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59B1 - 전송 전력 불균형 시에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 - Google Patents

전송 전력 불균형 시에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59B1
KR101656359B1 KR1020157003322A KR20157003322A KR101656359B1 KR 101656359 B1 KR101656359 B1 KR 101656359B1 KR 1020157003322 A KR1020157003322 A KR 1020157003322A KR 20157003322 A KR20157003322 A KR 20157003322A KR 101656359 B1 KR101656359 B1 KR 10165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dulation coding
communicating
wireless network
coding sch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021A (ko
Inventor
시몬 멀린
아민 자파리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04L1/003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where the transmitter decides based on inferences, e.g. use of implicit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변조 코딩 방식들(MCS)을 선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MCS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과 송신기의 MCS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MCS는 액세스 포인트와 사용자 단말 간의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Description

전송 전력 불균형 시에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MODULATION CODING SCHEME SELECTION FOR RESPONSE FRAMES IN CASE OF TRANSMIT POWER IMBALANCE}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의 세트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요구되는 대역폭 요건들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스루풋을 달성하는 동시에 채널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단일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게 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중 입력 또는 다중 출력(MIMO) 기술은 차세대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대중적인 기술로서 최근에 부상한 그러한 하나의 접근법을 나타낸다. MIMO 기술은 전기 기술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802.11 표준과 같은 여러 신흥 무선 통신 표준들에 채택되었다. IEEE 802.11은 단거리 통신(예를 들어, 수십 미터 내지 몇백 미터)을 위해 IEEE 802.11 위원회에 의해 개발된 한 세트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의미한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T)개의 전송 안테나와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NT개의 전송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로도 지칭되는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는데, 여기서
Figure 112015012976027-pct00001
이다. NS개의 독립 채널들 각각은 차원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인 차원들이 사용되는 경우,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단일 액세스 포인트(AP)와 다수의 사용자 스테이션들(STA들)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다수의 채널들에서 상이한 스테이션들을 향해 업링크와 다운링크 방향 둘 모두에서 동시 전송이 발생할 수 있다. IEEE 802.11ah 표준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AP들과 STA들은 상이한 전송 전력 능력들(capabilities)을 가질 수 있다. 많은 과제들이 이러한 시스템들에 존재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 및 제 1 변조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predetermined quantity)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1 변조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어소시에이션 시에 필드 엘리먼트에서 송신기의 전송 전력의 지시(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결정된 양은 송신기의 지시된 전송 전력과 전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의 함수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송신기로부터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결정된 양을 제공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미리결정된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
일부 양상들에서, 미리결정된 양은 데이터레이트 또는 변조 코딩 방식 차수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1 변조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어소시에이션 시에 필드 엘리먼트에서 송신기의 전송 전력의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결정된 양은 송신기의 지시된 전송 전력과 전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의 함수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송신기로부터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결정된 양을 제공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송신기와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력 불균형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 2 송신기에 대해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비롯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트랜시버는 선택된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랜시버는 추가로 전송 전력의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추가로 송신기의 지시된 전송 전력과 전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의 함수로서 미리결정된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송신기로부터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결정된 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미리결정된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
일부 양상들에서, 미리결정된 양은 데이터레이트 또는 변조 코딩 방식 차수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트랜시버는 추가로 어소시에이션 시에 필드 엘리먼트에서 송신기의 전송 전력의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추가로 송신기의 지시된 전송 전력과 전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의 함수로서 미리결정된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송신기로부터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미리결정된 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결정된 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송신기와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력 불균형을 결정하고,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에 대해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을 결정하고,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송신기로부터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을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과 제 1 변조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에 대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변조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장치는 추가로 어소시에이션 시에 필드 엘리먼트에서 송신기의 전송 전력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미리결정된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변조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전송 전력 불균형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전송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1 변조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또는 응답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1 변조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코드는 실행될 경우, 장치로 하여금,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선택된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변조 코딩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력 불균형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미리결정된 양만큼 낮은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변조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은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임―, 및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이고, 트랜시버는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제 2 변조 코딩을 식별하는 정보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임―, 및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은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코드는 실행될 경우, 장치로 하여금,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게 하고― 제 2 변조 코딩을 식별하는 정보는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낮은 미리결정된 양임―,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본 개시의 위에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앞서 간략히 요약된 설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단지 