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988B1 -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 Google Patents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988B1
KR101657988B1 KR1020150018350A KR20150018350A KR101657988B1 KR 101657988 B1 KR101657988 B1 KR 101657988B1 KR 1020150018350 A KR1020150018350 A KR 1020150018350A KR 20150018350 A KR20150018350 A KR 20150018350A KR 101657988 B1 KR101657988 B1 KR 10165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insulating film
gate insulating
gate
drai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6817A (en
Inventor
박병국
권대웅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88B1/en
Publication of KR2016009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8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5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specially adapted for biomolecules, e.g. gate electrode with immobilised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6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tubes, 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11Tunnel transis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 소자로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분자를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으로, 채널 영역 상에 소스 영역 쪽과 드레인 영역 쪽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타깃 바이오 분자와 결합하는 제 1, 2 수용기 분자를 배치함으로써,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양방향 전류 특성을 적극 이용하여, 하나의 Tunnel FET 바이오 센서로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분자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agnosi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capable of detecting two kinds of biomolecules with a single sensor element, By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to be coupled,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can be actively used, and two kinds of biomolecules can be detected by one tunnel FET biosensor.

Description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0001]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0002]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

본 발명은 바이오 분자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구조를 갖는 다중 진단용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ensor for detecting biomolecu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sensor for multiple diagnosis having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structure.

최근 나노 크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 대한 공정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의공학 소자, 특히 바이오 센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DNA, 단백질, 그리고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인 개체들의 크기가 나노미터 단위로 반도체 소자의 크기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Recently, as the process technology for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nano size has developed,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 biomolecule using the biomolecule. This is because the size of biological entities such as DNA, proteins, and viruses is similar to the size of semiconductor devices in nanometers.

바이오 센서 중에서 형광 물질의 레벨링(labeling)과 빛을 이용한 탐지 및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결과 분석과 샘플 준비에 많은 시간이 걸리며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labeling이 필요 없고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나노 크기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바이오 센서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Among biosensors, sensors using fluorescent labeling, detection using light, and chemical methods are widely used. 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it takes much time to analyze the results and prepare the sample and it is expensive. For this reason, nano-sized 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that do not require labeling and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are gaining popularity as biosensors.

그러나 모스펫(MOSFET)과 같은 일반적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도 1(d)에서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unnel FET: TFET)와 대비되는 바와 같이, 소자의 물리적 한계로 문턱전압이하 기울기(Subthreshold Swing: SS)가 60mV/dec 이하로 동작하도록 제조할 수 없어, 최근에는 터널링을 이용한 반송자 주입방식으로 전류를 형성하여 바이오 분자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가지는 Tunnel FET가 바이오 센서로써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However, a general field effect transistor (FET), such as a MOSFET, has a subthreshold swing at the device ' s physical limit, as compared to a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TFET) : SS) can not be manufactured to operate at 60 mV / dec or less. Recently, Tunnel FET having a high sensitivity to biomolecules by forming a current by a carrier injection method using tunnel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biosensor.

Tunnel FET 바이오 센서는, 도 1(a) 및 도 1(b)과 같이, 기존 MOSFET에서 게이트 메탈이 없으며 비대칭적인 소스/드레인 도핑으로 변경된 구조를 갖고, 게이트 절연막 위에 인위적으로 결속시킨 수용기 분자(receptor)에 바이오 분자(taeget)가 결속되면서 발생하는 게이트 전위 변화가 드레인 전류 변화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바이오 분자를 검출하게 된다.Tunnel FET biosens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gate metal is not present in an existing MOSFET and a structure is changed to asymmetric source / drain doping a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a receptor molecule artificially bound to a gate insulating film The biomolecule is detected by the principle that the change of the gate potential caused by the binding of the biomolecule (taeget) to the drain current changes the drain current.

