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57B1 -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57B1
KR101656057B1 KR1020160079574A KR20160079574A KR101656057B1 KR 101656057 B1 KR101656057 B1 KR 101656057B1 KR 1020160079574 A KR1020160079574 A KR 1020160079574A KR 20160079574 A KR20160079574 A KR 20160079574A KR 101656057 B1 KR101656057 B1 KR 101656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liquid
hydrolysi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권
서인석
고광범
김희중
김태경
김한주
김재갑
박선욱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주) 퓨리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한수테크니칼서비스(주), (주) 퓨리켐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6007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성 폐기물의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한 탈리액을 저장하며, 상기 탈리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 EC 측정기를 구비하는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와 연결되고, 양전극과 음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 전극판을 내부공간에 수용한 전기흡착제거장치;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부터 탈착한 이온을 농축하여 얻는 농축수를 담아두며, 상기 농축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2 EC 측정기를 구비하는 농축수 탱크; 및 상기 제1 EC 측정기와 제2 EC 측정기와 연결되고,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가 구비되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 조건을 달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암모니아성 질소로 환산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기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로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흡착시의 전압을 달리하고, 탈착시의 전류와 시간을 달리하며,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교체시기를 달리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키며, 찌꺼기 감량화율을 향상시키고 찌꺼기 최종처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System for Removing High Density Nitrogen of Waste Water of Thermal Hydrolysis and Operation Method for Removing High Density Nitrogen of Waste Water of Thermal Hydrolysis}
본 발명은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음식물 쓰레기, 음폐수(음식물류 폐기물 폐수) 등의 고농도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연계 처리시,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EC)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에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전기흡착제거장치의 구동전압과 운전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 쓰레기나 하수 슬러지 등 유기성 폐기물의 증가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으로 해양투기, 소각, 매립, 토지살포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2012년부터 런던협약 및 96개 의정서에 의해 해양 투기가 금지되며, 2013년부터 교토의정서에 의해 한국이 2차 의무 감축 대상국이 되면서 소각 또한 제도적으로 제약이 주어지고 있으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다각적인 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더욱 필요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키고 또한 연료로 사용 가능한 메탄가스를 함유하는 바이오 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혐기소화 처리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혐기성 소화 처리방법은 혐기조건 하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유기물의 소화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거기에 부산물인 바이오 가스의 회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농도 질소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혐기소화조에서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이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시키거나 혐기성 미생물을 사멸시킴으로서 혐기성 소화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을 출원한바 있다.(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750호, 2015.10.13.)
본 출원인이 출원한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을 열수분해하고 압착한 탈리액을 40~80℃의 온도로 전기흡착장치에 유입하여 상기 탈리액 내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 인해,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이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시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므로 혐기성 소화율을 높이며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탈리액의 고농도 이온이 활성탄 전극판을 막히게 하므로 한달에 1회씩 전극판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5-0114750 A 2015.10.13.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음식물 쓰레기, 음폐수(음식물류 폐기물 폐수) 등의 고농도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연계 처리시,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EC)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에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전기흡착제거장치의 구동전압과 운전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EC)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에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전기흡착제거장치의 구동전압과 운전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유기성 폐기물의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한 탈리액을 저장하며, 상기 탈리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 EC 측정기를 구비하는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와 