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48B1 -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 Google Patents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48B1
KR101656348B1 KR1020140137529A KR20140137529A KR101656348B1 KR 101656348 B1 KR101656348 B1 KR 101656348B1 KR 1020140137529 A KR1020140137529 A KR 1020140137529A KR 20140137529 A KR20140137529 A KR 20140137529A KR 101656348 B1 KR101656348 B1 KR 10165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learning
brain
training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3323A (en
Inventor
노규식
Original Assignee
노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규식 filed Critical 노규식
Priority to KR102014013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348B1/en
Publication of KR2016004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3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뇌 정보처리 방식에 입각한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뇌 유형별 맞춤형 학습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을 받을 회원에 대한 학습 관련, 두뇌 유형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회원의 인지적인 강점과 약점, 및 정보처리 방식에 입각한 두뇌 유형을 판별하며, 회원에게 필요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제시된 프로그램에 참여를 동의하면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에 따라 적절한 두뇌 훈련과 학습 전략을 익힐 수 있는 자료들이 제공되며, 자료의 분석을 통한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brain type based on a brai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brain-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earning object for a member to be learned by using a customized learning program for each brain type, an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 brain based on the cogni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members, Provide at least one or more learning programs for the members to identify the type, and if you agree to participate in the proposed program, you will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brain train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Feedback is continuously provided to provide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ach brain type that can improve learning ability.

Description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본 발명은 두뇌 정보처리 방식에 입각한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뇌 유형별 맞춤형 학습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을 받을 회원에 대한 학습 관련, 두뇌 유형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회원의 인지적인 강점과 약점, 및 정보처리 방식에 입각한 두뇌 유형을 판별하며, 회원에게 필요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제시된 프로그램에 참여를 동의하면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에 따라 적절한 두뇌 훈련과 학습 전략을 익힐 수 있는 자료들이 제공되며, 자료의 분석을 통한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brain type based on a brai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in-typ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brain- , Identify the cogni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member, and the type of brain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esent at least one learning program required for the member, and agree to participate in the proposed program. It provides materials to learn brain train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provides customized learning devices and methods for each type of brain that can improve learning ability by continuously providing feedback through analysis of data.

인간의 학습은 기본적으로 두뇌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두뇌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분석하여 저장하며 종합하여 판단하는 모든 일들을 담당한다. 이러한 일련의 정보처리과정은 각 개인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띠게 된다. 그 특성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카테고리를 먼저 정하고 그 세부 사항으로 하나씩 처리해 나가는 톱 다운 형식(Top-down type)이 있고, 개별적인 것 하나하나를 먼저 파악하고 순서대로 상향해 가는 바텀 업 형식(Bottom-up type)이 있다. 각 개인에 따라 상기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한쪽을 더 잘 활용하는 지가 기질적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방식도 각 개인에 따라 시각적 정보를 더 잘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사람(visual type)과 청각적 정보를 더 잘 처리하고 받아들이는 사람(auditory type)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검증 및 인정되고 있다.Human learning is basically done through the brain. The brain is in charge of all things that accept, analyze, store, synthesize and judge information. This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There is a top-down type in which information is processed in a way that processes the information one by one and the categories are first determined by the details, and the bottom-up type (Bottom -up type. It is qualitatively determined which one of the above two methods is better utilized for each individual. 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visual type that better accepts and processes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and an auditory type that processes and accepts auditory information more. This classification has already been validated and recognized by many scholars.

많은 사람들 특히 국내의 많은 학생들은 학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투자한다. 그러나 원하는 결과를 얻는 사람은 극소수이다. 그래서 학습을 도와주는 사교육이 성행하고 있으며, 부모는 부모대로 많은 비용을 들여가며 유명 학원 강사를 찾아 다니고 학생은 학생대로 많은 양의 학습을 소화하는 데 허덕이고 있다. Many people, especially in Korea, invest a lot of time, effort and money in their studies. However, few people get the desired results. Therefore, private tutoring to help learning is prevalent. Parents spend a lot of money as their parents, go to famous classroom instructors, and students are struggling to digest a large amount of learning as students.

반면에, 공부를 잘해서 우수한 학교에 진학한 학생들 중에는 많은 사교육을 하지 않고도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서 우수한 성적과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학생들의 공부 방법은 '공부의 신(세속적으로는 "공신"이라고도 함)'이란 이름 하에 '공신들의 공부 비법'으로 알려지고 전파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법들이 획기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 비법들이 맞지 않는 아이들에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의 학교에서도, 사교육 현장, 학원에서도 가정에서도 공부하는 당사자인 학생의 특징, 그 중에서도 가장 본질적 특징인 두뇌의 특성을 무시한 채로 학습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오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students who have studied well and entered a good school may gain excellent grades and good result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without much tutoring. These students' methods of study are known and prevalent in the name of 'studying god' (also known as secrecy in the world). Nevertheless, these methods do not seem to have revolutionary consequences. The reason is that the secrets are applied to children who do not fit. These results come from schools in our country, private schools, and academies that require learning without dis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home, and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brain.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3265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265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학생들의 분류방법을 톱 다운 top-down type) 형식인지 바텀 업(bottom-up) 형식인지를 구분하는 한 축(axis)과 시각 형인지 청각 형인지를 구분하는 한 축을 기준으로 모두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이 유형에 맞게 교육하는 시스템으로서 과목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학생들을 비슷한 두뇌 유형으로 모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맞춤형 교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lassifying a student into a top-down type or a bottom-up type, , Which are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axis that classify the students, and it is possible to apply them regardless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same type of brain to the stud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뇌유형 판정과 그에 맞는 교재를 전송하는 일방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추천 교재와 같은 내용의 다른 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여 학습자인 회원이 자신에게 가장 잘 맞은 교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학습교재를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which allows a student who is a learner to select a textbook best suited to his / her own by selecting a different textbook having the same content as a recommended textbook by moving away from a 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brain type that enables an individual to select an optimized learning materi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는,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학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회원 단말기(100a...100n)와, 상기 회원 단말기(100a...100n)로부터 수신된 회원들의 정보에 따라 회원들의 두뇌 유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습관리 및 유형에 맞춘 학습에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전송하는 학습 서버(200)와, 상기 학습 서버(200)와 연계되어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for each brain type, including a user terminal (200) for accessing a program provided from a learning server (200) (100a ... 100n), and members' brain typ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members received from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provides a customized learn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members, 1.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brain type comprising a learning server (200) for transmitting recommend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a database (300) for storing various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server (200)

상기 학습서버(200)는 회원 단말기(100a...100n)를 통해 회원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회원관리부(210)와, The learning server 200 includes a member management unit 210 for receiving basic information of a member through the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회원의 두뇌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알고리즘 및 그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져 회원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220)와, A brain evaluation and learning training unit 220 for allowing an algorithm to be provided for evaluating a member's brain type and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algorithm,

두뇌 유형평가와 학습 능력 관련 평가를 통해 평가된 회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습의 패턴을 예측하고 동기가 저하되거나 학습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말을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메시지 전달부(230); 및 A message delivery unit tha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embers evaluated through brain type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ability and predicts patterns of learning and transmits help to overcome situations where motivation is deteriorated or learning efficiency is low. (230); And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 및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에서 제공되는 학습교재 및 문제들을 두뇌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교재관리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
And a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unit (240)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learning materials and problems provided by the brain-bas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odule (224) according to brain types. And provides a personalized learn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은, 두뇌 정보처리 방식에 입각한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으로서,The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based on the brai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학습서버(200)에 접속한 단말기(100a...100n)를 통해 회원의 기초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300)의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회원정보수집단계(S10)와, A memb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of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of a member through the terminals (100a ... 100n) connected to the learning server (200) and stor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member in 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of the database (300) Wow,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의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를 거침으로서 접속한 회원의 생물학적 인지 기능에 기반한 두뇌 유형을 평가하기 위한 인지기능 테스트 단계(S20)와, A cognitive function testing step (S20) for evaluating a brain type based on a biological cognitive function of a connected member through an evaluation of a large picture type and a legoblock type and a visual type to auditory type evaluation test,

