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43B1 -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43B1
KR101657443B1 KR1020167007230A KR20167007230A KR101657443B1 KR 101657443 B1 KR101657443 B1 KR 101657443B1 KR 1020167007230 A KR1020167007230 A KR 1020167007230A KR 20167007230 A KR20167007230 A KR 20167007230A KR 101657443 B1 KR101657443 B1 KR 10165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tc
message
trigger
iwf
device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091A (ko
Inventor
퍼니트 제인
바런 라오
창 홍 샨
무사이아 벤카타차람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3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7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to or through Device to Device [D2D] links, e.g. direct-mode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MTC(Machine-Type Communication)의 확산으로 인해, LTE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의 과도한 이용은 사용자 장비(UE)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UE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고/시키거나, 유휴 상태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의 빈번한 변경에 의해 초래된 과도한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MTC-IWF(MTC Interworking Function)는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가 의도하는 UE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가 낮은 우선순위에 있고, UE가 유휴 상태에 있다면, MTC-IWF 또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SGSN(Serving GPRS Support Node)/MSC(Mobile Switching Center)는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7월 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1/667,325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2013년 1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3/755,166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2개의 미국 출원들은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된다.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과 관련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들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과 관련된 것이다.
디바이스 트리거링은, SCS(service capability server)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사용자 장비(UE)에게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UE가 애플리케이션 특정적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수단이다.
작은 데이터 요청들과 결합된 다수의 디바이스 트리거링 메시지들은 네트워크에서의 시그널링 서지(signaling surge)를 초래할 수 있고, 만약 UE가 유휴 상태(idle state)와 접속 상태(connected state)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경우 UE의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소량의 데이터를 갖는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빈번하게 전송하는 모바일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특히 그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된 개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특정 실시예들을 충분히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경들을 통합할 수 있다. 예들은 가능한 변경들을 단지 전형화하는 것이다. 개별적인 구성요소들 및 기능들은, 명시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한 선택적인 것이며, 동작들의 시퀀스는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에 포함되거나, 또는 그것을 대체할 수 있다. 청구항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그러한 청구항들의 모든 이용가능한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잘 알려진 방법, 절차들, 구성요소들 및 회로들은, 본 발명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기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들 "다수의" 및 "복수의"는, 예를 들면, "다수의" 또는 "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들 "다수의" 및 "복수의"는 명세서 전체를 통해, 둘 이상의 구성요소, 디바이스, 요소, 유닛, 파라미터 등을 기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테이션"은 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현재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 CCSA(China Communications Standards Association),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ATIS(Alliance fo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olutions),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및 TTC(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ommittee)를 포함하는 "조직 파트너들(Organizational Partners)"로서 알려진 다수의 원격통신 표준 기구들을 통합하기 위해 1998년 12월에 설립된 협력 합의체이다. 3GPP의 설립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합의(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greement)"의 서명에 의해 1998년 12월에 공식화되었다.
3GPP는 그들이 지원하는 진보된 GSM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액세스 기술들(예를 들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들 둘다를 위한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에 기초한 3세대 모바일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사양들 및 기술적 보고서들로서 광역적으로 적용가능한 표준들을 제공한다. 3GPP는 또한 진보된 무선 액세스 기술들(예를 들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양들 및 기술적 보고서들로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의 유지 및 개발을 위한 표준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전화와 관련된 현재의 표준들에 대한 기술적 사양들은 3GPP 조직으로부터 대중에게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하다.
3GPP는 3G 모바일 시스템의 진보를 현재 연구중에 있으며, UTRAN(UTRA Network)의 진보에 대한 기여들(전망 및 제안)을 고려한다. 하이 레벨 요건들의 세트가 3GPP 워크샵들에 의해 식별되었으며, 비트당 감소된 비용, 증가된 서비스 제공(즉, 보다 낮은 비용으로 보다 우수한 품질의 더 많은 서비스들), 현존 및 새로운 주파수 대역들의 이용에 대한 융통성, 개방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간략화된 아키텍쳐 및 감소된/합리적인 단말기 전력 소비를 포함한다. UTRA & UTRAN 롱 텀 에볼루션(UTRAN-LTE, 또한 3GPP-LTE 및 E-UTRA 라고도 알려짐)에 대한 연구가, 높은 데이터율, 낮은 레이턴시 및 패킷 최적화된 무선 액세스 기술을 향한 3GPP 무선 액세스 기술의 진보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 12월에 시작되었다. 그러한 연구는 20MHz까지의 융통성 있는 송신 대역폭을 지원하는 수단, 새로운 송신 방안들의 도입 및 개선된 다중 안테나 기술들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물리층(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수정을 고려하였다.
