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935B1 -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935B1
KR101657935B1 KR1020150167470A KR20150167470A KR101657935B1 KR 101657935 B1 KR101657935 B1 KR 101657935B1 KR 1020150167470 A KR1020150167470 A KR 1020150167470A KR 20150167470 A KR20150167470 A KR 20150167470A KR 101657935 B1 KR101657935 B1 KR 10165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wire
plate structure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배
이대연
김영수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건기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40Slabs or sheets locally modified for auxiliary purposes, e.g. for resting on walls, for serving as guttering; El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ridg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lab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빔(1)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와;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일측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상기 각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타측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고정대(26)와 이루어지는 와이어고정대와; 상기 제1와이어고정대(22) 각각의 제1고정판(23)에 체결되는 제1와이어거치대(32)와, 상기 제2와이어고정대(26) 각각의 제2고정판(27)에 체결되는 제2와이어거치대(36)로 이루어지는 와이어거치대와; 상기 제1, 2와이어거치대(32, 36) 각각에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조절와이어(50)와; 상기 조절와이어(40)의 타단부위와 연결되는 와이어가동장치(40)와; 상기 각 단위 플레이트(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60)와; 상기 하중감지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70)를; 포함하는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Structure of reinforced deck plate having smart control device of load-resisting in roof}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감지센서 및 가동장치를 이용하여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지붕 부재가 처지는 경우 이를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 지붕은 외부로부터 빗물, 눈, 먼지 등의 이물질과 열에너지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축물 내부 공간의 열 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지붕이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통상적인 구조는 상부 패널과, 단열 부재, 그리고 단열 부재 및 상부 패널을 받치는 하부 패널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하부 패널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체 중에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64605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00436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데크 플레이트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부 평판과 하부 평판의 양 모서리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측벽이 상호 접하면서 하나의 구조체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H 빔(또는 I 빔) 상부에 수직으로 놓여져 H 빔들과 결합된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는 금속 판재를 성형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금속 판재가 너무 두꺼우면 재료비가 많이 소요됨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금속 판재의 성형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며, 이와 반대로 금속 판재가 너무 얇으면 데크 플레이트 자체의 하중 및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 부재의 하중 그리고 지붕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풍하중 등으로 인해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 평판이 심하게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지붕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반드시 특정 두께 범위의 금속 판재 사용이 강제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만 있다면 사용되는 H 빔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며 시공 후의 외관도 수려하다. 하지만, 데크 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로 일정 두께 범위의 금속 판재를 사용해서 만들기 때문에 전체 하중 등을 감안하면 실제 사용 가능한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6699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5와 같이, 인접하여 상호 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측벽 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보강 와이어(20)를 길이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인장 응력을 보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보강 와이어를 이용하여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인장 응력을 증대시켜 종래 시공 가능한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한계를 극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일단 시공이 완료되면 보강 와이어를 이용하여 지붕에 작용하는 내하중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방법이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669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지붕에 작용하는 내하중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지붕이 항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 단부 각각에 절곡단(12, 16)이 형성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져 지지빔(1)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와;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일측에 마련되되 일측부위가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단(21)과 상기 제1삽입단(21)의 타측부위에서 절곡되어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판(23)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상기 각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타측에 마련되되 일측부위가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단(25)과 상기 제2삽입단(25)의 타측부위에서 절곡되어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2고정판(27)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고정대(26)와 이루어지는 와이어고정대와;
상기 제1와이어고정대(22) 각각의 제1고정판(23)에 체결되는 제1와이어거치대(32)와, 상기 제2와이어고정대(26) 각각의 제2고정판(27)에 체결되는 제2와이어거치대(36)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이루는 최외곽 단위 데크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1와이어거치대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회동롤러(33)와, 상기 제1회동롤러(33)가 설치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측판부위에 형성되는 관통공(14) 일측에 설치되는 제2회동롤러(37)로 이루어지는 와이어거치대와;
엑츄에이터(42) 및 엑츄에이터제어기(46)로 이루어져 상기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최외곽 단위 데크 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마련되는 와이어가동장치(4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을 지지되되, 일단부위는 상기 제2와이어거치대(36) 중 최외곽 제2와이어거치대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상기 제1, 2와이어거치대(32, 36) 각각에 지그재그로 연결된 다음 상기 제1, 2회동롤러(33, 37)를 거쳐 상기 엑츄에이터(42)와 연결되는 조절와이어(50)와;
상기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60)와;
상기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동장치(40)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70)와;
상기 제어장치(70) 및 와이어가동장치(4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80)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하면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62) 및 인접하는 상기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을 조절와이어로서 지지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일정 길이 이상의 단위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감지센서 및 엑츄에이터를 매개하여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변위 변화에 능등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지붕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개략적인 하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있어 엑츄에이터와 조절와이어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파괴하중 시험분석표.