따라서, Tunnel FET 바이오 센서는 터널링을 이용한 반송자 주입방식으로 전류를 형성하므로, 도 1(c) 및 도 1(d)와 같이, MOSFET으로 대표되는 기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CFET)보다 적은 게이트 전위 변화로도 큰 드레인 전류를 유발하여 우수한 감도를 가진다.Therefore, since the Tunnel FET biosensor forms a current by the carrier injection method using tunneling, as shown in FIGS. 1 (c) and 1 (d), the gate potential change A large drain current is induced to have a good sensitivity.

그런데, 종래 Tunnel FET 바이오 센서는, 도 2와 같이,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분자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수용기 분자가 결속된 두 개의 Tunnel FET 바이오 센서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unnel FET biosensor,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problem that two Tunnel FET biosensors having different receptor molecules bound to each other must be used in order to detect two types of biomolecules.

한편, 종래 Tunnel FET에서는 게이트에 반대 전압이 인가될 때에도 드레인 전류가 흐르는 즉 양방향 전류(ambipolar current) 특성이 나타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169464호, 제10-1058370호 등에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unnel FET, in order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 that a drain current flows, that is, an ambipolar current characteristic even when a reverse voltage is applied to a gate,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1169464 and No. 10-1058370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종래 Tunnel FET의 양방향 전류 특성을 억제하기보다는 이를 적극 활용하여 하나의 Tunnel FET 바이오 센서로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분자를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diagnostics Tunnel FET biosensor capable of detecting two types of biomolecules with one Tunnel FET biosensor by positively utilizing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Tunnel FET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는 반도체 기판의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도전형으로 형성된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 상에 상기 소스 영역 쪽과 상기 드레인 영역 쪽으로 각각 나누어 배치되어 서로 다른 타깃 바이오 분자와 결합하는 제 1, 2 수용기 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diagnosi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opposite conductivity types with a channel region therebetween; And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disposed on the channel region and separated from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respectively, and bonded to different target biomolecules.

상기 채널 영역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가 부착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multi-diagnosi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gate insulating film is further formed on the channel region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are deposit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는 각각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전도성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물질층으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are each formed of at least one additional material layer that is conductive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which is another feature of the multi-diagnosi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일측 상에 상기 채널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는 상기 게이트를 따라가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타측 상에 부착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gate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nnel region on one sid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are attach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along the gate, Another feature of the effect transistor biosensor.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일부 겹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기 분자는 상기 소스 영역과 겹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부위부터 상기 드레인 영역 쪽으로 가며 부착되고, 상기 제 2 수용기 분자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겹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부위부터 상기 소스 영역 쪽으로 가며 부착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gate insulating film is form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the first receiver molecule is attached to the drain region from a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verlapping the source region,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gate region from the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verlapping the drain region toward the source region.

상기 절연층은 매몰 산화막이고, 상기 소스 영역,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SOI(Si-On-Insulator) 기판 또는 GOI(Ge-On-Insulator) 기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채널 영역은 도핑 없이 형성되거나 상기 소스 영역 또는 상기 드레인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ource region, the channel region, and the drain region are formed of an SOI (Si-On-Insulator) substrate or a GOI (Ge-On-Insulator) Or a concentration lower than a doping concentration of the source region or the drain region. The multi-diagnosi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은 채널 영역 상에 소스 영역 쪽과 드레인 영역 쪽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타깃 바이오 분자와 결합하는 제 1, 2 수용기 분자를 배치함으로써,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양방향 전류 특성을 적극 이용하여, 하나의 Tunnel FET 바이오 센서로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분자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that bind to different kinds of target biomolecules on the source region side and the drain region side are disposed on the channel region to positively utilize the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FET biosensors can detect two types of biomolecules.

