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218B1 -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218B1
KR101658218B1 KR1020160024420A KR20160024420A KR101658218B1 KR 101658218 B1 KR101658218 B1 KR 101658218B1 KR 1020160024420 A KR1020160024420 A KR 1020160024420A KR 20160024420 A KR20160024420 A KR 20160024420A KR 101658218 B1 KR101658218 B1 KR 10165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iscosity
cooling
uni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Priority to KR102016002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02M31/205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에 유입되는 연료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은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연료가 이동하는 제1 유동부; 제1 유동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온도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1 점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 측정부; 제1 유동부에 설치되어 제1 유동부를 이동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 제1 유동부와 체결되어 연료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와 제1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밸브와 냉매를 냉각액으로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액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액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냉각부; 냉각부 및 엔진 사이에 구비되어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가 이동하는 제2 유동부; 제2 유동부에 설치되어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의 온도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2 점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 측정부; 제2 유동부에 설치되어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 상기 제2 유동부에 설치되되, 제2 유량조절밸브와 엔진 사이에 구비되어 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2 점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3 측정부; 및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냉각기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며, 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에서 측정된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고, 냉매조절밸브와 냉각액조절밸브를 통해 냉각부의 냉각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System for Adjusting Viscosity of Fuel}
본 발명은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에 유입되는 연료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고점도(high viscosity)의 특성을 가지며, 다른 연료유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벙커시(Bunker-C)유를 대부분의 선박에서 주엔진의 연료유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 선박에 의한 화물운송량이 증가에 의해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유럽을 중심으로 선박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는 2014년부터 유럽의 북해와 발트해를 배기가스규제지역(Emissions Control Area)으로 지정해 인근을 지나는 선박은 그동안 1%까지 허용되던 배기가스 유황배출 허용치를 0.1%로 규제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1월 1일부터 홍콩 항에 입항하는 선박은 저유황연료를 사용해야 하는 등 배기가스규제지역의 확대됨에 따라 유황 함유율이 높은 벙커시유에서 유황 함유율이 낮은 저유황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을 장착된 선박으로 교체되고 있다.
종래의 점도조절시스템은 연료탱크에 저장된 벙커시유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경화(硬化)되어 연료의 점도가 커지면 연료가 유동하는 것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연료에 의해 작동되는 엔진도 손상 내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연료 탱크 내부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벙커씨유의 점성을 낮춘 상태를 유지시켰다.
그러나 점도가 장치의 작동범위보다 낮은 저유황연료는 오히려 점도를 높여야 하므로, 종래의 기술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0683호 (2013.05.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연료의 점도 변화로 인해 엔진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은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연료가 이동하는 제1 유동부; 제1 유동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온도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1 점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 측정부; 제1 유동부에 설치되어 제1 유동부를 이동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 제1 유동부와 체결되어 연료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와 제1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밸브와 냉매를 냉각액으로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액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액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냉각부; 냉각부 및 엔진 사이에 구비되어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가 이동하는 제2 유동부; 제2 유동부에 설치되어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의 온도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2 점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 측정부; 제2 유동부에 설치되어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 상기 제2 유동부에 설치되되, 제2 유량조절밸브와 엔진 사이에 구비되어 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2 점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3 측정부; 및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냉각기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며, 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에서 측정된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고, 냉매조절밸브와 냉각액조절밸브를 통해 냉각부의 냉각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냉각부는 냉각액 또는 기체의 대류열, 연료의 복사열 및 연료의 전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연료를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있어서, 일단이 제1 유동부와 체결되며 타단은 제2 유동부와 체결되어 냉각부에서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를 재냉각시키도록 이동하는 제3 유동부와, 제2 유동부와 제3 유동부의 체결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잠귄 상태로 있으며 연료의 재냉각 시 열리게 되어 제3 유동부를 통해 상기 냉각부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회수밸브와, 제1 유동부와 제 3 유동부의 체결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잠귄 상태로 있으며 연료의 재냉각 시 열리게 되어 냉각부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유동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 측정된 연료의 온도정보 및 점도정보를 통해 연료의 점도가 엔진의 작동범위보다 낮을 경우, 연료를 재냉각시키도록 제1 유량밸브 및 제2 유량밸브를 통해 연료의 공급양을 조절하고, 회수밸브를 열러 제3유동부를 통해 냉각부로 이동하여 재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은 연료의 점도 변화로 인해 엔진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엔진에 대한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냉각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냉각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냉각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100)은, 제1 유동부(110), 제1 측정부(120), 제1 유량조절밸브(130), 냉각부(140), 제2 유동부(150), 제2 측정부(160), 제2 유량조절밸브(170) , 제2 측정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제1 유동부(110)는 연료탱크(300)의 일측에 체결되며, 타측에 냉각부(140의 일측에 체결되어 연료탱크(30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가 냉각부(140)로 공급되기 위하여 이동한다.
