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369B1 -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369B1
KR101658369B1 KR1020160036833A KR20160036833A KR101658369B1 KR 101658369 B1 KR101658369 B1 KR 101658369B1 KR 1020160036833 A KR1020160036833 A KR 1020160036833A KR 20160036833 A KR20160036833 A KR 20160036833A KR 101658369 B1 KR101658369 B1 KR 10165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low path
communication hole
valve rod
low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관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6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rotar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F15B13/04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with rotary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는 모터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부 및,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되, 상기 매니폴드부에 삽입되는 밸브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유로의 연통 관계를 조정할 수 있어, 유로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Rotary directional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계 장치들이 크기 및 무게 감소를 위해 동력원으로 유압 구동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 유압 구동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압 탱크, 유체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유압 펌프, 유체를 통해 기계 장치에 움직임을 제공하는 유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밸브는, 유압 탱크, 유압 펌프 및 유압 액츄에이터 간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압 구동 장치에 구비된다.
종래 밸브는 유압 구동 장치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기계 장치를 원하는 바대로 작동시킨다.
즉 종래 밸브는,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 주는 방향 제어 밸브와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 및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밸브는 기계 장치들의 크기 및 무게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기계 장치의 크기 및 무게 감소를 위해서 구성이 단순화되고, 크기 및 중량이 감소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571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소형화됨과 동시에 유체의 이동 방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는 모터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부; 및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되, 상기 매니폴드부에 삽입되는 밸브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유로의 연통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는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와 나사 결합하는 하부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로드에는 상기 유로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통홀은 제1, 제2, 제3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제2 연통홀 또는 제3 연통홀과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홀과 상기 제3 연통홀은, 서로 동일 높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 각각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로드는 원통 형상이며, 일단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중공부; 타단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 및 상기 중공부와 상기 함입부를 구획하는 내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게 제1 연통홀 및 상기 제2 연통홀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3 연통홀은, 상기 내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함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부는 상기 밸브로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는 제1, 제2, 제3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종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유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1 유로가 마주보게 하고 상기 제2 연통홀과 상기 제2 유로가 마주보게 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연통홀과 상기 제2 유로가 마주보게 하는 제2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로드는, 하단이 쐐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부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하부 로드의 일단과 맞닿는 면이 쐐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에는 박막이 건식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소형화됨과 동시에 유체의 이동 방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유량 비례 제어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로드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로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로드부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로드부의 배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로드부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내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제1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내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제2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로드부의 연통홀의 면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2는 도11의 밸브로드부의 각도에 따른 연통홀의 면적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3은 도11의 밸브로드부의 각도에 따른 모멘트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10)는 모터부(100), 매니폴드부(200), 밸브로드부(30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니폴드부(200)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고, 밸브로드부(300)가 모터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매니폴드부(200)에 삽입된 이후에, 모터부(100)의 동작에 따라 유로의 연통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매니폴드부(200)의 유로에 흐르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10)의 세부 구성을 상세 설명한다.
모터부(100)는 밸브로드부(300)를 구동하는 동력원이다. 모터부(100)는 전력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자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부(100)는 회전자의 회전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모터부(100)는 외부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켜 밸브로드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부(100)는 예컨대 하단에 결합판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부(100)는 결합판을 통해 매니폴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부(100)와 매니폴드부(200)의 결합은 볼팅 방식 등을 통해 가능하다.
매니폴드부(200)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매니폴드부(200)의 유로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유체는 유압을 생성하는 유압 액유에이터 등에 공급될 수 있다.
매니폴드부(200)는 박스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니폴드부(200)는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여져 삽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10)는 밸브로드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 삽입부와 하부 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삽입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삽입부는 하부 삽입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삽입부에는 밸브로드부(300)가 삽입되고, 상부 삽입부에는 센서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 있는 매니폴드부(200)에 형성되는 유로는 제1, 제2, 제3 유로(P1, P2, P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유로(P1, P2, P3)는 삽입부(21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삽입부(210)로부터 매니폴드부(200)의 일측면까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삽입부(210)로부터 매니폴드부(200)의 타측면까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삽입부(210)로부터 매니폴드부(200)의 하단까지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P1)는 유압 펌프에 연결되고, 제2 유로(p2)는 유압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제3 유로(P3)는 유압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제3 유로(P1, P2, P3)를 통한 유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밸브로드부(300)는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부(100)의 회전자에 연결되고, 매니폴드부(200)의 삽입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밸브로드부(300)는 모터부(100)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매니폴드부(200)의 유로의 연통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로드부(3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센서부(400)는 모터부(100)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위치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전자 위치는 모터부(100)의 제어에 이용된다. 센서부(400)는 모터부(100)의 회전자를 감싼 채 매니폴드부(200)의 삽입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400)는 매니폴드부(200)의 상단에 가장자리부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10)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소형화됨과 동시에 유체의 이동 방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4 내지 도9를 참고하여 밸브로드부(300)의 구성을 상세 설명한다.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밸브로드부(300)는 상부 로드(310) 및 하부 로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로드(310)는 모터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로드(310)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부 로드(310)는 중심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소정 높이마다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로드(31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부 로드(310)의 상부에는 모터부(100)의 회전자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로드(310)의 상부 내측은 모터부(100)의 회전자가 걸리 수 있도록 각 진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로드(310)는 모터부(100)의 회전자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할 수 있다.