3GPP-LTE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기술들을 통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기초한다. OFDM은 개별적인 사용자 데이터 채널들을 운반하기 위해 다수의 밀집하게 이격된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디지털 멀티캐리어 변조 포맷이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같은 통상적인 변조 방안들을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RF) 송신 레이트와 비교할 때 (비교적) 낮은 심볼 레이트로 변조된다. 실제로, OFDM 신호들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머신들은 때때로 사람이 거의 개입하지 않고서 또는 사람의 개입 없이 다른 머신들과 통신할 필요가 있다. 과거에, 그러한 통신들은 유선을 통해 이루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선 통신들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모바일 광대역의 이용가능성이 증가됨에 따라, 광대역을 통한 머신 타입 통신들(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가 점점 더 널리 이용되고 있다. MTC는 사람이 개입할 필요없이 정보를 교환하고 명령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원격 머신들 사이의 통신들이 가능하게 한다. 머신 타입 통신들의 예시적인 이용은 원격 센서들, e-헬스, 원격 제어 유틸리티 미터들(remote-controlled utility meters), 감시 카메라들, 통행료 지불들, 생산 체인 자동화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태들을 중앙 서버에게 보고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유틸리티 미터를 판독하여, 월단위 유틸리티 청구서의 준비를 위해 청구 부서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가 특정한 MTC 디바이스를 활성화 또는 트리거하고자 할 때, 서버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는 MTC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것은, SCS(Services Capability Server)가 UE(User Equipment)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특정적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해 3GPP 네크워크를 통해 UE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동작들은 간접 모델에 대한 SCS와의 통신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네트워크에서의 AS(Application Server)와의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트리거링은 UE에 대한 IP 어드레스가 SCS/AS에 의해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접근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요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는 네트워크가 메시지를 적절한 UE에게 라우팅하고, UE가 메시지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에게 라우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예를 들면, IMSI < 애플리케이션 포트 ID 등)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을 향한 정보는 디바이스 트리거 페이로드 라고 지칭된다. UE는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시지와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UE에 의한 수신시에, 디바이스 트리거 페이로드는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련 동작들을 트리거링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UE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은 트리거 페이로드에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SCS 또는 AS에 대한 이후의 통신을 수행하거나, 중간 접속을 개시하는 것과 같은 특정한 지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CDR(Charging Data Record)가 디바이스 트리거링을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즉, 제공자는 미래의 청구 목적을 위해 데이터 송신의 비용을 계속 파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3GPP 하의 MTC를 위한 아키텍쳐를 도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UE(102)는 MTC UE 애플리케이션(104)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UE는 RAN(Radio Access Network)(106)에 연결된다. RAN(106)을 통해, UE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108), MME(Mobile Management Entity)(110),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11) 및 S-GW(Serving Gateway)와 같은, 진보된 패킷 코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연결된다. 그와 함께,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포함한다.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의 구성요소들은 수 개의 참조 포인트들을 통해 상기 구성요소들에 연결된다.
MME(110)는, SGSN(111)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기능, 즉, MTC-IWF(MTC InterWorking Function)로부터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 MTC를 위해 이용된 UE로 전송된 NAS 메시지에 디바이스 트리거 정보를 캡슐화, 트리거링 UE로부터 디바이스 트리거 수신확인을 수신, 디바이스 트리거 전달 성공/실패 상태를 MTC-IWF에게 보고, 및 SGSN/MME 혼잡/로드 정보를 MTC-IWF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조 포인트 Tsp(120)가 서비스 능력 서버(services capability server)에 의해, MTC-IWF(130)와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참조 포인트 T5a(122)는 MTC-IWF와 SGSN(111)을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참조 포인트 T5b(124)는 MTC-IWF와 서빙 MME를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참조 포인트 T5c(126)는 MTC-IWF와 서빙 MSC를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참조 포인트 S6m(128)은 MTC-IWF와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를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MTC-IWF(130)는 독립형 엔티티이거나,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내에 위치된 기능 엔티티일 수 있다. MTC-IWF는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위치될 수 있다. MTC-IWF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Tsp, S6m 및 Rf/Ga 참조 포인트들의 종료, T4, T5a, T5b, T5c 중에서의 하나 이상의 참조 포인트들의 종료, 3GPP 네트워크와의 통신 확립 이전에 SCS에게 권한 부여하는 능력, SCS로부터 제어 플레인 요청들(control plane requests)을 권한 부여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상이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MTC-IWF(130)는 다음과 같은 디바이스 트리거 기능들, 즉, SCS로부터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수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승인 또는 거절을 SCS에게 보고, 디바이스 트리거 전달의 성공 또는 실패를 SCS에게 보고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트리거 요청들에 대한 응답의 일부로서 MTC-IWF 및/또는 SGSN/MME 유발 혼잡/로드 제어를 적용할 수 있고, 표준화된 식별자(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이용하여 UE가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운반하는 MT 메시지를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시지들로부터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MTC-IWF(130)는 또한, 다수의 개별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한 HSS(Home Subscriber Server)들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었을 때 이용하기 위한 HSS 레졸루션 메카니즘, 디바이스 트리거링을 위해 필요할 때, a) IMSI에 대한 E.164 MSISDN 또는 외부 식별자 맵핑, b) UE에 대한 서빙 노드 정보(예를 들면, 서빙 SGSN/MME/MSC 식별자) 검색, 및 c) SCS가 디바이스 트리거를 특정 UE에게 전송하도록 허용되는지의 결정을 위한, 적절한 HSS의 질문을 지원할 수 있다.
