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77B1 -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77B1
KR101658077B1 KR1020150069633A KR20150069633A KR101658077B1 KR 101658077 B1 KR101658077 B1 KR 101658077B1 KR 1020150069633 A KR1020150069633 A KR 1020150069633A KR 20150069633 A KR20150069633 A KR 20150069633A KR 101658077 B1 KR101658077 B1 KR 10165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xing
coupler
ho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호
Original Assignee
티제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티(주) filed Critical 티제이티(주)
Priority to KR102015006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주방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방 화재진압용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저장용기 상부에 연통하게 설치되어, 양측으로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진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제1통공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헤드의 제2통공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헤드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압력과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흡입관으로부터의 소화약재를 제1통공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부재와, 상기 제1커플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주방에 마련된 조리대 상부에 설치된 후드 내부로 배치되는 제1연결관과, 조리대 상부에 설치된 후드의 흡입구에 구비되며, 제1연결관 일단에 연결된 노즐부와, 후드 내부로 구비되는 화재감지장치와, 상기 제2커플러와 화재감지장치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후드 내부로 고정되며, 정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볼트부재와 상·하부로 굴곡지게 형성된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볼트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 타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체의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 내측으로 탄성가압고정되는 유리벌브와, 상기 상부 고정편에 관통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하부 고정편에 관통설치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상부 내면으로 삽입설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후드 내부로 제1노즐과 제2노즐이 수직 상하로 장착된 노즐부와, 화재감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방 및 후드 내부에 화재시에 수직상하로 소화약재를 방사하여,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kitchen fire suppression}
주방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대형업소 등과 같은 주방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대형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업소의 주방은 많은 인원이 수시로 이용함은 물론,여러 식사주문에 따라 다수의 주방인원과 조리대를 포함한 기타 음식과 관련한 장비들이 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상기 조리대의 경우 대부분 엘피지(LPG) 혹은 도시가스(LNG)외에 전기를 이용한 에너지로서 조리대 화구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대부분 화재에 대한 기초교육을 인수받은 자들이 주방에 근무하고 있다.
음식을 조리함에 있어, 식용유(대두유), 알콜성을 가진 증류수 등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조리대 화구에서 자칫 실수로 인한 화재발생 및 조리대 화구의 밸브잠금이 완전하지 아니하여 가스누출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 기타 전기의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등 일반장소에 비해 신경을 쓰지 않으면 화재가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주방에는 누설된 가스탐지 경보기, 연기탐지기 및 이들에 의해 가스밸브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장치 및 스프링쿨러 등과 같은 각종 안전장비가 소방법에 관리 의거하여 필히 설치되어 화재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방에서는 그만큼 화재의 발생에 대한 주의가 각별한 곳이지만 특히 조리대 화구 또는 화구에 얹혀진 조리용기 혹은 화구측 가스누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주방의 적정장소에는 소화약제가 정장된 소화기가 비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화재의 진압은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는 생각은 갖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화재가 순식간에 크게 번져 손을 쓸수 없게 되어 예상하지 못한 대형 화재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서 대부분 화재를 진압하려 하기 때문에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된 등록특허 20-0207841 "주방용 자동 소화장치"가 소개된바 있다.