특정한 전형적인 양상들을 도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설명이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사용자 단말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관리 패킷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양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양상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더 충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본 개시 전반에 제시되는 어떠한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국한된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그보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을 기반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개시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관계없이 구현되든 아니면 그와 결합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본 개시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고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많은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본 개시의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양상들이 설명되지만, 이러한 양상들의 많은 변형들 및 치환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기술되는 양상들의 일부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 이익들, 용도들 또는 목적들에 국한된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다른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전송 프로토콜들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 중 일부는 선호되는 양상들에 대한 하기의 설명 및 도면들에서 예로서 설명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의 실례가 될 뿐이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직교 다중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비롯한 다양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충분히 서로 다른 방향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송신 신호를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에 각각 할당되는 서로 다른 타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게 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GSM 또는 본 기술에 알려진 몇몇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이용한다. 이러한 부반송파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OFDM에 따라, 각각의 부반송파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OFDM 시스템은 IEEE 802.11 또는 본 기술에 알려진 몇몇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부반송파들을 통해 전송하도록 인터리빙된 FDMA(IFDMA: interleaved FDMA)를, 인접한 부반송파들의 한 블록을 통해 전송하도록 로컬화된 FDMA(LFDMA: localized FDMA)를, 또는 인접한 부반송파들의 다수의 블록들을 통해 전송하도록 확장된 FDMA(EFDMA: enhanced FDMA)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벌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OFDM에 따라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는 SC-FDMA에 따라 전송된다. SC-FDMA 시스템은 3GPP-LTE(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롱 텀 에볼루션) 또는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를 들어, 노드들)로 통합(예를 들어, 이들 내에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된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는 노드 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 진화형 노드 B(eNB: evolved Node B),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 트랜시버("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BS(Base Station)"), 트랜시버 기능("TF(Transceiver Function)"), 무선 라우터,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Extended Service Set)"), 무선 기지국("RBS(Radio Base Station)"), 또는 다른 어떤 전문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access terminal)")은 액세스 단말,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MS: mobile station),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UT: 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다른 어떤 전문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cordless)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STA(Station)"),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어떤 적당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교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은 전화(예를 들어, 셀룰러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태블릿,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나 셀룰러 네트워크)를 위한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액세스 포인트들(110) 및 사용자 단말들(120a-120i)을 갖는 다중 액세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간단하게, 도 1에는 단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110)만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들(120a-i)과 통신하는 고정국이며, 또한 기지국이나 무선 디바이스로 지칭되거나, 또는 다른 어떤 용어를 이용하여 지칭될 수 있다. STA 또는 사용자 단말(120a-i)은 고정적이거나 이동적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국,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다른 어떤 용어를 이용하여 지칭될 수도 있다. 간단하게, 이 디바이스를 사용자 단말(UT)(120a-i)로 지칭한다. AP(110)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T(120a-i)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즉, 순방향 링크)는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사용자 단말들(120a-i)로의 통신 링크이고, 업링크(즉, 역방향 링크)는 사용자 단말들(12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10)로의 통신 링크이다. 사용자 단말들(120a-i)은 또한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a-i)과 피어 투 피어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액세스 포인트들(110)에 연결되어 액세스 포인트들(110)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다음의 개시 부분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들(120)을 설명할 것이지만, 특정 양상들의 경우 UT(120)는 또한, SDMA를 지원하지 않는 일부 사용자 단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들의 경우, AP(110)는 SDMA 및 넌-SDMA 사용자 단말들(120) 모두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적절하다고 여겨질 때 더 새로운 SDMA 사용자 단말들(120)이 도입되게 하면서, SDMA를 지원하지 않는 더 오래된 버전들의 사용자 단말들("레거시" 스테이션들)이 그들의 유효 수명을 연장하면서 편리하게 기업에 그대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AP(110)에는 N ap 개의 안테나들이 장착되어 있고, AP(110)는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 입력(MI) 및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 출력(MO)을 나타낸다. K개의 선택된 UT들(120)의 세트는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 출력 및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 입력을 집합적으로 나타낸다. 순수한 SDMA의 경우, K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이 어떤 수단에 의해 코드, 주파수 또는 시간상 다중화되지 않는다면, N ap K≥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이 TDMA 기술, CDMA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코드 채널들, OFDM에 대해서는 부대역들의 개별 세트들 등을 사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면, KN ap 보다 클 수 있다. 각각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10)에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120)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즉, N ut ≥ 1)이 장착될 수 있다. K개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120)은 동일한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단말들(120)은 서로 다른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SDMA 시스템(100)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일 수 있다. TDD 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와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FDD 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와 업링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한다. 시스템(100)은 또한 송신을 위해 단일 반송파 또는 다수의 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는 (예를 들어, 비용 절감을 위해) 단일 안테나 또는 (예를 들어, 추가 비용이 지원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들(120)이 송신/수신을 서로 다른 UT(120)에 각각 할당되는 서로 다른 타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한다면, 시스템(100)은 TDMA 시스템일 수도 있다.