회원들의 학습 관련된 요인 평가하기 위한 학습유형 평가단계(S30)와, A learning type evaluation step (S30) for evaluating learning related factors of members,

상기 인지기능 테스트 단계(S20)와 학습유형 평가단계(S30)를 통해 수집된 회원의 특성에 따라 평가 분석모듈(222)을 통해 회원의 두뇌유형을 판별하는 두뇌유형 판별 단계(S40)와, A brain type discriminating step S40 for discriminating a member's brain type through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 collected through the cognitive function testing step S20 and the learning type evaluation step S30,

상기 두뇌유형 판별 단계(S40)를 통해 분류된 회원들의 두뇌 유형에 따라 그에 부합되는 두뇌 유형 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앞서 두뇌유형에 적합한 계획표를 회원 단말기(100a...100n)로 전송하는 두뇌맞춤형 학습 훈련 제공단계(S50)와, Prior to providing the brain type evalu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brain type of the members classified through the brain type discrimination step S40, a brain-tailored learning system that transmits a schedule table suitable for the brain type to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 training provision step S50,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모듈(223)은 두뇌 유형에 따른 공부에 필요한 두뇌 훈련 커리큘럼, 즉 각각의 두뇌 유형별로 두뇌의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두뇌맞춤형 학습관리 프로그램 제공단계(S60)와, 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fer Module (223) is a brain-training management curriculum (S60) that provides a curriculum for the brain-training necessary for studying brain types, namely, a training curriculum that enhances the brain's ability to perform each brain type. Wow,

상기 유형 평가에 따라서 결정된 두뇌 유형에 따라 특정 과목의 개념을 습득할 수 있도록 유형별 최적화된 교재를 회원 단말기(100a...100n)에 송신하는 맞춤형 추천 정보 전송단계(S70)와, A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70) of transmitting a textbook optimized for each type to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so as to acquire the concept of a specific subject according to the brain typ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evaluation,

상기와 같이 맞춤형 추천 정보 전송단계(S70)까지 완료된 학습서버(200)는 회원 단말기(100a...100n)로부터 시간대별, 내용별 실행 유무에 대한 답 및, 학습관리 프로그램 제공단계(S60)에서 학습관리 시 제공되는 알림 기능에 있어서 피드백이 본인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평가하는 피드백 데이터 수신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The learning server 200 that has completed the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70 as described above receives answers from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on the basis of time and by contents and in the learning management program providing step S60 And a feedback data receiving step (S80) for evaluating how much feedback has helped the user in the notification function provided in learning manag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두뇌에 최적화된 학습법을 훈련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지, 강화시켜 학습 효율을 높여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사교육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두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인간상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enhance the interest in learning by training the learning method optimized for the learner's brai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growth as a self-driven learner by improving the learning efficiency, and to utilize his / her own brain It is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s of a desirable human be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회원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학습서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이용한 Hue 복잡도형 검사에 사용되는 그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유형을 평가할 수 있는 질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 두뇌맞춤형 학습훈련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계획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맞춤형 추천 정보전송단계에서 유형별 제공되는 문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 수행결과의 유무에 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ember terminal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server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atabase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icture used for a Hue complex shape check using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questionnaire capable of evaluating a learning type in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dule table provided in 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provision step in the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roblem provided for each type in the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execution result in the customize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brain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ersonaliz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por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회원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학습서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다.
FIG. 1 illustrates a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server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onfiguration of a database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personal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상기 시스템은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학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회원 단말기(100a...100n)와, 상기 회원 단말기(100a...100n)로부터 수신된 회원들의 정보에 따라 회원들의 두뇌 유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습관리 및 유형에 맞춘 학습에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전송하는 학습 서버(200)와, 상기 학습 서버(200)와 연계되어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한다.
The system includes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that are connected to a program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and can receive a service provided from the learning server 200, A learning server 200 for analyzing brain types of member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members received from the learning server 200 and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and type, And a database 300 storing various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database 300.

상기 회원 단말기(100a...100n)는 상기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상기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접속할 수 있는 데스크 탑, 노트북, 아이 패드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같거나 유사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회원단말기(100a...100n)는 상기 학습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모듈(110)과, 단말기의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모듈(120)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110) 및 데이터저장모듈(1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The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are terminals capable of accessing a program provided from the learning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and connect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in the form of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A notebook, an iPad, a smart phone, and the like, and may be any function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the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may include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learning server 200, and data input / And a control module 130 for controll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and the data storage module 120.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110)을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회원 정보 및 학습관련 정보를 상기 합습서버(200)에 데이터화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data related to a program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through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accessed through the terminal, or to transmit membership information and learning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fusion server 200 so as to transmit the data.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20)은 아이디(ID)나 비밀 번호 등의 회원정보 및 상기 학습서버(200)에서 제공한 학습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회원이 필요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storage module 120 may store membership information such as an ID and a password and a learning program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so that the member can call the stored data when necessary do.

상기 제어모듈(130)은 단말기를 제어하며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terminal and control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학습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관리부(210)와,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220)와, 메시지 전달부(230) 및 교재관리부(240)를 포함한다. 2, the learning server 200 includes a member management unit 210, a brain evaluation and learning and training unit 220, a message delivery unit 230, and a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unit 240.

상기 회원관리부(210)는 회원의 기초정보에 대한 질문지를 회원 단말기(100a...100n)를 통해 회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은 상기 회원 단말기(100a...100n)를 통해 회원의 아이디, 비밀번호는 물론이고, 회원의 나이, 직업, 취미, 및 장래 희망 중에서 적어도 두 가지는 포함될 수 있도록 질문지에 대한 답을 작성하여 회원 단말기(100a...100n)의 데이터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학습서버(200)로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된 회원에 대한 정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300)의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member management unit 210 allows questionnaires of basic information of members to be provided to the members through the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An answer to the questionnaire is prepared so that at least two of the member's age, occupation, hobby, and future wishes can be included, as well as an ID and a passwor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of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nd can be receiv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member can be stored in 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of the database 300 described later.

상기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220)는 회원의 두뇌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알고리즘 및 그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져 회원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 평가 분석 모듈(222),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 그리고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 모듈(225)을 포함하고 있다. The brain evaluation and learning and training unit 220 is provided with an algorithm for analyzing a member's brain type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alysis module 222, a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odule 224, and a training response feedback and transmission module 225.

상기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은 회원의 생물학적 인지기능에 기반한 두뇌 유형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 및 시각형 대(VS) 청각형 평가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member brain type assessment program transmission module 221 is for evaluating a brain type based on a biological cognitive function of a member, and is for evaluating a large picture type, a legoblock type evaluation type, and a visual type (VS) do.

상기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는 Top-down과 Bottom-up 프로세스 중 어느 것을 더 잘 활용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모두 두 가지 행동테스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테스트의 장점은 회원의 주관적 판단이 배제된 객관적 인지기능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Big Picture and LEGO-Block Type evaluations are tools for evaluating which of the top-down and bottom-up processes are better utilized. All of these tests are composed of subjective test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that is excluded.

한편,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에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행동테스트는 HOCF(Hue 복잡도형) 검사와, 단어 기억 테스트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wo behavior tests in the large picture and LEGO block type evaluations include the HOCF (Hue complexity) test and the word memory test.

상기 HOCF(Hue 복잡도형) 검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을 20초간 보여 준 후 화면에서 사라진 후 300개의 점만 찍혀 있는 화면에 그림을 기억하여 그리도록 한다. 상기 화면은 컴퓨터 화면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화면, 스마트 폰에서 모두 구현되는데 20*15 개의 점들로 이루어져 있는 바탕 위에 복잡한 도형이 그려져 있으며, 화면의 어느 부분에서 시작하면 이 300개의 점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점에서 시작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선을 그리다가 마우스나 스타일러스를 뗀 곳이 끝점이 된다.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값을 (Xn,Yn)으로 받아들인 후 시작점과 끝점, 그 다음 시작점과 끝점의 관계를 분석하여 회원의 정보처리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HOCF (Hue complex figure) test displays a picture for 20 seconds and then draws a picture on a screen on which only 300 points are displayed after disappearing from the screen. The above screen is implemented on a computer screen, a tablet computer screen, and a smart phone. A complex shape is drawn on a background consisting of 20 * 15 dots. When starting from any part of the screen, You can draw a picture. Draw a line with a mouse or stylus pen, and the point where the mouse or stylus is removed becomes the end point. (Xn, Yn),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nd th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so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type of the member can be grasped.