상부 로드(310)의 하부 외주에는 수나사산(m)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산(m)은 상부 로드(310)와 하부 로드(320)의 결합에 이용된다.
하부 로드(3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일 수 있다. 하부 로드(320)는 상부 내주면에 암나사산(f)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로드(320)의 암나사산(f)은 상부 로드(310)의 수나사산(m)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로드(310)와 하부 로드(32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로드(310)와 하부 로드(320)의 나사 결합 방식은, 유체의 흐름에 따른 내압을 밸브로드부(300)가 버티도록 하고, 밸브로드부(300)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하부 로드(320)는 둘레를 따라 링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로드(32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홈은 내부 유체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6을 참고하면, 하부 로드(320)에는 매니폴드부(200)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홀은 제1, 제2, 제3 연통홀(h1, h2, h3)을 포함할 수 있다.
도6의 (a)에서, 제1 연통홀(h1)은 하부 로드(3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6의 (b)에서, 제2 연통홀(h2)은 하부 로드(3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6의 (c)에서, 제3 연통홀(h3)은 하부 로드(320)의 하부에 형성되되, 제2 연통홀(h2)로부터 하부 로드(3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통홀(h1)은 제2 연통홀(h2) 및 제3 연통홀(h3)과 다른 높이에 형성되고, 제2 연통홀(h2)과 제3 연통홀(h3)은 서로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로드(320)는 마찰계수를 낮출 수 있는 건식코팅이 적용될 수 있다. 하부 로드(320)의 외주면에는 박막이 건식 코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로드(320)의 회전시 발생하는 매니폴드부(200) 내측면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로드(320)는 하단이 둘레를 따라 대각 방향으로 깎인 쐐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로드(320)는 하단이 스토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7은 하부 로드(320)의 배면도이며, 도7을 참고하여 하부 로드(320)의 스토퍼(st)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부 로드(320)의 하단이 대각 방향으로 깎이기 시작하는 위치와 중단되는 위치 각각에 스토퍼(st)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매니폴드부(200)의 유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로드부(300)의 위치를 지정해준다.
도8을 참고하면, 하부 로드(320)의 내부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하부 로드(320)는 일단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중공부(321), 타단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323) 및 중공부(321)와 함입부(323)를 구획하는 내벽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8의 (a)는 일측면에서 바라본 하부 로드(320)의 단면도이고, 도8의 (b)는 도8의 (a)의 하부 로드(320)가 중심 종축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8의 (a)에서, 제1 연통홀(h1)과 제2 연통홀(h2)은 중공부(321)와 연통될 수 있다. 도8의 (b)에서, 제3 연통홀(h3)은 내벽부(325)를 관통하여 함입부(323)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로드(320)는 모터부(100)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연동 회전하여 매니폴드부(200)의 유로의 연통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을 참고하면, 매니폴드부(200)의 유로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도9에서, 밸브로드부(300)는 매니폴드부(200)의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가 연통되도록 하는 위치이다. 여기서, 밸브로드부(300)의 위치는 제1 위치로 정의되고, 밸브로드부(300)의 제1 위치는 제1 연통홀(h1)과 제1 유로(P1)가 마주보게 하고 제2 연통홀(h2)과 제2 유로(P2)가 마주보게 한다.
이때 유체는 예컨대, 유압 펌프에 의해 토출되어 제1 유로(P1), 제1 관통홀(h1), 중공부(321), 제2 관통홀(h2) 및 제2 유로(P2)를 순차적으로 거쳐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될 수 있다.
도10에서, 밸브로드부(300)는, 도9의 밸브로드부(300)가 모터부(100)에 의해 대략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밸브로드부(300)는 매니폴드부(200)의 제2 유로(P2)와 제3 유로(P3)가 연통되도록 하는 위치이다. 여기서, 밸브로드부(300)의 위치는 제2 위치로 정의되고, 밸브로드부(300)의 제2 위치는 제3 연통홀(h3)과 제2 유로(P2)가 마주보게 한다.
이때 유체는 예컨대,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토출되어 제2 유로(P2), 제3 관통홀(h3), 함입부(323) 및 제3 유로(P3)를 순차적으로 거쳐 유압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매니폴드부(200)는, 밸브로드부(300)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고 밸브로드부(30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 하부 로드(320)의 일단과 맞닿는 면이 쐐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부(200)의 쐐기 구조는 하부 로드(320)의 스토퍼(st) 구조에 맞닿게 됨으로써, 밸브로드부(300)가 상기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11 내지 도13을 참고하면, 밸브로드부(300)의 회전에 따른 연통홀의 면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11은 매니폴드부(200)의 제2 유로(P2)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1의 (a)에서 밸브로드부(300)는 상기한 바 있는 제1 위치에서 대략 45도 회전 된 상태이고, 도11의 (b)에서 밸브로드부(300)는 제1 위치에서 대략 75도 회전 된 상태이며, 도11의 (c)에서 밸브로드부(300)는 제1 위치에서 대략 90도 회전하여 상기한 바 있는 제2 위치로 이동된 상태이다.