상기 소화장치를 복잡한 구조로, 설치상 매우 곤란한 작업을 수반하며, 특히 작동 불량에 따른 오동작의 우려가 있고, 후드 내부에 각종 미세먼지와 혼합된 기름때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 20-0207841 "주방용 자동 소화장치"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 내부로 수직상하로 방사되는 노즐부 및 화재감지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조리대 및 후드 내부에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방 화재진압용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저장용기 상부에 연통하게 설치되어, 양측으로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진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제1통공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헤드의 제2통공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헤드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압력과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흡입관으로부터의 소화약재를 제1통공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부재와, 상기 제1커플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주방에 마련된 조리대 상부에 설치된 후드 내부로 배치되는 제1연결관과, 조리대 상부에 설치된 후드의 흡입구에 구비되며, 제1연결관 일단에 연결된 노즐부와, 후드 내부로 구비되는 화재감지장치와, 상기 제2커플러와 화재감지장치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후드 내부로 고정되며, 정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볼트부재와 상·하부로 굴곡지게 형성된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볼트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 타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체의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 내측으로 탄성가압고정되는 유리벌브와, 상기 상부 고정편에 관통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하부 고정편에 관통설치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상부 내면으로 삽입설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는 제1탄성부재 타단에 연결되는 걸이부와,상기 걸이부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하는 형태로 다수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일면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된 제1스위치부재와, 상기 제1스위치부재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되며,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하는 형태로 다수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일면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돌부을 더 포함하는 제2스위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를 하부 고정편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후드 내부로 제1노즐과 제2노즐이 수직 상하로 장착된 노즐부와, 화재감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방 및 후드 내부에 화재시에 수직상하로 소화약재를 방사하여,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스위치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장치를 설치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소화장치의 작용 전을 나타낸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소화장치의 작용 후를 나타낸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방 화재진압용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100)는, 저장용기(120) 상부에 연통하게 설치되어, 양측으로 제1통공(111)과 제2통공(112)이 형성되며, 내부공간(113)을 가진 헤드(110)와, 상기 헤드(110)의 제1통공(111)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커플러(121)와, 상기 헤드(110)의 제2통공(112)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2커플러(122)와, 상기 헤드(110) 내부공간(113)에 구비되되, 압력과 탄성부재(1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흡입관(132)으로부터의 소화약재를 제1통공(111)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부재(130)와, 상기 제1커플러(12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주방에 마련된 조리대(1) 상부에 설치된 후드(2) 내부로 배치되는 제1연결관(141)과, 조리대(1) 상부에 설치된 후드(2)의 흡입구(3)에 구비되며, 제1연결관(141) 일단에 연결된 노즐부(150)와, 후드(2) 내부로 구비되는 화재감지장치(160)와, 상기 제2커플러(122)와 화재감지장치(160)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142)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장치(160)는 후드 내부로 고정되며, 정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볼트부재(161a)(161a')와 상·하부로 굴곡지게 형성된 고정편(161b)(161b')을 더 포함하는 고정체(161)와, 상기 고정체(161)의 볼트부재(161a)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162)와, 상기 제1탄성부재(162) 타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체(161)의 볼트부재(161a')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재(163)와, 상기 스위치부재(163) 내측으로 탄성가압고정되는 유리벌브(164)와, 상기 상부 고정편(161b)에 관통설치되는 고정부재(165)와, 상기 하부 고정편(161b')에 관통설치되는 커플러(166)와, 상기 커플러(166) 상부 내면으로 삽입설치되는 플런저(167)와, 상기 플런저(167)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16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럼, 본 발명인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장치(100)는 크게 저장용기(120), 헤드(110), 제1커플러(121) 및 제2커플러(122), 로드부재(130), 제1연결관(141) 및 제2연결관(142), 노즐부(150), 화재감지장치(16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용기(120)는 원통형태로, 소화약재를 압축하여 보관하기 위해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헤드(110)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110) 내주면으로, 하단에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관(132)이 나사방식으로 설치되어 저장용기(12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헤드(110)는 저장용기(120) 상부에 연통하게 설치되어, 양측으로 제1통공(111)과 제2통공(112)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진다.