연결되고, 양전극과 음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 전극판을 내부공간에 수용한 전기흡착제거장치;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부터 탈착한 이온을 농축하여 얻는 농축수를 담아두며, 상기 농축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2 EC 측정기를 구비하는 농축수 탱크; 및 상기 제1 EC 측정기와 제2 EC 측정기와 연결되고,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가 구비되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 조건을 달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EC 측정기는 탈리액 유입 교반부, 보디부, 헤드캡 및 제1 EC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탈리액 유입 교반부는 유입구를 하부에 가지며, 유입된 탈리액의 회전에 의한 교반효과를 높이고, 외부로 배출된 탈리액의 방향성 있는 낙하를 유도하도록 중공된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디부에는 1개의 고정부와 복수개의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캡은 상기 제1 EC 센서를 청소하기 위해 Clean Water를 분출하는 2개의 Water Jet이 구비되며, 상기 제1 EC 센서는 상하로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1 EC 측정기에서 측정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 또는 제2 EC 측정기에서 측정한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에 있어서, 열수분해 탈리액을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에 이송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에 구비된 제1 EC 측정기에서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결과를 연산부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단계 3); 상기 연산부에서 수신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변환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제어부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제어부에서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조건을 달리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600㎎/ℓ미만인 경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에 있는 탈리액을 제1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600㎎/ℓ이상 내지 1,800㎎/ℓ미만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의 전극판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40~180A의 전류를 4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800㎎/ℓ이상 내지 2,000㎎/ℓ미만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의 전극판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40~180A의 전류를 6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2,000㎎/ℓ이상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의 전극판에 1.6~1.7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80A 초과의 전류를 6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셋째로, 제2 EC 측정기를 이용하여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연산부에서 암모니아성 농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모니아성 농도가 2,000㎎/ℓ를 초과하는 경우 농축수를 교체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흡착제거장치 운전 방법은,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음식물 쓰레기, 음폐수(음식물류 폐기물 폐수) 등의 고농도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연계 처리시,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암모니아성 질소로 환산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기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로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흡착시의 전압을 달리하고, 탈착시의 전류와 시간을 달리하며,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교체시기를 달리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키며, 찌꺼기 감량화율을 향상시키고 찌꺼기 최종처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열수분해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인공 합성폐수 내 암모니아성 질소(NH4-N), PO4-P, Cl- 와 전기 전도도(EC)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EC 측정기(1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EC 측정기(11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EC 측정기(11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 혐기소화 처리 시스템은 열수분해장치, 고액분리기 및 혐기소화조를 포함한다. 상기 열수분해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열수분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고액분리기는 상기 상기 열수분해장치에 의하여 열수분해된 열수분해 유기물을 액상유기물과 고형유기물로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액상유기물에 해당하는 탈리액은 상기 혐기소화조로 유입된다. 상기 혐기소화조에서는 혐기미생물에 의하여 혐기소화가 진행되며, 유기물이 분해되어 바이오 가스가 생성된다.
유기성 폐기물 중 하수 슬러지를 열수분해장치에 의하여 열수분해하고 고액분리기를 이용하여 압착한 탈리액 중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은 통상적으로 운전되는 혐기성 소화공정(TS 2% 수준) 내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시키게 되는데, 혐기소화조에 투입되는 탈리액의 TAN(Total Ammonia Nitrogen)이 증가할수록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감소된다.
먼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750호, 2015.10.13.)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을 열수분해하여 열수분해 산물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하여 탈리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탈리액을 전기흡착장치를 이용하여 암모니아성 질소를 선별 제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가 제거된 탈리액을 혐기성소화 처리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을 열수분해장치를 이용하여 열분해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열수분해장치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반응온도 180~190℃, 압력 18~20bar 조건에서 45~60분 동안 가열한다.