MTC-IWF(130)는 또한 가장 효율적이고 유효한 디바이스 트리거 전달 메카니즘의 선택, 및 HSS/HLR로부터의 현재의 UE 서빙 노드 정보(예를 들면, 서빙 MMS/SGSN/MSC 식별자)에 기초한 SCS로부터의 이러한 세부사항의 차폐, UE에 의해 지원된 디바이스 트리거 전달 메카니즘들, HPLMN에 의해 지원된 가능한 디바이스 트리거 전달 서비스들, 및 로밍할 때의 VPLMN, 오퍼레이터 정의 디바이스 트리거 전달 정책들(있는 경우), 및/또는 선택적으로 SCS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정보, 프로토콜 트랜스레이션, 필요한 경우, 선택된 트리거 전달 메카니즘을 매칭하기 위해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관련 네트워크 엔티티(즉, 서빙 SGSN/MME/MSC 또는 HPLMN 도메인 내의 SMS-SC)로의 전달, 외부 식별자 및 SCS 식별자를 갖는 디바이스 트리거 CDR들의 생성 및 Rf/Ga의 인스턴스를 통한 CDF/CGF로의 전달, 및 3GPP 네트워크와 SCS 사이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능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지 하나의 MTC-IWF만이 도시되지만, 다수의 MTC-IWF가 단일의 HPLMN 내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HSS(150)는 이하의 기능들, 즉, MTC-IWF가 홈 위치 레지스터(HLR)/HSS에 접속하는 S6m 참조 포인트의 종료, MTC-IWF에 대한 (그리고 선택적으로 MTC AAA에 대한) 디바이스 트리거링을 위해 MTC-IWF에 의해 이용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및 가입 정보에 대한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ata Number) 또는 외부 식별자(들)의 맵핑/룩업의 저장 및 제공, IMSI에 대한 MSISDN 또는 외부 식별자들의 맵핑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외부 식별자들로부터 MSISDN으로의 맵핑이 MSISDN 없는 SMS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SMS 하부구조에 대해 또한 제공되고, UE에 대해 이용가능한 경우 서빙 노드 정보(예를 들면, 서빙 SGSN/MME/MSC 식별자)를 포함하는 HSS 저장 "라우팅 정보", SCS가 디바이스 트리거를 특정 UE에 전송하도록 허용되는지 결정하고, S6n 참조 포인트의 종료를 지원하고, IMSI와 외부 식별자(들) 사이의 맵핑을 MTC-AAA에 제공한다.
서비스 능력 서버(132)는 간접 모델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34)를 MTC-IWF(1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직접 모델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36)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어, 외부 SCS의 이용없이 UE와의 직접 사용자 플레인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데이터 요청들과 결합된 다수의 디바이스 트리거링은 네트워크에서의 시그널링 서지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UE가 유휴 상태와 접속 상태 사이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토글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UE)의 배터리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몇 가지의 가능한 해결책들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를 제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MTC-IWF는 간접 모델을 이용하여, HSS로부터 UE의 상태를 획득한다.
SCS는 디바이스를 트리거할 필요성을 결정한다(202). SCS가 MTC-IWF에 대한 컨택 세부사항들(contact details)을 갖지 않는다면, 그것은 먼저 외부 식별자를 이용하거나 또는 국부적으로 구성된 MTC-IWF 식별자를 이용하여 DNS 질의를 수행함으로써 MTC-IWF의 IP 어드레스(들)/포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204).
그 후, SCS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 메시지를 MTC-IWF에게 전송한다(206). 메시지는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SCS 식별자, 트리거 참조 번호, 유효 기간,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 포트 ID, 트리거 페이로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CS는 MT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와 더불어 그것을 MTC 애플리케이션에게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트리거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는 UE 내의 트리거링 기능부를 어드레싱하도록 설정된다.
그러한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 메시지 라는 용어는 단지 예시를 위해 이용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용된 메시지의 실제 이름은 다를 수 있다.
MTC-IWF는 SCS가 트리거 요청들을 전송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 그리고 SCS가 Tsp를 통한 트리거 제출의 한도량 또는 레이트를 초과하지 않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체크가 실패한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cause value)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MTC-IWF는 SIR(Subscriber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를 HSS에게 전송하여, SCS가 UE를 트리거링하도록 권한 부여되었는지를 결정한다. IMSI에 대한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을 해결하기 위한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및 SCS 식별자, UE 상태 정보 요청)은 UE의 서빙 CN 노드(들)의 아이덴티티를 검색한다(210). UE 상태 정보 요청 플래그는 HSS로부터 (유휴 상태, 접속 상태 및 등록 상태와 같은) UE 상태 정보를 요청하도록 설정된다(212). 또한, 이러한 정보는 UE가 접근가능하지 않은 경우 HSS에게 접근가능성 통지(Reachability Notification)를 위해 등록하도록 지시한다.
MTC-IWF는 캐시 허가를 수행하고, UE에 대해 정보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캐싱된 서빙 노드 정보가 오래된 것일 때 트리거 전달 시도 실패들의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HSS는 가입자 정보 회답(IMSI 및 서빙 노드(들) 아이덴티티들, UE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214). HSS 정책은 어느 서빙 노드 아이덴티티가 리턴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원인 값이, SCS가 트리거 메시지를 이러한 UE에게 전송하도록 허용되지 않거나 또는 유효 가입 정보가 HSS에 의해 리턴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이 중지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러한 흐름은 계속된다.
UE가 접근가능하지 않다면, HSS는 유효 기간이 단일 시도 전달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UE가 접근가능하지 않으며, 이 경우 MTC-IWF가 트리거를 저장할 것이라는 암시적인 지시를 제공하는 서빙 노드 아이덴티티 또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MTC-IWF는 가입자 정보 회답 메시지에서의 UE의 상태를 획득하고,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할지 또는 그것을 전달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216). 이러한 프로세스는 수 개의 상이한 방식들 중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가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된다. MTC-IWF가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그것은 국부적 정책 및 HSS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전달 절차를 선택한다. 전달 절차가 선택되고, MTC-IWF는 트리거 전달 절차를 시도한다(218).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보고(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및 트리거 참조 번호) 메시지를 SCS에게, 트리거 전달이 성공 또는 실패인지의 여부 및 실패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한다(220). MTC-IWF는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및 SCS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요한 CDR 정보를 생성한다(222).