상기 제1커플러(121)의 일단은 헤드(110)의 제1통공(111)에 나사방식으로 연통하게 연결설치되며, 타단은 단부에 노즐부(150)가 설치된 제1연결관(141)이 연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커플러(122)의 일단은 헤드(110)의 제2통공(112)에 나사방식으로 연통하게 연결설치되며, 타단은 단부에 화재감지장치(160)가 설치된 제2연결관(142)이 연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드부재(130)는 헤드(110) 내부에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헤드(110)의 내부 압력과 탄성부재(131)가 상호 작용하여, 소화약제가 제1통공(111)을 지나 제1연결관(141)의 내부 이동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노즐부(150)는 제1연결관(141) 단부에 연결되어 후드(2)의 흡입구(3)에 장착되며, 제1연결관(141)에 연통하게 몸체(151)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151) 상부로는 제1노즐(152)이 장착되고, 몸체(151) 하부로 제2노즐(15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노즐(152)과 제2노즐(153)은 몸체(151)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개의 분공(152a-1)(153a-1)이 외주면에 형성된 니들부(152a)(153a)와, 상기 니들부(152a)(153a) 외주면에 결합하는 내경이 하부로 갈수록 크게 형성된 밸브부(152b)(153b)로 구성되며, 상기 니들부(152a)(153a) 단부에는 소화약재의 분사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분사조절턱부(152c)(153c)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화재감지장치(160)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드(2) 내부로 고정되며, 도면상, 정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한 쌍의 볼트부재(161a)(161a')가 설치되고, 상측면과 하측면에 일체형으로 직교되게 형성되되, 일면에 관통되는 형태로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편(161b)(161b')을 더 포함하는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체(161)와, 상기 고정체(161)에 일단이 고리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162)와, 상기 제1탄성부재(162) 타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볼트부재(161a')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는 탄성을 가진 스위치부재(163)와, 상기 스위치 부재 내측으로 양단이 밀착하여 설치되는 유리벌브(164)와, 상기 고정편(161b)의 관통공을 회전방식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스위치부재(163) 상부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부재(165)와, 상기 하부고정편(161b')의 관통공에 상부가 회전방식이나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커플러(166)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166) 상부 내부로 삽입설치되는 플런저(167) 및 상기 플런저(167)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플런저(167)를 감싸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168)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커플러(166)를 하부 고정편(161b')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너트(169)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163)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부재(163)는 제1스위치(163-1)와 제2스위치(163-2)가 상호 대응하여 결합 및 해제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제1스위치부재(13-1)는 제1탄성부재(162) 타단에 연결되는 걸이부(163a)와, 상기 걸이부(163a)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하는 형태로 다수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부(163b)와, 상기 가압부(163b) 일면에는 고정공(163c)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돌부(163d)(163d')가 형성된다.
상기 제2스위치(163-2)는 제1스위치(163-1)와 상호 대응하는 구조로,
볼트부재(161a')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는 걸이부(163e)와, 상기 걸이부(163e)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하는 형태로 다수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부(163h)와, 상기 가압부(163h) 일면에는 고정공(163f)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돌부(163g)(163g')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163-1)와 제2스위치(163-2)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163-1)의 고정돌부(163d)(163d')가 제2스위치(163-2)의 고정공(163f)에 안내되어 설치되되, 상기 고정돌부(163d)(163d')는 가압부(163b)의 상·하부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도면상, 상부 고정돌부(163d)는 제2스위치(163-2)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163f)에 안내되는 삽입되는 구조, 하부 고정돌부(163d')는 제2스위치(163-2) 하부에 형성된 고정공(163f)에 안내된 다음, 걸림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제1스위치(163-1)가 제2스위치(163-2)에 연결고정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와 같이 제2스위치(163-2)가 제1스위치(163-1)에 연결고정되되, 제1스위치(163-1)의 가압부(163b) 하부는 제2스위치(163-2)의 가압부(163h) 하부 상면으로, 제2스위치(163-2)의 가압부(163h) 상부는 제1스위치(163-1)의 가압부(163b) 상부 저면으로 위치하는 형태로 고정되며, 제1스위치(163-1)의 가압부(163b) 하부와 제2스위치(163-2)의 가압부(163h) 상부 사이에, 각각의 스위치부재(163-1)(163-2)의 탄성력에 의해 유리벌브(164)가 밀착설치되되, 상기 유리벌브(164)를 고정하기 위해 제1스위치(163-1)의 가압부(163b) 하부면 및 제2스위치(163-2) 가압부(163h) 상부면에 결합홈 내지 결합공이 추가로 형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주방에 설치된 조리대(1) 측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화재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후드(2)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장치(160)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화재감지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화재 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에 의해 유리벌브(164)가 파괴되면,