또한, 상기 단어 기억 테스트는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유형이 Bottom-up인지 Top-down인지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서 연령별로 적합한(6~8세, 9~10세, 11~12세, 12세 이상) 단어 16개를 선정하되 4개의 카테고리로 이루어진 단어들을 선정한 뒤, 이 단어들을 보여주지 않고 녹음된 파일을 2회 들려주고 기억나는 순서대로 입력을 하도록 한다.The word memory test is a test for verifying whether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is presented audibly is bottom-up or top-down. It is suitable for each age group (6-8 years old, 9-10 years old, 12 years old or older) Select 16 words, select words in 4 categories, list the recorded files twice without showing them, and enter them in the order they are remembered.

또한,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는 화면에서 제시되는 타겟(사각형 도형)의 위치가 이전 두번째의 화면에 제시되었던 것과 같은 위치인지 아닌지에 따라 답을 입력하게 되는 것으로, N번째 화면에서 질문을 받았다면 N-2번째 화면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약 5분간의 테스트 후 정답수를 측정한 후 사각형 도형 대신 한 음절의 음성들을 화면이 바뀔 때마다 제시하여 마찬가지로 이전 두번째 화면에서 들려 주었던 소리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isual-type-auditory-type evaluat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N-th screen by inputting the answe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target (rectangular shape) presented on the screen is the same as the position shown on the second screen (N-2) th screen. After the test for about 5 minutes,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measured. Then, instead of the square figure, the voices of one syllable are presented every time the screen changes, and the same is compared with the sound of the previous second screen.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은 상기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에서 제공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으로서, HOCF분석 모듈(2221), 단어기억 테스트 분석 모듈(2222)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테스트 분석 모듈(222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에서 분석된 정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300)의 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analyzes the large picture type and LEGO block type evaluation and the visual type to auditory type evaluation test provided by the member brain type evaluation program transmission module 221. The HOCF analysis module 2221, A word storage test analysis module 2222, and a visual type auditory test analysis module 2223. [ Meanwhile,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may be stored in the diagnostic information database 320 of the databas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HOCF분석 모듈(2221)은 화면을 통해 이루어진 시작점과 끝점을 판단하여 큰그림형인지 레고블럭형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판단될 수 있도록 한다. The HOCF analysis module 2221 determines whether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the large picture type or LEGO block type are determined through a screen. The HOCF analysis module 222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처음 그리기 시작한 임의의 좌표를 (Xn1,Yn1)이라고 할 때, When an arbitrary coordinate which is firstly drawn is (Xn1, Yn1)

1) 3번째 끝점 (Xn3,Yn3)= (Xn1,Yn1) 인가? 아니면 9)로 가시오1) Is the third end point (Xn3, Yn3) = (Xn1, Yn1)? Or go to 9)

2) 4번째 시작점(Xn4,Yn4)이 앞에서 선택한 3개의 끝점에서 시작하는가? No이면 레고블럭형2) Does the 4th starting point (Xn4, Yn4) start at the 3 end points selected earlier? If no, LEGO block type

3) 4번째 시작점은 (Xn4,Yn4)이며 여기에서 시작한 선이 끝나는 점((Xn5,Yn5)의 Y좌표가 Yn4인가? No 이면 레고블럭형3) The fourth starting point is (Xn4, Yn4) and the Y coordinate of (Xn5, Yn5) at which the line starting here ends is Yn4? If No,

4) 5번째 시작점은 (Xn5,Yn5)이며 여기에서 시작한 선의 끝나는 점(Xn6,Yn6)의 X좌표가 Xn5인가? No이면 레고블럭형4) The 5th starting point is (Xn5, Yn5) and the X coordinate of the end point (Xn6, Yn6) starting from here is Xn5? If no, LEGO block type

5) 6번째 시작점은(Xn6,Yn6)이며 여기에서 시작한 선의 끝나는 점(Xn7,Yn7)의 X좌표가 Xn4와 일치하는 가? No이면 레고블럭형5) Is the 6th starting point (Xn6, Yn6) and the X coordinate of the end point (Xn7, Yn7) of the line starting here match Xn4? If no, LEGO block type

6) 7번째 시작점의 좌표가 (Xn4,Yn4)(Xn5,Yn5)(Xn6,Yn6)(Xn7,Yn7) 중 하나 인가? No이면 레고블럭형6) Is the coordinate of the 7th starting point (Xn4, Yn4) (Xn5, Yn5) (Xn6, Yn6) (Xn7, Yn7)? If no, LEGO block type

7) 7번째 시작점이 (Xn4,Yn4)이면 끝점은 (Xn6,Yn6)인가? No이면 레고블럭형(시작점과 끝점은 바뀔 수 있다)7) If the 7th starting point is (Xn4, Yn4), is the end point (Xn6, Yn6)? If no, LEGO block type (start point and end point can be changed)

8) 7번째 시작점이 (Xn5,Yn5)이면 끝점은(Xn7,Yn7)인가? 아니면 레고블럭 형8) If the 7th starting point is (Xn5, Yn5), is the end point (Xn7, Yn7)? Or LEGO BLOCK type

9) 4번째 끝점 (Xn4,Yn4)=(Xn1,Yn1) 인가? No이면 레고블럭형9) Is the fourth end point (Xn4, Yn4) = (Xn1, Yn1)? If no, LEGO block type

10) 5번째 시작점 (Xn5,Yn5)가 앞의 4 점 중 하나와 일치하는 가? 아니면 레고블럭형10) Does the 5th starting point (Xn5, Yn5) match one of the previous 4 points? Or LEGO BLOCK type

11) 5번째 시작점과 끝점의 쌍이 (Xn1,Yn1)(Xn3,Yn3)이거나 (Xn2,Yn2)(Xn4,Yn4)인가? 아니면11) Is the 5th starting point and ending point pair (Xn1, Yn1) (Xn3, Yn3) or (Xn2, Yn2) (Xn4, Yn4)? if not

1) 5번째 시작점 (Xn5,Yn5)이면 끝점이 (Xn1,Yn1)부터 (Xn4,Yn4) 중 하나이고 6번째 시작점도 (Xn5,Yn5)이며 끝점은 (Xn+1,Yn+1)(n=1~4)인가? 아니라면1) If the 5th starting point (Xn5, Yn5), the end point is one of (Xn1, Yn1) to (Xn4, Yn4) and the 6th starting point (Xn5, Yn5) and the end point is (Xn + 1, Yn + = 1 ~ 4)? If not

2) 5번째 시작점이 (Xn1,Yn1)부터 (Xn4,Yn4) 중 하나이고 끝점이 (Xn6,Yn6)일 때, 6번째 시작점도 (Xn6,Yn6)이며 끝점은 (Xn+1,Yn+1)(n=1~4)인가? 아니면 레고블럭형2) When the fifth starting point is one of (Xn1, Yn1) to (Xn4, Yn4) and the end point is (Xn6, Yn6), the sixth starting point (Xn6, Yn6) ) (n = 1 to 4)? Or LEGO BLOCK type

3) 11번 항을 만족하는 가? 아니면 레고블럭형
3) Do you satisfy the 11th clause? Or LEGO BLOCK type

상기 단어기억 테스트 분석 모듈(2222)은 단어를 기억하여 입력된 순서를 분석하여 두뇌 유형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큰그림형인지 레고블럭형인지를 판단한다. The word memory test analysis module 2222 stores words and analyzes the input order to evaluate the brain type. The word memory test analysis module 2222 determines whether the word memory test analysis type is a large picture type or a LEGO block typ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첫번째 입력한 답이 정답 16개 중 하나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1) Determine if the answer you entered first belongs to one of the 16 correct answers.

2) 정답인 경우 4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2) If the answer is correct, determine which category among the four categories.

3) 두번째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판단한다.3) Determine if the second answer is correct.