상기 단계 2는 슬러리 상태의 상기 열수분해 산물을 고액분리기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탈리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슬러리 상태의 상기 열수분해 산물을 고액분리기를 이용하여 45~60분 동안 압착하여 40~80℃의 탈리액을 수득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탈리액 내 고농도의 질소 성분 중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을 전기흡착장치를 이용하여 선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탈리액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성분을 그대로 잔존시키고 암모니아성 질소와 같은 이온성 물질만을 선별 제거하기 위해 전기흡착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전기흡착장치에 구비된 전극판은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유입되는 탈리액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성 질소(NH4 +, NO3 -) 를 흡착 또는 탈착한다. 상기 전극판은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전기적 인력 및 척력을 가지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양이온(NH4 +)및 음이온(NO3 -)은 상기 전기적 인력에 이끌려 상기 전극판으로 흡착된다. 양극에는 음이온이 흡착되고, 음극에는 양이온이 흡착된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가 제거된 탈리액을 혐기성소화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가 제거된 탈리액은 혐기소화조로 유입된다. 상기 혐기소화조에서는 혐기미생물에 의하여 혐기소화가 진행된다. 상기 혐기소화조에서 상기 탈리액이 혐기소화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오염물질인 유기물이 분해되어 바이오가스가 생성된다.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발명에서는 상기 혐기소화조에 암모니아성 질소가 제거된 탈리액이 유입되므로,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이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시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므로 혐기성 소화율을 높이며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전기흡착장치는 탈리액의 고농도 이온이 활성탄 전극판을 막히게 하므로 한달에 1회씩 전극판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수분해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열수분해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가 1,500㎎/ℓ이상인 경우가 84회 중 6회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자는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가 1,600㎎/ℓ 미만인 경우는 전극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에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가 1,600㎎/ℓ 이상인 경우에는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별로 최적의 운전조건을 찾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열수분해 탈리액에는 암모니아성 질소(NH4-N), PO4-P, Cl-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기지의 농도로 제작된 인공합성폐수 내 암모니아성 질소(NH4-N), PO4-P, Cl- 와 전기 전도도(EC)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는 전기 전도도의 작은 변화에도 큰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y=4.5531x - 322.21 (R2 = 0.8784)
따라서, 열수분해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와 전기 전도도의 높은 상관성을 이용하여,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농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농도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연계 처리시,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EC)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에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전기흡착제거장치의 구동전압과 운전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것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EC 측정기(11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EC 측정기(1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EC 측정기(110)의 평면도이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의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한 탈리액을 저장하며, 상기 탈리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 EC 측정기(110)를 구비하는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와 연결되고, 양전극과 음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 전극판(210)을 내부공간에 수용한 전기흡착제거장치(200);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와 연결되고,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부터 탈착한 이온을 농축하여 얻는 농축수를 담아두며, 상기 농축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2 EC 측정기(310)를 구비하는 농축수 탱크(300); 및
상기 제1 EC 측정기(110)와 제2 EC 측정기(310)와 연결되고, 제1 EC 측정기(110)에서 측정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또는 제2 EC 측정기(310)에서 측정한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가 구비되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 조건을 달리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한다.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 EC 측정기(110), 탈리액 유입구(120),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유출구(130),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유출구(140) 및 펌프(150)가 구비된다. 상기 탈리액 유입구(120)는 상기 제1 EC 측정기(110)의 유입구(112)와 연결된다.
상기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탈리액이 상기 제1 유출구(130)를 통해 유출되어 혐기소화조로 유입된다.
상기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탈리액이 상기 펌프(150)에 의해 상기 제2 유출구(140)를 통해 유출되어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로 유입된다.
상기 제1 EC 측정기(110)는 유기성 폐기물의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EC 측정기(110)는 탈리액 유입 교반부(111), 보디부(113), 헤드캡(117) 및 제1 EC 센서(119)로 구성된다. 상기 탈리액 유입 교반부(111), 보디부(113) 및 헤드캡(117)은 아래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며 각각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탈리액 유입 교반부(111)는 유입구(112)를 하부에 위치하며, 유입된 탈리액의 회전에 의한 교반효과를 높이고, 외부로 배출된 탈리액의 방향성 있는 낙하를 유도하도록 중공된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역원뿔의 중심선으로부터 외측면이 60°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보디부(113)에는 1개의 고정부(114)와 3개의 배출구(11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14)는 상기 제1 EC 측정기(110)를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구(115)에는 각각 Vent(116)가 구비되어 있어, 탈리액이 한꺼번에 많은 양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헤드캡(117)은 중심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Water Jet(118)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 Water Jet(118)은 제1 EC 센서(119)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향되게 2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EC 센서(119)는 상하로 구동된다. 탈리액이 교반되면서 보디(113)로 올라오면, 상기 제1 EC 센서(119)가 상기 보디(113)로 내려가 상기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게 되며,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농도를 상기 연산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1 EC 센서(119)가 헤드캡(117)으로 다시 올라오면 상기 Water Jet(118)으로부터 Clean Water가 빠른 속도로 분출되어 상기 제1 EC 센서(119)를 깨끗하게 청소하여 다음 전기 전도도 측정시 오류가 없도록 한다.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는 양전극과 음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 전극판(210)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와 연결되는 제3 유입구(220)와 제3 유출구(230) 및 상기 농축수 탱크(300)와 연결되는 제4 유입구(240)와 제4 유출구(250)가 구비된다.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의 상기 제2 유출구(140)를 통해 유출된 탈리액이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의 제3 유입구(220)로 유입된다.