상기 작용과 동시에, 유리벌브(164)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있던 각각 스위치(163-1)(163-2)의 가압부(163b)(163h)가 탄성복원되는 작용과 함께,
각각의 스위치(163-1)(163-2) 가압부(163b)(163h)의 고정공(163c)(163f)에 상호 대응하게 고정된 고정돌부(163d)(163d')(163g)(163g')가 해제되고, 상기 작용과 함께, 제1탄성부재(162)가 복원되어, 제1스위치부재(163)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플런저(167)가 수직상승하여, 커플러(166)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작용과 동시에,
소화기통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소화기 헤드(110) 내부압력과 탄성부재(1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통공(111)을 폐쇄하고 있던 로드부재(130)가 도면상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용과 동시에, 저장용기(120) 내부에 압축되어 있던 소화약재가 흡입관(132)을 내부로 안내되어, 헤드(110)의 제1통공(111)을 지나 제1커플러(121) 내부로 통과하여 제1안내관(141)으로 신속하게 이송되며, 노즐부(150)의 몸체(151) 내부에서, 상기 몸체(151)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노즐(152)과 제2노즐(153)을 통해 수직상하로 소화약재가 방사되어 조리대의 화재 및 후드 내부에 각종 미세먼지와 혼합된 기름때 등에 의해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약재의 분사범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니들부(152a)(153a) 외주면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된 밸브부(152b)(153b)를 손으로 좌 또는 우회전하여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니들부(152a)(153a) 단부에 분사조절턱부(152c)(153c)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하게 소화약재를 방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노즐부(1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8a에서와 같이, 밸브부(152b)(153b)를 손으로 좌회전하여, 분사조절턱부(152c)(153c) 하단부가 밸브부(152b)(153b) 하단부 안쪽으로 형성할 시에는 소화약재가 니들부(152a)(153a)의 분공(152a-1)(153a-1)을 지나 분사조절턱부(152c)(153c)에 부딪치는 동시에, 밸브부(152b)(153b) 내주면에 안내되어 분사범위가 좁게 형성된 상태로 방사되며,
도 8b에서와 같이, 밸브부(152b)(153b)를 손으로 우회전하여, 분사조절턱부(152c)(153c) 하단부가 밸브부(152b)(153b) 하단부 바깥쪽으로 형성할 시에는 소화약재가 니들부(152a)(153a)의 분공(152a-1)(153a-1)을 지나 분사조절턱부(152c)(153c)에 부딪치되, 분사조절턱부(152c)(153c) 하단부가 밸브부(152b)(153b) 하단부 안쪽으로 형성되어 소화약재가 분사조절턱부(152c)(153c)에 부딪치는 양보다 많음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로 방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헤드
111. 112: 제1통공, 제2통공
120: 저장용기
121,122: 제1커플러, 제2커플러
130: 로드부재
131: 탄성부재
141: 제1연결관
142: 제2연결관
150: 노즐부
151: 몸체
152: 제1노즐
153: 제2노즐
160: 화재감지장치
161: 고정체
161a,161a': 볼트부재
161b,161b': 고정편
162: 제1탄성부재
163: 스위치부재
163-1, 163-2: 제1스위치, 제2스위치
163a,163e: 걸이부
163b,163h: 가압부
163c,163f: 고정공
163d(163d'),163g(163g'): 고정돌부
164: 유리벌브
165: 고정부재
166: 커플러
167: 플런저
168: 제2탄성부재
169: 고정너트

Claims (7)

  1. 주방 화재진압용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100)는,
    저장용기(120) 상부에 연통하게 설치되어, 양측으로 제1통공(111)과 제2통공(112)이 형성되며, 내부공간(113)을 가진 헤드(110)와,
    상기 헤드(110)의 제1통공(111)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1커플러(121)와,
    상기 헤드(110)의 제2통공(112)에 연통하게 연결되는 제2커플러(122)와,
    상기 헤드(110) 내부공간(113)에 구비되되, 압력과 탄성부재(1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흡입관(132)으로부터의 소화약재를 제1통공(111)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부재(130)와,
    상기 제1커플러(12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주방에 마련된 조리대(1) 상부에 설치된 후드(2) 내부로 배치되는 제1연결관(141)과,
    조리대(1) 상부에 설치된 후드(2)의 흡입구(3)에 구비되며, 제1연결관(141) 일단에 연결된 노즐부(150)와,
    후드(2) 내부로 구비되는 화재감지장치(160)와,
    상기 제2커플러(122)와 화재감지장치(160)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142)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장치(160)는 후드 내부로 고정되며, 정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볼트부재(161a)(161a')와 상·하부로 굴곡지게 형성된 고정편(161b)(161b')을 더 포함하는 고정체(161)와, 상기 고정체(161)의 볼트부재(161a)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162)와, 상기 제1탄성부재(162) 타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체(161)의 볼트부재(161a')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재(163)와, 상기 스위치부재(163) 내측으로 탄성가압고정되는 유리벌브(164)와, 상기 상부 고정편(161b)에 관통설치되는 고정부재(165)와, 상기 하부 고정편(161b')에 관통설치되는 커플러(166)와, 상기 커플러(166) 상부 내면으로 삽입설치되는 플런저(167)와, 상기 