수신된 디바이스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트리거 페이로드의 콘텐츠를 고려하는 특정한 동작들을 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응답은 SCS 또는 AS와의 즉각적인 또는 이후의 통신의 개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은 태스킹되는 UE의 특성에 의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UE 상태 정보를 수신시의 MTC-IWF 동작을 제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가입자 정보 회답 메시지(302)를 수신한 후에, MTC-IWF는 가입자를 인증하고, UE의 상태를 체크한다(304). 그 다음, 디바이스 트리거의 우선순위가 체크된다(306). 디바이스 트리거가 하이(high)이면(308), 디바이스 트리거는 전달된다(310). 만약 우선순위가 로우(low)이면(312), UE 상태가 체크된다(314). UE가 접속된다면(316),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달된다(310). UE가 유휴 상태라면(318), 디바이스 트리거는 버퍼링된다(320). 그 다음, 카운터가 증가된다(322). 카운터가 그의 최대량에 도달한다면,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달된다(310). 그렇지 않은 경우, UE 상태를 체크하는 프로세스가 반복된다(314). 카운터는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들의 효율적인 송신을 허용하는 임의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절차 이후에 UE가 접속 상태로 진입되도록 하여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유휴 상태로부터 그 자신에 대한 접속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의 목적지 UE를 기다린다.
위에서 제공된 해결책들에 기초하여, UE 상태 정보 요청 플래그가 SIR(Subscriber Information Request)에 포함되거나 또는 새로운 USIR(User Stat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SIA(Subscriber Information Answer) 또는 새로운 USIA(User State Information Answer)가 현재의 UE 상태 정보 회답을 포함할 것이다.
SIR 및 SIA는 3GPP 표준의 릴리스 11의 TS 29.336에 정의되어 있는 현존하는 메시지들이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UE 상태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강화될 것이다. SIR은 UE 상태 정보 요청 플래그를 위해 새로운 AVP(Attribute Value Pair)를 가질 것이며, SIA는 UE 상태 정보 회답을 위해 새로운 AVP를 가질 것이다. USIR 및 USIA는 미래의 문서에서 정의될 새로운 메시지들이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다음과 같은 UE의 상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DETACHED
ATTACHED_NOT_REACHABLE_FOR_PAGING
ATTACHED_REACHABLE_FOR_ PAGING
CONNECTED_NOT_REACHABLE_FOR_PAGING
CONNECTED_REACHABLE_FOR_PAGING
NETWORK_DETERMINED_NOT_REACHABLE
또한, 새로운 상태 정보가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MM_IDLE 및 EMM_CONNECTED. HSS는 UE MM 상태 정보를 알지 못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HSS 통지 절차가, UE MM, SM 상태 등과 같은 다른 UE 상태 정보를 저장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MTC-IWF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UE 상태를 획득하는 실시예의 동작을 제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SCS는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할 필요성을 결정한다(402). SCS가 MTC-IWF에 대한 컨택 세부사항들을 갖고 있지 않으면, 그것은 먼저 외부 식별자를 이용하거나 또는 국부적으로 구성된 MTC-IWF 식별자를 이용하여 DNS 질의를 수행함으로써 MTC-IWF의 IP 어드레스(들)/포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404).
그 후, SCS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 메시지를 MTC-IWF에게 전송한다(406). 메시지는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SCS 식별자, 트리거 참조 번호, 유효 기간, 우선순위, 트리거 페이로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CS는 MT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그것을 MTC 애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와 더불어 포함할 수 있는 트리거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MTC-IWF는 SCS가 트리거 요청들을 전송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 그리고 SCS가 Tsp에 대한 트리거 제출의 한도값 또는 레이트를 초과하지 않았는지를 체크한다(408). 만약 체크가 실패한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MTC-IWF는 가입자 정보 요청(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및 SCS 식별자) 메시지를 HSS/HLR에 전송하여, SCS가 UE를 트리거링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를 결정하고, IMSI에 대한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을 해결하고, UE의 서빙 CN 노드(들)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관련된 HSS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검색한다(410).
HSS/HLR은 가입자 정보 응답(IMSI 및/또는 MSISDN 및 서빙 노드(들) 아이덴티티, 원인을 포함하는 관련된 "라우팅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412). HSS/HLR 정책(가능하게는 VPLMN ID에 의존함)은 어느 서빙 노드 아이덴티티가 리턴되는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인 값이 SCS가 트리거 메시지를 이러한 UE에게 전송하도록 허용되지 않거나, 또는 유효 가입 정보가 없다고 나타낸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UE의 상태를 요청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MTC-IWF로부터 MME로 전송된다(414). 이러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도 2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사용자 상태 정보 회답 메시지는 MME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송되며, UE의 상태를 통지한다(416). 이러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다시, 도 2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제 MTC-IWF는 도 3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할지 또는 그것을 전달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418). MTC-IWF가 트리거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한 이후, 그것은 국부적 정책 및 HSS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전달 절차를 선택한다. T5 전달 절차가 선택되고, MTC-IWF는 T5 트리거 전달 절차를 시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MTC-IWF가 프레즌스 서버(Presence Server)로부터 UE 상태를 획득하는 실시예의 동작을 제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SCS는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할 필요성을 결정한다(502). SCS가 MTC-IWF에 대한 컨택 세부사항들을 갖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먼저 외부 식별자를 이용하거나 또는 국부적으로 구성된 MTC-IWF 식별자를 이용하여 DNS 질의를 수행함으로써 MTC-IWF의 IP 어드레스(들)/포트(들)을 결정할 수있다(504).
