KR101125247B1 (en) A water culture device having had multilayer structure
JP2017515505A (en) Rainwater automatic supply cultivation equipment
KR101231434B1 (en)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KR20120007420A (en) Multi-stag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KR20130017139A (en) The water culture device
JP2006197843A (en) Hydroponics device
KR102092357B1 (en) Automat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0761522B1 (en) A bio geodesic dome
KR101658388B1 (en) Water circulatable plant cultivating bed and plant factory having the same
JP4928992B2 (en) Bottom irrigation water supply panel, cultivation pot for the panel, and cultivation system using them
KR20160101455A (en) Hydroponic cultivating apparatus
KR101702445B1 (en) Water culture apparatus
KR101457665B1 (en) Pot
KR101387205B1 (en)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KR101869777B1 (en) Apparatus of indoor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KR20170043018A (en) Water culture bed
KR20160024445A (en) Cultivation system
KR20130131822A (en) Cultivation system
KR102203079B1 (en)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KR20130005040U (en) Device for Growing a Plants
KR101248497B1 (en) Plant system in water
CN102523814A (en) Cultivation facility and method using float valve to control water
US20130047507A1 (en) Self-watering elevated growing system
KR102446280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including floor type nutrient solution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