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681B1 -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681B1
KR101657681B1 KR1020150059488A KR20150059488A KR101657681B1 KR 101657681 B1 KR101657681 B1 KR 101657681B1 KR 1020150059488 A KR1020150059488 A KR 1020150059488A KR 20150059488 A KR20150059488 A KR 20150059488A KR 101657681 B1 KR101657681 B1 KR 10165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
body composition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선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장치는,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체성분 획득부, 및 획득한 체성분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2차 인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FOR AUTHENTICA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증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는 인증 서버와 사용자가 공통의 값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공통의 값은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주어지거나 사용자에 대해 고유하게 설정된 값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의 값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타인에게 노출될 수 있고, 악의적인 제3자에 의해 유출되거나 도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지문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 인증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문 인식의 경우, 실리콘을 통해 지문을 위조할 수 있는 등 도용이나 위조될 수 있는 바, 사용자 인증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9333호(2013.02.07)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인증 결과를 체성분 정보를 이용한 2차 인증을 통해 검증하여 사용자 인증을 강화할 수 있는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장치는,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체성분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2차 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성분 정보는, 몸무게, 신장, 체지방률, 골격근량, 복부 비만율, 기초 대사량, 세포내 수분량, 세포외 수분량, 단백질량, 및 무기질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획득부는,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이고,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 중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이고,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 알고리즘에 입력하고 그 결과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체성분 변화 정보이고,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체성분 변화 정보의 변화 범위 이내 또는 상기 변화 범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인증 장치에서,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이고,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 중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이고,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 알고리즘에 입력하고 그 결과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체성분 변화 정보이고,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체성분 변화 정보의 변화 범위 이내 또는 상기 변화 범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은, 각 사용자 별 체성분 정보,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 및 체성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성분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체성분 관리 서버; 및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체성분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와 상기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여 상기 체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체성분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체성분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 알고리즘에 입력하고 그 결과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체성분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체성분 변화 정보의 변화 범위 이내 또는 상기 변화 범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1차 인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체성분 정보를 이용한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인물과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1차 인증이 도용 또는 위조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 인증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100)은 인증 장치(102) 및 체성분 관리 서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장치(102)와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106)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인증 시스템(100)은 출입 인증, 도어 잠금 해제, 또는 외부 서버 접속 인증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시스템(100)은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시스템(100)는 차량 도어를 여는 과정 또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 등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인증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 및 2차 인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부(111), 체성분 획득부(113), 2차 인증부(115), 및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11)는 인증 장치(102)에 접근 또는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해 1차 인증을 수행한다. 1차 인증부(111)는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11)는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지한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는 해당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 음성, 얼굴 등과 같은 생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용자에 대해 고유하게 설정된 비밀 번호 또는 사용자에게만 주어지거나 사용자만 가지고 있는 값(또는 키) 등일 수 있다.
1차 인증부(111)는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인증을 위한 정보가 사용자의 지문 정보인 경우, 1차 인증부(111)는 지문 인식기를 구비할 수 있다. 1차 인증을 위한 정보가 사용자의 홍채 정보인 경우, 1차 인증부(111)는 홍채 인식기를 구비할 수 있다. 1차 인증을 위한 정보가 사용자의 음성 정보인 경우, 1차 인증부(111)는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1차 인증을 위한 정보가 사용자의 얼굴 정보인 경우, 1차 인증부(111)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11)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1차 인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11)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또는 실패하였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체성분 획득부(113)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한다. 체성분 획득부(113)는 1차 인증부(111)에 의한 인증(즉, 1차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정보는 사용자의 몸무게, 신장(키), 체지방률, 골격근량, 복부 비만율, 기초 대사량, 세포내 수분량, 세포외 수분량, 단백질량, 및 무기질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 획득부(113)는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체성분 획득부(113)는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체성분 측정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시스템(100)이 출입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체성분 측정기는 출입 도어(예를 들어, 도어 손잡이) 또는 출입 도어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인증 시스템(100)이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체성분 측정기는 차량 도어 손잡이 또는 차량 핸들 등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성분 측정기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손목 밴드 형태 등)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체성분 획득부(113)가 사용자의 체성분을 직접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성분 획득부(113)는 별도의 체성분 측정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체성분 획득부(113)는 사용자가 소지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곳에서 측정한 체성분 정보를 자신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저장할 수 있으며, 체성분 획득부(113)는 사용자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 등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체성분 획득부(113)는 사용자가 휴대한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차 인증부(115)는 체성분 획득부(113)가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2차 인증은 1차 인증이 성공한 경우를 전제로 수행되며, 1차 인증을 보완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2차 인증은 1차 인증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1차 인증의 보완을 위해 2차 인증에서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2차 인증부(115)는 체성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인물과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2차 인증부(115)는 체성분 획득부(113)가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인증부(115)는 체성분 획득부(113)가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인증부(115)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와 그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이때, 2차 인증부(115)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 각각이 기 저장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부(115)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들 중 기 저장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인물과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1차 인증이 도용 또는 위조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 인증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차 인증이 지문 인증인 경우, 사람의 지문은 실리콘 등을 통해 위조가 가능하다. 