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800B1 -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800B1
KR101656800B1 KR1020150019355A KR20150019355A KR101656800B1 KR 101656800 B1 KR101656800 B1 KR 101656800B1 KR 1020150019355 A KR1020150019355 A KR 1020150019355A KR 20150019355 A KR20150019355 A KR 20150019355A KR 101656800 B1 KR101656800 B1 KR 10165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se
bicycle
magnet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553A (ko
Inventor
서휘석
Original Assignee
서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휘석 filed Critical 서휘석
Priority to KR102015001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8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는 자전거 핸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0)와 자석(40)이 장착된 상부부재(3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100), 및 상기 자석(40)의 돌출부(41)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51)이 형성되고, 휴대폰 뒷면 중앙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57)를 포함하는 휴대폰 부착부재(5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10)는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체결구(15a, 15b)에 의해 체결된 후, 볼트(5)와 너트(6)에 의해 조립되고, 핸들과 맞닺는 부위에 한 쌍의 완충부재(13, 14)를 포함한다. 상부부재(30)는 상부캡(31)과 베이스(32)로 구성되고, 상부캡(31)에는 자석(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33)이 형성되고, 베이스(32)에는 지지봉(38)과 가이드 벽(29)이 형성되어 스프링(37), 끈(36), 및 연결부재(35)가 차례로 연결된다. 볼트(39)로써 상부캡(31), 베이스(32), 및 상부지지대(11)를 일체로 결합한 후, 공간(33) 내에 자석(40)을 조립한다. 베이스(32)와 상부지지대(11) 사이의 공간(16)에 완충부재(2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휴대폰 부착부재(50)는 복수개의 천공부(51)가 형성된 천공철판(55),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가 차례로 접착되어 홈(51)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Mobile Phone Cradle for Bicycles}
본 발명은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전거 핸들에 휴대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을 자전거의 거치대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또한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거치대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교통수단과 레져 붐을 타고 자전거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자전거는 일반 도로자전거, 싸이클, 산악자전거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자전거 이용자들도 필수적으로 휴대폰을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거에 휴대폰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면 자전거 이용자들이 한층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탈착이 용이하며, 차량 운행 중에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콤팩트화하여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으며,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14-144174호(2014. 10. 23 출원)로 출원한 바 있다.
자전거는 차량과는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특허출원 제2014-144174호의 휴대폰 거치대를 자전거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자전거에 휴대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대는 차량과 마찬가지로 자전거를 타는 도중에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자전거는 도로 사정이 좋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돌멩이와 같은 돌출물에도 매우 요동이 심하기 때문에 거치되었던 휴대폰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반면 자전거가 정차되어 휴대폰을 거치대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탈착이 용이해야 하며, 장착된 경우에는 자전거를 타는 동안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탈착이 용이하고, 자전거를 타는 동안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며, 사이즈를 콤팩트화하여 미관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는 본 발명의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착이 용이하며, 자전거를 타는 동안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새로운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콤팩트화하여 사용자가 자전거 핸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는 새로운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콤팩트화하여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거치되었던 휴대폰이 큰 충격에 의하여 자전거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길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부재가 부착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등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는 자전거 핸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0)와 자석(40)이 장착된 상부부재(3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100), 및 상기 자석(40)의 돌출부(41)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51)이 형성되고, 휴대폰 뒷면 중앙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57)를 포함하는 휴대폰 부착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10)는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체결구(15a, 15b)에 의해 체결된 후, 볼트(5)와 너트(6)에 의해 조립되고, 핸들과 맞닺는 부위에 한 쌍의 완충부재(13, 14)를 포함한다.
상부부재(30)는 상부캡(31)과 베이스(32)로 구성되고, 상부캡(31)에는 자석(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33)이 형성되고, 베이스(32)에는 지지봉(38)과 가이드 벽(29)이 형성되어 스프링(37), 끈(36), 및 연결부재(35)가 차례로 연결된다. 볼트(39)로써 상부캡(31), 베이스(32), 및 상부지지대(11)를 일체로 결합한 후, 공간(33) 내에 자석(40)을 조립한다.