상기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구동전압과 운전주기가 달리 제어된다.
상기 탈리액의 이온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에 구비된 전극판(210)에 흡착된다. 상기 전극판(210)의 양전극에는 탈리액의 음이온이 흡착되고, 상기 전극판(210)의 음전극에는 탈리액의 양이온이 흡착된다.
탈이온화된 탈리액은 제3 유출구(230)를 통해 유출되어 다시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의 탈리액 유입구(120)로 회수된다.
상기 농축수 탱크(300)로부터 유출된 Clean Water가 상기 제4 유입구(240)로 유입된다. 상기 Clean Water에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부터 탈착한 이온이 포함되고 상기 제4 유출구(250)로 유출되어 다시 상기 농축수 탱크(300)로 회수된다.
상기 농축수 탱크(300)는 상기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제2 EC 측정기(310)가 구비되어 있으며, Clean Water를 상기 농축수 탱크(300)에 공급하는 Clean Water 유입구(320)와 농축수를 배출하는 농축수 배출구(3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상기 농축수를 상기 농축수 배출구(330)를 통해 농축/증발조로 보내고 상기 Clean Water 유입구(320)를 통해 새로운 Clean Water가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제1 EC 측정기(110)에서 측정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 또는 제2 EC 측정기(310)에서 측정한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연산부로부터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전달받아,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200)를 거치지 않고 배출하도록 제어하며,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별로 구동전압과 운전주기를 달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연산부로부터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전달받아,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농축수를 농축/증발조로 보내고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의 탈착된 이온을 회수하는데 재사용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Monitoring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측정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및 변환된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제어 흐름도이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은,
열수분해 탈리액을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에 이송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에 구비된 제1 EC 측정기(110)에서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결과를 연산부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단계 3);
상기 연산부에서 수신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변환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제어부(400)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제어부(400)에서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조건을 달리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유기성 폐기물의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한 탈리액을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에 이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에 내장된 제1 EC 측정기(110)에서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결과를 연산부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이다.
상기 Monitoring부는 상기 제1 EC 측정기(110)로부터 받은 전기 전도도 측정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가 Monitoring부에 표시되면 운전자가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가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 4는 연산부에서 수신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빠른 측정이 가능하고 현장 적용 및 장비 유지관리에 용이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자,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지 않고,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산부에서는 다음 식에 의거하여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게 된다.
y=(ax - b)f
a = 0.202±0.002
b = 103.3±0.2
f : 보정계수
x : 전기전도도(μS/㎝)
y : NH4-N농도(㎎/ℓ)
상기 단계 5는 상기 변환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제어부(400)로 보내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제어부(400)에서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조건을 달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변환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600㎎/ℓ미만인 경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에 있는 탈리액을 제1 유출구(130)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유출구(130)를 통해 유출된 탈리액은 혐기소화조로 이송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600㎎/ℓ이상 내지 1,800㎎/ℓ미만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200)의 전극판(210)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300)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210)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40~180A의 전류를 4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탈리액의 이온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에 구비된 전극판(210)에 흡착된다. 상기 전극판(210)의 양전극에는 탈리액의 음이온이 흡착되고, 상기 전극판(210)의 음전극에는 탈리액의 양이온이 흡착된다. 탈이온화된 탈리액은 제3 유출구(230)를 통해 유출되어 다시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100)의 탈리액 유입구(120)로 회수된다.
