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38B1 -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38B1
KR101658038B1 KR1020160063784A KR20160063784A KR101658038B1 KR 101658038 B1 KR101658038 B1 KR 101658038B1 KR 1020160063784 A KR1020160063784 A KR 1020160063784A KR 20160063784 A KR20160063784 A KR 20160063784A KR 101658038 B1 KR101658038 B1 KR 10165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hamber
sediment
outer chamber
chamber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이정석
이광주
강인성
Original Assignee
(주) 부원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원건설 filed Critical (주) 부원건설
Priority to KR102016006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8Baskets or like containers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지에 퇴적된 침전물을 수집하고 이송하기 위한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망상으로 형성되는 내부챔버가 외부챔버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침전물을 수용함에 따라, 침전물에 포함된 수분이 빠른시간 내에 분리ㅇ배출 되어 함수율이 낮은 침전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는 침사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된 침전물이 수용되는 배출 컨테이너로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외부챔버; 및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침전물가 수용되는 망상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CONTAINER FOR SEDIMENT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침사지에 퇴적된 침전물을 수집하고 이송하기 위한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망상으로 형성되는 내부챔버가 외부챔버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침전물을 수용함에 따라, 침전물에 포함된 수분이 빠른시간 내에 분리·배출 되어 함수율이 낮은 침전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에서 사용된 하·폐수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해당 공정으로 처리된 후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장에서는 유입수에 포함된 모래나 흙같은 무기물질과 비닐, 유목, 나뭇잎 같은 거대 유기물질을 제거한 뒤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유입수에 포함된 무기물질과 거대 유기물질은 침사지에서 침전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침사지의 바닥면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침전물이 계속 퇴적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입수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침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침전물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물에 의해 이후 공정에 사용되는 기계들에 과부하가 걸리게 됨에 따라 장치가 파손되는 등의 위험들이 있기 때문에 침전물이 일정량 이상 퇴적되는 경우, 침사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침사인양장치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731795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침사인양장치는 고압의 압력수를 이용한 집적수단, 침사 인양기, 이송배관 및 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사지 내의 침사물의 인양 및 세정 등을 한 번의 자동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침사 인양 및 세정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침사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된 침사물은 배출 컨테이너에 수집되어 배출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배출 컨테이너는 내부에 침사물이 수용될 수 있는 장방형의 챔버 형태로 이루어져, 포대 등이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침사물을 수집하고, 포대가 가득 차면 포대를 교체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침사물을 배출하며, 이후 수집된 침사물의 화학적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처리용량이 500톤/일 이하의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수집된 침사물을 자체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집중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에서는 일정시간 침사물을 건조한 뒤, 이를 이송하도록 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침사물을 건조하기 위해, 침사물이 수집된 포대를 메달아 놓거나, 배출 컨테이너에 수용된 상태로 자연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침사물이 포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침사물의 수분이 분리되어 배출되기 어려우며, 포대의 통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침사물의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침사물 건조과정에서 분리된 수분은 일정한 위치에 지속적으로 고여있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침사물에 해충이 발생하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KR 10-0731795 (B1) 2007.06.1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망상으로 형성되는 내부챔버를 외부챔버의 내부에 구비한 상태로 침사물을 수집함에 따라, 침사물에 포함된 수분을 빠른시간 내에 분리·배출하여 함수율이 낮은 침전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는 침사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된 침전물이 수용되는 배출 컨테이너로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외부챔버; 및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침전물가 수용되는 망상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부챔버의 하면은, 상기 배수구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챔버의 내부에는, 일면 상에 복수 개의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챔버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2차 분리하여 수분을 배출시키는 2차 여과필터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챔버에는,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door)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부챔버는 하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사물의 수분이 상당량 분리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건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침사물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해충 등의 문제를 대폭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챔버와 2차 여과필터부에 의해 2중으로 침전물로부터 수분의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함수율이 더욱 낮은 