여기서, 밸브로드부(300)의 연통홀(h1, h2, h3)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로드부(300)는 매니폴드부(200)의 유로(P1, P2, P3)와 연통되는 연통홀(h1, h2, h3)의 면적이 밸브로드부(30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10)는 유량의 비례 제어가 가능하다.
도12는 도11의 밸브로드부(300)의 각도 변화에 따른 연통홀(h3)의 유로와 연통되는 면적을 보여준다. 도13은 도11의 밸브로드부(300)의 각도 변화에 따른 모멘트 변화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10)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소형화됨과 동시에 유체의 이동 방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유량 비례 제어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100: 모터부
200: 매니폴드부
210: 삽입부
P1, P2, P3: 제1, 제2, 제3 유로
300: 밸브로드부
310: 상부 로드
320: 하부 로드
321: 중공부
323: 함입부
325: 내벽부
h1, h2, h3: 제1, 제2, 제3 연통홀
400: 센서부

Claims (14)

  1. 모터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부; 및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되, 상기 매니폴드부에 삽입되는 밸브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유로의 연통 관계를 조정하되,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는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와 나사 결합하는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하부 로드는 일단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중공부, 타단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 및, 상기 중공부와 상기 함입부를 구획하는 내벽부를 포함하는 것
    인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드에는 상기 유로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통홀은 제1, 제2, 제3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제2 연통홀 또는 제3 연통홀과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홀과 상기 제3 연통홀은, 서로 동일 높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 각각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게 제1 연통홀 및 상기 제2 연통홀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3 연통홀은, 상기 내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함입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부는 상기 밸브로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는 제1, 제2, 제3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부는, 상기 유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는, 상기 제1 연통홀과 상기 제1 유로가 마주보게 하고 상기 제2 연통홀과 상기 제2 유로가 마주보게 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연통홀과 상기 제2 유로가 마주보게 하는 제2 위치를 포함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드는, 하단이 쐐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부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하부 로드의 일단과 맞닿는 면이 쐐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에는 박막이 건식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KR1020160036833A 2016-03-28 2016-03-28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KR10165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33A KR101658369B1 (ko) 2016-03-28 2016-03-28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33A KR101658369B1 (ko) 2016-03-28 2016-03-28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369B1 true KR101658369B1 (ko) 2016-09-22

Family

ID=5710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833A KR101658369B1 (ko) 2016-03-28 2016-03-28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3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21Y1 (ko) * 2000-12-11 2001-05-15 김석기 금속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20020025712A (ko) 2000-09-29 2002-04-04 안자키 사토루 유량방향 제어밸브
KR20040110590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회전형 방향제어밸브
KR100665350B1 (ko) * 2005-11-17 2007-01-04 (주)티원엔지니어링 스풀 회전식 방향전환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712A (ko) 2000-09-29 2002-04-04 안자키 사토루 유량방향 제어밸브
KR200224521Y1 (ko) * 2000-12-11 2001-05-15 김석기 금속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20040110590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회전형 방향제어밸브
KR100665350B1 (ko) * 2005-11-17 2007-01-04 (주)티원엔지니어링 스풀 회전식 방향전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040B1 (ko) 유압 로터리 액추에이터
US7694939B2 (en) Flow rate control valve
US20130276268A1 (en) Damping structure
DE102013224112B4 (de) Hydromaschine in Axialkolbenbauweise mit einer durch einen Proportionalmagneten verstellbaren Schrägscheiben-Stelleinrichtung
WO2013105378A1 (ja) 弁装置
JP2008533357A (ja) 可変ポンプ又は液圧モータ
KR101845596B1 (ko) 스로틀 제어되는 유압식 피스톤 펌프
JP2016166670A (ja) ステッパモータ動作バランス流量制御弁
JP6764690B2 (ja) ロータリダンパ
US9605765B1 (en) Rotary hydraulic valve
US10865892B2 (en) Subsea valve with non-circular sliding metal seals
US9539674B2 (en) Clog resistant valve port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KR101658369B1 (ko) 회전식 방향 제어 밸브
JP6523735B2 (ja) バタフライ弁
CN212536667U (zh) 流量控制阀
US8740595B2 (en) Gear pump
EP3553324B1 (en) Valve and hydraulic system with the same
KR102302129B1 (ko) 긴급 차단이 가능한 밸브 개도 제어용 클러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US20120217426A1 (en) Valve apparatus having a double-offset shaft connection
AU2015328620B2 (en) Non-parallel multi-bore sealing device
KR20120039128A (ko) 정?역압이 가능한 삼중 편심형 버터플라이 밸브
US20190003601A1 (en) Rotary valve
US7243594B2 (en) Rotary actuator
KR20210011850A (ko) 유량조절용 게이트밸브
JP6513758B2 (ja) バルブ開度調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