4) 두번째 입력한 답이 4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4) Determine which of the four categories corresponds to the second answer.

5) 첫번째와 두번째의 카테고리가 같은지 판단한다. 5)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es are the same.

6) 세번째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판단한다.6) Determine whether the third answer is correct.

7) 세번째 입력한 답이 4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지 판단한다.7) Determine which of the four categories corresponds to the third answer.

8) 세번째와 두번째의 카테고리가 같은지 판단한다.8) Determine whether the third and second categories are the same.

9) 5)와 8)을 모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맞다면 1점을 부여한다.9) 5) and 8) are satisfied. If so, give 1 point.

10) 네번째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그 경우 4개의 카테고리 중 무엇인지 판단한다. 10) If the fourth answer is the correct answer, then in that case, decide which of the four categories.

11) 세번째 입력한 답의 카테고리와 네번째 입력한 답의 카테고리가 같은지 판단한다. 11) Determine if the category of the third answer is the same as the category of the fourth answer.

12) 8)과 11)을 모두 만족한다면 1점을 추가로 부여한다. 12) If both 8) and 11) are satisfied, one additional point is given.

13) 이와 같은 방식으로 16번째 답까지 모두 카테고리를 비교하여 앞의 두개의 답이 정답이며 카테고리가 연속해서 일치하면 1점을 부여한다.13) In this way, compare all the categories up to the 16th answer, and if the two answers are correct, and the categories are consecutive, give 1 point.

14) 점수가 높을수록 큰그림형이 강하다.
14) The higher the score, the stronger the picture.

상기 시각형 대 청각형 테스트 분석 모듈(2223)은 화면에서 제시되는 타겟(사각형 도형)의 위치와 음절의 두 테스트의 정답 수를 비교하여 정답이 많은 쪽이 우세한 유형으로 판정한다.
The visual type-auditory-type test analysis module 2223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target (rectangular figure) presented on the screen with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of the two tests of the syllable, and judges that the more correct answer is the dominant type.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은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회원의 두뇌유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학습관리 훈련 자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회원의 단말기(100a....100n)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먼저 회원들의 학습 관련된 요인 평가를 위해 질문 기반으로 된 평가를 시행한 다음, 회원의 단말기(100a....100n)로 해야할 과제나 일정을 시간별로 전송받고 이를 두뇌유형에 적합한 형태의 계획표로 전환하여 전송한다.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extracts at least one learning management training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ember's brain typ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100a .... 100n). First, a question-based evaluation is performed for evaluating factors related to learning of members, and then a task or schedule to be performed by the member's terminal (100a .... 100n) And transmits it to the schedule table of a form suitable for the brain type.

한편,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은 두뇌 유형에 따른 공부에 필요한 두뇌 훈련 커리큘럼, 즉 각각의 두뇌 유형별로 두뇌의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 유형에 맞게 교육하되, 이는 과목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학생들을 비슷한 두뇌 유형으로 모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맞춤형 교습이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rain-customiz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provides a brain training curriculum necessary for studying according to brain types, that is, a curriculum of training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brain for each brain type. As you can see, there are four types of training that can be tailored to this type, which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subject, and can be tailored to students because they have similar brain types.

숲을 잘 보는 아이(시각형,숲형)PVA child who looks good in the forest (visual type, forest type) PV 나무를 잘 보는 아이(시각형,나무형)DVTrees that look good on trees (visual, wooden) DV 숲의 소리를 잘 듣는 아이(청각형,숲형)PAA child who listens to the sound of forest (hearing, forest) PA 나무의 소리를 잘듣는 아이(청각형,나무형)DAA child who listens to the sounds of trees (auditory, wooden) DA 계획하기(pl)Planning (pl) workbook contents
1. 시각형 계획표-리스트
2. 시각형 계획표-고정시간+시간예측
3. 시각형 계획표-일일계획/주간계획
4. 시각형 프로젝트 계획표
5. 숲을 위한 시각형 세부목록표
6. 숲을 위한 시각형 시험계획표
workbook contents
1. Visual Schedule Table - List
2. Visual Schedule - Fixed Time + Time Forecast
3. Visual Schedule Table - Daily Schedule / Weekly Schedule
4. Visual project schedule
5. Detailed list of visual form for forest
6. Visual Test Schedule for Forests
workbook contents
1. 시각형 계획표-리스트(우선 순위 정하기 포함)
2. 시각형 계획표-고정시간+시간예측
3. 시각형 계획표-일일계획/주간계획
4. 시각형 프로젝트 계획표
5. 나무를 위한 시각형 세부목록표
6. 나무를 위한 시각형 시험계획표
workbook contents
1. Visual type plan list - list (including priority setting)
2. Visual Schedule - Fixed Time + Time Forecast
3. Visual Schedule Table - Daily Schedule / Weekly Schedule
4. Visual project schedule
5. Visual Detail Table for Trees
6. Visual Test Schedule for Trees
workbook contents
1. 청각형 계획표-리스트
2. 청각형 계획표-고정시간+시간예측
3. 청각형 계획표-일일계획/주간계획
4. 청각형 프로젝트 계획표
5. 숲을 위한 청각형 세부목록표
6. 숲을 위한 청각형 시험계획표
workbook contents
1. Auditory plans - List
2. Auditory Schedule - Fixed Time + Time Forecast
3. Listening Plan - Daily Plan / Weekly Plan
4. Auditory project schedule
5. List of auditory forms for forests
6. Auditory test schedule for forests
workbook contents
1. 청각형 계획표-리스트(우선 순위 정하기 포함)
2. 청각형 계획표-고정시간+시간예측
3. 청각형 계획표-일일계획/주간계획
4. 청각형 프로젝트 계획표
5. 나무를 위한 청각형 세부목록표
6. 나무를 위한 청각형 시험계획표
workbook contents
1. Auditory planner list - list (including priority)
2. Auditory Schedule - Fixed Time + Time Forecast
3. Listening Plan - Daily Plan / Weekly Plan
4. Auditory project schedule
5. Auditory type list for trees
6. Auditory test schedule for wood
조직화하기/
핵심찾기
(op)
Organizing /
Find the core
(op)
workbook contents
1. 숲을 위한 마인드맵-소설읽기
2. 숲을 위한 마인드맵-비문학 읽기
3. 숲을 위한 마인드맵-글쓰기
4. 시각형을 위한 노트필기법
workbook contents
1. Mind Map for Forests - Reading Fiction
2. Mind Map for Forests - Reading Non-Literature
3. Mind Map for Forests - Writing
4. Note-writing method for visual type
workbook contents
1. 나무를 위한 마인드맵-소설읽기
2. 나무를 위한 마인드맵-비문학 읽기
3. 나무를 위한 마인드맵-글쓰기
4. 시각형을 위한 노트필기법
workbook contents
1. Mind Map for Trees - Read a novel
2. Mind Map for Trees - Reading Nonfiction
3. Mind Map for Trees - Writing
4. Note-writing method for visual type
workbook contents
1. 숲을 위한 목록 단계별 만들기-소설읽기
2. 숲을 위한 목록 단계별 만들기-비문학 읽기
3. 숲을 위한 로드맵-글쓰기 guide
4. 청각형을 위한 노트필기법: 선생님 말 최대한 듣고 후에 정리
workbook contents
1. Create a list step by step for a forest - Read a novel
2. Create a list step by step for forests - read non-literacy
3. Roadmap for Forests - Writing guide
4. Note-taking method for auditory type: Listen to the teacher as much as possible and rearrange
workbook contents
1. 나무를 위한 청각적 목록: 리스트-반복
2. 나무를 위한 목록: 비문학
3. 나무를 위한 글쓰기: 훈련(녹음)
4. 나무형 청각학습자를 위한 노트필기법
workbook contents
1. Auditory list for trees: List-repeat
2. List for Trees: Non-literacy
3. Writing for Trees: Training (Recording)
4. Note-taking method for wooden type hearing learners
기억하기
(wm)
Remember
(wm)
workbook contents
1. 이미지 기억법 훈련자료: guide
2. 단어 카드 암기법
3. 단권화 방법 - 단권화 리스트
workbook contents
1. Image memory training materials: guide
2. Word card memorization
3. Single-hearted method - Single-hearted list
workbook contents
1. 이미지 기억법 훈련자료
2. 단어 카드 암기법
3. 단권화 방법=색상 구별법
workbook contents
1. Image memory training materials
2. Word card memorization
3. Singularization method = color distinction method
workbook contents
1. 앞글자 따기
2. 문장 만들기
3. 범주 묶기
4. 나만의 핵심노트/단권화: 디테일 키워드(서식)
workbook contents
1. Prefix Picking
2. Create a sentence
3. Bundling categories
4. My Keynote / Single Word: Detail Keyword (Format)
workbook contents
1. 핵심 레벨 1,2,3 분류표
2. 앞글자 따기
3. 문장 만들기
4. 범주 묶기
workbook contents
1. Core Level 1,2,3 Classification Table
2. Prefix Picking
3. Create a sentence
4. Category binding
유연성 키우기
(fl)
Increase flexibility
(fl)
workbook contents
1. 카테고리별로 단어 떠올리기(단어 유창성 연습)
workbook contents
1. Writing words by category (word fluency practice)
workbook contents
1. 나무를 위한 그림보고 말하기
2. 강제 결합법
workbook contents
1. Speaking and Speaking for Trees
2. Forcing method
workbook contents
1. 단어 유창성 훈련
workbook contents
1. Word fluency training
workbook contents
1. 단어유창성 훈련
2. 패턴 맞추기 훈련
3. 강제결합법
workbook contents
1. Word fluency training
2. Pattern matching training
3. Forcing method
기타(nc)Other (nc) workbook contents
1. 공부시작하기
2. 습관 체크리스트들
3. 보상 규정
4. 감정조절 워크시트
workbook contents
1. Start studying
2. Custom checklists
3. Rewards
4. Emotion control worksheet
workbook contents
1. 공부시작하기
2. 습관 체크리스트들
3. 보상 규정
4. 감정조절 워크시트-시각형
workbook contents
1. Start studying
2. Custom checklists
3. Rewards
4. Emotion control worksheet - visual type
workbook contents
1. 공부시작하기
2. 습관 체크리스트들
3. 보상 규정
4. 감정조절 워크시트-청각형
workbook contents
1. Start studying
2. Custom checklists
3. Rewards
4. Emotion control worksheet - Auditory
workbook contents
1. 공부시작하기
2. 습관 체크리스트들
3. 보상 규정
4. 감정조절 워크시트-청각형
workbook contents
1. Start studying
2. Custom checklists
3. Rewards
4. Emotion control worksheet - Auditory