도 2는 MIMO 시스템(100)의 AP(110) 및 2개의 UT들(120m, 120x)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AP(110)에는 N t 개의 안테나들(224a-224ap)이 장착된다. UT(120m)에는 N ut,m 개의 안테나들(252ma-252mu)이 장착되고, UT(120x)에는 N ut ,x 개의 안테나들(252xa-252xu)이 장착된다. AP(110)는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송신 엔티티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서는 수신 엔티티이다. UT(120)는 업링크에 대해서는 송신 엔티티 그리고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수신 엔티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송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고, "수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다음 설명에서, 아래 첨자 "dn"은 다운링크를 나타내고, 아래 첨자 "up"는 업링크를 나타내며, 업링크를 통한 동시 송신을 위해 N up 개의 사용자 단말들이 선택되고, 다운링크를 통한 동시 송신을 위해 N dn 개의 사용자 단말들이 선택되며, N up N dn 과 동일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N up N dn 은 정적인 값들일 수 있거나 각각의 스케줄링 간격에 대해 변경될 수 있다. AP(110) 및/또는 UT(120)에서 빔 조향 또는 다른 어떤 공간 처리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해 선택된 각각의 UT(120)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데이터 소스(286)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28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82)는 명령들과 데이터를 제어기(280)로 제공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와 연관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하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90)는 데이터 심벌 스트림에 대한 공간 처리를 수행하여 N ut ,m 개의 안테나들에 대한 N ut ,m 개의 송신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 유닛(TMTR)(254)은 각각의 송신 심벌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N ut ,m 개의 송신기 유닛들(254)은 N ut ,m 개의 안테나들(252)로부터 예를 들어, AP(110)로의 송신을 위한 N ut ,m 개의 업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업링크를 통한 동시 송신을 위해 N up 개의 사용자 단말들(120)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들(120) 각각은 각자의 데이터 심벌 스트림에 대한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각자의 송신 심벌 스트림들의 세트를 업링크를 통해 AP(110)에 전송한다.
AP(110)에서는, N ap 개의 안테나들(224a-224ap)이, 업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N up 개의 모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안테나(224)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수신기 유닛(RCVR)(222)에 제공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222)은 송신기 유닛(25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40)는 N ap 개의 수신기 유닛들(222)로부터의 N ap 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에 대한 수신기 공간 처리를 수행하여 N up 개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처리는 채널 상관 행렬 반전(CCMI: channel correlation matrix inversion), 최소 평균 제곱 에러(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소프트 간섭 제거(SIC: soft interference cancellation) 또는 다른 어떤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각각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심벌 스트림의 추정치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42)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각각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그 스트림에 사용된 레이트에 따라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는 저장을 위해 데이터 싱크(244)에 그리고/또는 추가 처리를 위해 제어기(230)에 제공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32)는 명령들과 데이터를 제어기(230)로 제공한다.
다운링크 상에서는, AP(11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N dn 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소스(208)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 제어기(23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그리고 가능하게는 스케줄러(234)로부터의 다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전송 채널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N dn 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N dn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20)는 N dn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에 대한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프리코딩 또는 빔 형성과 같은) 공간 처리를 수행하여 N ap 개의 안테나들에 대한 N ap 개의 송신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 유닛(222)은 각각의 송신 심벌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N ap 개의 송신기 유닛들(222)은 N ap 개의 안테나들(224)로부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들(120)로의 송신을 위한 N ap 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UT(120)에서는, N ut ,m 개의 안테나들(252)이 AP(110)로부터 N ap 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254)은 연관된 안테나(25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수신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60)는 N ut ,m 개의 수신기 유닛들(254)로부터의 N ut ,m 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에 대한 수신기 공간 처리를 수행하여 UT(120)에 대한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처리는 CCMI, MMSE 또는 다른 어떤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저장을 위해 데이터 싱크(272)에 그리고/또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제어기(280)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UT(120)에서, 채널 추정기(278)가 다운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고, 채널 이득 추정치들, SNR 추정치들, 잡음 분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운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채널 추정기(228)는 업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여 업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AP(110)에 제공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제어기(280)는 일반적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응답 행렬(H dn ,m )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공간적 필터 행렬을 유도한다. 제어기(230)는 유효 업링크 채널 응답 행렬(H up , eff )을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110)에 대한 공간 필터 행렬을 유도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제어기(280)는 AP(110)로 피드백 정보(예를 들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고유 벡터들, 고유값들, SNR 추정치들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들(230, 280)은 또한 AP(110) 및 UT(120)에서의 다양한 처리 유닛들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302)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AP(110) 또는 UT(120)를 구현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이 무선 디바이스(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306)는 프로세서(304)에 명령들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3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4)는 일반적으로 메모리(3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기초로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306) 내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된 프로세싱 시스템의 컴포넌트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컨트롤러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이와 다르게 지칭되든지 간에,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이진 코드 포맷, 실행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코드 포맷으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302)와 원격 위치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3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310)와 수신기(312)는 트랜시버(314)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단일 또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316)이 하우징(308)에 부착되고 트랜시버(3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트랜시버(3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여 정량화(quantify)하기 위한 노력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3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318)는 이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 심벌당 부반송파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버스 외에도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도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3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도 1에 도시된 무선 시스템(100)은 IEEE 802.11ah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 IEEE 802.11ah는, 낮은 전송 전력의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들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IEEE 802.11의 개정을 나타낸다. IEEE 802.11ah 표준은 때때로 서브 1GHz 무선 통신 표준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IEEE 802.11ah 표준은 센서 타입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센서는 종종 저 전송 전력 능력을 갖는다.