도 1은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도 1(a)], 기본 구조도[도 1(b)] 및 기존 MOSFET(CFET) 바이오 센서와의 감도 비교를 위한 전기적 특성도이다[도 1(c) 및 도 1(d)].
도 2는 두 종류의 바이오 분자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n-type Tunnel FET의 양방향 전류특성을 보여주는 전기적 특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개념도[도 4(a)] 및 바이오 분자 결속에 따른 전달 특성을 보여주는 전기적 특성도이다[도 4(b)].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에서 소스 영역 쪽과 드레인 영역 쪽에 서로 다른 바이오 분자가 결속될 때, 에너지 밴드 변화를 보여주는 에너지 밴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출력회로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에서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 1, 2 수용기 분자를 형성하는 각 추가물질의 길이 변화에 따른 소스와 채널 사이의 터널링 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전기적 특성도이다.
1 is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diagram for comparing the sensitivity with a conventional MOSFET (CFET) biosensor [Fig. 1 (a)], a basic structure diagram [Fig. 1 (b)] showing the principle of a tunnel FET biosensor 1 (c) and 1 (d)].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Tunnel FET biosensor for detecting two types of biomolecules.
3 is an electric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 of the n-type Tunnel FET.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inding of biomolecules (FIG.
FIG. 5 is an energy band diagram showing energy band changes when different bio molecules are bound to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in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utput circuit configuration of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rocess diagram briefly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unneling current between a source and a channel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of each additional material forming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on a gate insulating film in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stic diagra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는, 도 4(a)와 같이, 반도체 기판의 절연층(1); 상기 절연층 상에 채널 영역(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도전형으로 형성된 소스 영역(2)과 드레인 영역(4); 및 상기 채널 영역(3) 상에 상기 소스 영역(2) 쪽과 상기 드레인 영역(4) 쪽으로 각각 나누어 배치되어 서로 다른 타깃 바이오 분자(7, 8)와 결합하는 제 1, 2 수용기 분자(5, 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1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shown in FIG. 4 (a); A source region (2) and a drain region (4)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opposite conductivity types with a channel region (3) therebetween; And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5, 6), which are disposed on the channel region (3) and are separated from the source region (2) and the drain region (4) 6).

여기서, 상기 절연층(1)은 벌크 반도체 기판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SOI(Si-On-Insulator) 기판 또는 GOI(Ge-On-Insulator) 기판의 매몰 산화막(BOX)으로 형성함이 벌크 바디로의 누설전류를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고, 후자의 경우 상기 소스 영역(2), 상기 채널 영역(3) 및 상기 드레인 영역(4)은 SOI(Si-On-Insulator) 기판 또는 GOI(Ge-On-Insulator) 기판에 형성하게 된다. 이때, 소스 영역(2)은 P+, 드레인 영역(4)은 N+ 도핑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비대칭 도핑구조를 갖게 되고, 채널 영역(3)은 도핑 없이 진성 반도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소스 영역(2) 또는 상기 드레인 영역(4)의 도핑 농도보다 낮은 농도(P- 또는 N-)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layer 1 may be formed of a bulk semiconductor substrate, but it may be formed of a buried oxide film BOX of an SOI (Si-On-Insulator) substrate or a GOI (Ge-On-Insulator) In the latter case, the source region 2, the channel region 3 and the drain region 4 may be formed on a Si-On-Insulator (SOI) substrate or a Ge- On-insulator substrate. The source region 2 is formed of P +, the drain region 4 is formed of N + doping, or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to have an asymmetric doping structure. The channel region 3 is formed of an intrinsic semiconductor without doping, ) Or a concentration (P- or N-) lower than the doping concentration of the drain region 4.

상기 제 1 수용기 분자(5)는 특정 바이오 분자(7)와 결합하는 것으로 임의 형상을 갖는 특정 물질층으로, 상기 제 2 수용기 분자(6)는 다른 종류의 바이오 분자(7)와 결합하는 것으로 임의 형상을 갖는 다른 물질층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eceptor molecule 5 binds to a specific biomolecule 7 and is a specific substance layer having an arbitrary shape. The second receptor molecule 6 binds to another kind of biomolecule 7, And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 layers having different shapes.