제1 측정부(120)는 제1 유동부(110)에 설치되며, 연료탱크(300)로부터 배출되어 냉각부(140)에 유입되기 전인 연료의 온도와 점도를 측정한다.
제1 측정부(120)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표기)와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미표기)를 포함하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연료의 냉각 전 온도 정보와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연료의 냉각 전 점도정보는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제1 유량조절밸브(130)는 제1 유동부(110)에 설치되어 제1유동부(110)를 이동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유량조절밸브(130)는 연료탱크(300)에서 배출되어 냉각부(140)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며, 제어부(190)에 의해 연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냉각부(140)는 제1 유동부(1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연료탱크(300)로부터 배출되어 제1 유동부(110)를 통해 냉각부(140)에 유입되는 연료를 냉각시킨다.
저유황연료는 일반적인 벙커시유에 비해 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엔진(400)의 작동범위보다 낮아 점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점도는 유체의 흐름에서 어려움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으로, 엔진(400)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정 범위 이내의 점도를 유지하여야 하나, 저유황연료의 경우 점도가 낮으므로,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료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즉, 냉각부(140)에서 연료를 냉각시킴으로써 연료의 점도를 높인다.
냉각부(140)는 제1 유동부(110)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142)와 제1 열교환기(142)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밸브(144)와 연료를 냉각하고 토출되는 냉매를 냉각액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146) 및 제2 열교환기(146)에 공급되는 냉각액을 조절하는 냉각액조절밸브(148)를 포함한다.
냉각부(140)는 제1 열교환기(142) 및 제2 열교환기(14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140)는 냉각액 또는 기체의 대류열, 상기 연료의 복사열 및 상기 연료의 전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연료를 열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동부(150)는 일측에 냉각부와 체결되고 타측에 엔진(400)과 체결되어 냉각부에서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가 엔진(400)으로 공급되기 위하여 이동한다.
제2 측정부(160)는 제2 유동부(150)에 설치되어 냉각부(140)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의 온도와 점도를 측정한다.
제2 측정부(160)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표기)와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미표기)를 포함하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연료의 냉각 후 온도 정보와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연료의 냉각 후 점도정보는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제2 유량조절밸브(170)는 제2 유동부(160)에 설치되어 제2유동부(160)를 이동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한다. 제2 유량조절밸브(170)는 냉각부(140)에서 배출되어 엔진(40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며, 제어부(190)에 의해 연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제3 측정부(180)는 제2 유동부(150)에 설치되며 제2 유량조절밸브(170)와 엔진(400) 사이에 구비되어, 제2 유동부(150)를 통해 엔진(40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와 점도를 측정한다.
제3 측정부(180)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표기)와 연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미표기)를 포함하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연료의 이동 중의 온도 정보와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연료의 이동 중의 점도 정보는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제어부(190)는 엔진(4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점도를 조절하도록 냉각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제1 측정부(120)와 제2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제1 유량조절밸브(130)에서 제1 유동부(160)를 통해 냉각부(140)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하며, 제2 측정부(160)와 제3 측정부(180)에서 측정된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제2 유량조절밸브(170)에서 냉각부(140)로부터 엔진(40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부(190)는 제1 측정부(120), 제2 측정부(160) 및 제3 측정부(180)를 통해 냉각부(140)의 냉각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2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연료의 점도가 엔진(400)의 작동범위보다 낮을 경우, 냉각부(140)가 연료에 대한 냉각온도를 낮추도록 냉각부(140)를 제어한다. 이때, 냉각부(140)의 냉매조절밸브(144)를 통해 제1 열교환기(142)에 공급되는 냉매를 증가시켜 연료를 냉각시키며, 냉각액조절밸브(148)를 통해 제2 열교환기(146)에 공급되는 냉각액을 증가시켜 연료를 냉각시키고 토출되는 냉매를 냉각시켜 냉각부(140)의 냉각온도를 낮게 조절한다.