다른 802.11 표준들에서, 상이한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통신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할 수 있다. 더욱이, UT(120)와 같은 디바이스는 UT(120)에 의해 지원되는 MCS의 세트를 AP(110)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AP(110)는 어느 MCS가 UT(120)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것인지를 알게 된다.
도 4는 관리 패킷(40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패킷은 2바이트의 프레임 제어(fc) 필드(405), 2바이트의 지속기간(dur) 필드(410), 및 6바이트의 어드레스 1(목적지 어드레스(da)) 필드(415), 6바이트의 어드레스 2(전송기 어드레스(sa)) 필드(420), 6바이트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 필드(425), 2바이트의 시퀀스 제어(sc) 필드(430), 4바이트의 HT 제어 필드(435), 가변 사이즈의 프레임 바디(440), 및 4바이트의 프레임 체크 시퀀스 필드(445)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관리 패킷(400)이 HT는 지원하고 VHT는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통신되는 경우, HT 제어 필드(435)는 HT 능력(capabilities)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VHT 능력 엘리먼트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관리 패킷(400)이 VHT를 지원하는 (따라서 HT도 지원함) 디바이스들에 대해 통신되는 경우, HT 제어 필드(435)는 HT 능력 엘리먼트와 VHT 능력 엘리먼트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HT 통신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은 관리 패킷(예를 들어, 관리 패킷(400))의 HT 제어 필드(예를 들어, HT 제어 필드(435))의 HT 능력 엘리먼트에서 지원되는 MCS의 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 능력 엘리먼트는 MCS 인덱스 값들의 세트를 정의하는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MCS 인덱스 값들을 실제 MCS들로 맵핑하는 것은 표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비트는 제 1 MCS로 맵핑할 수 있고 제 2 비트는 제 2 MCS로 맵핑할 수 있다. HT 제어 필드(435) 내에서 수신된 비트들의 값에 의존하여, AP(110)는 어느 맵핑된 MCS가 지원되고, 어느 맵핑된 MCS가 지원되지 않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추가로, VHT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은 관리 패킷(예를 들어, 관리 패킷(400))의 HT 제어 필드(예를 들어, HT 제어 필드(435))의 VHT 능력 엘리먼트에서 지원된 MCS의 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VHT 능력 엘리먼트는 개별 지원된 MCS의 맵핑에 해당하지 않는다. 오히려, VHT 능력 엘리먼트는 공간 스트림들의 각각의 갯수당 지원되는 최대 MCS를 나타낸다. VHT 능력 엘리먼트를 수신하는 AP(110)는, 주어진 공간 스트림에 대해 지원되는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최대 MCS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주어진 공간 스트림에 대한 모든 MCS를 UT(120)가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더욱이, 일부 MCS는 암시적으로 지원되는 것으로 가정되고, 이들이 지원되지 않는다고 나타내기 위한 어떤 지시도 이용가능하지 않다.
일부 상황들에서, AP(110)는, AP(110)의 전송 전력 능력에 기초하여, 주어진 MCS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저 전송 전력의 UT(120)는 동일하거나 심지어는 유사한 MCS를 이용하여도 AP(11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UT(120)는 단지, UT(120)의 저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주어진 공간 스트림에 대해 UT(120)에 의해 지원된 최대 MCS보다 적은 MCS들을 모두 지원하길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S들은 특정 MC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는 유효 비트 레이트 데이터에 기초한 차수를 가질 수 있다. 유효 비트 레이트가 더 높을수록, MCS가 "더 높다(greater)".