또한, 1차 인증이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용자에 대해 고유하게 설정된 비밀번호 등인 경우에도 악의적인 타인에 의해 도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2차 인증을 통해 1차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인물과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1차 인증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자 인증을 강화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람의 체성분 정보는 그 사람의 생활 습관(예를 들어, 식습관, 운동 습관, 취침 습관 등)에 따라 계속 변하는 바, 인증 장치(102)는 각 사용자별로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주 또는 10일 단위 등) 업데이트하여 저장함으로써, 2차 인증의 정확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각 사용자별체성분 정보는 인증 장치(102)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서버(예를 들어, 체성분 관리 서버(104))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2차 인증부(114)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는 체성분 관리 서버(1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 별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는 과거 일정 시점부터 최근 일정 시점까지 소정 사용자에 대해 측정한 체성분 정보가 누적되어 있는 정보로, 상기 측정한 기간 동안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변화를 알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2차 인증부(114)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휴리스틱(Heuristic)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1차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인물과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획득한 체성분 정보가 상기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갖는 인물과 동일 인물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부(114)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체성분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각 체성분 요소들의 변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체성분 요소의 변화 정보를 인증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2차 인증부(114)가 획득한 사용자의 각 체성분 요소와 그에 대응되는 체성분 요소의 변화 정보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이때, 2차 인증부(114)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가 해당 체성분 요소의 변화 범위(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체성분 요소의 최소값에서 최대값 사이의 범위) 이내에 있거나 상기 체성분 요소의 변화 범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2차 인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부(115)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요소들 중 체성분 요소의 변화 범위 이내에 있거나 상기 체성분 요소의 변화 범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체성분 관리 서버(104)가 체성분 요소들의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증 장치(102)가 체성분 요소들의 변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통신부(117)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체성분 관리 서버(104)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7)는 체성분 관리 서버(104)로부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7)는 체성분 관리 서버(104)로부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변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7)는 사용자가 소지한 컴퓨팅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 별로 체성분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인증 장치(102)의 요청에 따라 소정 사용자의 체성분 관련 정보를 인증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체성분 관련 정보는, 각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 및 체성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 별로 체성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사용자 별 체성분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 별로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 별로 과거 일정 시점부터 최근 일정 시점까지 주기적으로 측정한 체성분 정보를 누적하여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사용자에 대해 주기적으로 체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각 사용자 별로 체성분 변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체성분 관리 서버(104)는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에서 각 체성분 요소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각 체성분 요소들의 변화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각 체성분 요소들의 변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1차 인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체성분 정보를 이용한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인물과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1차 인증이 도용 또는 위조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 인증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장치(102)는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한다(S 201). 1차 인증을 위한 정보가 무엇인지는 1차 인증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는 해당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인증 장치(102)는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지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증 장치(102)는 획득한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3).
단계 S 203의 확인 결과,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S 205). 단계 S 205의 확인 결과,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S 207).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의 성공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장치(102)는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한다(S 209). 즉,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이 성공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한다.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이 성공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직접 체성분을 측정하여 체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증 장치(102)는 체성분 측정기를 구비할 수 있다. 체성분 측정기는 인증 장치(102)에 장착될 수도 있고, 인증 장치(102)와 연결된 별도의 장비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이 성공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해당 사용자로부터(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증 장치(102)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211). 인증 장치(102)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체성분 관련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 및 체성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체성분 관련 정보는 인증 장치(102)에 저장될 수도 있고, 체성분 관리 서버(104)에 저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장치(102)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기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인증 장치(102)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기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장치(102)는 기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장치(102)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를 휴리스틱(Heuristic) 알고리즘과 같은 매칭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장치(102)는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해당 사용자의 체성분 변화 정보의 변화 범위 이내 또는 상기 변화 범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 211의 확인 결과,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인 경우, 인증 장치(102)는 2차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S 213). 단계 S 211의 확인 결과, 획득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가 실제 해당 사용자의 것이 아닌 경우, 인증 장치(102)는 2차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S 215). 이때, 인증 장치(102)는 1차 인증이 도용되거나 위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차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시스템(100)의 적용 분야에 따라 2차 인증된 사용자의 출입을 허가하거나, 2차 인증된 사용자의 서버 접속을 허용하거나, 출입문 도어 또는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차량의 핸들 잠김을 해제하는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300)은 컴퓨팅 장치(31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출입 인증, 도어 잠금 해제, 외부 서버 접속 인증, 차량 관련 인증 등 다양한 인증 분야에 사용되는 인증 장치(예를 들어, 인증 장치(102))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 및 버스(3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2)는 버스(360)와 연결되고, 버스(3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3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312)에 연결한다.