다만, 상기 제 1 수용기 분자(5)는 소스 영역(2) 쪽으로, 상기 제 2 수용기 분자(6)는 드레인 영역(4) 쪽으로 각각 나누어 배치된다.However, the first receptor molecules 5 and the second receptor molecules 6 are disposed toward the source region 2 and the drain region 4,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 1, 2 수용기 분자(5, 6)에 특정 바이오 분자(7, 8)가 결합할 경우, 도 5와 같이, 채널 영역(3)의 에너지 밴드에 소스 영역(2) 쪽과 드레인 영역(4) 쪽에 각각 부분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하여, 소스와 채널 사이에서의 터널링 전류[도 5(a)] 및 채널과 드레인 사이에서의 터널링 전류[도 5(b)]에 영향을 줌으로써, 도 4(b)와 같이, 양방향 전류특성에 각 문턱전압 이동(Vth shift)을 주게 되고, 이를 통하여 하나의 Tunnel FET 바이오 센서로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분자(7, 8)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pecific biomolecules 7 and 8 are bond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5 and 6 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band of the channel region 3 is coupled to the source region 2, 5 (a)) between the source and the channel and the tunneling current (Fig. 5 (b)) between the channel and the drain (Vth shift) is given to the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4 (b), and two types of biomolecules 7 and 8 are detected by one Tunnel FET biosensor .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5, 6)는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을 띨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채널 영역(3)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을 더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5, 6)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는 각각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추가 물질층은 골드(Gold) 등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5 and 6 may be conductive or nonconductive. In the latter case, a gate insulat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channel region 3,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So that the acceptor molecules 5, 6 can be attached.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additional material layer appli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each additional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gold.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일측 상에 상기 채널 영역(3)의 길이 방향으로 게이트(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5, 6)는 상기 게이트를 따라가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타측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gate (not show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nnel region 3,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5 and 6 follow the gate, Or on the other sid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상기 게이트는, 도 5와 같이, 채널 영역(3)의 에너지 밴드를 아래로 또는 위로 이동시키며, 도 4(b)의 문턱전압 이동(Vth shift) 여부로 바이오 분자(7, 8)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채널 영역(3)에 전위 변화로 에너지 밴드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a)에서 채널 영역(3)의 길이 방향을 따라가며 채널 영역(3)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 상에 게이트가 형성될 수도 있고, 채널 영역(3) 위에 게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 1, 2 수용기 분자(5, 6)는 게이트를 따라가며 채널 영역(3)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 상에 배치하게 된다.The gate moves the energy band of the channel region 3 downward or upward as shown in FIG. 5 and detects the biomolecules 7 and 8 by the threshold voltage shift (Vth shift) in FIG. 4 (b) So that it can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energy band can be moved by the potential change in the channel region 3. For example, a gate may be formed on one side wall or both side walls of the channel region 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nnel region 3 in FIG. 4 (a), and a gate may be formed on the channel region 3 . In the latter case,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5 and 6 are arranged on one side wall or both side walls of the channel region 3 along the gate.

도 3은 n-type Tunnel FET의 양방향 전류특성을 보여주는 전기적 특성도이다. 이와 같이, 기존에 양방향 전류특성을 보이는 n-type Tunnel FET 구조에, 도 4(a)와 같이 제 1, 2 수용기 분자(5, 6)를 배치하고, 채널 영역(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게이트(미도시)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 5(a)와 같이, 채널 영역(3)의 에너지 밴드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소스와 채널 사이에서 터널링 전류가 감지 전류로 흐르게 되는데, 소스 영역(2) 쪽으로 배치된 제 1 수용기 분자(5)에 음의 전하를 띤 바이오 분자(7)가 결합할 경우, 도 4(b)에서 문턱전압(Vth)이 우측으로 이동(shift)하게 된다.3 is an electric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 of the n-type Tunnel FE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 molecules 5 and 6 are disposed in the n-type Tunnel FET structure exhibiting the bidirectional current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4 (a) When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not shown), the energy band of the channel region 3 is lowered as shown in FIG. 5A, so that the tunneling current flows into the sensing current between the source and the channel. When the biomolecule 7 having a negative charge is coupled to the first receptor molecule 5 disposed toward the region 2, the threshold voltage Vth shifts to the right in Fig. 4B .