그에 따라, UT(120)가, 어느 MCS가 UT(120)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AP(110)에 나타내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본원에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저 전송 전력 능력을 갖는 UT(120)는 특정 MCS를 이용하여 AP(110)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일부 상황들에서, UT(120)의 저 전송 전력에 기초하는 UT(120)는 AP(110)의 MCS에서 또는 MCS의 근처에서 MCS를 이용하여 응답하지 못할 수 있다. AP(110)와 UT(120) 사이의 전송 전력 간의 불균형 또는 차 때문에, 통신에 곤란한 것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T(120)는, 자신이 AP(1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응답하는 응답 레이트 또는 응답 MCS를 자유롭게 선택한다. UT(120)는 AP(110)로부터 제 1 MCS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MCS를 식별하는 데이터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들은, 예를 들어, 알려진 MCS에서 통신하는 것, 알려진 MCS를 나타내는 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 또는 MCS를 나타내기 위해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른 방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제 2 MCS를 선택한 후, 이후 UT(120)는 선택된 MCS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AP(110)에 전송하고, 통신 링크가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UT(120)는 AP(110)로부터 수신된 것보다 적은 미리결정된 양 또는 N의 MCS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MCS를 이용하여 응답으로 통신한다. N 그리고 그에 따라 연관된 MCS가 UT(120)의 특징들, 및 AP(110)에 의해 전송되어 UT(120)에 의해 수신된 MCS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N은 고정되고, 예를 들어, IEEE 802.11ah 노드들 간의 통상적인 전력 불균형에 의해 정의된다. AP(110)는 20dBm에서 전송하는 전력 증폭기를 가질 수 있다. UT(120)는 전력 증폭기를 갖지 않을 수 있고, 0dBm에서 전송 중이다. 이러한 전송 전력 레벨들 간의 차는 때때로 전력 불균형으로 지칭된다. IEEE 802.11ah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내 디바이스들 간에 어떤 통상적인 전력 불균형이 있는지 알면, MCS들 간의 관계가 고정되고 확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P(110)로부터 MCS에 따른 데이터의 수신 시, UT(120)는 AP(110)에 의해 사용된 MCS보다 고정된 N 값이 더 낮은 MCS를 선택할 것이고, 선택된 MCS에 따라서 AP(110)와 통신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미리결정된 양 또는 N은 AP(110)와 UT(120) 사이의 전송 전력의 함수이다. 모바일 네트워크 상의 각각의 디바이스는 그의 전송 전력을 어소시에이션 시에 선언한다. 예를 들어, AP(110)는 20dBm에서 전송하고, UT(120)는 10dBm에서 전송한다.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어소시에이션 시에 AP(110)와 UT(120)에 의해 전송 전력의 지시들이 전송되고 수신된다. 본 예에서, 전력 불균형은 10dBm이며, 이는 N에 대해 정의된 값에 해당한다. 일단 N이 알려지면, UT(120)는 AP(110)에 의해 사용된 MCS보다 N이 더 낮은 MCS를 선택한다. N을 결정하기 위한 일 예가 여기에 제공되지만, 당업자는, N이 AP(110)와 UT(120) 간에 가능한 전력 불균형들의 범위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 범위로부터 계산될 수 있는 값들의 어떤 범위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전송 전력의 지시는, AP(110) 또는 UT(120), 또는 이 둘 모두에 의해, 어소시에이션 요청/어소시에이션 응답 프레임들 내 능력 엘리먼트의 필드에서 제공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N은 AP(110)에 의해 UT(120)에 지시된 값일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N은 UT(120)에 의해 AP(110)에 지시된 값일 수 있다. N의 값은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 내 필드 또는 정보 엘리먼트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N의 지시는 어소시에이션 이후에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MCS 선택 기준은, 선택된 MCS가 특정 값 X를 초과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수신된 MCS보다 N이 더 낮은 MCS를 선택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MCS 선택은 X보다 더 낮은 MCS들로 제약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N과 유사하게, X는 데이터레이트, 비트레이트, 변조 코딩 방식 또는 유사한 파라미터를 지칭할 수 있다. X에 대한 값은 본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N에 대한 값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는 AP(110)와 UT(120) 사이의 통상적인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고정될 수 있다. X는 전송 전력 불균형의 함수일 수 있거나, AP(110) 또는 UT(120)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AP(110) 또는 UT(120)는, BSSBasicMCSSet 내에서 각각 수신된 MCS와 허용된 응답 MCS들 간의 정확한 관계를, 전력 불균형의 각각의 값에 대응하여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UT(120)는 허용된 응답 MCS들의 세트 내에서 MCS를 전력 불균형에 대응하여 선택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AP(110)는 제어 응답에 사용될 2개의 BSS 베이직 세트 테이블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세트는 고 전송 전력 디바이스들 용으로 사용되고 하나의 세트는 저 전송 전력 디바이스들 용으로 사용된다. 저 전송 전력 UT(120)가 AP(110)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대응하는 저 전송 전력 BSS 베이직 세트 테이블에서, 수신된 MCS와 허용된 MCS들 간의 정확한 관계가 식별된다. 그런 다음, 저 전송 전력 UT(120)는 저 전송 전력 BSS 베이직 세트 테이블로부터 저 MCS를 선택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AP(110)가, 전력 불균형을 알게 된 후에, AP(110)의 MCS와 허용된 응답 MCS들 간의 정확한 관계를 UT(120)에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UT(120)가, 전력 불균형을 알게 된 후에, AP(110)와 UT(120)의 MCS의 정확한 관계를 지시할 수 있다. UT(120)는 AP(110)로부터의 프로브 응답 또는 비컨에 기초하여 전력 불균형을 알 수 있다. AP(110)의 MCS와 응답으로 허용된 MCS들 간의 정확한 관계의 지시가 어소시에이션 요청 또는 응답 프레임의 필드 또는 정보 엘리먼트에서 전송되거나 그 필드 또는 정보 엘리먼트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어소시에이션 이후에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 정확한 관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예들은 AP(110)와 UT(120) 간의 관계를 기술한다. 그러나, 그 기술은 AP(110)와 UT(120) 간의 통신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2개의 피어 UT들 또는 피어 AP들에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5a는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A)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UT(12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 방법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블록 502에서, UT(120)는 제 1 MCS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MCS는 AP(110)으로부터, 또는 다른 피어 UT(1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 1 MCS를 식별하는 정보가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또는 관리 프레임에서 수신된다.