프로세서(312)는 컴퓨팅 장치(3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31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3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3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330)은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메모리(316) 및 저장 장치(3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14)의 예이다. 메모리(316)에는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3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3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3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3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3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0)는 버스(3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3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컴퓨팅 장치(3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3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인증 시스템
102 : 인증 장치
104 :체성분 관리 서버
106 : 네트워크
111 : 1차 인증부
113 :체성분 획득부
115 : 2차 인증부
117 : 통신부

Claims (19)

  1. 출입 인증 또는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체성분 획득부; 및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체성분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동일 인물인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하는 2차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 중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체성분 측정기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출입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출입 도어 또는 출입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 도어 손잡이 또는 차량 핸들에 마련되는, 인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정보는,
    몸무게, 신장, 체지방률, 골격근량, 복부 비만율, 기초 대사량, 세포내 수분량, 세포외 수분량, 단백질량, 및 무기질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출입 인증 또는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방법으로서,
    인증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에서,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체성분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동일 인물인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출입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출입 도어 또는 출입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는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 도어 손잡이 또는 차량 핸들에 마련되는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 중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출입 인증 또는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으로서,
    각 사용자 별 체성분 정보, 체성분 히스토리 정보, 및 체성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성분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체성분 관리 서버; 및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체성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체성분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동일 인물인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출입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출입 도어 또는 출입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 도어 손잡이 또는 차량 핸들에 마련되어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인증 수행 시,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 중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출입 인증 또는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로부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체성분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체성분 관련 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동일 인물인지에 따라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출입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출입 도어 또는 출입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는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차량 관련 인증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 도어 손잡이 또는 차량 핸들에 마련되는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 중 상기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체성분 정보의 체성분 요소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체성분 요소들의 개수 또는 비율에 따라 상기 1차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1차 인증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50059488A 2015-04-28 2015-04-28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88A KR101657681B1 (ko) 2015-04-28 2015-04-28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88A KR101657681B1 (ko) 2015-04-28 2015-04-28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681B1 true KR101657681B1 (ko) 2016-09-19

Family

ID=5710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88A KR101657681B1 (ko) 2015-04-28 2015-04-28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6337A (zh) * 2018-06-27 2019-01-01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体脂秤的用户自动识别方法、体脂秤以及体脂秤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169B1 (ko) * 2005-08-09 2007-01-1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비교데이터 화면출력 가능한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JP2007156790A (ja) * 2005-12-05 2007-06-2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複数種の生体情報による認証をおこなう認証技術
KR101229333B1 (ko)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JP5564242B2 (ja) * 2009-12-24 2014-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認証システム
KR20150039325A (ko) * 2013-10-02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인증 장치 및 개인 인증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169B1 (ko) * 2005-08-09 2007-01-1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비교데이터 화면출력 가능한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JP2007156790A (ja) * 2005-12-05 2007-06-2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複数種の生体情報による認証をおこなう認証技術
JP5564242B2 (ja) * 2009-12-24 2014-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認証システム
KR101229333B1 (ko)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KR20150039325A (ko) * 2013-10-02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인증 장치 및 개인 인증 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6337A (zh) * 2018-06-27 2019-01-01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体脂秤的用户自动识别方法、体脂秤以及体脂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018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220318355A1 (en) Remote usage of locally stored biometric authentication data
US20210286870A1 (en) Step-Up Authentication
US11651100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privacy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voice assistant
US9876788B1 (en) User enrollment and authentication
US7434063B2 (en) Authent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0902199B1 (ko) 인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인증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인증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 매체
US11783335B2 (en) Transaction confirmation and authentication based on device sensor data
US10410040B2 (en) Fingerprint lock control method and fingerprint lock system
US1124403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device
US11381576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CN107465511B (zh) 个体的进入权利的验证方法
US10843661B2 (en) Electronic key management system assisting device, electronic key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85761B2 (en) Unlocking a locked user device using a computer generated unlock code provided by a user
US10073961B2 (en) Authentication system, user terminal, control device, service providing device, program, and authentication method
JP5962482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JP2002512409A (ja) 電子機器、およびこの機器のユーザの認証を行う方法
KR101657681B1 (ko)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6903980B2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プログラム
US20160142404A1 (en) Identity asser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JP6891356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1478B2 (ja) 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KR20180131141A (ko) 지문 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7006559A1 (ja) 操作者確認サーバ、操作者確認システム、操作者確認方法および操作者確認プログラム
JP2008010016A (ja) データ認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