도 5는 종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및 하부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있어 엑츄에이터와 조절와이어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관계도이다. 본 발명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와이어고정대, 와이어거치대, 와이어가동장치(40), 조절와이어(50), 감지센서(60), 제어장치(70), 전원공급장치(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단위 데크 플레이트(10)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금속 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만들어지며, 양측 단부 각각에는 절곡단(12, 16)이 형성된다.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 상호간은 각 절곡단 끼리 씨밍결합하여 연속하는 구조체를 이루게 되며 이는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인바 설명은 생략한다.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이루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 중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측판에는 도면과 같이 관통공(14)이 형성된다.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는 H 빔 또는 I 빔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빔(1)에 고정결합되며, 그 내부공간에는 단열흡음재가 채워질 수 있다.
와이어고정대는 제1, 2와이어고정대(22, 26)로 이루어진다. 제1와이어고정대(22)는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일측에 마련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일측부위가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단(21)과, 제1삽입단(21)의 타측부위에서 절곡된 상태로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판(23)으로 이루어진다.
제2와이어고정대(22)는 각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타측에 마련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일측부위가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단(25)과, 제2삽입단(25) 타측부위에서 절곡된 상태로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2고정판(27)으로 이루어진다. 제1, 2와이어고정대(22, 26) 각각은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단위 데크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거치대는 조절와이어(40)가 거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제1, 2와이어거치대(32, 36) 및 제1, 2회동롤러(33, 37)로 이루어진다. 제1와이어거치대(32)는 제1와이어고정대(22) 각각의 제1고정판(23)에 체결되며, 제2와이어거치대(36)는 제2와이어고정대(26) 각각의 제2고정판(27)에 체결된다. 제1, 2와이어거치대(32, 36) 각각은 아이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동롤러(33)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이루는 최외곽 단위 데크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1와이어거치대의 일측부위에 설치된다. 제2회동롤러(37)는 제1회동롤러(3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제1회동롤러(33)가 설치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관통공(14) 일측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31, 35 각각은 제1, 2회동롤러(33, 37)의 설치를 위한 결합판으로서, 제1, 2회동롤러(33, 37) 각각은 결합판 각각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가동장치(40)는 조절와이어(5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최외곽 단위 데크 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마련된다. 와이어가동장치(40)는 엑츄에이터(42) 및 엑츄에이터제어기(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엑츄에이터(42)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엑츄에이터제어기(46)는 엑츄에이터(42)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조절와이어(50)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에 밀착되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수단이다.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조절와이어(40)의 일단부위는 제2와이어거치대(36) 중 최외곽에 설치되는 제2와이어거치대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1, 2와이어거치대(32, 36) 각각에 지그재그로 연결된 다음 제1, 2회동롤러(33, 37)를 거쳐 엑츄에이터(42)와 연결된다.
본 발명이 조절와이어(50)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이유는 단일의 와이어로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자체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절와이어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축물의 시공 상황에 따라 조절와이어의 일단부위는 제2와이어거치대가 아닌 지지빔이나 기둥 등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개시된 도면에는 제1, 2와이어고정대(22, 26) 각각이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 경계면 각각 모두에 마련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제1, 2와이어고정대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양측 단부 각각에 좌우 한쌍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 데크 플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사이 사이에 제1, 2와이어고정대가 마련되거나, 또는 일련의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지붕에 있어 중간 중간 필요한 부부분에만 제1, 2와이어고정대를 설치하는 경우 각각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폭이나 길이, 그리고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감지센서(60)는 지붕 및 단열재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가 지지하는 부재의 하중 변화는 물론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자중 변화, 그리고 풍압과 같이 지붕에 작용하는 외력 등을 포함하는 모든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각 단위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된다.
