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06B1 - 열상 관측경 - Google Patents

열상 관측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506B1
KR101656506B1 KR1020140173384A KR20140173384A KR101656506B1 KR 101656506 B1 KR101656506 B1 KR 101656506B1 KR 1020140173384 A KR1020140173384 A KR 1020140173384A KR 20140173384 A KR20140173384 A KR 20140173384A KR 101656506 B1 KR101656506 B1 KR 10165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detector assembly
optical axis
case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679A (ko
Inventor
이성민
김선하
임창호
Original Assignee
(주)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7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두울 때나 야간에 전방의 피사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로 경통과 열상검출기 사이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열상 관측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열상 관측경은 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렌즈군이 제공된 경통,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경통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경통과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열상검출기 어셈블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열상검출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고정링크, 고정링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연결링크의 타단이 직각 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핀, 그리고 연결핀이 편심위치에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상 관측경{Thermal observation device}
본 발명은 어두울 때나 야간에 전방을 관측할 수 있는 장비로 경통(鏡筒)과 열상검출기 사이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열상 관측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상 관측경은 어두울 때나 야간에 군사용, 생태 관찰용 또는 경찰 업무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열상 관측경은 송전선로의 이상유무판단, 저장탱크의 저장량 확인, 재난 현장 사고자 구조 등 민수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러한 열상 관측경은 빛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물체가 복사하는 열에너지 대역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증폭한 후 영상으로 전환시켜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상 관측경은 피사체를 대물렌즈계에 의해 열상검출기에 상을 맺히게 하고, 물질의 온도가 올라가면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볼로미터효과(bolometer effect)를 이용한 열상검출기를 통해 감지된 열에너지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다시 이 전기신호를 영상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영상은 접안렌즈계나 표시 장치(CRT, LCD 등)를 통해 확대될 수 있으며, 관측자나 관측장치가 편안한 가시거리에서 확대된 영상을 관측할 수 있다.
기존의 열상 관측경은 경통과 열상검출기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열상검출기를 이동시키는 초점조절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초점조절부재는 열상검출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축선에 배치되며, 후면을 이루는 케이스의 뒤편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노브가 결합된다. 관측자는 노브를 두개의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에 연결된 초점조절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하면서 열상검출기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경통과 열상검출기의 간격이 조절되어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열상 관측경은 관측자가 한손으로는 열상 관측경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여 노브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한다. 이때 열상 관측경을 야간 또는 악조건에서 사용할 때, 관측자는 반드시 두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노브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초점조절을 위한 작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열상 관측경은 관측자가 두손으로 열상 관측경을 안정적으로 잡고 전방의 물체를 관찰할 필요가 있으나, 한손은 열상 관측경을 잡고 다른 한 손의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초점조절을 위한 노브를 회전시키므로 열상 관측경을 안정적으로 잡는 것이 불리하여 열상 관측경을 잡고 있는 손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전방의 피사체를 원활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열상 관측경은 열상검출기와 초점조절부재 그리고 노브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후면 케이스에 돌출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여 설계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08704호(2011. 01. 1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관측자가 안정된 자세로 두손을 이용하여 잡은 상태에서도 초점을 조절하는 노브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열상 관측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측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설계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열상 관측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렌즈군이 제공된 경통,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경통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상기 경통과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고정링크, 상기 고정링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이 직각 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핀, 그리고 상기 연결핀이 편심위치에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열상 관측경을 제공한다.
상기 노브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에서 일부만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통에는 광축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측자가 두손으로 열상 관측경을 잡은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노브를 돌려 경통과 열상검출기 어셈블리의 간격을 조절하여 초점을 맞춤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열상 관측경을 사용할 수 있어 손 떨림을 최소화시켜 피사체의 식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측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노브를 케이스의 후면의 사이드 측에 배치할 수 있어 케이스의 후면의 공간을 확보하여 다른 장치를 배치할 수 있어 설계자유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열상 관측경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열상 관측경의 주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초점 조절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초점 조절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열상 관측경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열상 관측경은 케이스(1), 경통(3, 鏡筒),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 가이드(7), 그리고 초점 조절부(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스(1)는 편의상 열상 관측경의 후면 일부분 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는 열상 관측경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제공된다.
케이스(1)에는 경통(3)이 고정되어 결합된다. 경통(3)은 그 내부에 렌즈군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통(3)은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를 향하는 부분에 다수의 가이드홈(3a)이 제공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a)은 도 1과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상부 측에 2개 하부에 1개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홈(3a)은 가이드(7)가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7)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는 경통(3)의 후면(도 1과 도 2에서 -x 방향)에 경통(3)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다.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는 경통(3)의 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상이 열에너지 형태로 맺히는 열상검출기(5a)를 구비한다.
이러한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는 광축방향(도면에서 x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는 경통(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가이드(7)는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에 고정되며, 봉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광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7)는 경통(3)에 제공된 가이드홈(3a)의 수와 일치하는 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7)는 경통(3)의 가이드홈(3a)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a)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7)는 가이드홈(3a)에 삽입되어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의 뒤부분(도 1과 도 2를 기준으로 -x 방향)에는 초점 조절부(9)가 결합된다. 초점 조절부(9)는 고정링크(11), 연결링크(13), 연결핀(15) 그리고 노브(17)를 포함한다.
고정링크(11)는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의 뒤쪽 부분에 광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링크(11)는 연결링크(13)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연결링크(13)는 고정링크(11)와 힌지결합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구간을 회전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연결링크(13)가 z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연결링크(13)의 타단에는 연결링크(13)가 회전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결핀(15)이 결합된다. 연결핀(15)은 노브(17)의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연결핀(15)은 노브(17)의 회전중심(O)에서 거리 d 만큼 외주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브(17)를 회전시키면 노브(17)의 회전에 따라 연결핀(15)이 이동하고, 연결핀(15)에 결합된 연결링크(13)가 이동하면서 고정링크(11)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7)는 케이스(1)의 후면에 일부가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노브(17)는 관측자가 두 손으로 열상 관측경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한손가락으로 노브(1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노브(17)는 케이스(1)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열상 관측경의 초점 조절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측자는 열상 관측경을 두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방을 관측한다. 그러면 피사체는 경통(3)의 렌즈군을 통해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의 열상검출기(5a)로 조사된다. 이 과정에서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 관측자는 여전히 열상 관측경을 두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한손가락(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노브(17)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노브(17)가 회전하고 노브(17)의 회전에 따라 연결핀(15)을 따라 연결링크(13)가 이동한다. 이때 연결핀(15)은 노브(17)의 측면에 편심되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링크(13)가 고정링크(11)를 광축방향으로 당기거나 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링크(11)가 이동하면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도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7)가 경통(3)에 제공된 가이드홈(3a)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통(3)과 열상검출기 어셈블리(5)의 열상검출기(5a)까지의 거리가 D1 또는 D2로 가변되면서 초점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찰자가 두손으로 열상 관측경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한손가락으로 노브(17)를 돌려 초점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자세에서 열상 관측경을 다룰 수 있어 야간이나 악조건 속에서 전방의 피사체를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브(17)를 케이스(1)의 후면의 일측으로 배치하여 케이스 후면 측에 별도의 연결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케이스,
3. 경통, 3a. 가이드홈,
5.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5a. 열상검출기,
7. 가이드,
9. 초점 조절부,
11. 고정링크,
13. 연결링크,
15. 연결핀,
17. 노브