제어부(190)는 제2 측정부(160)와 제3 측정부(180)에서 측정되는 연료의 온도 및 점도의 측정값을 통한 연료의 온도변화 및 점도변화에 따라 냉각부(140)의 냉각온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제2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연료의 점도가 엔진(400)의 작동범위보다 높을 경우, 냉각부(140)가 연료에 대한 냉각온도를 높이도록 냉각부(140)를 제어한다. 이때, 냉각부(140)의 냉매조절밸브(144)를 통해 제1 열교환기(142)에 공급되는 냉매를 감소시키며, 냉각액조절밸브(148)를 통해 제2 열교환기(146)에 공급되는 냉각액을 감소시켜 냉각부(140)의 냉각온도를 높게 조절한다.
냉각부(140)의 냉각온도는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냉매와 냉각액에 의해 조절되며, 제어부(190)는 냉각부(140)에 유입되는 냉매와 냉각액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300)로부터 배출되어 냉각부(140)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도 조절한다.
제어부(190)는 제1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냉각 전 온도와 점도의 정보와 제2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냉각 후 온도와 점도의 정보를 통해 냉각 전후의 온도 및 점도 차에 따라 냉각부(14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측정부(120)와 제2 측정부(160)에서 측정되는 연료의 온도 및 점도에 따른 냉각온도를 조절한 결과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냉각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점도제어장치(100)는 연료의 점도가 엔진(400)의 작동범위 이내로 조절되도록 연료의 냉각온도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측정부(120) 및 제2 측정부(160)로부터 연료의 점도 및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다.
<제2 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에 있어서 냉각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2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도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때,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200)은 연료를 재냉각시키도록 냉각부(140)로 회수하여 이동시키는 제3 유동부(210), 제1 회수밸브(220) 및 제2 회수밸브(230)를 포함한다.
제3 유동부(210)는 제1 유동부(110)와 제2 유동부(150)와 체결되어 연결되며 재냉각시키기 위한 연료가 이동한다.
제1 회수밸브(220)는 제2 유동부(150)와 제3 유동부(210)의 체결부에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잠귄 상태로 유지되어 제2 유동부(150)을 통해 이동하는 연료가 제3 유동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어부(190)에 의해 열린 상태가 되면 냉각부(140)에서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가 재냉각시키기 위하여 제3 유동부(210)로 유입된다.
제2 회수밸브(230)는 제1 유동부(110)와 제3 유동부(210)의 체결부에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잠귄 상태로 유지되어 제1 유동부(110)을 통해 이동하는 연료가 제3 유동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어부(190)에 의해 열린 상태가 되면 제3 유동부(210)를 통해 이동되는 연료가 재냉각시키기 위하여 제1 유동부(110)를 통해 냉각부(140)로 유입된다.
제어부(190)는 제2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연료의 점도정보 및 온도정보를 통해 연료의 점도가 엔진(400)의 작동 범위보다 낮을 경우, 연료의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재냉각시키다. 제어부(190)는 잠귄 상태인 제1 회수밸브(220)를 열리도록 하여 냉각부(140)에서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가 재냉각시키기 위하여 제3 유동부(210)로 유입시켜 이동하게 하며, 잠귄 상태인 제2 회수밸브(230)를 열리도록 하여 3 유동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어부(190)에 의해 열린 상태가 되면 제3 유동부(210)를 통해 이동되는 연료가 재냉각시키기 위하여 제1 유동부(110)를 통해 냉각부(140)로 유입되게 하여 연료를 재냉각시킨다.