상기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은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특정 과목(수학)의 개념을 습득할 수 있는 유형별 최적화되도록 제작한 교재를 전송하고, 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300)의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교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ng and transmitting module 224 transmits a textbook prepared to be optimized for each type that can acquire the concept of a specific subject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And can be stored in a customized learning program teaching material database 330 for each brain type of the learning system 300.

또한, 상기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에서 제공되는 문제들은 두뇌 유형별로 숙달해야 하는 문제들을 맞춤형 순서대로 제공하며, 문제은행의 문제들은 문제마다 (문제 유형, 난이도, 복합도)에 따라 코딩이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roblems provided by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ng and transmitting module 224 provide problems to be mastered according to the brain type in a customized order, and the problems of the question bank are coded according to each problem (problem type, difficulty level, .

예를 들면 (서술형, 중, 복합형), (계산형, 하, 단일형) 등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Top-down 유형의 학습자는 복합형을 먼저 풀고 나서 이에 필요한 단일 개념 유형을 푸는 것이 더 효율적이며 Bottom-up 유형의 학습자들은 단일유형의 문제를 풀고 나서 복합유형의 문제를 푸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므로 이에 따라 동일 단원의 문제도 서로 다른 순서로 제공한다.
For example, the top-down type learners are classified as (narrative, medium, and complex), (computational, low, and single), and it is more efficient to solve a single concept type Bottom-up type learners are more efficient in solving complex types of problems after solving a single type of problem, so they also provide problems in the same unit in different orders.

상기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 모듈(225)은 회원 단말기(100a...100n)를 통하여 회원이 작성한 피드백을 수신하고 작성된 진단 평가지에 포함된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또한,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 모듈(225)은 회원의 프로그램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하여 회원에게 더 효과적인 정보를 선택하여 회원 단말기(100a...100n)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원이 스마트폰이나 PC의 알림을 본 순간 공부에 대해 의욕이 떨어지거나 어려움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원이 알림을 본 후 하단 버튼을 클릭하면 별점을 주는 항목이 나타나서 피드백이 본인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평가한 내용을 데이터화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raining response feedback and transmission module 225 receives the feedback made by the member through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nalyzes the content included in the generated evaluation evaluation sheet,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analysis result to the database 300 . In addition, the training response feedback and transmission module 225 analyzes the feedback of the member's program execution to select more effective information for the member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or difficulty in studying at the moment of notification of a phone or PC,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member will notify the user of the difficulty,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bottom button,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received and data can be received.

상기 메시지 전달부(230)는 두뇌 유형평가와 학습 능력 관련 평가를 통해 평가된 회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습의 패턴을 예측하고 동기가 저하되거나 학습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말을 전송하는 기능하는 것으로서, 회원이 회원단말기(100a...100n)를 통해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에서 제공되는 공부 계획에 따라 도움이 되는 팁이 회원단말기(100a...100n)의 화면을 통해 수신되거나 소리로도 알림받을 수 있도록 한다. The message transfer unit 230 predicts patterns of learning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evalua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brain type and the learning ability, and provides help to overcome situations in which motivation is deteriorated or learning efficiency is lowered When a member activates a program through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 helpful tip according to the study plan provided by the brain-customiz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is transmitted to the member terminal 100a. The user can be notified via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n or by sound.

예를 들면, 큰그림형의 학습자이면서 동시에 시각형 학습자의 가장 큰 약점은 주의집중력이라고 할 때, 앞으로 수학 2시간을 공부할 계획이라고 입력하면 매 15분마다 다음의 메세지가 전달되며, 전달된 메세지는 다음 메세지가 나타나면 사라지게 된다. For example, if you are a large figure-type learner and the visual weaknesser's biggest weakness is attention, enter the next two hours of studying mathematics and you will receive the following message every 15 minutes: When the next message appears, it disappears.

시작 : “당신은 숲을 잘 보는 사람입니다. 오늘 공부할 부분의 중요한 내용, 목표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고 시작하세요”Start: "You are a good looking forest. Start by looking at what is important to you and what you are aiming for today "

15분 : “오늘 할 분량을 구체적으로 정하셨나요? 몇 문제를 풀지를 목표로 정하세요”15 minutes: "Did you specify the amount to do today? Please aim to solve some problems "

30분 : “지루해 질 수 있는 시간입니다.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은 채로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세요”30 minutes: "It's time to get bored. Do a light stretch without getting up from your seat "

45분 : “문제가 잘 풀리지 않을 때에는 그림을 그려가며 생각해 보세요. 당신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45 minutes: "If the problem is not solved well, think about drawing the picture. It will help you "

60분 : “ 지금까지 잘 해오고 있습니다. 가볍게 10분간만 휴식하세요. 기억하세요. 쉬는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60 minutes: "I've been doing well so far. Lightly rest for 10 minutes. Remember.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break time exactly. "

75분 : “목표를 다시 한번 결정할 때입니다. 지루하다고 문제를 끝까지 풀지 않거나 건너 뛰어서는 안됩니다.”75 minutes: "It's time to decide the goal again. It is boring and you should not solve the problem to the end or skip it. "

90분 : “계산을 끝까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답이 정확하게 나오는 지 확인하세요.”90 minutes: "It is important to finish the calculation. Make sure the correct answer is correct. "

105분 :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오늘 무엇을 공부했는지 생각해보고 기억해두어야 할 공식이나 내용을 잊지 않도록 마지막까지 정리합시다”105 minutes: "We're almost there now. Think about what you studied today, and let's keep it to the end so you do not forget the formulas or details you should remember "

120분 : “정말 수고 많았습니다. 여기까지 온 당신의 성적은 앞으로 쑥쑥 오르게 될 것입니다."
120 minutes: "I really had a lot of work. Your grades that have come to this point will grow in the future. "

상기 교재관리부(240)는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 및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에서 제공되는 학습교재 및 문제들을 두뇌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300)의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교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extbook management unit 240 classifies and manages the learning materials and problems provided by 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nd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odule 224 according to the brain type. 300) customized learning program teaching material database 330 for each brain type.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 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320),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교재 데이터베이스(330), 수행 결과 데이터베이스(340), 그리고 학습 훈련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50), 유형별 추천 정보 데이터 베이스(360)를 포함한다. The database 300 includes a membership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a diagnostic information database 320, a customized learning program textbook database 330 for each brain type, a performance result database 340, a learning and training program database 350, And an information database 360.