베이스(32)와 상부지지대(11) 사이의 공간(16)에 완충부재(2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휴대폰 부착부재(50)는 복수개의 천공부(51)가 형성된 천공철판(55),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가 차례로 접착되어 홈(51)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홈(51)의 깊이는 0.3~1.0mm 범위이고, 상기 돌출부(41)의 높이는 0.2~0.9mm 범위로서, 상기 홈(51)의 깊이가 돌출부(41)의 높이보다 0.1mm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부착부재(50)는 상기 연결부재(3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53)가 구비된다. 휴대폰 부착부재(50)에 연결고리(53)를 구비하기 위하여 천공철판(55)과 박막철판(56)에 한 쌍의 절개홈(54)이 형성되고, 천공철판(55)의 뒷면에 한 쌍의 홈(59)이 형성된다. 상기 홈(59) 안에 연결고리(53)의 절곡부(531)가 위치하고, 연결고리(53)는 절개홈(54)을 따라 수평으로 놓이거나 수직상태로 서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하며, 자전거를 타는 동안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콤팩트화하여 사용자가 자전거 핸들 바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으며,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100)를 자전거의 핸들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자전거 핸들에 조립된 휴대폰 거치대(10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 휴대폰 거치대(100)의 고정부재(1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2도 휴대폰 거치대(100)의 상부부재(3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5도는 휴대폰 뒷면 중앙부에 부착된 휴대폰 부착부재(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가”는 연결고리(53)가 수직으로 선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나”는 연결고리(53)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제6도는 휴대폰 부착부재(5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로서, 복수개의 천공부(51)가 형성된 천공철판(55),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를 도시한다.
제7도(A)는 천공철판(55)의 뒷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B)는 연결고리(53)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 핸들에 거치대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그 거치대에 휴대폰을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또한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거치대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는 자전거 핸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0)와 자석(40)이 장착된 상부부재(3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100), 및 상기 자석(40)의 돌출부(41)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51)이 형성되고, 휴대폰 뒷면 중앙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57)를 포함하는 휴대폰 부착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거치대(100)는 자전거 핸들에 고정시킨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100)를 자전거의 핸들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휴대폰 거치대(100)는 고정부재(10)와 자석(40)이 장착된 상부부재(30)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제1도의 자전거 핸들에 조립된 휴대폰 거치대(10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상부부재(30)와 고정부재(10) 사이에는 완충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부재(30)와 고정부재(10)는 볼트(39)에 의하여 조립되고, 상부캡(31)에 형성된 공간(33) 내부에 자석(40)이 장착된다. 고정부재(10)의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를 벌려서 자전거 핸들에 삽입한 후, 볼트(5)와 너트(6)로써 고정시킨다.
상부부재(30)에 장착되는 자석(40)은 상부에 복수개의 돌출부(41)가 형성된다. 통상 4개의 돌출부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시 5 내지 9 개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자석의 상부에 직접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비용도 상당히 많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알미늄 성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제조하고, 그 내부에 자석을 내장시키고, 내장된 자석이 알미늄 성형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알미늄 성형부재의 하부 모서리를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한다. 이러한 자석(40)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2014-144174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고정부재(10)는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체결구(15a, 15b)에 의해 체결된 후, 볼트(5)와 너트(6)에 의해 조립되고, 핸들과 맞닺는 부위에 한 쌍의 완충부재(13, 14)를 포함한다. 제3도는 제2도 휴대폰 거치대(100)의 고정부재(1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한 쌍의 완충부재(13, 14)는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고, 고정부재(10)를 자전거 핸들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부재(30)는 상부캡(31)과 베이스(32)로 구성된다. 제4도는 제2도 휴대폰 거치대(100)의 상부부재(3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상부캡(31)에는 자석(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33)이 형성되고, 베이스(32)에는 지지봉(38)과 가이드 벽(29)이 형성되어 스프링(37), 끈(36), 및 연결부재(35)가 차례로 연결된다. 볼트(39)로써 상부캡(31), 베이스(32), 및 상부지지대(11)를 일체로 결합한 후, 공간(33) 내에 자석(40)을 조립한다.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결부재(35)가 유연하게 출입할 수 있다.