그 후, SCS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 메시지를 MTC-IWF에게 전송한다(506). 메시지는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SCS 식별자, 트리거 참조 번호, 유효 기간, 우선순위, 트리거 페이로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CS는 MT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그것을 MTC 애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와 더불어 포함할 수 있는 트리거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MTC-IWF는 SCS가 트리거 요청들을 전송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 그리고 SCS가 Tsp에 대한 트리거 제출의 한도값 또는 레이트를 초과하지 않았는지 체크한다(508). 이러한 체크가 실패한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MTC-IWF는 가입자 정보 요청(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및 SCS 식별자) 메시지를 HSS/HLR에게 전송하여, SCS가 UE를 트리거링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를 결정하고, IMSI에 대한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을 해결하고, UE의 서빙 CN 노드(들)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관련된 HSS 저장 "라우팅 정보"를 검색한다(510).
HSS/HLR은 가입자 정보 응답(IMSI 및/또는 MSISDN 및 서빙 노드(들) 아이덴티티, 원인을 포함하는 관련된 "라우팅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512). HSS/HLR 정책(가능하게는 VPLMN IN에 의존함)은 어느 서빙 노드 아이덴티티가 리턴되는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인 값이 SCS가 트리거 메시지를 이러한 UE에게 전송하도록 허용되지 않고, 유효 가입 정보가 없음을 나타낸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UE의 상태를 요청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MTC-IWF로부터 프레즌스 서버로 전송된다(514). 이러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MTC-IWF는 프레즌스 서버의 어드레스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510)과 병렬로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 회답 메시지가 프레즌스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송되며, UE의 상태를 통지한다(516). 이러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제 MTC-IWF는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할지 또는 그것을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한다(518). 이것은 도 3에 대해 위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MTC-IWF가 트리거를 전송하기로 결정한 후에, MTC-IWF는 T5 트리거 전달 절차를 시도한다(520).
일부 실시예들에서, MTC-IWF는 UE와 직접 통신하고, UE 상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E는 상태 정보를 MTC-IWF에게 직접 전송하고, UE에 의한 MTC-IWF 탐색 메카니즘은 UE에 의한 프레즌스 서버 탐색 메카니즘과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TC-IWF 및 프레즌스 서버는 동일한 박스에서 함께 위치되거나 또는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모든 기능이 동일한 박스에서 구현될 필요는 없다. 즉, MTC-IWF에서의 프레즌스 서버의 기능의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MTC-IWF가 MME에 트리거를 버퍼링하는 실시예의 동작을 제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MME는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버퍼링 노드는 SGSN 또는 MSC일 수도 있다.
SCS는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할 필요성을 결정한다(602). SCS가 MTC-IWF에 대한 컨택 세부사항들을 갖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먼저 외부 식별자를 이용하거나 또는 국부적으로 구성된 MTC-IWF 식별자를 이용하여 DNS 질의를 수행함으로써 MTC-IWF의 IP 어드레스(들)/포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SCS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 메시지를 MTC-IWF에게 전송한다(606). 메시지는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SCS 식별자, 트리거 참조 번호, 유효 기간, 우선순위, 트리거 페이로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CS는 MT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그것을 MTC 애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와 더불어 포함할 수 있다.
MTC-IWF는 SCS가 트리거 요청들을 전송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 그리고 SCS가 Tsp에 대한 트리거 제출의 한도값 또는 레이트를 초과하지 않았는지를 체크한다(608). 이러한 체크가 실패한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MTC-IWF는 가입자 정보 요청(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 및 SCS 식별자) 메시지를 HSS/HLR에게 전송하여, SCS가 UE를 트리거링하도록 권한 부여되는지를 결정하고, IMSI에 대한 외부 식별자 또는 MSISDN을 해결하고, UE의 서빙 CN 노드(들)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관련된 HSS 저장 "라우팅 정보"를 검색한다(610).
HSS/HLR은 가입자 정보 응답(IMSI 및/또는 MSISDN 및 서빙 노드(들) 아이덴티티, 원인을 포함하는 관련된 "라우팅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612). HLL/HLR 정책(가능하게는 VPLMN ID에 의존함)은 어느 서빙 노드 아이덴티티가 리턴되는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인 값이 SCS가 트리거 메시지를 이러한 UE에게 전송하도록 허용되지 않거나, 유효 가입 정보가 없음을 나타낸다면,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확인 메시지를, 실패 상태에 대한 이유를 나타내는 원인 값과 함께 전송하고, 흐름은 이 단계에서 종료된다.
MTC-IWF는 HSS로부터 검색된 UE 능력들, 서빙 코어 네트워크(CN) 노드(들) 능력들을 이용하여, T5 트리거링이 가능한 적절한 서빙 CN을 선택한다(614). MTC-IWF는 제출 요청을 서빙 CN 노드에게 전송한다. 제출 요청은 IMSI, 메시지 우선순위, MTC-IWF ID, 참조 번호, 단일 전달 시도 플래그(선택적임), 유효 시간(선택적임), 요청 타입(트리거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PDU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서빙 CN 노드가 존재한다면, MTC-IWF는 메시지를 서빙 CN 노드에게 전송해야 하며, 여기서 UE는 가장 높은 확률로 현재 캠핑(camping)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HSS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보다 이른 트리거 시도들로부터의 캐싱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서빙 CN 노드는 요청 타입(트리거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PDU, MTC-IWF ID, NAS 메시지 내의 참조 번호를 나타내며, 그것을 UE에게 전달한다(616). 서빙 CN 노드는 필요한 CDR 정보를 생성한다(618). UE는 트리거 콘텐츠 및 트리거 타입을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한다(620).