상기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상기 회원관리부(210)를 통해 수신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회원의 아이디, 비밀번호는 물론이고, 회원의 나이, 직업, 취미, 및 장래 희망 중에서 적어도 두 가지는 포함되어야 하지만, 상기 회원 정보는 반드시 열거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stores memb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ember management unit 210. At least two of the member's age, occupation, hobby, and future wishes as well as the member's ID and password But the member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listed ones

상기 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에서 제공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를 통해 분석된 두뇌유형을 평가 분석 모듈(222)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매치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iagnostic information database 320 analyzes the brain type analyzed through the large picture type and legoblock type evaluation and the visual type to auditory type evaluation test provided in the member brain type evaluation program transmission module 221, And may be stored in a manner matching with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

상기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교재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상기 교재관리부(24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개발자가 자체개발한 문제 및 시중의 다른 문제들도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어 시중의 문제집이나 교재를 선택한 경우에도 자신의 유형에 맞게 공부할 수 있도록 회원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ustomized learning program teaching material database 330 for the brain type receives data through the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unit 240 and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the problems developed by the developer and other problems on the marke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If you choose to use a textbook or a textbook, you should be able to guide the member so that you can study for your own type.

상기 수행 결과 데이터베이스(340)는 상기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 모듈(225)로부터 수신된 두뇌 유형별로 제공된 학습훈련에 대한 반응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원의 단말기(100a....100n)로부터 수신된 별점에 대한 정보를 축적한 후 별점이 높은 문구들을 우선적으로 회원에게 전송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performance result database 340 stores data on the response to learning training provided for each brain type received from the training response feedback and transmission module 22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by transmitting the phrases having high stars to the members first.

상기 학습 훈련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50)는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감정조절과 동기부여를 시작으로 자신에 대한 파악, 약점 강화 훈련, 맞춤형 학습법 훈련으로 이어지는 커리큘럼을 통해 두뇌 유형별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earning and training program database 350 stores the data provided by 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nd includes important emotion control and motivation in learning, identification of oneself, weakness reinforcement training, To provide a customized training program curriculum for each brain type.

상기 유형별 추천 정보 데이터 베이스(360)는 두뇌 유형에 따른 공부에 필요한 두뇌 훈련 커리큘럼, 즉 각각의 두뇌 유형별로 두뇌의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커리큘럼을 시행함에 있어 학생들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 유형에 맞게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ype-specific recommendation information database 360 provides a curriculum of a brain, which is necessary for studying according to the brain type, that is, a training cours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brain for each type of brain.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Classify them into 4 types and train them according to this typ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유형을 평가할 수 있는 질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 두뇌맞춤형 학습훈련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계획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맞춤형 추천 정보전송단계에서 유형별 제공되는 문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 수행결과의 유무에 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
FIG. 6 is a flow chart of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chematically shows a questionnaire that can evaluate a learning type in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dule table provided in a brain-customized learning and training provision step in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for each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ecution result in the customize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brain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Hereinafter,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먼저, 회원 단말기(100a...100n)는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학습서버(200)에 접속한 단말기(100a...100n)는 상기 학습서버(200)로 부터 수신한 회원의 기초정보에 대한 질문지에 따라 회원의 나이, 직업, 취미, 및 장래 희망 중에서 적어도 두 가지는 포함될 수 있도록 작성하여 데이터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상기 학습서버(200)의 회원관리부(210)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데이터베이스(300)의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회원정보수집단계(S10)를 거친다. First,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llow a program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to be accessed through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s 100a to 100n connected to the learning server 200 are able to know the age, occupation, hobby, and future hope of the member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about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member received from the learning server 200 And may be received by the member management unit 210 of the learning server 20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This may be provided in 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of the database 300 And a member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상기 회원정보수집단계(S10)가 완료되면, 상기 학습서버(200)는 생물학적 인지 기능에 기반한 두뇌 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의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를 거침으로서 접속한 회원의 인지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기능 테스트 단계(S20)를 진행한다.Upon completion of the memb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the learning server 200 evaluates the brain type based on the biological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s the evaluation of the large picture type and the legoblock type and the visual type to auditory type evaluation test A cognitive function test step S20 is performed to enabl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connected member to be tested.

상기 두뇌유형 테스트 단계(S20)에서 진행되는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의 평가는 Top-down과 Bottom-up 프로세스 중 어느 것을 더 잘 활용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회원의 주관적 판단이 배제된 객관적 인지기능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서, 1HUCF (Hue 복잡도형 검사)와, 단어 기억 테스트를 포함하며, 이는 평가 분석 모듈(222)에 의하여 분석되어 데이터베이스(300)의 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valuation of the large picture type and the lego block type in the brain type test step (S20) is a tool for evaluating which of the top-down and bottom-up processes is used more effectively. It is an objectively (HUC complexity test) and a word memory test, which can be analyzed by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and stored in the diagnostic information database 320 of the database 300 do.

상기와 같이 인지기능 테스트 단계(S20)가 완료되면, 회원들의 학습 관련된 요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질문기반으로 된 평가를 진행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정도, 감정조절, 계획하기, 조직화하기, 우선순위 정하기, 기억하기, 점검하기, 유연성을 포함한 질문지를 회원 단말기(100a...100n)로 전송하고, 상기 회원단말기(100a...100n)는 이에 대한 답변을 학습서버(200)에 전송하는 학습유형 평가단계(S30)를 진행한다. When the cognitive function testing step S2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 question-based evalua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of members. As shown in FIG. 7, the degree of motivation, emotion regulation, 100n transmits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to the learning server 200.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send the questionnaire to the learning server 200, To the learning type evaluation step S30.

상기와 같이, 인지기능 테스트 단계(S20)와 학습유형 평가단계(S30)를 통해 수집된 회원의 특성에 따라 평가 분석모듈(222)은 두뇌유형을 1)숲을 잘 보는 아이(시각형,숲형), 2)나무를 잘 보는 아이(시각형,나무형), 3)숲의 소리를 잘 듣는 아이(청각형,숲형), 4)나무의 소리를 잘 듣는 아이(청각형,나무형)로 나뉘어 회원의 두외유형을 판별하는 두뇌유형 판별 단계(S40)를 진행한다. 상기 두뇌유형 판별 단계(S40)에서 판별한 회원의 두뇌유형은 상기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collected through the cognitive function testing step S20 and the learning type evaluation step S30,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may classify the brain type into 1) ), A child who listens to the sounds of the forest (auditory type, forest type), 4) a child who listens to the sound of trees (auditory type, wood type) And the brain type discrimination step (S40) for discriminating the external type of the member is performed. The brain type of the member determined in the brain type determination step S40 may be stored in the diagnostic information database 320 by matching with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

상기 두뇌유형 판별 단계(S40)를 통해 분류된 회원들의 두뇌 유형에 따라 그에 부합되는 두뇌 유형 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앞서 두뇌유형에 적합한 계획표를 회원 단말기(100a...100n)로 전송하는 두뇌맞춤형 학습 훈련 제공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두뇌맞춤형 학습 훈련 제공단계(S50)에서는 먼저 회원 단말기(100a...100n)로부터 해야할 과제나 일정을 시간별로 전송받고 이에 따라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모듈(223)은 판별된 두뇌유형에 적합한 형태의 계획표를 상기 회원 단말기(100a...100n)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모듈(223)에서 전송하는 계획표에 있어서 시각형 학습자 회원에게는 파이형태의 원형 계획표에 아이콘이나 그림을 활용한 계획표를 전송하고, 청각적 학습자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형의 사간대별 계획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Prior to providing the brain type evalu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brain type of the members classified through the brain type discrimination step S40, a brain-tailored learning system that transmits a schedule table suitable for the brain type to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 training provision step (S50) is carried out. In the brain-customized training and training providing step (S50), tasks or a schedule to be performed from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re received by time and the brain-customiz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tting module (223) To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t this time, in the schedule transmitted from the brain-customiz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 schedule table using an icon or a picture is transmitted to a pie-shaped circular schedule table to the visual-type learner member, In the same way, we will be able to provide a schedule list of the list type.