블록 504에서, UT(120)는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제 2 MCS를 선택한다. 선택된 MCS는 UT(120)의 특성들, 예를 들어, 전송 전력, 디바이스 타입, 또는 유사한 피쳐, 및 제 1 변조 코딩 방식에 기초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 타입은, 전자 디바이스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AP(110)로서 기능할지 또는 UT(120)로서 기능할지 여부에 기초한다.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 타입은, 전자 디바이스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AP(110)에 대해 UT(120)로서 통신 중인지 또는 피어-투-피어 통신 중인 다른 UT(120)에 대해 UT(120)로서 통신 중인지 여부에 기초한다. AP(110)와 UT(120) 간의 전송 전력 불균형은 MCS를 선택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MCS는 수신된 MCS보다 N이 더 낮은 MCS 값일 수 있거나, X보다 더 낮게 제약될 수 있고, 전력 불균형에 기초할 수 있다. 특정 전력 불균형에 대응하는 N 또는 X에 대한 값들은 UT(120)에서 예를 들어, 제조 시에 사전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나 펌웨어 업데이트들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블록 506에서, UT(120)는 선택된 MCS를 식별하거나 이용하는 데이터를 AP(110)에 전송한다.
도 5b는 통신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500B)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AP(1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방법은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블록 508에서, AP(110)는 제 1 MCS를 식별하는 정보를 UT(120)에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는 AP(110)의 전송 전력, 사용되고 있는 MCS, 허용가능한 응답 MCS들의 세트, 전력 불균형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응답 MCS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미리결정된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어소시에이션 응답 프레임에, 또는 어소시에이션 이후에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블록 510에서, AP(110)는 선택된 MCS를 이용하여 UT(110)로부터, 선택된 MCS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도 6은 도 1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UT(600)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UT(6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들(120) 중 어느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UT(600)는,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302)로서 구현될 수 있다. UT(600)는 도 4 및 도 5a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AP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T(600)는, UT(600)가 특정 액세스 포인트(110)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할 MCS를 결정하기 위한 선택 모듈(602)을 포함한다. 선택 모듈(602)은 도 5a에 도시된 블록 504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모듈(602)은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04)와 DSP(320)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 UT(600)는 생성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606)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송 모듈(606)은 도 5a에 도시된 블록 506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듈(606)은 송신기(310)에 해당할 수 있다. UT(600)는 추가로 생성 모듈(604)을 포함한다. 생성 모듈(604)은, 본원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MCS의 선택시에 사용되는, 미리결정된 양, N을 전송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여 저장하거나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성 모듈(604)은 또한, 수신된 MCS와 주어진 전력 불균형에 대해 허용된 응답 MCS들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될 MCS를 제공할 수 있다. 생성 모듈(604)의 기능들은 도 5a에 도시된 블록 504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에 포함될 수 있다. UT(600)는 지원되는 MCS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608)을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608)은 도 5b에 도시된 블록 510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608)은 트랜시버(314)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AP(700)의 양상을 도시한다. AP(7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들(110)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AP(700)는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302)로서 구현될 수 있다. AP(700)는 도 4 및 도 5b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UT와 통신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AP(700)는 다른 디바이스의 지원된 MCS를 나타내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702)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702)은 도 5b에 도시된 블록 508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듈(702)은 송신기(310)에 해당할 수 있다. AP(700)는 어느 MCS가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신 모듈(704)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704)은 도 5b에 도시된 블록(510)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모듈(704)은 수신기(312)에 대응할 수 있다. AP(700)는 지원된 MCS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708)을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708)은 트랜시버(314)에 대응할 수 있다.