감지센서(60)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정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감지센서는 변위센서, 하중센서, 가속도센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센서(60)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 2감지센서(62, 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감지센서(62)는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하면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제2감지센서(66)는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감지센서(62)는 조절와이어(50)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달리 건축물의 규모 및 구조에 따라 감지센서의 설치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장치(70)는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엑츄에이터제어기(46)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제어장치(70)는 콘트롤러가 마련되는 통상적인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패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 명확하게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의 내부 공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80)는 제어장치(70) 및 와이어가동장치(8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전원공급장치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는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조절와이어(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어장치(70)에 설정된 조절와이어(50)의 장력 값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자중,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채워지는 단열흡음재 및 테크 플레이트 구조체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부재 모두의 하중을 고려해서 설계 단계에서 계산된다.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 모두가 설계 단계에서 미리 고려되었다 하더라도 시공이 완료되면, 설계 단계에서 고려된 하중보다 더 큰 하중이 실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시공이 완료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당초 고려된 하중을 상회하는 하중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풍압 등에 의해 건축물의 지붕을 지지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기인한 하중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에 작용하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중앙부위는 하방으로 일정 변위만큼 처지게 된다.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변위 값이 달라지면 감지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70)로 전달한다. 제어장치(70)는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설계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변위의 설정된 값과 그 크기를 비교 분석한다.
비교 분석에 따라 변위의 변화 값이 일정 값을 상회하면, 제어신호를 엑츄에이터제어기(46)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엑츄에이터(42)가 작동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값 만큼 조절와이어(50)를 일정길이만큼 당긴다. 조절와이어(50)가 일정길이만큼 당겨지면, 조절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단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는 상방으로 일정 수직 높이만큼 상승하면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변위 값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변위 값의 변화는 감지센서(60)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어 제어장치(70)로 전달되고, 제어장치(70)를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당초 설계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변위 값과 비교 분석한다. 작용하는 조절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가 조금씩 상승하면서 그 변위 값이 당초 설정된 수치에 다다르게 되면 엑츄에이터(42)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는 당초 설계된 값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조절와이어의 유무에 따른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파괴하중 시험결과표로서, 이에 의하면 조절와이어가 없는 통상적인 단위 데크 플레이트(청색)에 비해 조절와이어가 매개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연두색, 보라색)의 파괴하중 값이 더 클 뿐 아니라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변위 값도 작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와이어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단위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상대적으로 긴 단위 데크 플레이트로서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위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절와이어 구성에 부가하여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변위 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변화된 변위를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공이 완료된 이후 건축물의 지붕에 어떠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건축물의 지붕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단위 데크 플레이트 22, 26 : 제1, 2와이어거치대
32, 36 : 제1, 2와이어고정대 33, 35 : 제1, 2회동롤러
40 : 와이어가동장치 50 : 조절와이어
60 : 감지센서 70 : 제어장치
80 : 전원공급장치

Claims (2)

  1. 양측 단부 각각에 절곡단(12, 16)이 형성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져 지지빔(1)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와;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일측에 마련되되 일측부위가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단(21)과 상기 제1삽입단(21)의 타측부위에서 절곡되어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판(23)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상기 각 제1와이어고정대(2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속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타측에 마련되되 일측부위가 인접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단(25)과 상기 제2삽입단(25)의 타측부위에서 절곡되어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2고정판(27)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고정대(26)와 이루어지는 와이어고정대와;