베이스(32)와 상부지지대(11) 사이의 공간(16)에 완충부재(2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완충부재(20)는 고정부재(10) 안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완충부재(13, 14)와 함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폰(200) 뒷면에는 휴대폰 부착부재(50)를 부착하여 자전거에 고정된 거치대(100)에 휴대폰을 고정시킨다. 휴대폰 부착부재(50)에는 복수개의 홈(51)이 형성되어, 이 홈 속으로 자석(40)의 돌출부(41)가 삽입되어 자력에 의하여 휴대폰을 지지한다. 휴대폰 부착부재(50)는 복수개의 천공부(51)가 형성된 천공철판(55),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가 차례로 접착되어 홈(51)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6도는 휴대폰 부착부재(5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로서, 복수개의 천공부(51)가 형성된 천공철판(55),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를 도시한다. 상기 홈(51)의 깊이는 0.3~1.0mm 범위이고, 상기 돌출부(41)의 높이는 0.2~0.9mm 범위로서, 상기 홈(51)의 깊이가 돌출부(41)의 높이보다 0.1mm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휴대폰 뒷면 중앙부에 부착된 휴대폰 부착부재(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가”는 연결고리(53)가 수직으로 선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나”는 연결고리(53)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휴대폰 부착부재(50)에 연결고리(53)를 형성하는 이유는 이 연결고리를 거치대(100)에 내장된 연결부재(35)와 연결하여, 휴대폰이 거치대의 자석(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자전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7도(A)는 천공철판(55)의 뒷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B)는 연결고리(53)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휴대폰 부착부재(50)는 상기 연결부재(3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53)가 구비된다. 휴대폰 부착부재(50)에 연결고리(53)를 구비하기 위하여 천공철판(55)과 박막철판(56)에 한 쌍의 절개홈(54)이 형성되고, 천공철판(55)의 뒷면에 한 쌍의 홈(59)이 형성된다. 상기 홈(59) 안에 연결고리(53)의 절곡부(531)가 위치하고, 연결고리(53)는 절개홈(54)을 따라 수평으로 놓이거나 수직상태로 서게 된다.
휴대폰 부착부재(50)에 연결고리(53)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6도와 같이, 천공철판(55)과 박막철판(56)에 한 쌍의 절개홈(5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7도와 같이, 천공철판(55)의 뒷면에 연결고리(53)의 절곡부(531)가 삽입되도록 홈(59)을 형성한다. 천공철판(55)과 박막철판(56) 두께의 합의 절반에 해당하는 홈(5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철판(56)에는 절개홈(54)에 이어 직각으로 절개홈(58)이 형성된다. 천공철판(55)과 박막철판(56)은 서로 겹쳐지기 때문에, 연결고리(53)의 절곡부(531)는 결국 절개홈(58)과 홈(59)에 위치하게 된다. 제조하는 경우, 천공철판(55)과 박막철판(56)을 겹쳐서 접합시키고, 절개홈(58)과 홈(59)에 연결고리(53)의 절곡부(531)를 위치시키고, 마지막으로 양면테이프(57)를 접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5도와 같이, 연결고리(53)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면서 수직으로 선 상태 또는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공철판(55)의 두께가 곧 홈(51)의 깊이를 의미하기 때문에 천공철판의 두께가 중요하다. 그 두께가 0.3 mm보다 작으면 홈(51)의 깊이가 작아져서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없다. 또한 그 두께가 1.0 mm보다 크면 부피감으로 인하여 휴대폰 뒷면에 부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의 두께는 천공철판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박막철판(56)은 0.1∼0.2 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철판(55)과 양면테이프(57) 사이에는 박막철판(56)이 위치하여 서로 접착된다. 천공철판(55)와 박막철판(56)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볼(ball) 가공법에 의하여 접착시킨다. 볼 가공법은 두 장의 철판을 겹치게 한 후 펀칭에 의하여 결합홈(52)을 형성하면서 결합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철판의 접착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양면테이프(57)의 바깥면에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다. 휴대폰 부착부재(50)를 휴대폰 뒷면에 부착하는 경우 이형지를 제거하여 부착한다. 휴대폰 부착부재(50)는 휴대폰 뒷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면테이프(57)에는 강력 접착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양면테이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휴대폰 부착부재(50)는 휴대폰 뒷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적절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로 가로x세로가 36x51.5 mm 사이즈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 부착부재(50)에 형성되는 천공부(51)도 적절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원형의 천공부(51)는 그 직경이 3.2 mm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 부착부재(50)의 모양도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마름모, 원형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탈착이 용이하며, 자전거를 타는 동안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콤팩트화하여 사용자가 자전거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볼트 6: 너트
10: 고정부재 11: 상부지지대
12: 하부지지대 13, 14: 완충부재
15: 체결구 16: 공간
17: 돌출체결구 18, 19: 구멍
20: 완충부재 21: 구멍
29: 가이드 벽 30: 상부부재