UE가 유휴 상태 모드에 있다면, 서빙 CN 노드는 트리거 전달을 위해 NAS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UE를 페이징할 수 있다(622). UE가 유휴 상태 모드에 있지 않다면, 트리거를 전달한다(624).
UE가 유휴 상태 모드에 있다면, MME는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할지 또는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도 7에서 이후에 기술되는 방법 또는 다양한 여러 가지의 다른 방법들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서빙 CN 노드는 전달 보고 메시지를 MTC-IWF에게 전송한다(626). 전달 보고는 IMSI, 원인, 참조 번호, CN 노드에 의해 전달된 것, 응답 타입(트리거 애플리케이션), 및 만약 수신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PDU, MME에서의 버퍼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인은 트리거 메시지가 UE에게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 또는 그것이 버퍼링되었는지, 또는 실패되었는지의 여부, 실패에 대한 이유를 나타낸다.
그 다음, MTC-IWF는 취해진 동작들을 알려주는 보고를 SCS에게 전송한다(628).
도 7을 참조하면, UE의 상태에 의존하는 MME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트리거를 수신한 후(702), MME는 UE의 상태를 체크한다(704). 그 다음, 디바이스 트리거의 우선순위가 체크된다(706). 디바이스 트리거가 하이라면(708),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달된다(710). 우선순위가 로우라면(712), UE 상태가 체크된다(714). UE가 접속되어 있다면(716),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달된다(710). UE가 유휴 상태라면(718), 디바이스 트리거가 MME에 버퍼링된다(720). 그 다음, 카운터가 증가된다(722). 카운터가 그의 최대량에 도달한다면,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달된다(710). 그렇지 않은 경우, UE 상태를 체크하는 프로세스가 반복된다(714). 카운터는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들의 효율적인 송신을 허용하는 임의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절차 이후에, UE가 접속 상태로 진입되도록 하여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유휴 상태로부터 그 자신에 대한 접속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의 목적지 UE를 기다린다.
이하의 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속한다.
LTE 네트워크에서의 MTC-IWF는, LTE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수신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인증하고,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UE의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는 UE가 유휴 상태 또는 접속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가 하이일 때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MTC-IWF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가 로우인 경우,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전송하고,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버퍼링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LTE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목적지 사용자 장비(UE)에게 전송하는 방법은,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하이인 경우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송신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로우인 경우,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UE가 접속 상태에 있는지 체크하고, 목적지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목적지 UE가 접속 상태일 때까지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MTC-IWF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MME(mobile management entity)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LTE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수신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인증하고,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사용자 장비(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UE의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UE가 유휴 상태 또는 접속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를 전송하는 것은,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가 하이일 때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를 전송하는 것은,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가 로우인 경우,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전송하고,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버퍼링하는 것은 MME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디바이스 트리거의 전송을 디테일링하는 보고를 생성하고, 디바이스 트리거의 전송에 기초하여 CDR(charging data record)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MTC-IWF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사용자 장비(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가입자 정보 요청(SIR) 메시지를 홈 가입자 서버(HSS)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HSS로부터 가입자 정보 회답(SIA)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IR 메시지는 UE의 상태 정보 요청을 포함하고, SIA 메시지는 UE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UE가 유휴 상태 또는 접속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detached, Attached_Not_Reachable_For_Paging, Attached_Reachable_For_Paging, Connected_Not_Reachable_For_Paging, Connected_Reachable_For_Paging, 및 Network_Determined_Not_Reachable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사용자 장비(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가입자 정보 요청(SIR) 메시지를 MME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MME로부터 가입자 정보 회답(SIA)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사용자 장비(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SIR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프레즌스 서버로부터 SIA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사용자 장비(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SIR 메시지를 HSS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HSS로부터 SIA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수신하고,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인증하고, 디바이스 트리거가 전송될 사용자 장비(UE)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UE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관리 엔티티에 대한 요청을 제출하여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MTC-IWF에 의해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들이 예시 및 기술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많은 수정들, 대체들, 변경들 및 등가물들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모든 수정들 및 변경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8)

  1. 사용자 장비(UE)로서,
    트랜시버 회로와,
    상기 UE 내의 프로세서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시버 회로는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포함하는 트리거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 회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사용하여 트리거링 기능부로 트리거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되며, 메시지는 표준화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표준화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운반하는 메시지들을 구별하고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식별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2 개 이상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파일 저장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5.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MTC-IWF(Machine Type Communication InterWorking Function)로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SCS(Services Capability Server)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UE)로 하여금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운반하는 머신 타입 메시지를 구별하게 하도록 표준화된 식별자를 상기 UE로 전달하는
    MTC-IWF.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에 대응하는 트리거 페이로드는 상기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값을 포함하는
    MTC-IWF.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TC-IWF는,
    상기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
    상기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MTC-IWF.
  8.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머신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포함한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UE)로 하여금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운반하는 머신 타입 메시지를 구별하게 하도록 표준화된 식별자를 상기 UE로 전달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에 대응하는 트리거 페이로드는 상기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 값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의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
    상기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버퍼링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은 MTC-IWF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은 SCS(Services Capability Server)로부터 수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은 MME(mobile management entity)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 장비(UE)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UE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식별하게 하고,
    상기 UE 내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ID에 의해 표시되는 트리거링 기능부로 트리거를 라우팅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트리거링 정보는 IP-SM-GW를 통해 수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트리거링 정보는 표준화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표준화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운반하는 메시지를 구별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6.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회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식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포트 ID를 사용하여 트리거링 기능부로 트리거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시지는 표준화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표준화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트리거링 정보를 운반하는 메시지를 구별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트리거링 정보는 IP-SM-GW(IP Short Message Gateway)를 통해 수신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머신 타입 통신(MTC)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는
    장치.