상기 전극판(210)에 EPS 140A 미만의 전류를 인가하면 방전시 전극판 내 흡착된 이온물질을 탈착시키기 위한 시간이 증가되거나 탈착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180A 초과의 전류를 인가하면 전극판의 손상 및 Scale 발생의 문제가 있다. 상기 전극판(210)에 흡착된 이온이 탈착되어 Clean Water에 포함되어 다시 농축수 탱크(300)로 회수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800㎎/ℓ이상 내지 2,000㎎/ℓ미만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200)의 전극판(210)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300)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210)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40~180A의 전류를 6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농축수 탱크(300)에 있는 농축수는 3번 사용한 후에 교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2,000㎎/ℓ이상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200)의 전극판(210)에 1.6~1.7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300)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200)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210)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80A 초과의 전류를 6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셋째로, 제2 EC 측정기(310)를 이용하여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연산부에서 암모니아성 농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모니아성 농도가 2,000㎎/ℓ를 초과하는 경우 농축수를 교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극판(210)에 1.6V 미만의 전압을 인가하면 이온물질의 흡탈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7V 초과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주변부에서의 부반응 발생과 전극판 손상 및 Scale 발생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은,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암모니아성 질소로 환산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기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로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흡착시의 전압을 달리하고, 탈착시의 전류와 시간을 달리하며, 농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교체시기를 달리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키며, 찌꺼기 감량화율을 향상시키고 찌꺼기 최종처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 110 : 제1 EC 측정기
111 : 탈리액 유입 교반부 112 : 유입구
113 : 보디부 114 : 고저부
115 : 배출구 116 : Vent
117 : 헤드캡 118 : Water Jet
119 : 제 EC 센서
120 : 탈리액 유입구 130 : 제1 유출구
140 : 제2 유출구 150 : 펌프
200 : 전기흡착제거장치 210 : 전극판
220 : 제3 유입구 230 : 제3 유출구
240 : 제4 유입구 250 : 제4 유출구
300 : 농축수 탱크 310 : 제2 EC 측정기
320 : Clean Water 유입구 330 : 농축수 배출구
400 : 제어부

Claims (6)

  1.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EC)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기흡착제거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혐기소화조에 보내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전기흡착제거장치의 구동전압과 운전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전극판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유기성 폐기물의 열수분해 산물을 압착한 탈리액을 저장하며, 상기 탈리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 EC 측정기를 구비하는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와 연결되고, 양전극과 음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 전극판을 내부공간에 수용한 전기흡착제거장치;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부터 탈착한 이온을 농축하여 얻는 농축수를 담아두며, 상기 농축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제2 EC 측정기를 구비하는 농축수 탱크; 및
    상기 제1 EC 측정기와 제2 EC 측정기와 연결되고,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가 구비되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 조건을 달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EC 측정기는 탈리액 유입 교반부, 보디부, 헤드캡 및 제1 EC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탈리액 유입 교반부는 유입구를 하부에 가지며, 유입된 탈리액의 회전에 의한 교반효과를 높이고, 외부로 배출된 탈리액의 방향성 있는 낙하를 유도하도록 중공된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디부에는 1개의 고정부와 복수개의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캡은 상기 제1 EC 센서를 청소하기 위해 Clean Water를 분출하는 2개의 Water Jet이 구비되며,
    상기 제1 EC 센서는 상하로 구동이 가능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EC 측정기에서 측정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 또는 제2 EC 측정기에서 측정한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4. 제 1항의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을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에 있어서,
    열수분해 탈리액을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에 이송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에 구비된 제1 EC 측정기에서 상기 열수분해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결과를 연산부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단계 3);