당업자는 UT(600) 및/또는 AP(700)에 대하여 상술된 모듈들을 구현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회로들, 칩들, 모듈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인식할 것이다. UT(600) 및/또는 AP(700)의 모듈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은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04)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로 설명되었지만, UT(600) 및/또는 AP(700)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 블록들이 별개의 구조적 엘리먼트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 유사하게, 기능 블록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 또는 다양한 블록들의 기능 부분들이 하나의 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특정 블록의 기능이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칩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모듈들 또는 기능이 UT(600) 및/또는 AP(7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UT(600) 및/또는 AP(700)에서 보다 적은 모듈들 또는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고, UT(600) 및/또는 AP(700)의 컴포넌트들이 복수의 구성들 중 어떤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 3, 6 및 7에 도시된 다양한 모듈들 간의, 또는 추가적인 모듈들 간의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결합들이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동작들, 모듈 또는 단계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동작들은 유사한 번호를 가진 대응하는 상대 수단 + 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널 데이터 패킷 어나운스먼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널 데이터 패킷 어나운스먼트는 시퀀스 번호를 포함함), 널 데이터 패킷 어나운스먼트와 연관된 널 데이터 패킷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널 데이터 패킷 어나운스먼트의 시퀀스 번호와 결정된 채널 상태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5b에 도시된 블록들(508 및 512)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수신기(312), 트랜시버(314),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도 5b에 도시된 블록 510에 대하여 상술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5b에 도시된 블록들 508 및 512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송신기(310), 트랜시버(314),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120a-i) 중 어느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도 5a에 도시된 블록 502 및 504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도 5a에 도시된 블록들 502 및 504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도 5a에 도시된 블록 506에 대하여 상술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송신기(310), 트랜시버(314),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3에 대하여 상술된 송신기(310), 트랜시버(314), 프로세서(304), 및 메모리(306)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결정"이라는 용어는 광범위한 동작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결정"은 계산, 컴퓨팅, 처리, 유도, 연구, 조사(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의 조사),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의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출,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비롯하여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결합을 의미한다. 일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그리고 a-b-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술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이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적인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IR: infrared),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유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하드웨어로 구현된다면,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 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서로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다른 무엇보다도, 네트워크 어댑터를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UT(120)(도 1 참조)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가 또한 버스에 접속될 수도 있다. 버스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조절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어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와 별개인 프로세싱 시스템의 일부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또는 그의 임의의 부분은 처리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예로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전송선,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 및/또는 무선 노드와 별개인 컴퓨터 물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또는 그의 임의의 부분은 캐시 및/또는 일반 레지스터 파일들에서 흔히 있듯이,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은, 모두 외부 버스 아키텍처를 통해 다른 지원 회로와 서로 링크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갖는 범용 처리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처리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gated)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회로를 갖거나, 단일 칩으로 통합된 기계 판독 가능 매체의 적어도 일부,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액세스 단말의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지원 회로를 갖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처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할지를 인지할 것이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하거나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예로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으로 로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명령들 중 일부를 캐시로 로딩하여 액세스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캐시 라인들이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일반적인 레지스터 파일로 로딩될 수 있다. 아래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을 참조하면, 이러한 기능은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의 명령들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고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다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disc)는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특정 양상들은 본원에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및/또는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명령은 본원에 기재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radio),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송신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되거나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획득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 이를 테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결합하거나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에 기재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는 상기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한다.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형들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것은 본 개시물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 및 추가의 양상이 이것의 기본적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창안되었고, 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43)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더 낮은 미리결정된 수치량 N(numerical N quantity)이고,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실제 전송 전력들과 독립적인, 상기 송신기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력 불균형(power imbalance)의 함수임 ―; 및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요청 프레임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미리결정된 수치량 X를 초과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X는 데이터레이트(datarate) 또는 변조 코딩 방식 차수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는 결정된 전송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타입(typ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입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타입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입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중인지 아니면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중인지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더 낮은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이고,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송신기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실제 전송 전력들과 독립적인, 상기 송신기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력 불균형의 함수임 ― 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미리결정된 수치량 X를 초과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X는 데이터레이트 또는 변조 코딩 방식 차수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는 결정된 전송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타입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입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 단말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타입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입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중인지 아니면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중인지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3.