침전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B-B'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사용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여과필터부의 사용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침사지에 퇴적된 침전물을 수집하고 이송하기 위한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망상으로 형성되는 내부챔버(200)가 외부챔버(10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침전물을 수용함에 따라, 침전물에 포함된 수분이 빠른 시간내에 분리·배출 되어 함수율이 낮은 침전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외부챔버(100) 및 내부챔버(2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부챔버(100)는 인양된 침전물의 분리·배출이 이루어지되, 침전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분리된 침전물의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배수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챔버(100)는 내부에 침전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내부챔버(200)는 내부에 유입된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침전물이 수용되는 망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내부챔버(200)의 공극을 과장되게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내부챔버(200)는 침전물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공극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전방향에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침전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침전물에 재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은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측벽에서 돌출되는 이격받침대(150)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챔버(200)가 상기 이격받침대(15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침전물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침전물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양된 침전물이 상기 내부챔버(200)에 유입되면, 상기 내부챔버(200)의 전방향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리가 이루어지고, 분리된 수분은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측에 수집되도록 한다. 이후 수집된 수분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구(110)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침전물은 상기 내부챔버(200)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며, 침사인양장치에서 침사물의 인양이 종료되면, 소정시간 동안 침전물의 수분을 더욱 분리하여 함수율이 낮은 상태로 만든 이후 이를 건조하도록 하며, 건조과정이 종료된 이후 상기 외부챔버(100)로부터 상기 내부챔버(200)를 분리하고, 분리된 내부챔버(200)를 침전물 처리장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수분이 최대로 분리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건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침사물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해충 등의 문제를 대폭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내부챔버(200)는 크레인 등의 장치에 의해 상기 외부챔버(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챔버(20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분리수단(400)을 설치하고, 상기 분리수단(400)을 크레인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내부챔버(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부챔버(200)는 하면이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챔버(200)에 수집된 침사물을 더욱 편리하게 배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챔버(200)의 일측면의 하부에서는 개폐부(5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500)는 걸쇠부(510) 및 버튼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쇠부(510)는 하부에 개방부(511)가 형성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511)가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내부챔버(20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520)는 상기 개방부(511)를 통해 상기 걸쇠부(510)에 삽입되고, 양끝단부가 상기 걸쇠부(510)에 선택적으로 걸림에 따라 상기 내부챔버 하면(210)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고정버튼(521) 및 회전버튼(52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버튼(521)은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챔버의 하면(210)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버튼(522)은 상기 고정버튼(52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버튼(521)에 힌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버튼부(520)가 상기 걸쇠부(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버튼(5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210)의 개폐가 결정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버튼(521)과 회전버튼(522)의 끝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버튼부(520)를 상기 걸쇠부(510)에 삽입하고, 이후 상기 회전버튼(522)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버튼(521)과 회전버튼(522)이 서로 엇갈리도록 함에 따라 상기 회전버튼(522)의 끝단부가 상기 걸쇠부(510)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21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내부챔버(200)의 내부에 수집된 침사물의 배출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고정버튼(521)과 회전버튼(522)이 완전히 겹쳐지도록 상기 회전버튼(522)을 회전시키면,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챔버(200)에 수용된 침사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버튼부(520)가 상기 걸쇠부(510)의 개방부(511)를 통해 자연적으로 하측으로 빠지게 되면서 침사물이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500)는 상기 내부챔버(200)에 수용된 침사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내부챔버(200)의 하면(210)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210)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나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쉽고 빠르게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21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B-B'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의 사용 실시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여과필터부의 사용 실시예이다.