    상기 연산부에서 수신된 탈리액의 전기 전도도 수치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로 변환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변환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제어부 및 Monitoring부로 보내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제어부에서 탈리액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에 따라 운전조건을 달리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600㎎/ℓ미만인 경우, 열수분해 탈리액 저장조에 있는 탈리액을 제1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600㎎/ℓ이상 내지 1,800㎎/ℓ미만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의 전극판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40~180A의 전류를 4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1,800㎎/ℓ이상 내지 2,000㎎/ℓ미만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의 전극판에 1.5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40~180A의 전류를 6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2,000㎎/ℓ이상인 경우, 첫째로, 전기흡착제거장치의 전극판에 1.6~1.7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둘째로, 상기 농축수 탱크로부터 Clean Water가 상기 전기흡착제거장치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극판에 EPS(Electric Pulse System) 180A 초과의 전류를 60분 동안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셋째로, 제2 EC 측정기를 이용하여 농축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연산부에서 암모니아성 농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모니아성 농도가 2,000㎎/ℓ를 초과하는 경우 농축수를 교체하도록 제어하는,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KR1020160079574A 2016-06-24 2016-06-24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KR101656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574A KR101656057B1 (ko) 2016-06-24 2016-06-24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574A KR101656057B1 (ko) 2016-06-24 2016-06-24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57B1 true KR101656057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574A KR101656057B1 (ko) 2016-06-24 2016-06-24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1879A (zh) * 2019-06-17 2019-08-27 南京大学 一种含丙烯腈的发酵废水处理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50B1 (ko) * 2013-08-08 2014-04-25 한국전력공사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KR20140111090A (ko) * 2013-03-06 2014-09-18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114750A (ko) 2014-04-02 2015-10-13 한국수자원공사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
KR101598589B1 (ko) * 2014-10-28 2016-02-29 한국수자원공사 축전 탈이온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090A (ko) * 2013-03-06 2014-09-18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89450B1 (ko) * 2013-08-08 2014-04-25 한국전력공사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KR20150114750A (ko) 2014-04-02 2015-10-13 한국수자원공사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
KR101598589B1 (ko) * 2014-10-28 2016-02-29 한국수자원공사 축전 탈이온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1879A (zh) * 2019-06-17 2019-08-27 南京大学 一种含丙烯腈的发酵废水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685B2 (en) Water reclamation method integrating magnetic resin adsorption and electrosorption
CN101844822B (zh) 三维电极/电芬顿反应器
CN101506105A (zh) 处理用于冷却塔和需要从水中去除二氧化硅的工艺的水的方法和整合系统
CN101955280A (zh) 复合电化学法处理高浓度有机废水工艺
CN103304078A (zh) 一种实验室废水处理工艺设备及使用其的废水处理方法
CN102936074B (zh) 一种环氧类增塑剂生产废水的预处理方法
KR100937004B1 (ko) 녹조 제거장치
CN107298490B (zh) 电化学反应器和电絮凝去除废水中氯离子的方法及沉淀产物和用途
KR101656057B1 (ko)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수분해 탈리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운전 방법
CN102381791A (zh) 一种电解-氧化剂联合处理有机废水的设备
KR101641331B1 (ko) 고농도 질소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처리 방법
CN110040915A (zh) 一种含高浓度有机磷废水处理方法
CN203373221U (zh) 一种实验室废水处理工艺设备
CN209065489U (zh) 一种用于处理氨氮废水的三维电催化氧化装置
JP5064338B2 (ja) 排水処理装置
CN202415301U (zh) 一种印染废水处理系统
CN202440349U (zh) 一种电解-氧化剂联合处理有机废水的设备
CN107200434A (zh) 基于多维强氧化和循环生化处理电镀废水的方法
KR100644758B1 (ko)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후 발생되는 잉여활성슬러지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6045141B (zh) 电化学处理医化废水的方法和装置
CN209193692U (zh) 一种页岩气压裂返排液电解杀菌装置橇
KR101245329B1 (ko) 전기분해식 오수 처리 장치
WO2016174562A4 (en) Dissolved ozone floatation effluent treatment system
CN201785226U (zh) 污水脱色的组合电絮凝设备
CN106810029A (zh) 电Fenton法处理油田废泥浆的工艺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