상기와 같이 계획표가 전송완료되면, 상기 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모듈(223)은 두뇌 유형에 따른 공부에 필요한 두뇌 훈련 커리큘럼, 즉 각각의 두뇌 유형별로 두뇌의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송신된 데이터는 학습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메시지 전달부(230)는 상기 두뇌 유형평가와 학습 능력 관련 평가를 통해 평가된 회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습의 패턴을 예측하고 동기가 저하되거나 학습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말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두뇌맞춤형 학습관리 프로그램 제공단계(S50)를 진행하고, 상기 학습관리 프로그램 제공단계(S50)에서 발생된 데이터는 학습 훈련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schedule table is transferred as described above, 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provides a brain training curriculum necessary for studying according to brain types, that is, a training course for improving brain execution performance for each brain type , The transmitted data can be stored in the learning program database 350. At this time, the message transfer unit 230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the member evalua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brain type and the learning ability, (S50) of delivering a brain-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program by allowing the user to transmit the help so as to overcom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 predict and reduce the motivation or the learning efficiency. Data can be stored in the learning training program database.

그 다음에는 상기 유형 평가에 따라서 결정된 두뇌 유형에 따라 특정 과목의 개념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형별 최적화된 교재를 회원 단말기(100a...100n)에 송신하는 맞춤형 추천 정보 전송단계(S70)를 진행한다. Then,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transmit the textbooks optimized for each type to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s shown in FIG. 9 so as to acquire the concept of a specific subject according to the brain typ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evalu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0.

상기 맞춤형 추천 정보 전송단계(S70)는 특정과목의 문제은행을 제작한 후 두뇌 유형별로 숙달해야 할 문제들을 맞춤형 순서대로 제공하며, 이는 교재관리부(240)을 통해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며,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교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맞춤형 추천 정보 전송단계(S70)에서 제공되는 문제들은 문제마다 문제 유형, 난이도, 복합도에 따라 코딩이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술형, 중, 복합형), (계산형, 하, 단일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Top-down 유형의 학습자는 복합형을 먼저 풀고 나서 이에 필요한 단일 개념 유형을 푸는 것이 더 효율적이며 Bottom-up 유형의 학습자들은 단일유형의 문제를 풀고 나서 복합유형의 문제를 푸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므로 이에 따라 동일 단원의 문제도 서로 다른 순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70) provides questions to be mastered by the brain type after preparing the question bank of a specific subject, and can be managed through the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unit (240) And can be stored in the learning program teaching material database 330. The problems provided in the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70 are cod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 difficulty level, and complexity for each problem. For example, a top-down type learner can solve a complex type first, then solving a single type of concept necessary to be classified as (descriptive, medium, complex), (computational, Efficient and bottom-up type learners are more efficient at solving a single type of problem and then solving a complex type problem so that the same unit problems can be presented in different orders.

상기와 같이 맞춤형 추천 정보 전송단계(S70)까지 완료된 학습서버(200)는 회원 단말기(100a...100n)로부터 시간대별, 내용별 실행 유무에 대한 답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수행 결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되어 실행 실패의 원인에 대해 대책을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학습관리 프로그램 제공단계(S60)에서 학습관리 시 제공되는 알림 기능에 있어서 회원이 알림을 본 후 하단 버튼을 클릭하면 별점을 주는 항목이 나타나서 피드백이 본인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평가하여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모듈(225)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모듈(225) 별점의 정보를 축적한 후 별점이 높은 문구들을 우선적으로 회원에게 전송하여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데이터 수신단계(S80)를 진행한 후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The learning server 200, which has been completed up to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receives responses from the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as to whether or not they are executed by time or by content, Which is stored in the execution result database 340 to transmit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cause of execution failure. In addition, in the notification management function provid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program providing step (S60), when the member views the notification and clicks the lower button, an item giving a star appears to evaluate how helpful the feedback is to the user, And the transmission module 225. The training response feedback and transmission module 225 accumulates the information of the feedback module and then transmits the high-scoring phrases to the member in advance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So that it can be terminated after proceeding to the receiving step S80.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 목적이지 전술한 바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이라기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어 지며, 이러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그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the method of a customized learning apparatus for a brai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not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the equivalents thereof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0a~100n: 회원 컴퓨터 110: 데이터 송수신모듈
120: 데이터저장모듈 130: 제어모듈
200: 학습 서버 210: 회원관리부
220: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 230: 메시지 전달부
240: 교재관리부 300: 데이터베이스
100a to 100n: member computer 110: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Data storage module 130: Control module
200: a learning server 210: a member management unit
220: Brain Evaluation and Learning and Training Department 230: Message Delivery Department
240: Textbook Management Unit 300: Database

Claims (13)