한편, 상기 게이트(미도시)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5(b)와 같이, 채널 영역(3)의 에너지 밴드가 위로 올라가게 되어 채널과 드레인 사이에서 터널링 전류가 감지 전류로 흐르게 되는데, 드레인 영역(4) 쪽으로 배치된 제 2 수용기 분자(6)에 양의 전하를 띤 바이오 분자(8)가 결합할 경우, 도 4(b)에서 문턱전압(Vth)이 좌측으로 이동(shift)하게 된다.Whe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not shown), the energy band of the channel region 3 rises upward as shown in FIG. 5 (b), and a tunneling current flows into the sensing curr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drain The threshold voltage Vth shifts to the left in FIG. 4 (b) when the biomolecule 8 having a positive charge is coupled to the second receiver molecule 6 disposed toward the drain region 4, .

다른 실시 예로, 도 8의 센서의 소자 단면도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예컨대, 게이트 산화막: Gate Oxide)을 P+ 소스 영역(2) 및 N+ 드레인 영역(4)과 일부 겹치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제 1 수용기 분자(5)용 물질층(L1)은 P+ 소스 영역(2)과 겹치는 게이트 절연막의 부위부터 N+ 드레인 영역(4) 쪽으로 가며 형성(부착)되고, 제 2 수용기 분자(6)용 물질층(L2)은 N+ 드레인 영역(4)과 겹치는 게이트 절연막의 부위부터 P+ 소스 영역(2) 쪽으로 가며 형성(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용기 분자(5)용 물질층(L1)과 제 2 수용기 분자(6)용 물질층(L2)은, 도 8과 같이, 서로 만날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나머지보다 길게 형성할 수도 있고(L2>L1 또는 L1>L2), 같은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L1=L2). In another embodiment, a gate insulating film (for example, a gate oxide film) is form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with the P + source region 2 and the N + drain region 4 as shown in the device sectional view of FIG. 8, The material layer L1 for the molecule 5 is formed (adhered) from the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verlapping the P + source region 2 to the N + drain region 4 and the material layer L2 for the second receiver molecule 6 ) Can be formed (attached) from the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verlapping the N + drain region 4 to the P + source region 2 side. At this time, the material layer L1 for the first receptor molecule 5 and the material layer L2 for the second receptor molecule 6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L2 > L1 or L1 > L2) and may have the same length (L1 = L2).

도 8에서 보여주는 전기적 특성도에 의하면, 제 1 수용기 분자(5)용 물질층(L1)과 제 2 수용기 분자(6)용 물질층(L2)이 각각 터널링에 영향을 주는 P+ 소스 영역(2)과 N+ 드레인 영역(4)의 상부 또는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한 각 물질층의 길이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변화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8, the material layer L1 for the first receiver molecule 5 and the material layer L2 for the second receiver molecule 6 are connected to the P + source region 2, which influences the tunneling, And the length of each material layer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r adjacent portion of the N + drain region 4,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drain curr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출력회로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의 회로 구성 중 센서 부분은 Tunnel FET 바이오 센서와 고정 저항으로 형성되며 센서 부분의 출력은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저항과 고정 저항의 저항 분배를 통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다중 진단 실행 시 각각의 진단에 사용되는 전류 차이가 크게 되면 다중 진단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는 양방향 전류를 다중 진단에 사용하며 양방향 전류는 모두 터널링에 의해 형성되므로 그 전류 양이 거의 같은 수준이어서 상기 우려 없이 다중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utput circuit configuration of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sensor portion is formed of a Tunnel FET biosensor and a fixed resistor, and the output of the sensor portion is determined by a resistance of the Tunnel FET biosensor and a resistance distribution of the fixed resistance. Therefore, when the current difference used for each diagnosis becomes large during execution of multiple diagnosis, multiple diagnosis becomes impossible. However, the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bidirectional current for multiple diagnosis and both currents are formed by tunneling,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is almost the same, so that multiple diagnosis can be performed without concer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진단용 Tunnel FET 바이오 센서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도 7(a)와 같이, 실리콘 기판에 채널 영역(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도전형을 갖도록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20)을 형성하고, 기판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30)을 형성한 후, 감광막(PR)을 패터닝한 다음, 도 7(b)와 같이, 제 1 또는 제 2 수용기 분자용 추가 물질층(50)을 형성하고, 도 7(c)와 같이, 리프트-오프(lift-off) 공정을 통해 감광막(PR)을 제거하고 추가 물질층(50)을 패터닝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FIG. 7 is a process diagram briefly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ulti-diagnosis tunnel FET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20 are formed on a silicon substrate so as to have opposite conductivity types with a channel region 10 therebetween, The gate insulating film 30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30 and then the photosensitive film PR is patterned to form the additional material layer 50 for the first or second receptor molecule as shown in FIG. the photoresist PR is removed through a lift-off process and the additional material layer 50 is patterned, as shown in FIG.