KR1020167007230A 2012-07-02 2013-06-19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57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7325P 2012-07-02 2012-07-02
US61/667,325 2012-07-02
US13/755,166 US8989070B2 (en) 2012-07-02 2013-01-31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US13/755,166 2013-01-31
PCT/US2013/046564 WO2014007990A1 (en) 2012-07-02 2013-06-19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94A Division KR101618497B1 (ko) 2012-07-02 2013-06-19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091A KR20160036091A (ko) 2016-04-01
KR101657443B1 true KR101657443B1 (ko) 2016-09-19

Family

ID=745565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94A KR101618497B1 (ko) 2012-07-02 2013-06-19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67007230A KR101657443B1 (ko) 2012-07-02 2013-06-19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94A KR101618497B1 (ko) 2012-07-02 2013-06-19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8989070B2 (ko)
EP (2) EP3142392B1 (ko)
JP (2) JP5950244B2 (ko)
KR (2) KR101618497B1 (ko)
CN (2) CN103763694B (ko)
BE (1) BE1022333B1 (ko)
BR (1) BR112014030156A2 (ko)
CA (1) CA2874475A1 (ko)
ES (2) ES2733753T3 (ko)
FI (4) FI3142392T3 (ko)
FR (1) FR2992820B1 (ko)
HU (1) HUE043858T2 (ko)
IT (1) ITMI20131103A1 (ko)
NL (1) NL2011078C2 (ko)
SE (1) SE1350812A1 (ko)
TW (3) TWI610582B (ko)
WO (1) WO2014007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9070B2 (en) 2012-07-02 2015-03-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KR20140022669A (ko) * 2012-08-14 2014-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전송경로를 제공하는 사물지능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JP5997389B2 (ja) * 2012-10-01 2016-09-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トリガー/スモールデータの交替/回収方法及び装置
JP6241420B2 (ja) * 2012-12-21 2017-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ステム、scsエンティティ、及びユニット
CN109981807B (zh) * 2013-01-08 2022-08-05 Iot控股公司 用于触发设备和递送小数据的方法和装置
JP6319100B2 (ja) * 2013-01-11 2018-05-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配信順序決定装置、配信順序決定方法及び配信順序決定プログラム
JP6178923B2 (ja) * 2013-07-24 2017-08-09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サービスドメイン課金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704867B (zh) * 2013-08-15 2018-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路由的方法和设备
US9301083B2 (en) 2014-01-06 2016-03-29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communication between service capability server and interworking function for device trigger recall/replace
WO2015110243A1 (en) 2014-01-24 2015-07-3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CN105940737B (zh) * 2014-02-04 2020-12-25 株式会社Ntt都科摩 服务控制系统、用户装置以及服务控制方法
GB2539363A (en) 2014-06-12 2016-12-2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WO2016159115A1 (ja) *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Nttドコモ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通信方法
CN106604251A (zh) * 2015-10-20 2017-04-26 上海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触发消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10129689B2 (en) 2015-11-02 2018-11-13 Definitio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US11297153B2 (en) * 2016-03-22 2022-04-05 At&T Mobility Ii Llc Evolved packet core applications microservices broker
WO2018005661A1 (en) * 2016-06-30 2018-01-04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es to authorize and enable/disable enhanced coverage functionality
US20190239051A1 (en) * 2016-08-10 2019-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paging signal in nb-iot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nb-iot
JP6733736B2 (ja) * 2016-10-07 2020-08-05 日本電気株式会社 Scefエンティティ及びデータ処理方法
DE102017200100B3 (de) * 2017-01-05 2018-03-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llektiven Erfassung von Daten in einem Mobilfunknetz sowie Datenerfassungsrechner und Mobilfunknetz-Verwaltungseinheit zur Verwendung bei dem Verfahren
US10530599B2 (en) 2017-02-27 2020-01-0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as a cloud service
US10506403B2 (en) 2017-02-27 2019-12-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integrated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service capability server (SCS) and application server (AS) services
US10405158B2 (en) 2017-02-27 2019-09-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as a diameter routing agent (DRA) feature
US10075827B1 (en) 2017-03-07 2018-09-11 At&T Intellectual Propre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to machine subscriber information and retrieval protection
US10820192B2 (en) * 2017-06-16 2020-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ownlink transmission in a RAN inactive mode
US10448449B2 (en) 2017-07-13 2019-10-1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provisioning session timeout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0334419B2 (en) 2017-08-16 2019-06-2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ptimiz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 signaling
US10313883B2 (en) 2017-11-06 2019-06-0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sing authentication validation time periods
CN109996302A (zh) * 2018-01-02 2019-07-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SGsMSC的选择方法、装置及设备
US11218468B2 (en) * 2018-03-06 2022-01-04 T-Mobile Usa, Inc. MSISDN request handling for identity fraud management
US11146577B2 (en) 2018-05-25 2021-10-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etecting and mitigating effects of abnormal behavior of a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
US10616802B2 (en) 2018-09-04 2020-04-0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verload and flow control at a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US11381955B2 (en) 2020-07-17 2022-07-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device related information
