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983B1 -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 Google Patents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983B1
KR101656983B1 KR1020150024548A KR20150024548A KR101656983B1 KR 101656983 B1 KR101656983 B1 KR 101656983B1 KR 1020150024548 A KR1020150024548 A KR 1020150024548A KR 20150024548 A KR20150024548 A KR 20150024548A KR 101656983 B1 KR101656983 B1 KR 10165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etronome
vibration
sound signal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617A (ko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102015002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2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feeling; Clocks or watches for blind persons
    • G04B25/04Alarm clocks or watches with devices stimulating the ski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05Periodical acoustic signal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9/00Producing optical time signals at prefixed tim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5/00Apparatus for producing preselected time intervals for use as timing standards
    • G04F5/02Metrono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신체에 결합되는 본체부가 결합된 신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정 주기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메트로놈 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소리 신호를 하이(high)와 로우(low)의 신호 세기로 구분되도록 하는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변환부; 상기 펄스 변환부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진동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메트로놈에 의한 청각적 신호뿐만 아니라, 신체에서 직감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을 발생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VIBRATIONAL TRANSDUCER FOR METRONOME}
본 발명은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가 진동을 통해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트로놈은 일정한 주기의 소리를 발생하여 그 소리에 따른 박자감을 익히며 악기 등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기존의 메트로놈은 사용자가 일정한 주기로 발생되는 소리를 단순히 귀를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잘 듣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는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만으로 박자감을 익히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음 등이 있는 공간에서는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정확하게 인지하며 그 소리에 맞춰 박자감을 익히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메트로놈은 단순히 기계적인 소리만을 제공함으로써, 잘 듣지 못하는 사람이나 소음 등이 존재하는 공간 등에서는 그 소리를 인식하고 박자감을 맞추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868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그 펄스 신호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본체부를 포함함으로써,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메트로놈에 의한 청각적 신호뿐만 아니라, 신체에서 직감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을 발생되도록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체부에 변환된 펄스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시각적으로도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부를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 등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해체되도록 함으로써, 메트로놈의 사용을 직감적으로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에 대한 착용과 분리가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한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의 신체에 결합되는 본체부가 결합된 신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정 주기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메트로놈 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소리 신호를 하이(high)와 로우(low)의 신호 세기로 구분되도록 하는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변환부; 상기 펄스 변환부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펄스 변환부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부와 메트로놈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소리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일측과 타측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벨크로 탈착 또는 부착 작용에 의해 신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탈착 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메트로놈에 의한 청각적 신호뿐만 아니라, 신체에서 직감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을 발생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시각적으로도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트로놈의 사용을 직감적으로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에 대한 착용과 분리가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한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및 메트로놈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및 메트로놈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는 사람의 신체, 특히 손목 또는 발목 등에 장착되는 신체 접촉부(1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는, 사람의 신체에 결합되는 본체부(200)가 결합된 신체 접촉부(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부(200)는, 일정 주기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메트로놈(10) 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 수신부(220)와,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서 전송받은 소리 신호를 하이(high)와 로우(low)의 신호 세기로 구분되도록 하는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변환부(230)와, 상기 펄스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6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는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이때 소리 신호는 기계적인 메트로놈의 초침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소리 또는 메트로놈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소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를 전송받는 본체부(200)가 구비된 신체 접촉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200)는 신호 수신부(220), 펄스 변환부(230) 및 진동 발생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메트로놈(10)에서 발생된 소리 신호를 전송받는 수단이다.
상기 메트로놈(10)은 일정한 주기로 소리 내지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소리 신호 발생부(12)와 상기 발생된 소리 신호를 후술하는 본체부로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호 송신부는 메트로놈에 형성된 신호 출력 단자를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메트로놈에 기 장착된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펄스 변환부(230)는 상기 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달받고, 그 소리 신호를 하이(high)와 로우(low)의 세기로 구분되는 전기적 신호인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펄스 변환부(230)는 상기 소리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큰 영역에서는 전기적인 하이 신호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인 작은 영역에서는 전기적인 로우 신호가 형성되도록 하는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진동 발생부(260)는 상기 펄스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가 하이 신호가 발생되는 때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진동 발생부(260)는 소형 진동 모터 또는 솔로노이드 진동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메트로놈(10)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메트로놈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입력받는 소리신호 입력단자(282)를 통해 상기 소리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메트로놈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상기 메트로놈(10)의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그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진동 발생부(26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 조절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조절부(250)는 상기 펄스 변환부에서 하이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진동 발생을 정지시키는 오프(off) 단계부터 기 설정된 진동 세기의 크기만큼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펄스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발광하는 발광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부는 상기 펄스 신호의 하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빛을 발하는 LED 등이 구비된 발광부(2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메트로놈에 의한 소리 신호를 진동 발생부(260)에 의해 촉각적으로 직접 인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직접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200)에는 충전지로 구성된 전원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210)는 상술한 본체부의 구성의 동작 수행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본체부에는 상기 전원부(210)가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재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28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진동 조절부(25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260)에서 그에 대응되는 세기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등 상술한 본체부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일측과 타측이 제1 연결부(290a)와 제2 연결부(290b)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벨크로 탈착 또는 부착 작용에 의해 신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결합 또는 손목 또는 발목으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체 접촉부(100)는 본체부(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290a)와 제2 연결부(29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290a)와 제2 연결부(290b)의 단부에는 서로 벨크로 방식에 의해 결합 또는 해체되는 암 벨크로부(291a)와 수 벨크로부(292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암 벨크로부(291a)와 수 벨크로부(291b)의 벨크로 방식에 의한 부착 및 해체에 의해, 상기 신체 접촉부가 신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장착되거나 상기 손목 또는 발목으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트로놈 100: 신체 접촉부
200: 본체부 210: 전원부
220: 신호 수신부 230: 펄스 변환부
240: 제어부 250: 진동 조절부
260: 진동 발생부 270: 발광부
280: 단자부 281: 충전단자
282: 소리신호 입력단자