이때, 제1 유량조절밸브(130)과 제2 유량조절밸브(170)에 의해 이동하는 연료의 유량이 감소 또는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90)는 제1 회수밸브(220)과 제2 회수밸브(230)를 제어하여 연료를 재냉각시켜 점도를 높인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110 : 제1 유동부
120 : 제1 측정부
130 : 제1 유량조절밸브
140 : 냉각부
142 : 제1 열교환기
144 : 제2 열교환기
146 : 냉매조절밸브
148 : 냉각액조절밸브
150 : 제2 유동부
160 : 제2 측정부
170 : 제2 유량조절밸브
180 : 제3 측정부
190 : 제어부
210 : 제3 유동부
220 : 제1 회수밸브
230 : 제2 회수밸브
300 : 연료탱크
400 : 엔진

Claims (3)

  1.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연료가 이동하는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1 점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 측정부;
    상기 제1 유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동부를 이동하는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
    상기 제1 유동부와 체결되어 상기 연료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와 상기 제1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상기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밸브와 상기 냉매를 냉각액으로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상기 냉각액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액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 및 엔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상기 연료가 이동하는 제2 유동부;
    상기 제2 유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상기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2 점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 측정부;
    상기 제2 유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부로부터 냉각되어 배출되는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
    상기 제2 유동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엔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센서 및 점도를 측정하는 제3 점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3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상기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상기 냉각부로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3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연료의 온도 정보 및 상기 연료의 점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냉매조절밸브와 상기 냉각액조절밸브를 통해 상기 냉각부의 냉각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제1 유동부와 체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유동부와 체결되어 상기 냉각부에서 냉각되어 배출되는 연료를 재냉각시키도록 이동하는 제3 유동부와,
    상기 제2 유동부와 상기 제3 유동부의 체결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잠귄 상태로 있으며 상기 연료의 재냉각 시 열리게 되어 상기 제3 유동부를 통해 상기 냉각부로 상기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회수밸브와,
    상기 제1 유동부와 상기 제 3 유동부의 체결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잠귄 상태로 있으며 상기 연료의 재냉각 시 열리게 되어 상기 냉각부로 상기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동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2 측정부에 측정된 연료의 온도정보 및 점도정보를 통해 상기 연료의 점도가 엔진의 작동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연료를 재냉각시키도록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및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상기 연료의 공급양을 조절하고, 상기 회수밸브를 열어 상기 제3유동부를 통해 상기 냉각부로 이동하여 재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액 또는 기체의 대류열, 상기 연료의 복사열 및 상기 연료의 전도열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연료를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3. 삭제
KR1020160024420A 2016-02-29 2016-02-29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KR10165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20A KR101658218B1 (ko) 2016-02-29 2016-02-29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20A KR101658218B1 (ko) 2016-02-29 2016-02-29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218B1 true KR101658218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20A KR101658218B1 (ko) 2016-02-29 2016-02-29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40A (ko) * 2016-11-30 2018-06-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료 공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831A (ja) * 1998-05-11 1999-11-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エンジンの燃料冷却装置
JP2001050070A (ja) * 1999-06-01 2001-02-2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
KR101270683B1 (ko) 2011-11-04 2013-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메인 보일러의 연료 점도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17822A1 (en) * 2013-02-25 2016-01-21 Mahle Metal Leve S.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the feeding of fuel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831A (ja) * 1998-05-11 1999-11-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エンジンの燃料冷却装置
JP2001050070A (ja) * 1999-06-01 2001-02-2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
KR101270683B1 (ko) 2011-11-04 2013-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메인 보일러의 연료 점도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17822A1 (en) * 2013-02-25 2016-01-21 Mahle Metal Leve S.A.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the feeding of fuel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40A (ko) * 2016-11-30 2018-06-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료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78454B2 (en) Coolant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for engine performance test
EP2960158B1 (en) Fuel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US20180298806A1 (en) A fluid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400642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oil circuit, in particular for a vehicle
KR101658218B1 (ko) 온도 및 점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CN104455354A (zh) 利用分流式发动机冷却的用于变速器的温度管理系统
KR20180028827A (ko) 여과 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 조절시스템
KR20170055855A (ko) 연료 점도조절시스템
US20230392539A1 (en) Engine cooling system and cooling method therefor
KR101724961B1 (ko) 차량의 엔진 냉각장치
EP3121120B1 (en) Aircraft heat exchange system including a thermoelectric device
KR20170055850A (ko) 연료 점도조절장치
ATE503918T1 (de) Verfahren zur temperaturregelung eines verbrennungsmotors mit turbolader und ladeluftkühler
WO2012136208A1 (en) Triple fuel supply system,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fuel type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n existing fuel supply system
CN110714832B (zh) 用于双燃料船用低速柴油机的缸套冷却水系统及方法
KR102477639B1 (ko) 냉각 시스템
US20180058304A1 (en) Engine Fluid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and Method
US9638139B2 (en) Engine with coolant thrott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05152B2 (en) Separate cooling system for vehicle
US20150176537A1 (en) Exhaust gas recovery apparatus of egr cooler for vehicle
KR101508626B1 (ko)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KR101960186B1 (ko) 유로 별 냉각수 제어 장치 및 방법
US9914545B2 (en) Aircraft heat exchange system including a thermoelectric device
JP6303906B2 (ja) 過給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2573651B1 (ko)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 오일 유량의 측정 유니트 및 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