US11700510B2 (en) 2021-02-12 2023-07-1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hort message delivery status report valid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331A1 (en) 2003-09-20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akeup channel for mode transition in sleeping stat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09675A1 (en) 2008-07-14 2010-01-14 Nokia Corporation Setup of device-to-device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0651A (ja) * 2002-07-05 2004-02-05 Ntt Docomo Inc 通信方法、通信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サービス提供サーバ
KR100547734B1 (ko) 2003-06-1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 동작 상태 제어 방법
US8077683B2 (en) 2005-11-03 2011-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within a basic service set
US7912491B2 (en) * 2006-10-10 2011-03-2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efficiently transmit control messages to idle and sleep mode users in OFDMA based wireless networks
DE102008040521A1 (de) * 2008-07-18 2010-01-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uelementanordnung, Bauelement und Bauelementanordnung
KR101561063B1 (ko) * 2009-02-24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lbo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2696267B (zh) * 2009-11-25 2016-08-1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机器类通信预注册
CN102652412B (zh) * 2010-02-08 2016-03-02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在机器对机器通信系统中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其设备
KR101609580B1 (ko) * 2010-02-10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성 관리 엔티티 간 연결 방법
US9596596B2 (en) * 2010-02-15 2017-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chine-to-machine device triggering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uniform resourse identifier
US8639772B2 (en) * 2010-02-16 2014-01-28 Iboard Incorporated Centralized application resource manager
JP5490227B2 (ja) * 2010-04-30 2014-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9521621B2 (en) 2010-06-02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proxy support over a wireless link
IN2012CN10350A (ko) * 2010-06-15 2015-07-31 Tekelec Inc
JP5732753B2 (ja) * 2010-06-23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GB2485232B (en) * 2010-11-08 2015-02-04 Sca Ipla Holdings Inc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GB2485348A (en) * 2010-11-08 2012-05-16 Wireless Tech Solutions Llc Controlling communication from and/or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in accordance with a relative priority indicated by the type of data packets
KR101746668B1 (ko) 2010-12-21 201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속해제 상태의 사물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CN103262515B (zh) * 2010-12-21 2017-04-12 皇家Kpn公司 用于处理电信网络中的服务请求的方法和系统
TWI455621B (zh) * 2011-02-16 2014-10-01 Htc Corp 一種處理機器類別通訊裝置觸發之方法,以及使用該方法之服務網路
GB2476415B (en) * 2011-03-23 2011-11-16 Renesas Mobil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
GB2496179B (en) * 2011-11-04 2014-01-22 Renesas Mobile Corp Reducing signaling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9210645B2 (en) * 2012-05-18 2015-12-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ch Institute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ata paths, MTC gateway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US8989070B2 (en) 2012-07-02 2015-03-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331A1 (en) 2003-09-20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akeup channel for mode transition in sleeping stat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09675A1 (en) 2008-07-14 2010-01-14 Nokia Corporation Setup of device-to-device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74475A1 (en) 2014-01-09
FI20135725A (fi) 2014-01-03
EP3142392A1 (en) 2017-03-15
FI127414B (en) 2018-05-31
EP2868009A4 (en) 2016-02-24
CN107493159A (zh) 2017-12-19
CN103763694B (zh) 2017-08-29
FR2992820B1 (fr) 2016-11-25
FR2992820A1 (en) 2014-01-03
TWI489893B (zh) 2015-06-21
JP5950244B2 (ja) 2016-07-13
FI20236300A1 (en) 2023-11-24
TWI568291B (zh) 2017-01-21
BE1022333B1 (fr) 2016-03-16
FI3142392T3 (fi) 2023-09-06
KR20150008438A (ko) 2015-01-22
BR112014030156A2 (pt) 2017-06-27
NL2011078C2 (en) 2014-11-24
KR20160036091A (ko) 2016-04-01
KR101618497B1 (ko) 2016-05-04
EP3142392B1 (en) 2023-08-23
ES2733753T3 (es) 2019-12-02
US9432150B2 (en) 2016-08-30
ES2447340B2 (es) 2015-09-29
TWI610582B (zh) 2018-01-01
FI20185380A (fi) 2018-04-23
TW201724886A (zh) 2017-07-01
US20150249958A1 (en) 2015-09-03
JP2016184950A (ja) 2016-10-20
EP2868009A1 (en) 2015-05-06
WO2014007990A1 (en) 2014-01-09
CN107493159B (zh) 2020-11-10
HUE043858T2 (hu) 2019-09-30
TW201410051A (zh) 2014-03-01
ES2447340R1 (es) 2014-12-26
EP2868009B1 (en) 2019-05-15
US20140003313A1 (en) 2014-01-02
CN103763694A (zh) 2014-04-30
TW201528845A (zh) 2015-07-16
SE1350812A1 (sv) 2014-01-03
JP2015523028A (ja) 2015-08-06
NL2011078A (en) 2014-01-06
US8989070B2 (en) 2015-03-24
ES2447340A2 (es) 2014-03-11
ITMI20131103A1 (it)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443B1 (ko)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95083B2 (en) Address obtaining method and an address obtaining apparatus
CN103228004A (zh) 在没有移动站国际用户目录号的情况下的合法监听
WO2019223490A1 (zh) 一种设备监控、去注册方法及装置
US20130150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ce
WO2018162111A1 (en) Optimized handling of a ue in mico mode with entire plmn as registration area
US11381955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device related information
US20230353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detection
US202301324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dge computing service for roaming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873510A (zh) 安全通信方法、相关装置及系统
JP2024512630A (ja) 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通信機器
KR202301700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5028057A1 (en) Packet processing in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