상기 외부챔버(100)는 분리된 수분을 수집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바, 분리된 수분을 더욱 용이하게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해,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은 상기 배수구(11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은 상기 외부챔버(10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10)의 양측면에서 상기 배수구(11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에 떨어진 수분이 경사에 의해 상기 배수구(110)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110)에는 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는 폐쇄된 상태로 수분을 수집하도록 하며, 상기 배수구(110)측에 수집된 수분이 일정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수집된 수분을 한 번에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된 수분이 다시 침전물에 재흡수되지 않기 위해,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부에 수집되는 수분의 수위가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보다 높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배수구(110)는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은 상기 배수구(110)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호퍼형태로 형성되어, 분리된 수분을 상기 배수구(110) 측으로 용이하게 수집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부챔버(200)의 공극을 통해 침전물의 일부가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부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되는 침전물을 재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측에 2차 여과필터부(30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는 공극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챔버(200)로부터 누출되는 침전물을 2차 분리하고, 분리된 수분을 하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의 공극은 상기 내부챔버(200)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내부챔버(200)와 2차 여과필터부(300)에 의해 2중으로 침전물로부터 수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바, 더욱 낮은 함수율을 가지는 침전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전물의 건조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또한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전물의 2차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분의 분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는 상기 외부챔버(100)로부터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분리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를 상기 외부챔버(10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한 뒤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는 상기 외부챔버(100)의 측면을 통해,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부로부터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세하게는, 상호 구성 중 하나의 구성 양측면에는 슬라이딩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구성 양측면에는 슬라이딩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 홈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 홈에는 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슬라이딩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는 이격받침대(15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상기 내부챔버(200)에 수용되는 침전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인 바, 수용된 침전물의 양이 점차 증가할수록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 또한 증가하게 되며, 상기 이격받침대(150)가 파손될 위험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2차 여과필터부(300)의 상면이 상기 이격받침대(15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운반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30) 및 이송수단(140)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외부챔버(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수단(140)은 바퀴 또는 무한궤도 등으로 이루어져 외부챔버(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130)에 외력을 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140)은 침사물의 인양시 제자리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구비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침전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침전물의 수분을 분리·배출 하는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심한 악취가 발생하며 위생적으로도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챔버(100)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120)를 형성하여, 침전물 수분의 분리·배출 및 건조가 이루어진 이후, 상기 도어(120)를 개방하여 외부챔버(1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외부챔버 110 : 배수구
120 : 도어 130 : 손잡이
140 : 이송수단 150 : 이격받침대
200 : 내부챔버 210 : 내부챔버 하면
300 : 2차 여과필터부
400 : 분리수단
500 : 개폐부 510: 걸쇠부
511 : 개방부
520 : 버튼부 521 : 고정버튼
522 : 회전버튼

Claims (5)

  1. 침사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된 침전물이 수용되는 배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는 외부챔버(100); 및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침전물이 수용되는 망상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챔버(200);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챔버(200)는,
    하면(210)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챔버(100)의 하면은,
    상기 배수구(11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챔버(1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챔버(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챔버(200)에서 누출되는 침전물을 2차 분리하여 수분을 배출시키는 2차 여과필터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챔버(100)에는,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door)(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5. 삭제
KR1020160063784A 2016-05-25 2016-05-25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KR10165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84A KR101658038B1 (ko) 2016-05-25 2016-05-25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84A KR101658038B1 (ko) 2016-05-25 2016-05-25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38B1 true KR101658038B1 (ko) 2016-09-20

Family

ID=5710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784A KR101658038B1 (ko) 2016-05-25 2016-05-25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731A1 (en) * 2019-12-06 2021-06-1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Waste bin and method of servic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48B1 (ko) * 2002-02-25 2005-02-21 주식회사제4기한국 대용량 백을 이용한 침전물 탈수 및 건조장치
KR100731795B1 (ko) 2001-05-03 2007-06-22 (주)엠엔코 워터제트 침사인양 세정장치
KR20080105814A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슬러지 탈수적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95B1 (ko) 2001-05-03 2007-06-22 (주)엠엔코 워터제트 침사인양 세정장치
KR100470648B1 (ko) * 2002-02-25 2005-02-21 주식회사제4기한국 대용량 백을 이용한 침전물 탈수 및 건조장치
KR20080105814A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슬러지 탈수적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731A1 (en) * 2019-12-06 2021-06-1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Waste bin and method of servic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7738A (zh) 一种污水垃圾收集装置
KR101658038B1 (ko) 침사인양장치용 배출 컨테이너
US4113616A (en) Fish manure removal method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CN206843166U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澄清设备
JP3732579B2 (ja) 泥状物質の脱水方法および装置
KR200436035Y1 (ko)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KR101275881B1 (ko) 하수 맨홀 준설차용 슬러지 원심분리장치
JP3406258B2 (ja) 緩速濾過装置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106731208A (zh) 家用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1008256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9338234U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箱
JP2002282824A (ja) 生ゴミ処理装置
CN208852541U (zh) 一种垃圾固液分离装置
CN201713393U (zh) 一种小型自动化多级处理含油废水装置
KR100442810B1 (ko) 하수, 오폐수 처리용 침사물 탈수방법과 탈수장치
KR20090002003U (ko) 싱크대설치식 음식물 탈수장치의 회전여과망
KR200188213Y1 (ko) 싱크대용 오수 처리장치
JP3102272U (ja) 排水の固液分離装置
KR101275880B1 (ko) 하수 맨홀 준설차용 슬러지 압착장치
KR100345619B1 (ko) 찌꺼기 분리장치
KR20130090851A (ko) 침사물 감량화 방법 및 침사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