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더 낮은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이고,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실제 전송 전력들과 독립적인, 상기 송신기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력 불균형의 함수임 ―; 및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요청 프레임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소시에이션 이후 전송된 관리 프레임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을 초과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은 데이터레이트 또는 변조 코딩 방식 차수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의 세트는 결정된 전송 전력 불균형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타입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입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 단말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타입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입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중인지 아니면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중인지에 기초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34.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실행될 경우, 장치로 하여금,
    송신기로부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선택하게 하고 ―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코딩 방식보다 더 낮은 미리결정된 수치량 N이고,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은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실제 전송 전력들과 독립적인, 상기 송신기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력 불균형의 함수임 ―; 그리고
    상기 제 2 변조 코딩 방식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57003322A 2012-07-09 2013-07-09 전송 전력 불균형 시에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 KR101656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9601P 2012-07-09 2012-07-09
US61/669,601 2012-07-09
US13/936,994 2013-07-08
US13/936,994 US9288009B2 (en) 2012-07-09 2013-07-08 Modulation coding scheme selection for response frames in case of transmit power imbalance
PCT/US2013/049729 WO2014011637A1 (en) 2012-07-09 2013-07-09 Modulation coding scheme selection for response frames in case of transmit power imbal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021A KR20150029021A (ko) 2015-03-17
KR101656359B1 true KR101656359B1 (ko) 2016-09-09

Family

ID=4987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322A KR101656359B1 (ko) 2012-07-09 2013-07-09 전송 전력 불균형 시에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88009B2 (ko)
EP (1) EP2870717A1 (ko)
JP (1) JP6158325B2 (ko)
KR (1) KR101656359B1 (ko)
CN (1) CN104662828B (ko)
BR (1) BR112015000454A2 (ko)
WO (1) WO2014011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354B2 (en) * 2014-12-31 2016-08-02 Hughes Network Systems, L.L.C. Outdoor digital modulator system for use with a linear radio, and a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6996B2 (en) 2001-12-28 2006-10-24 Motorola, Inc. Adaptive transmission method
KR100911138B1 (ko) 2002-04-25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이 조절되는 적응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057507A1 (en) * 2002-09-24 2004-03-25 Ron Rotstein Link esti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99678B2 (en) 2003-04-10 2006-08-29 Ipr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weight computation for vector beamforming radio communication
AR067299A1 (es) * 2007-03-30 2009-10-07 Interdigital Tech Corp Control de potencia en sub-canales ortogonales en sistemas de comunicaciones inalambricas
US8798183B2 (en) * 2007-08-13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and rate adaptation for MIMO transmission in a time division duplexed (TDD) communication system
US8205126B2 (en) * 2007-11-27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using selective retransmission
US8374109B2 (en) * 2008-03-27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sending control information for users sharing the same resource
US9026123B2 (en) * 2008-07-09 2015-05-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p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10981B2 (en) 2008-10-22 2012-11-13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and dedicated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or a multicarrier system
TW201037998A (en) 2009-04-06 2010-10-16 Ralink Technology Corp Method for adjust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based on signal quality
WO2011005004A2 (en) * 2009-07-07 201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destination stations in wlan system supporting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N101640562B (zh) * 2009-08-17 2013-05-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系统和方法
US20120276896A1 (en) * 2009-09-15 2012-11-01 Rockstar Bidco, LP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djustment in wireless networks
TWI569666B (zh) * 2009-10-02 2017-02-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控制一以上分量載波上傳輸的傳輸功率的方法及裝置
US20110080877A1 (en) 2009-10-05 2011-04-07 Nokia Corporation Variable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coding
CN102104895B (zh) * 2009-12-21 2014-12-10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针对系统干扰共存的动态仿真方法及装置
US8886116B2 (en) * 2010-01-15 2014-11-11 Lg Electronics Inc. Link adapt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AN system
CN102088725B (zh) * 2011-02-23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检测方法、装置和基站设备
US8953659B2 (en) * 2011-07-06 2015-02-10 Broadcom Corporation Response frame modulation coding set (MCS) selection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879445B2 (en) 2011-10-26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impact of power imbalance on remote data rat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100225B2 (en) * 2012-06-27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supported modulation coding sche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8325B2 (ja) 2017-07-05
US20140010158A1 (en) 2014-01-09
JP2015526039A (ja) 2015-09-07
CN104662828A (zh) 2015-05-27
KR20150029021A (ko) 2015-03-17
BR112015000454A2 (pt) 2017-06-27
WO2014011637A1 (en) 2014-01-16
CN104662828B (zh) 2018-09-11
EP2870717A1 (en) 2015-05-13
US9288009B2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6262B1 (en) Protocols for enabling mode 1 and mode 2 devices in tv white space networks
JP6655100B2 (ja)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おける距離の測定
RU2548159C2 (ru) Средства экономии мощности на физическом уровне со случайным смещением
KR101492856B1 (ko) 직통 링크 서비스(dls)를 위한 그룹 id 할당
KR101809068B1 (ko) 타겟 웨이크업 시간(twt) 그룹핑 수정
KR101805746B1 (ko) 프레임에서의 대역폭 표시
KR101773491B1 (ko) Phy 및 mac 계층들 사이의 시그널링
US8831668B2 (en)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US2015012478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dulation coding scheme selection for response frames
US91002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supported modulation coding schemes
AU2015333974A1 (en) Bloom filter for service hint information in advertisements
KR101656359B1 (ko) 전송 전력 불균형 시에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
CA2918128A1 (en) Association limit in relay network
WO2017136393A2 (en) Efficient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with request-to-send (rts) frame and clear-to-send (cts)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