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28B1 -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528B1
KR101656528B1 KR1020100027270A KR20100027270A KR101656528B1 KR 101656528 B1 KR101656528 B1 KR 101656528B1 KR 1020100027270 A KR1020100027270 A KR 1020100027270A KR 20100027270 A KR20100027270 A KR 20100027270A KR 101656528 B1 KR101656528 B1 KR 10165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mote
remote controller
key
scree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015A (ko
Inventor
배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2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은 수신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 측에 키 입력을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리모컨 상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Method for providing screen remot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방송에 적용되는 포인터 기반의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표적인 것이 텔레비전이다.
상기 텔레비전의 사용자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송채널 등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마련되어 있는 숫자-버튼들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송채널 등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송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 숫자-버튼들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크기는 비교적 크다. 하지만,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숫자-버튼들이 없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서도 자신이 원하는 방송채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숫자-버튼들이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UI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은 수신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 측에 키 입력을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리모컨 상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된 콘텐츠에 키 입력을 위한 스크린 리모컨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를 토대로 방송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일반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시청시 공간 리모컨 및 일반 리모컨을 번갈아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리모컨의 사용성을 높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동작 인식 리모컨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부(110),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조작 신호 수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수신부(110)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디지털 외부 신호 입력 단자 및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와, PVR(Personal Video Recorder)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 같은 디지털 녹화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 단자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신호용 입력 단자 또는 DVD 같은 디지털 외부 재생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이며, 상기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VCR 신호 입력 단자 또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 신호 입력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튜너는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동조한다. 상기 아날로그 튜너는 아날로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들인 영상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영상 프로그램을 동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는 실시간 방송중인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외부 재생기로부터 입력된 재생 프로그램, 녹화 프로그램 및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인 경우, 영상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모두 포함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 콘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는 처리부(120)를 통해 신호처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lamp)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GUI 생성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부가한다. 여기에서, 상기 GUI 생성부(130)는 상기 메뉴 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하며, 상기 OSD 형태로 생성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문자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영상 프로그램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데이터는 사용자 요청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리모컨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GUI 생성부(130)를 통해 생성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장치(100)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구현되고, I2C방식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17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신호 수신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200)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조작 신호 수신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종류 또는 방송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일측에 키 입력을 위한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의 종류에는 크게 일반 방송 콘텐츠와,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존재한다.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TV 방송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는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규격 등의 데이터 방송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모드를 일반 방송 모드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일반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모드를 데이터 방송 모드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에는 일반 방송 콘텐츠 이용시 사용할 수 있는 필수 키 항목이 포함된다. 상기 필수 키 항목에는 숫자키, 확인키, 입력모드 전환키, 선호 채널키, 프로그램 정보 확인 키, 퀵 메뉴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에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 이용시 사용할 수 있는 필수 키 항목이 포함된다. 상기 필수 키 항목에는 방향 키(좌, 우, 상, 하), 확인 키, 컬러 키, 이전 키 및 텍스트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의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리모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 신호 수신부(160)에 포함될 수 있는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의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어부(17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리모컨은 사용자의 버튼 입력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에 반응하는 리모컨으로서 이하 동작인식 리모콘(200)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포인팅하는 지점에 포인터(30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30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3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작인식 리모컨(200)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300)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포인터(300)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3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4는 동작 인식 리모컨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 신호 수신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된 조작신호 수신부(160)는 좌표값 산출부(164) 및 무선 통신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64)는 전술한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61)는 RF 모듈(162) 또는 IR 모듈(16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센서부(230), 출력부(240), 전원공급부(250), 메모리(260),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100)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신호 수신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신호 수신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1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1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2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30)는 움직임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231) 또는 가속도 센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1)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231)는 동작인식 리모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3)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2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2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2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5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5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RF 모듈(2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제어부(27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페어링(pairing)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6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3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신호 수신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61)와,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61)는 RF 모듈(211)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211)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컨(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64)는 무선 통신부(161)를 통하여 수신된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포인터(300)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신호 수신부(1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입력된 동작인식 리모컨(200)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동작인식 리모컨(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은 상기 동작인식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른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화면이며, 상기 스크린 리모컨 내에는 다수의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키 항목 중 특정 키 항목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동작인식 리모컨(200)의 포인터가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키 항목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방송 모드에 따라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되는 키 항목들이 다를 수 있다.