학습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학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회원 단말기(100a...100n)와, 상기 회원 단말기(100a...100n)로부터 수신된 회원들의 정보에 따라 회원들의 두뇌 유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습관리 및 유형에 맞춘 학습에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전송하는 학습 서버(200)와, 상기 학습 서버(200)와 연계되어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학습서버(200)는 회원 단말기(100a...100n)를 통해 회원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회원관리부(210)와,
회원의 두뇌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알고리즘 및 그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져 회원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220)와,
두뇌 유형평가와 학습 능력 관련 평가를 통해 평가된 회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습의 패턴을 예측하고 동기가 저하되거나 학습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말을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메시지 전달부(230); 및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 및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에서 제공되는 학습교재 및 문제들을 두뇌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교재관리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220)는 회원의 생물학적 인지기능에 기반한 두뇌 유형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과, 상기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에서 제공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에 대한 분석을 하는 평가 분석 모듈(222)과,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회원의 두뇌유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학습관리 훈련 자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회원의 단말기(100a....100n)로 전송하는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과,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특정 과목(수학)의 개념을 습득할 수 있도록 유형별로 제작한 교재를 전송하는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 및 회원 단말기(100a...100n)를 통하여 회원이 작성한 피드백을 수신하고 작성된 진단 평가지에 포함된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는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 모듈(225)로 구성되고,
상기 평가 분석 모듈(222)은, 화면을 통해 이루어진 시작점과 끝점을 판단하여 큰그림형인지 레고블럭형인지를 판단하는 HOCF분석 모듈(2221)과, 단어를 기억하여 입력된 순서를 분석하여 두뇌 유형을 평가하는 단어기억 테스트 분석 모듈(2222); 및 화면에서 제시되는 타겟의 위치와 음절의 두 테스트의 정답 수를 비교하여 정답이 많은 쪽이 우세한 유형으로 판정하는 시각형 대 청각형 테스트 분석 모듈(2223)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회원관리부(210)를 통해 수신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와, 회원 두뇌유형 평가 프로그램 전송 모듈(221)에서 제공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 및 시각형 대 청각형 평가 테스트를 통해 분석된 두뇌유형을 평가 분석 모듈(222)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회원 기초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매치하여 저장되는 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320)와, 상기 교재관리부(24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개발자가 자체개발한 문제 및 시중의 다른 문제들도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어 시중의 문제집이나 교재를 선택한 경우에도 자신의 유형에 맞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교재 데이터베이스(330)와, 훈련반응 피드백 및 전송 모듈(225)로부터 수신된 두뇌 유형별로 제공된 학습훈련에 대한 반응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행 결과 데이터베이스(340)와, 두뇌 맞춤형 학습훈련 전송 모듈(223)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감정조절과 동기부여를 시작으로 자신에 대한 파악, 약점 강화 훈련, 맞춤형 학습법 훈련으로 이어지는 커리큘럼을 통해 두뇌 유형별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훈련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50); 및 두뇌 유형에 따른 공부에 필요한 두뇌 훈련 커리큘럼, 즉 각각의 두뇌 유형별로 두뇌의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유형별 추천 정보 데이터 베이스(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100a ... 100n) for receiving a service provided from the learning server (200) by accessing a program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er (200) A learning server 200 for analyzing brain types of member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s, providing a customized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lated to learning management and type-matching learning, And a database (300) for storing various data,
The learning server 200 includes a member management unit 210 for receiving basic information of a member through the member terminals 100a to 100n,
A brain evaluation and learning training unit 220 for allowing an algorithm to be provided for evaluating a member's brain type and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algorithm,
A message delivery unit tha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embers evaluated through brain type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ability and predicts pattern of learning and transmits help to overcome situations where motivation is deteriorated or learning efficiency is low. (230); And
And a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unit 240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the learning materials and problems provided by the brain-bas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nd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odule 224 according to the brain type,
The Brain Assessment and Learning and Training Unit 220 is for evaluating the brain type based on the member's biological cognitive function, An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for analyzing the large picture type and legoblock type evaluation and the visual type to auditory type evaluation test provided by the member brain type evaluation program transmission module 221, Extracts at least one learning management training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s brain type according to the analyzed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and transmits the extracted data to the terminal 100a .... 100n of the member And a learning-related-learning-and-learning-transfer module 223 for acquiring the concept of a specific subject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Recommendations extraction and transport module 224 for transmitting jakhan materials; And a training reaction feedback and transmission module 225 for receiving the feedback made by the member through the member terminals 100a ... 100n, analyz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reated diagnostic evaluation sheet, and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analysis result in the database 300 ),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includes an HOCF analysis module 2221 for determining whether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re formed on a screen to determine whether a large picture type is a LEGO block type or not, A word memory test analysis module 2222 for evaluating the word memory test; And a visual type-auditory-type test analysis module 2223 for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target present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 number of the two tests of the syllable,
The database 300 includes a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for storing memb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ember management unit 210 and a large pictorial and legoblock type A diagnostic information database 320 received from the evaluation analysis module 222 and stored in a manner matching with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basic information database 310, And a database that classifies the problems developed by the developer and other problems on the marke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so as to receive and store data through the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unit 240, A customized learning program textbook database 330 for each type of brain that allows the user to study according to the type, A performance result database 340 for storing data on the response to the learning training provided for each brain type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225, and data provided by the brain-tailor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mission module 223, A learning and training program database 350 that provides a customized training program curriculum for each type of brain through a curriculum leading to important emotional control and motivation, including self-identification, weakening training, and customized learning method training; And a type-specific recommendation information database (360) that provides a curriculum of a training necessary for studying according to the brain type, that is, a training cours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brain for each type of brai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뇌평가 및 학습훈련부(220)에서 큰그림형과 레고블럭형 평가는 Top-down과 Bottom-up 프로세스 중 어느 것을 더 잘 활용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HOCF(Hue 복잡도형) 검사와, 단어 기억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rain Assessment and Learning and Training Department 220, a large picture and LEGO-block type evaluation is a tool for evaluating which of the top-down and bottom-up processes is better utilized, and includes HOCF (Hue complex shape) And a memory tes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정보 추출 및 전송 모듈(224)에서 제공되는 문제들은 두뇌 유형별로 숙달해야 하는 문제들을 맞춤형 순서대로 제공하며, 문제은행의 문제들은 문제마다 문제 유형, 난이도, 복합도에 따라 코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blems provided by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extracting and transmitting module 224 provide problems to be mastered according to the brain type in a personalized order, and the problems of the question bank are cod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 difficulty, A customized learning device for each brain ty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별 추천 정보 데이터 베이스(360)는 커리큘럼을 시행함에 있어 학생들을 숲을 잘 보는 아이(시각형,숲형), 나무를 잘 보는 아이(시각형,나무형), 숲의 소리를 잘 듣는 아이(청각형,숲형), 나무의 소리를 잘 듣는 아이(청각형,나무형)로 분류하고 이 유형에 맞게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ype-specific recommendation information database 360 is a database for recommending the students to perform the curriculum, such as a child (visual type, forest type), a tree (visual type, wood type) Aural type, forest type), a child who listens to the sound of a tree (auditory type, wood type), and can train it according to this ty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37529A 2014-10-13 2014-10-13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KR101656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529A KR101656348B1 (en) 2014-10-13 2014-10-13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529A KR101656348B1 (en) 2014-10-13 2014-10-13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23A KR20160043323A (en) 2016-04-21
KR101656348B1 true KR101656348B1 (en) 2016-09-09

Family

ID=5591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529A KR101656348B1 (en) 2014-10-13 2014-10-13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3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56B1 (en) 2018-09-19 2022-02-15 노충구 Brain type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test system, brain trai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brain training system
KR102305395B1 (en) * 2019-03-20 2021-10-06 신승용 Cloud-based Thinking Action Pattern Assessment System
KR102187687B1 (en) * 2020-11-13 2020-12-07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751B1 (en) * 2010-09-10 2010-12-21 주식회사 다이나믹플러스 Device for education diagnosis using brain waves, edu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56B1 (en) 2005-10-05 2007-06-28 정진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information
KR20130012320A (en) * 2011-07-25 2013-02-04 이재은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learner's order
KR20140025722A (en) * 2012-08-22 2014-03-05 노규식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751B1 (en) * 2010-09-10 2010-12-21 주식회사 다이나믹플러스 Device for education diagnosis using brain waves, edu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23A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ández et al. Primary school teacher’s noticing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problem solving
JP3731868B2 (en) Learning system
Moayyeri The Impact of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VARK Model) on Their Language Achievement.
Candlin et al. Engaging with the challenges of interdiscursivity in academic writing: researchers, students and tutors
Nouri et al. LEARNING WITH OR WITHOUT MOBILE DEVICES? A COMPARISON OF TRADITIONAL SCHOOLFIELD TRIPS AND INQUIRY-BASED MOBILE
Haberlin Problematizing notions of critical thinking with preservice teachers: A self-study imparting critical thinking strategies to preservice teachers: A Self-Study
KR101656348B1 (en)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Alata Evaluation of Outcomes-Based Private Junior High School English Curricula.
KR20140025722A (en) Customized learning system dependent on brain type
Kulaglić et al. Influence of learning styles on improving efficiency of adaptive educational hypermedia systems
Kulachit et al. Empirical study on English primary teachers and active learning classroom practices in Thailand
Qi et al. Eliciting Student Thinking: Definition, Research Support, and Measurement of the" ETS"® National Observational Teaching Examination (NOTE) Assessment Series. Research Memorandum No. RM-16-06.
Nagata et al. Trial for e-learning system on information security incorporate with learning style and consciousness factors
Hamann et al. Accessing high-quality instructional strategies
Du Technology and Special Education: Designing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quitable and Inclusive Classrooms
AlAlili Reforming English curriculum in United Arab Emirates: An examination of Emirat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the adoption of" English Continous Assessment Rich Task"(ECART)
Nazaruddin et al. Communication theory teaching and the challenges of de-westernization of communication theories
Acuña et al. Content Area Reading-Based Strategic Intervention Materials (CARB-SIMs) in Science VI
Suryati et al. How Can Teachers Tailor Success? Innovative Strategies for Content, Process, and Product in EFL Classrooms
Mao et al. Written corrective feedback in second language writing: A synthesis of naturalistic classroom studies
Wang et al. Analyzing Teach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with LMS: An Empirical Investigation
Piwek Supporting computing and technology distance learning students with developing argumentation skills
Djiffouet An Investigation into the Acquisition of Tacit Knowledge in e-Learning Environments: An Experimental Study
Thompson et al. Reading Images With A Critical Eye: Teaching Strategies For Academic Librarians
KR20220124409A (en) Personalized learning devices and methods by brain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