기타, 알려진 Tunnel FET 바이오 센서의 구조 및 일반적인 Tunnel FET 제조공정에 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known Tunnel FET biosensor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general Tunnel FET will be referred to,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 절연층(매몰 산화막) 2: 소스 영역
3, 10: 채널 영역 4, 20: 드레인 영역
5: 제 1 수용기 분자 6: 제 2 수용기 분자
7: 제 1 수용기 분자에 결합하는 바이오 분자
8: 제 2 수용기 분자에 결합하는 바이오 분자
30: 게이트 절연막 40: 감광막
50: 제 1 또는 제 2 수용기 분자용 추가 물질층
1: insulating layer (buried oxide film) 2: source region
3, 10: channel region 4, 20: drain region
5: first receptor molecule 6: second receptor molecule
7: Biomolecule binding to the first receptor molecule
8: Biomolecules binding to the second receptor molecule
30: Gate insulating film 40:
50: additional substance layer for the first or second receptor molecule

Claims (6)

반도체 기판의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도전형으로 형성된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채널 영역 상에 상기 소스 영역 쪽과 상기 드레인 영역 쪽으로 각각 나누어 배치되어 서로 다른 타깃 바이오 분자와 결합하는 제 1, 2 수용기 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
An insulating layer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opposite conductivity types with a channel region therebetween; And
And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disposed on the channel region and separated from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respectively, and bonded to different target biomolecules. 2. The multi-diagnostic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영역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ate insulating film is further formed on the channel reg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are attach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는 각각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전도성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물질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are each formed of at least one additional material layer that is conductive on the gate insulation lay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일측 상에 상기 채널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수용기 분자는 상기 게이트를 따라가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타측 상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A gate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nnel region on one sid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ceptor molecules are attach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te insulating film along the gate.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일부 겹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기 분자는 상기 소스 영역과 겹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부위부터 상기 드레인 영역 쪽으로 가며 부착되고,
상기 제 2 수용기 분자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겹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부위부터 상기 소스 영역 쪽으로 가며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gate insulating film is form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Wherein the first receptor molecule is attached from the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verlapping the source region toward the drain region,
Wherein the second receiver molecule is attached to the source region from the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overlapping the drain reg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매몰 산화막이고,
상기 소스 영역,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SOI(Si-On-Insulator) 기판 또는 GOI(Ge-On-Insulator) 기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채널 영역은 도핑 없이 형성되거나 상기 소스 영역 또는 상기 드레인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단용 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오 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a buried oxide film,
The source region, the channel region, and the drain region are formed of a Si-On-Insulator (SOI) substrate or a Ge-On-Insulator (GOI)
Wherein the channel region is formed without doping or at a concentration lower than the doping concentration of the source region or the drain region.
KR1020150018350A 2015-02-06 2015-02-06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KR101657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350A KR101657988B1 (en) 2015-02-06 2015-02-06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350A KR101657988B1 (en) 2015-02-06 2015-02-06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817A KR20160096817A (en) 2016-08-17
KR101657988B1 true KR101657988B1 (en) 2016-09-20