즉, 일반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에너지 세이빙 키, 모드 전환 키, 선호 채널 키, 프로그램 가이드 키, 퀵 메뉴 키, 확인 키, 닫기 키, 최근 시청 채널 키 및 숫자 키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에는 스크린 리모컨에 상기와 같은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향 키, 확인 키,컬러 키, 숫자 키, 이전 키 및 텍스트 키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에는 스크린 리모컨에 상기와 같은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키 항목들이 포함된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이 포함된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500)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측에는 상기 공간인식 리모컨(200)의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에는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키 항목들에는 에너지 세이빙 키, 모드 전환 키, 선호 채널 키, 프로그램 가이드 키, 퀵 메뉴 키, 확인 키, 닫기 키, 최근 시청 채널 키 및 숫자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에는 제 1 변경 키(520)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2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 내에 포함된 제 2 변경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으로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이 포함된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600)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측에는 상기 공간인식 리모컨(200)의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는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키 항목들에는 방향 키, 확인 키,컬러 키, 숫자 키, 이전 키 및 텍스트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는 제 2 변경 키(620)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 내에 포함된 제 1 변경 키(520)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으로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스크린 리모컨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 포함되어야 하는 키 항목의 수가 많기 때문에, 상기 제 2 스크린(610) 내에 상기 다수의 키 항목을 포함시킬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에는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제 1 진입 키(6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진입 키(630)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 대신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제 3 변경 키(720)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변경 키(720)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 대신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에는 제 2 진입 키(730)가 존재하며,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진입 키(730)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스크린 리모컨(710) 대신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 콘텐츠는 다수의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2 및 3 스크린 리모컨으로 인해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및 3 스크린 리모컨의 사용 의도가 있을 경우에만 상기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자동으로 숨길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에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800)가 디스플레이되며, 일 영역에는 제 2 스크린 리모컨 또는 제 3 스크린 리모컨(8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는 포인터(30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사용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영역(820)이 존재한다.
상기 영역(820)은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300)가 상기 설정된 영역(820)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포인터(300)가 상기 설정된 영역(820)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숨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되는 키 항목들의 배열 상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공간 리모컨(200)의 드래그 앤 드랍(drag&drop)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된 특정 키 항목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610) 상에서 사용자가 OK 키 항목을 드래그 한 다음 제 2 변경 키(620)의 우측에 드랍할 경우, 상기 OK 키 항목의 위치는 상기 제 2 변경 키(620)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전에 상기 제 2 변경 키(620)의 우측에 위치했던 키 항목들은 상기 OK 키 항목의 이동에 따라 우측으로 일 영역씩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일반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시청시 공간 리모컨 및 일반 리모컨을 번갈아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리모컨의 사용성을 높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한다(100단계). 이때,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저장 방송 콘텐츠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110단계).
제어부(170)는 특정 키 입력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0단계). 이때, 상기 특정 키 입력은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에 대응되며, 상기 공간 인식 리모컨(200)에 포함된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특정 제스쳐를 취하였을 경우에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하였다면,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한다(13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파악한다. 즉,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에는 일반 방송 콘텐츠와 데이터 방송 콘텐츠가 혼합되어 있을 경우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파악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14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로 이루어진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15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 시청시 사용할 수 있는 키 항목들로 이루어진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수신한다(200단계). 이때,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저장 방송 콘텐츠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210단계).