Claims (3)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렌즈군이 제공된 경통,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경통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상기 경통과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고정링크,
    상기 고정링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이 직각 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핀, 그리고
    상기 연결핀이 편심위치에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에는
    광축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열상검출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의 회전 중심축이 광축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노브를 한손가락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핀으로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이 상기 노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링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열상 관측경.
  2. 삭제
  3. 삭제
KR1020140173384A 2014-12-04 2014-12-04 열상 관측경 KR10165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84A KR101656506B1 (ko) 2014-12-04 2014-12-04 열상 관측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84A KR101656506B1 (ko) 2014-12-04 2014-12-04 열상 관측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79A KR20160067679A (ko) 2016-06-14
KR101656506B1 true KR101656506B1 (ko) 2016-09-09

Family

ID=5619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384A KR101656506B1 (ko) 2014-12-04 2014-12-04 열상 관측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04B1 (ko) 2008-10-17 2011-01-17 (주)이오시스템 열상 장치용 대물렌즈계
KR101114828B1 (ko) * 2009-11-19 2012-02-15 코디텍(주) 줌연동 광발산각 조절이 가능한 적외선 조명장치
KR20130064598A (ko) * 2011-12-08 2013-06-18 (주)이오시스템 휴대용 광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79A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9030A (en) Connecting device for an endoscopic television camera
JP2021520979A (ja) 三次元口腔スキャナ
US20070177016A1 (en) Upright infrared camera with foldable monitor
KR102587025B1 (ko) 웨어러블 글래스 장치
CN106796386B (zh) 投影型显示装置
JP6976803B2 (ja) 撮像装置
US9894263B2 (en) Handheld magnifier camera with variable focus distance
US20190187404A1 (en) Imaging device and surveillance camera having the imaging device
US10022039B2 (en) Endoscope with adjustable viewing direction
US759583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grasp member thereof
JP2017504071A5 (ko)
KR101656506B1 (ko) 열상 관측경
CN105786265A (zh) 光学触控系统、光幕产生模块及调整结构
KR20130064598A (ko) 휴대용 광학장치
US20190064473A1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US9451139B2 (en) Portable optical instru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11099371B2 (en) Telescope bypass mirror mechanism with minimized stow volume
JP5929311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20190137726A1 (en) Lens barrel that holds lens groups moving forwardly and backwardly in optical axis direction, image pickup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EP2369408B1 (en) Image acquisition unit
JP6268063B2 (ja) 内視鏡装置
CN218298632U (zh) 视场可切换光学镜头
KR101718490B1 (ko) 열상 조준경
JP7187072B2 (ja) ファイバースコープ接続具、及びファイバースコープシステム
JP2018189884A (ja) ファイバースコープ接続具、及びファイバースコー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