Family

ID=5687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350A KR101657988B1 (en) 2015-02-06 2015-02-06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9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48B1 (en) * 2016-11-29 2018-07-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iosensor based on field-effect transistor having multi-dielectric stack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068087B1 (en) * 2017-03-24 2020-01-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Insulin detection sensor based on nanowire field-effect transistor
KR102014313B1 (en) * 2017-06-22 2019-08-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mbipolar transistor and electronic sensor of high sensitivity using thereof
KR102171434B1 (en) * 2019-03-25 2020-10-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eedback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84252B1 (en) * 2019-04-30 2021-08-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bio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34B1 (en) 2009-11-27 2010-07-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cting multiple analytes for use in a biosensor
CN103558279A (en) 2013-11-15 2014-02-0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Biosensor based on silicon nanowir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io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474B1 (en) * 2007-07-19 2009-07-13 한국화학연구원 Bio senso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etecting method of bio material using it
KR20110104245A (en)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나노플랫폼 Fet based biosens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cting target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34B1 (en) 2009-11-27 2010-07-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cting multiple analytes for use in a biosensor
CN103558279A (en) 2013-11-15 2014-02-0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Biosensor based on silicon nanowir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io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817A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88B1 (en) Multiplexed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
Singh et al. Label-free biosensor using nanogap embedded dielectric modulated schottky tunneling source impact ionization MOS
Yu et al. High performance of ZnO nanowire protein sensors enhanced by the piezotronic effect
Dwivedi et al. Applicability of Transconductance-to-Current Ratio ($ g_ {\mathrm {m}}/I_ {\mathrm {ds}} $) as a Sensing Metric for Tunnel FET Biosensors
Rahman et al. Effect of biomolecule position and fill in factor on sensitivity of a dielectric modulated double gate junctionless MOSFET biosensor
Shalev et al. Specific and label-free femtomolar biomarker detection with an electrostatically formed nanowire biosensor
Dwivedi et al. A new simulation approach of transient response to enhance th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in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based biosensor
Moon et al. Comparative study of field effect transistor based biosensors
Narang et al. Model of GaSb-InAs pin gate all around BioTunnel FET
Kalra et al. Reconfigurable FET biosensor for a wide detection range and electrostatically tunable sensing response
Das et al.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surrounding gate MOSFET for biosensing applications-a synoptic study
Reddy et al. Nanowire gate all around-TFET-based biosensor by considering ambipolar transport
Goel et al. Dielectric modulated triple metal gate all around MOSFET (TMGAA) for DNA bio-molecule detection
Kanungo et al. A device simulation-based investigation on dielectrically modulated fringing field-effect transistor for biosensing applications
Saha et al. Drain current characterization of dielectric modulated split gate TFET for bio-sensing application
Rashid et al. L-shaped high performance Schottky barrier FET as dielectrically modulated label free biosensor
Ashima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graded channel gate-all-around silicon nanowire FET for biosensing applications
Das et al. Dielectrically modulated ferroelectric-TFET (Ferro-TFET) based biosensors
Noor et al. Application of nanocavity embedded dual metal double gate TFET in biomolecule detection
Kim et al. A dual-gate field-effect transistor for label-free electrical detection of avian influenza
Shadman et al. Quantum ballistic analysis of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based double gate junctionless field effect transistor and its application in nano-biosensor
Naumova et al. Optimization of the response of nanowire biosensors
Sarkar 2D Materials for Field-Effect Transistor–Based Biosensors
Talukdar et al. Highly sensitivity Non-Uniform Tunnel FET based biosensor using source engineering
Swati et al.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an InAs-based dielectric-modulated heterojunction TFET as a label-free bio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