Claims (5)

  1. 사람의 신체에 결합되는 신체 접촉부(100)를 포함한 본체부(200)는,
    일정 주기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메트로놈(10) 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송받는 신호 수신부(220);
    상기 신호 수신부(220)에서 전송받은 소리 신호를 하이(high)와 로우(low)의 신호 세기로 구분되도록 하는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변환부(230);
    상기 펄스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진동 발생부(26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 조절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펄스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 중 하이 신호 발생시마다 발광하는 발광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220)와 메트로놈(10)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메트로놈(10)의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260)의 진동자는,
    소형 진동 모터 또는 솔로노이드 진동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KR1020150024548A 2015-02-17 2015-02-17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KR10165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548A KR101656983B1 (ko) 2015-02-17 2015-02-17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548A KR101656983B1 (ko) 2015-02-17 2015-02-17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17A KR20160101617A (ko) 2016-08-25
KR101656983B1 true KR101656983B1 (ko) 2016-09-22

Family

ID=5688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548A KR101656983B1 (ko) 2015-02-17 2015-02-17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532A (zh) * 2019-06-17 2019-09-10 东莞市大米商贸有限公司 一种光浴闹钟
CN110992776A (zh) * 2020-01-06 2020-04-10 九江学院 一种音乐教学用组合式方便拆装的节拍器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40Y1 (ko) 2005-04-18 2005-06-29 황수영 청각장애우용 사고 알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3294A (ja) * 1981-11-13 1983-05-19 Kunitada Yatabe 音楽の拍子規正方法
JP3500721B2 (ja) * 1994-09-08 2004-02-23 ヤマハ株式会社 メトロノーム
KR20010004456A (ko) * 1999-06-29 2001-01-15 최수영 청각 장애용 진동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40Y1 (ko) 2005-04-18 2005-06-29 황수영 청각장애우용 사고 알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17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357B2 (en) Wireless sound charging methods and systems for game controllers, based on pocket-forming
TW200744398A (en) Implant bone conduction hearing aid
MX2022003326A (es) Dispositivo de emisión acústica.
TW200605706A (en) Sound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037786A1 (en) Electro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656983B1 (ko) 메트로놈 소리신호 신체 진동 변환기
RU2012144769A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TW201544093A (zh) 振動式按摩裝置及藍牙耳機
WO2021112467A3 (ko) 머신 러닝을 이용한 마사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및 마사지 장치
US20170285578A1 (en) Tactile metronome
US1196297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hearing aid system with a hearing aid
KR102470136B1 (ko) 스마트 인공후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227603A (ja) 電気式人工喉頭
US8031559B2 (en) Pulse alarm clock with alarm and acupuncture functions
JP5898457B2 (ja) 歩行訓練に用いられる靴
WO2019031158A1 (ja) 低周波治療器
JP2013147110A (ja) 水中通話装置
KR20140147177A (ko) 청각 보조시스템
JP3166740U (ja) 骨伝導音声拡聴器
JP2004343302A (ja) 外部音知覚装置
TWI609589B (zh) 聽覺輔助裝置與聽覺輔助運作方法
JP6293252B2 (ja) 補聴器
JP6069422B2 (ja) 補聴器
TWI658852B (zh) 能結合哨音信號控制與主控模式的籃球24秒訓練系統
KR20150094553A (ko) 수중활동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이어셋 및 이를 이용한 운동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