제어부(170)는 특정 키 입력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20단계). 이때, 상기 특정 키 입력은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에 대응되며, 상기 공간 인식 리모컨(200)에 포함된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특정 제스쳐를 취하였을 경우에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발생하였다면, 특정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30단계).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은 일반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1 스크린 리모컨일 수 있고, 데이터 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리모컨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된 스크린 리모컨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변경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40단계). 즉,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1 스크린 리모컨(510)인 경우, 제 1 변경 키(520)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2 스크린 리모컨(610)인 경우, 제 2 변경 키(620)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3 스크린 리모컨(710)인 경우, 제 3 변경 키(720)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변경 키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1 스크린 리모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50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1 스크린 리모컨이면,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를 해제하고, 제 2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60단계).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컨이 제 2 또는 3 스크린 리모컨인 경우, 상기 제 2 또는 3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를 해제하고, 제 1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270단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 리모컨 디스플레이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한다(300단계).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10단계). 즉,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특정 키 항목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포인터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키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상기 선택된 키 항목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키 항목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320단계).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키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한다(330단계). 즉,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값을 확인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포인터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포인터가 기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40단계).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 중 특정 영역은 스크린 리모컨의 사용 의도를 판단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되며,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면, 상기 단계(300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 위치를 추적한다.
또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의 숨김 기능을 실행한다(350단계). 즉, 상기 디스플레이화면상에 스크린 리모컨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때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포인터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숨김 기능을 해제하여 상기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일반 방송 및 데이터 방송 시청시 공간 리모컨 및 일반 리모컨을 번갈아 이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리모컨의 사용성을 높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0: 수신부 120: 처리부
130: GUI 생성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저장부 160: 조작신호 수신부
170: 제어부

Claims (10)

  1. 수신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일반 방송 콘텐츠와 데이터 방송 콘텐츠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상기 일반 방송 콘텐츠인 경우에는 키 입력을 위한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상기 콘텐츠가 상기 데이터 방송 콘텐츠인 경우에는 키 입력을 위한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리모컨 상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에는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위한 제 1 변경 키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스크린 리모컨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위한 제 2 변경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리모컨에 포함된 키 항목의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리모컨의 숨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6.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된 콘텐츠에 키 입력을 위한 스크린 리모컨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를 토대로 방송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방송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리모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모드는 일반 방송 모드 및 데이터 방송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모드가 상기 일반 방송 모드인 경우에는 키 입력을 위한 제 1 스크린 리모컨을, 상기 방송 모드가 상기 데이터 방송 모드인 경우에는 키 입력을 위한 제 2 스크린 리모컨을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스크린 리모컨에는 다른 스크린 리모컨으로의 진입을 위한 변경 키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리모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및 2 스크린 리모컨에 존재하는 키 항목의 배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 입력을 위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스크린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00027270A 2010-03-26 2010-03-26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65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270A KR101656528B1 (ko) 2010-03-26 2010-03-26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270A KR101656528B1 (ko) 2010-03-26 2010-03-26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15A KR20110108015A (ko) 2011-10-05
KR101656528B1 true KR101656528B1 (ko) 2016-09-09

Family

ID=4521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270A KR101656528B1 (ko) 2010-03-26 2010-03-26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947B1 (ko) * 2012-03-19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6067A (ko) 2012-05-10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110A (ko) * 2003-03-06 2004-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리모컨 제어방법
KR20050056393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콘 키 배열 선택 방법
KR100718425B1 (ko) * 2005-05-11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 채널 선국 방법
JP4396586B2 (ja) * 2005-06-22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15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358B1 (ko)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US94327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96531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US87937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hannel recall on a television receiver
US925634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152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303143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3017979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US9277294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10035650A (ko)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가이드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0574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56528B1 (ko) 스크린 리모컨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595573B1 (ko) 공간 리모컨, 공간 리모컨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9400568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599530B1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663833B1 (ko) 공간 리모컨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393803B1 (ko) 리모컨, 리모컨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27556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20170308509A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1006270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15789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49851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080044653A (ko) 전자기기의 리모컨 도움말 표시 방법
KR2011000893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