    상기 제1와이어고정대(22) 각각의 제1고정판(23)에 체결되는 제1와이어거치대(32)와, 상기 제2와이어고정대(26) 각각의 제2고정판(27)에 체결되는 제2와이어거치대(36)와,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를 이루는 최외곽 단위 데크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1와이어거치대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회동롤러(33)와, 상기 제1회동롤러(33)가 설치되는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측판부위에 형성되는 관통공(14) 일측에 설치되는 제2회동롤러(37)로 이루어지는 와이어거치대와;
    엑츄에이터(42) 및 엑츄에이터제어기(46)로 이루어져 상기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최외곽 단위 데크 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마련되는 와이어가동장치(4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의 하면을 지지되되, 일단부위는 상기 제2와이어거치대(36) 중 최외곽 제2와이어거치대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상기 제1, 2와이어거치대(32, 36) 각각에 지그재그로 연결된 다음 상기 제1, 2회동롤러(33, 37)를 거쳐 상기 엑츄에이터(42)와 연결되는 조절와이어(50)와;
    상기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60)와;
    상기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동장치(40)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70)와;
    상기 제어장치(70) 및 와이어가동장치(4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80)를;
    포함하는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각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하면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62) 및 인접하는 상기 단위 데크 플레이트(10)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20150167470A 2015-11-27 2015-11-27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165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70A KR101657935B1 (ko) 2015-11-27 2015-11-27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70A KR101657935B1 (ko) 2015-11-27 2015-11-27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935B1 true KR101657935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470A KR101657935B1 (ko) 2015-11-27 2015-11-27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146A (ko) * 2017-09-06 2019-03-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KR102034410B1 (ko) * 2019-05-09 2019-10-18 오상인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텐트용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207A (ja) * 1998-10-15 2000-04-25 Nippon Steel Corp 屋根開閉装置
JP2000160689A (ja) * 1998-11-30 2000-06-13 Yuji Nimura 仮設建築物の組立屋根装置
KR200441914Y1 (ko) * 2007-05-18 2008-09-22 이종훈 지붕막 장치
JP2009068296A (ja) * 2007-09-14 2009-04-02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屋根架構の構築方法及び屋根架構
KR101106699B1 (ko) 2011-05-03 2012-01-18 (주)에이비엠그린텍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207A (ja) * 1998-10-15 2000-04-25 Nippon Steel Corp 屋根開閉装置
JP2000160689A (ja) * 1998-11-30 2000-06-13 Yuji Nimura 仮設建築物の組立屋根装置
KR200441914Y1 (ko) * 2007-05-18 2008-09-22 이종훈 지붕막 장치
JP2009068296A (ja) * 2007-09-14 2009-04-02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屋根架構の構築方法及び屋根架構
KR101106699B1 (ko) 2011-05-03 2012-01-18 (주)에이비엠그린텍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146A (ko) * 2017-09-06 2019-03-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KR102062356B1 (ko) 2017-09-06 2020-01-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KR102034410B1 (ko) * 2019-05-09 2019-10-18 오상인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텐트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35B1 (ko) 지붕의 내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US20100115860A1 (en) Girder element for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compensating bending strains
KR101106699B1 (ko)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2457474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33624B1 (ko) 외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건물용 갱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033621A (ko) 판넬 표준 시험용 지그 구조
KR101812729B1 (ko) 교량 인상 시스템 및 인상공법
CN109071176A (zh) 电梯门结构中的装置
KR20100016825A (ko)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CN105110138B (zh) 弹性竖向附着承力装置的实施方法
CN104511486A (zh) 位置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JP5294930B2 (ja) パネル構造体
EP3297497B1 (en) Display showcase with reinforced supporting beam of the upper ceiling
JP6798833B2 (ja) 建物の支持構造および建物の不同沈下の修正方法
KR101241317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JP612051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スタンド
CN101490353B (zh) 用于滑动大门或者滑动门的装置
KR102039461B1 (ko) 건축물 벽체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 막음재의 받침목 브래킷
KR200382122Y1 (ko) 레벨조절가동부재가 구비된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200381787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JP7437108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CN221100294U (zh) 一种抗折抗压试验机
JP2004108070A (ja) 透視遮蔽用ガラリ装置
JP2024039995A (ja) 壁の強度試験方法及び強度試験装置
CN112227570B (zh) 索网幕墙超长竖索精确张拉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