플런저(167)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16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163)는 제1탄성부재(162) 타단에 연결되는 걸이부(163a)와,상기 걸이부(163a)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하는 형태로 다수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부(163b)와, 상기 가압부(163b) 일면에 고정공(163c)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돌부(163d)(163d')가 형성된 제1스위치부재(163)와, 상기 제1스위치부재(163)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되며, 볼트부재(161a')에 연결되는 걸이부(163e)와, 상기 걸이부(163e)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하는 형태로 다수의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부(163h)와, 상기 가압부(163h) 일면에 고정공(163f)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돌부(163g)(163g')을 더 포함하는 제2스위치부재(1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66)를 하부 고정편(161b')에 고정하는 고정너트(16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KR1020150069633A 2015-05-19 2015-05-19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KR10165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633A KR101658077B1 (ko) 2015-05-19 2015-05-19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633A KR101658077B1 (ko) 2015-05-19 2015-05-19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77B1 true KR101658077B1 (ko) 2016-09-20

Family

ID=5710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633A KR101658077B1 (ko) 2015-05-19 2015-05-19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4416A (zh) * 2019-07-11 2019-10-22 山东省鲁宝厨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餐厨灭火一体化装置
CN111053991A (zh) * 2019-12-30 2020-04-24 宁波正欣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灭火器组合使用固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879Y1 (ko) * 1995-03-10 1998-11-02 김명호 자동소화장치
KR200207841Y1 (ko) 2000-07-12 2000-12-15 박진수 주방용 자동 소화장치
KR100933004B1 (ko) * 2009-07-07 2009-12-21 한동진 소방호스용 분사노즐
KR101161952B1 (ko) * 2010-04-07 2012-07-04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423877B1 (ko) * 2013-04-18 2014-08-01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씨테크 분기형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879Y1 (ko) * 1995-03-10 1998-11-02 김명호 자동소화장치
KR200207841Y1 (ko) 2000-07-12 2000-12-15 박진수 주방용 자동 소화장치
KR100933004B1 (ko) * 2009-07-07 2009-12-21 한동진 소방호스용 분사노즐
KR101161952B1 (ko) * 2010-04-07 2012-07-04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423877B1 (ko) * 2013-04-18 2014-08-01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씨테크 분기형 스프링클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4416A (zh) * 2019-07-11 2019-10-22 山东省鲁宝厨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餐厨灭火一体化装置
CN110354416B (zh) * 2019-07-11 2022-02-11 山东省鲁宝厨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餐厨灭火一体化装置
CN111053991A (zh) * 2019-12-30 2020-04-24 宁波正欣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灭火器组合使用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77B1 (ko)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CN201543151U (zh) 厨房设备灭火系统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20100059289A (ko) 밸브의 자동개방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KR101460169B1 (ko)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CN107233686A (zh) 一种灭火系统防误喷控制方法
CN107158608A (zh) 一种具有自动灭火装置的锂电池试验箱
CN105698227B (zh) 一种家用安全智能燃气灶及其控制方法
KR101695162B1 (ko)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CN204285539U (zh) 燃气灶高温报警灭火系统
KR20100030893A (ko) 원터치 자동점화장치를 구비한 업소용 가스렌지
CN212746614U (zh) 一种具有自动灭火功能的排油烟装置
US10512806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CN207214181U (zh) 一种安全消防的抽油烟罩装置
KR101460707B1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장치
KR101234590B1 (ko) 선박의 식용유 튀김조리기 친환경 화재 진압장치
CA3079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oling agent to a gas-fueled cooking appliance to aid in fire suppression
KR101558424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CN203873298U (zh) 具有双重保护功能的整体厨柜
CN218954963U (zh) 一种具有防火系统的吸油烟机
CN207112379U (zh) 厨房设备灭火系统
CN208750773U (zh) 一种具有漏气报警系统的集成灶
CN104197381B (zh) 燃气灶前阀自动控制装置
CN211204174U (zh) 一种具有自动灭火功能的吸油烟机系统
KR20160030683A (ko) 주방용 화재진압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