31: 상부캡 32: 베이스
33: 공간 34: 구멍
35: 연결부재 36: 끈
37: 스프링 38: 지지봉
39: 볼트 40: 자석
41: 돌출부 50: 휴대폰 부착부재
51: 홈 52: 결합홈
53: 연결고리 54: 절개홈
55: 천공철판 56: 박막철판
57: 양면테이프 59: 홈
100: 휴대폰 거치대 200: 휴대폰
531: 절곡부

Claims (9)

  1. 자전거 핸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0)와 자석(40)이 장착된 상부부재(3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100); 및
    상기 자석(40)의 돌출부(41)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51)이 형성되고, 휴대폰 뒷면 중앙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57)를 포함하는 휴대폰 부착부재(50);
    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30)는 상부캡(31)과 베이스(3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캡(31)에는 자석(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33)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2)에는 지지봉(38)과 가이드 벽(29)이 형성되어 스프링(37), 끈(36), 및 연결부재(35)가 차례로 연결되고, 볼트(39)로써 상부캡(31), 베이스(32), 및 상부지지대(11)를 일체로 결합하고, 공간(33) 내에 자석(40)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는 상부지지대(11)와 하부지지대(12)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체결구(15a, 15b)에 의해 체결된 후, 볼트(5)와 너트(6)에 의해 조립되고, 핸들과 맞닿는 부위에 한 쌍의 완충부재(13, 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2)와 상부지지대(11) 사이의 공간(16)에 완충부재(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부착부재(50)는 복수개의 천공부(51)가 형성된 천공철판(55), 박막철판(56), 및 양면테이프(57)가 차례로 접착되어 홈(51)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부착부재(50)는 상기 연결부재(3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5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51)의 깊이는 0.3~1.0mm 범위이고, 상기 돌출부(41)의 높이는 0.2~0.9mm 범위로서, 상기 홈(51)의 깊이가 돌출부(41)의 높이보다 0.1mm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KR1020150019355A 2015-02-09 2015-02-09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KR10165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55A KR101656800B1 (ko) 2015-02-09 2015-02-09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55A KR101656800B1 (ko) 2015-02-09 2015-02-09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553A KR20160097553A (ko) 2016-08-18
KR101656800B1 true KR101656800B1 (ko) 2016-09-12

Family

ID=5687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355A KR101656800B1 (ko) 2015-02-09 2015-02-09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4944A (zh) * 2021-12-25 2022-03-25 广州友群攻城狮科技实业有限公司 自行车手机支架
KR102600235B1 (ko) * 2023-06-23 2023-11-09 최천오 완충 기능이 구비된 오토바이 충전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65Y1 (ko) * 2005-09-23 2005-12-07 설정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JP2012245884A (ja) * 2011-05-27 2012-12-13 Sanyo Electric Co Ltd 取付け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65Y1 (ko) * 2005-09-23 2005-12-07 설정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JP2012245884A (ja) * 2011-05-27 2012-12-13 Sanyo Electric Co Ltd 取付け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553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462B1 (en) Easy attach/detach flag mount
US20130062480A1 (en) Sleeve bracket assembly
KR101279536B1 (ko) 자전거의 휴대폰 거치대
KR101656800B1 (ko) 자전거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US6719254B1 (en) Article holder
GB2555934A (en) Multi-purpose portable power bank and/or mobile phone fixing device
CN104973178A (zh) 一种自行车用调节手机架
KR101146442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KR200483942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CN201630704U (zh) 办公椅脚座
US7305794B1 (en) Flower mounting assembly for a headstone
GB2512279A (en) A mount device
KR20070100049A (ko)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US9296439B2 (en) Helmet holder assembly
US20130193253A1 (en) Modular cord organizer
CN206031605U (zh) 自行车手机架
CN211457179U (zh) 一种带支架的手机壳
KR200492403Y1 (ko)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TWI557355B (zh) Can quickly disassemble the assembly
KR20160048736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CN203064099U (zh) 防震山地自行车gps、手机固定架
CN204979001U (zh) 一种自行车用调节手机架
KR200418983Y1 (ko)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304973Y1 (ko)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83798Y1 (ko) 다용도 핸드폰 커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